KR102657019B1 -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19B1
KR102657019B1 KR1020220145490A KR20220145490A KR102657019B1 KR 102657019 B1 KR102657019 B1 KR 102657019B1 KR 1020220145490 A KR1020220145490 A KR 1020220145490A KR 20220145490 A KR20220145490 A KR 20220145490A KR 102657019 B1 KR102657019 B1 KR 10265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lectric vehicle
cover
pip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라종열
Original Assignee
육송(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22014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6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of the telescopic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수를 승강용 수압실린더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수조 형태로 감싼 후 바닥 노즐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밑면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면서 풀장 형태로 만들어 배터리로의 산소 공급 차단, 냉각 및 소화로 화재를 진압하는,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및 소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electric car parking lot}
본 발명은 소방용수를 승강용 수압실린더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수조 형태로 감싼 후 바닥 노즐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밑면에 소방용수를 분사하면서 풀장 형태로 만들어 배터리로의 산소 공급 차단, 냉각 및 소화로 화재를 진압하는,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및 소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에는 천장에 스프링클러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스프링클러는 정확한 발화 지점 추적이 불가능하여 초기 화재 감지가 불가능하며,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에 의한 화재진압으로는 신속한 대처가 어려우며 분사할 수 있는 물이 한정되어 지속적인 분사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화재 시 방화포를 방사하여 전기자동차를 덮음으로써 화재의 확산 또는 전기자동차로의 화재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 배터리의 수많은 셀을 팩키지화로 만들어지고 전기차량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화시스템으로 화재 진압이 불가능하며, 내부에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나 화재 발생 시 온도가 급상승하여 조기진압이 어려워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7297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로의 산소 공급 차단, 냉각 및 소화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신속 정확히 하여 다른 곳으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및 소화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은, 열(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면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베이스; 상기 주차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밑면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바닥 노즐; 상기 주차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노즐을 제외하는 바닥 커버와, 상기 바닥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수조용 커버; 상기 주차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 커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수압실린더; 및 상기 화재 감지기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용 수압실린더의 제1 배관과 상기 바닥 노즐의 제2 배관으로 소방용수를 공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화재가 감지되면, 제1 배관용 소방밸브를 개방하여 소방용수를 제1 배관을 통해 승강용 수압 실린더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승강용 수압 실린더의 상승과 함께 수조용 커버의 테두리 커버를 상승시켜, 상기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감싸 수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승강용 수압 실린더의 상승이 멈추면, 제2 배관용 소방밸브를 추가 개방하여 상기 소방용수를 상기 제2 배관으로 공급하여, 바닥 노즐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밑면을 향해 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바닥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방용수가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소화하고, 상기 테두리 커버의 윗면까지 차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겨 화재를 진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및 소화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평상시 전기자동차의 주차가 편리하고, 화재 시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감싸 풀장 형태의 수조를 형성한 후 하부 노즐로부터 분사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물에 잠기게 해서 배터리로의 산소 공급 차단, 냉각 및 소화를 시켜주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특히 소방용수로 수압실린더를 다단으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액추에이터가 불필요하여 시스템의 간소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방용수가 1차적으로 제1 배관을 통해 수압실린더로의 공급이 완료되면 제1 배관은 차단되고, 2차적으로 제2배관을 통해 바닥 노즐로 소방용수를 전환 공급하기 때문에, 주차베이스에 제1 배관과 제2 배관 라인만으로 화재 진압을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를 형성하는 커버가 방염포로 구성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화재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좌우 방염포의 바깥에 셔터가 받치고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폭보다 전후 길이가 긴 좌우 방염포가 물에 의해 변형되어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수압실린더에 연결되는 제1 배관에 체크밸브와 드레인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체크밸브에 의해 수압실린더로만 소방용수가 공급되고, 드레인 밸브에 의해 수압실린더의 수압을 빼내어 안정적인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평상시 주차장용 소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주차장용 소화시스템의 작동으로 수조를 형성하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수조용 커버의 상승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승강용 수압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수조용 커버의 작동 대기 및 작동 완료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평상시 주차장용 소화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주차장용 소화시스템의 작동으로 수조를 형성하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상부 노즐(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3)은 기존 지하 주차장의 천장 아래에 배치되는 스프링클러헤드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 시 열에 의해 유리벌브가 깨지면서 소방용수를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화재 감지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0)는, 전기자동차 가까운 부분 예컨대 상부 노즐(3)의 아래에 배치할 수 있다. 화재 감지기(10)는, 전기자동차의 화재 시 열(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전용 감지기일 수 있다. 화재 감지기(10)가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60)로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주차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베이스(20)는, 사각 형상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주차베이스(20)의 전측에, 전기자동차의 주차/출차를 위한 경사판(2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바닥 노즐(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노즐(30)은, 주차베이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닥 노즐(30)은, 주차베이스(20)의 상면 내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노즐(30)은, 전기자동차의 밑면을 향해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7은, 수조용 커버의 상승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수조용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용 커버(40)는, 작동 시 풀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용 커버(40)는, 바닥 커버(140)와 테두리 커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커버(140)는, 바닥 노즐(30)을 제외한 채 주차베이스(20)의 상면에 깔릴 수 있다. 테두리 커버(240)는, 바닥 커버(14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 커버일 수 있다. 테두리 커버(240)는, 서로 포개어진 채 접힌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수조용 커버(40)는, 방염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용 커버(40)는 셔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셔터(340)는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후 길이가 좌우 폭에 비해 길기 때문에, 승강용 수압실린더(50)의 설치 개수도 많을 수밖에 없다. 이 개수를 줄이는 대신에, 좌우 셔터(340)가 테두리 커버(240)를 받치게 하면, 수조용 커버(40) 내에 찬 소방용수의 압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보호해줄 수 있다. 셔터(340)는, 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셔터(340)는, 주차베이스(20)의 내부에 탑재된 롤(341)에 감길 수 있다. 셔터(340)는, 셔터문과 같은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승강용 수압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승강용 수압실린더(5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주차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테두리 커버(24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수압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즉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예컨대 도 8과 같이 3단인 경우 직경이 점점 커지는 1단 봉(51), 2단 실린더(53), 3단 실린더(55) 및 기준 실린더(57)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실린더(57)는, 주차베이스(20)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실린더(57)는, 후술된 제1 배관(70)에 연결될 수 있다. 기준 실린더(57)는, 3단 실린더(550, 2단 실린더(53) 및 1단 봉(51)을 차례로 수납할 수 있다. 즉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안테나 또는 망원경과 같은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승강할 수 있다. 1단 봉(51)에, 테두리 커버(240) 또는 좌우 셔터(340)가 설치될 수 있다. 승강용 수압실린더(50)는, 1단 봉(51)이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감쌀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화재 감지기(10)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감지기(10)에 의해 제어부(60)의 전용 제어장치가 작동하여 소방수신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소방밸브(미도시)를 개방시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로 소방용수가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수압실린더용 제1 배관(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70)은, 승강용 수압실린더(50)와 제어부(60)의 소방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배관(70)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4각 형상의 제1a 배관(71)과, 제1a 배관(71)과 제어부(60)를 연결하는 제1b 배관(73)과, 제1a 배관(71)과 승강용 수압실린더(50) 각각 연결하는 제1c 배관(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b 배관(73)에, 수압실린더용 체크밸브(77)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77)는, 승강용 수압실린더(50)의 가압 수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1a 배관(71)에, 수압실린더용 드레인 밸브(79)가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 밸브(79)는, 화재 진압 후 승강용 수압실린더(50)의 소방용수를 배수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은, 바닥 노즐용 제2 배관(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관(80)은, 바닥 노즐(30)과 제어부(60)의 소방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배관(80)은, 격자에 가까운 제2a 배관(81)과, 제2a 배관(81)과 제어부(60)를 연결하는 제2b 배관(8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1)을 이용한 소화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화재 감지기(10)가 전기자동차의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60)가 작동하여 소방수신기와 연동하여 제1 배관(70)용 소방밸브(미도시)를 개방시켜 제1 배관(70)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배관(70)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는 각 승강용 수압 실린더(50)로 공급되고, 그 수압으로 승강용 수압 실린더(50)를 다단으로 상승시킴과 함께 수조용 커버(40)의 테두리 커버(24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테두리 커버(240)에, 좌우 셔터(340)가 포함될 수 있다.
테두리 커버(240)가 전기자동차의 하부 둘레를 감싸 수조를 형성할 때 승강용 수압 실린더(50)가 수압으로 상승할 수 있다.
계속 공급되는 소방용수와 체크밸브(77)에 의해 계속 가압된 상태에서 승강용 수압 실린더(50)의 상승이 물리적으로 멈추면, 제어부(60)에 의해 제2 배관(80)용 소방밸브(미도시)를 추가로 개방하여 제2 배관(80)으로 소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배관(80)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는 바닥 노즐(30)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분사하여 소화하고, 테두리 커버(40)의 윗면까지 차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화재 진압이 완료되면, 드레인 밸브(79)를 통해 제1 배관(70)의 소방용수를 드레인하고, 승강용 수압실린더(50)를 누르면서 또는 자중에 의해 대기 상태로 접을 수 있다.
상부 노즐(3)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면, 소방용수를 상하에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전기자동차의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3: 상부 노즐
10: 화재 감지기 20: 주차베이스
30: 바닥 노즐 40: 수조용 커버
140: 바닥 커버 240: 테두리 커버
340: 좌우 셔터 50: 승강용 수압실린더
60: 제어부 70: 제1 배관
77: 체크밸브 79: 드레인 밸브
80: 제2 밸브

Claims (5)

  1. 열(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면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주차베이스;
    상기 주차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밑면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바닥 노즐;
    상기 주차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 노즐을 제외하는 바닥 커버와, 상기 바닥 커버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수조용 커버;
    상기 주차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 커버를 승강시키는 승강용 수압실린더; 및
    상기 화재 감지기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용 수압실린더의 제1 배관과 상기 바닥 노즐의 제2 배관으로 소방용수를 공급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베이스에, 롤 형태의 좌우 셔터가 설치되고,
    상기 좌우 셔터는, 상기 테두리 커버 중 적어도 좌우 커버의 바깥쪽에 배치 지하고,
    상기 승강용 수압실린더는, 상기 테두리 커버 중 전후 커버와 상기 좌우 셔터를 승강시키는,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용 커버는 방염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에 체크밸브와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는,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5. 삭제
KR1020220145490A 2022-11-03 2022-11-03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KR10265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490A KR102657019B1 (ko) 2022-11-03 2022-11-03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490A KR102657019B1 (ko) 2022-11-03 2022-11-03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019B1 true KR102657019B1 (ko) 2024-04-16

Family

ID=9088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490A KR102657019B1 (ko) 2022-11-03 2022-11-03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604A (ko) * 2000-09-09 2002-03-15 하재욱 위치조절식 방수포 승강장치
CN214912834U (zh) * 2021-04-16 2021-11-30 深圳市前海香饽饽智能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自动灭火系统
KR102372971B1 (ko) 2021-11-29 2022-03-14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604A (ko) * 2000-09-09 2002-03-15 하재욱 위치조절식 방수포 승강장치
CN214912834U (zh) * 2021-04-16 2021-11-30 深圳市前海香饽饽智能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自动灭火系统
KR102372971B1 (ko) 2021-11-29 2022-03-14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소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503331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102070259B1 (ko) 주차장 차량화재 진화용 소화설비
JP3123424B2 (ja) 立体自動倉庫の自動消火方法および自動消火パレット
KR20220131447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352591B1 (ko) 주차장 차량화재 진화용 소화설비
KR101838057B1 (ko) 이동형 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37710B1 (ko) 화재 방지 시스템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JP3686387B2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KR102068978B1 (ko)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JP2021010397A (ja) 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JP2023133534A (ja) 防災設備
KR102657019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JP6125897B2 (ja) 延焼防止用散水ノズル及びこれを用いた街路壁面用散水システム
KR102093015B1 (ko) 집중식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140035162A (ko)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CN217642806U (zh) 一种防火防爆叉车电池充电柜
JP2021087754A (ja) 消火器具及び消火設備
JP4776410B2 (ja) 消火システム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KR102166150B1 (ko) 환경 인자 및 설정 인자에 기반한 스프링클러 작동 컨트롤 시스템
KR102673581B1 (ko)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