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127B1 -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127B1
KR102007127B1 KR1020180173974A KR20180173974A KR102007127B1 KR 102007127 B1 KR102007127 B1 KR 102007127B1 KR 1020180173974 A KR1020180173974 A KR 1020180173974A KR 20180173974 A KR20180173974 A KR 20180173974A KR 102007127 B1 KR102007127 B1 KR 10200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closure
door
outer fram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한용택
정재한
Original Assignee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80711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071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127B1/ko
Priority to PCT/KR2019/018772 priority patent/WO20201418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 가능하며, 일면이 개방된 함체,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함체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유닛,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화수 공급 라인, 일단이 소화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는 호스, 소화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호스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호스가 감기는 릴 유닛, 및 도어 유닛에 형성되어 도어 유닛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홀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HYDRANT BOX SYSTEM OF UNDERGROUND LAYING}
본 발명은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재에 따른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건물에는 소방 설비들이 마련된다. 빌딩이나 아파트 등에는 각 층마다 특정 위치에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되고 있으며, 건물에 설치되는 소방 설비들 중 소방 기구가 설치된 소화전함은 화재를 신속 정확하게 진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소화전함은 방수구를 갖춘 소화전, 건축물의 규모에 적합한 규격의 소방호스 및 화염에 직접적으로 물을 분사하는 관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소화전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초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상술한 소화전함은 최근 들어서는 재래시장이나 다가구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에도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는 재래시장 주변은 소방차가 신속하게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특히 주변의 대로변에는 소화전은 설치되어 있으나 직접적으로 물을 분사하는 관창을 포함한 소방 호스는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여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이 미흡한 관계로 인해, 작은 화재가 대형 화재로 번지면서 결과적으로 사회적손실이 커지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 설치된 소화전에 관창을 포함한 소방호스를 보관할 수 있는 소화전함이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다가구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주거지역에 상기와 같은 소화전함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면도로에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들에 의해 소방차가 화재구역으로 진입을 하지 못하더라도 소화전함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는 소방관만 소화전함으로 가서 준비되어 있는 소방호스를 꺼내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도록 소화전함이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939호(2014.01.17 공고)
본 발명은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중에 매설되어 공간의 제약이 적으며,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고, 배수 홀을 통해 도어 유닛 내부로 유입된 물을 함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 가능하며, 일면이 개방된 함체,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함체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유닛, 함체에 설치되어 함체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화수 공급 라인, 일단이 소화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는 호스, 소화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호스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호스가 감기는 릴 유닛, 및 도어 유닛에 형성되어 도어 유닛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홀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이 제공된다.
도어 유닛은 함체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은 함체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외측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홀은 외측 프레임과 물받이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물받이 공간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어 유닛은 도어 본체와 도어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유닛은 도어 본체의 잠금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도어 유닛은 도어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잠금 유닛을 커버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배수 유닛은 도어 유닛에 설치되어 배수 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배수 유닛은 함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함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함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부 배수 유닛은 함체 외부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는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중에 매설되어 공간의 제약이 적으며,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수 홀은 도어 유닛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함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립용 소화전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및 배수 홀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배수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립용 소화전함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 가능하며, 일면이 개방된 함체(110), 함체(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함체(110)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유닛(120), 함체(110)에 설치되어 함체(110)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화수 공급 라인, 일단이 소화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는 호스(150), 소화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호스(150)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170), 함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호스(150)가 감기는 릴 유닛(152), 및 도어 유닛(120)에 형성되어 도어 유닛(12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홀(140)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100)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함체(110)는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지중에 매설되어 공간의 제약이 적으며,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지중에 매설되어 동절기에 소화수 라인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홀(140)을 통하여 도어 유닛(12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으며,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관 및 소화수 탱크에서 바로 함체(110) 내부에 배치된 호스(150)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는 지중에 매설이 가능하며,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체(110)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지상에서 함체(110) 내부에 있는 호스(15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체(110) 내부가 지상으로 개방될 수 있는 깊이로 지중에 매설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가 매설되는 지반에는 수평 유지 및 투수를 위해 하부에 자갈이 깔리고, 그 위에 함체(110)가 배치되며, 함체(110)의 주변을 모래로 되메운 뒤 바닥을 다져 함체(110)를 지반에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다.
함체(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함체(110) 외부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수밀성이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120)은 함체(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함체(110)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유닛(120)은 함체(110)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180), 및 도어 프레임(18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유닛(120)은 도어 본체(122)에 설치되어 도어 본체(122)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잠금 유닛(124), 및 도어 본체(122)에 설치되어 잠금 유닛(124)을 커버하는 보조 도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122)는 함체(1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도어 본체(122)는 상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2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본체(122)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외부판과 내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본체(122) 내부에는 잠금 유닛(124) 및 도어 본체(122)를 오픈할 때 사용되는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80)은 함체(110)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184), 외측 프레임(184)의 내측에 외측 프레임(184)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182), 및 내측 프레임(182)과 외측 프레임(184)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 공간(1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80)은 도어 본체(122)와 같이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유닛(120)이 닫힌 상태에서, 외측 프레임(184)은 도어 본체(122)의 상면에 위치한 외부판과 접할 수 있으며, 내측 프레임(182)은 도어 본체(122)의 하면에 위치한 내부판과 접할 수 있다.
잠금 유닛(124)은 매미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 본체(1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잠금 유닛(124)을 커버하는 보조 도어(126)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어 본체(122)의 상면은 지상에서 물건의 이동이나 사람의 보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지표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122) 하면에는 도어 본체(122)가 무게에 의해서 빠르게 개폐되지 않도록 제1 지지 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어 본체(122)가 오픈된 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유닛과 유사하게, 제2 지지 유닛은 도어 본체(122) 내부에 설치되어 보조 도어(126)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지지 유닛과 제2 지지 유닛은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120)에는 보조 도어(126)에 형성되어 보조 도어(126)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제2 잠금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잠금 유닛은 자력을 이용한 잠금 유닛(1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손잡이를 통하여 일정한 힘 이상이 보조 도어(126)에 작용하면 보조 도어(126)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수 공급 라인은 함체(110)에 설치되어 함체(110)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수 공급 라인의 일단은 함체(110)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함체(110) 외부로부터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수 공급 라인의 일단은 소화수 탱크 또는 상수도와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라인은 소화수 공급 라인과 연결되어 소화수의 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급수 라인은 소화수 공급 라인과 호스(150) 사이를 연결하는 유동통로가 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보수용 밸브에 의해 소화수의 유동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70)는 급수 라인에 결합되어, 급수 라인으로부터 호스(150)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170)는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후술할 하우징(16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수용 밸브는 소화수 공급 라인에 설치되어 급수 라인으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수용 밸브는 소화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의 유동을 막아, 급수 라인, 호스(150) 등의 점검, 보수 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50)는 일단이 급수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으로 소화수가 분사될 수 있다. 소화수 공급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는 급수 라인을 따라 호스(150)에 공급되어 호스(150)의 타단으로 분사될 수 있다.
호스(150)의 타단에는 소화관창이 결합될 수 있으며, 소화관창을 통하여 소화수의 분사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유닛(152)은 함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호스(150)가 감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 유닛(152)은 일단이 함체(110) 내부에 결합되고, 일단에 결합된 바디가 회전 운동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릴 유닛(152)은 호스(150)의 인출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다시 릴 유닛(152)에 호스(150)를 감을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유닛(152)은 도어 유닛(12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 유닛(120)의 내면에 설치된 릴 유닛(152)은 도어 유닛(120)이 오픈되었을 때, 도어 유닛(120)을 따라 지상으로 이동될 수 있어 호스(150)를 감고 풀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0)은 급수 라인을 커버하도록 함체(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60)은 함체(110)의 내측벽에 설치되어 소화수 공급 라인과 급수 라인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하우징(160)의 외측에 급수 라인에 설치된 밸브(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온 유닛은 급수 라인을 감싸 급수 라인 내부로 냉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온 유닛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외부가 은박으로 구성되는 배관 보온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상이한 두께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온 유닛은 하우징(160) 외부로부터 냉기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우징(1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온 유닛은 섬유 보온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울 보온재(유리 섬유 보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유닛(190)은 도어 프레임(180)과 도어 유닛(12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유닛(190)은 도어 본체(122)와 도어 프레임(18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 유닛(190)은 도어 본체(122)와 도어 프레임(180)의 접촉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물 또는 냉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 유닛(19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도어 본체(122)와 도어 프레임(180) 사이의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 유닛(190)은 도어 프레임(180)의 내측 프레임(182)과 도어 본체(122)의 내부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 유닛(190)은 도어 프레임(180)의 외측 프레임(184)과 도어 본체(122)의 외부판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홀(140)은 도어 유닛(120)에 형성되어 도어 유닛(12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 홀(140)은 외측 프레임(184)과 물받이 공간(186) 사이 즉, 외측 프레임(184)과 물받이 공간(186) 사이 절곡면에 형성되어 물받이 공간(186)에 유입된 물을 함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배수 유닛(200)은 도어 유닛(120)에 설치되어 배수 홀(14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배수 유닛(200)은 도어 프레임(180)의 외측 프레임(184)에 설치되어 배수 홀(140)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 배수 유닛(200)은 물의 유동통로의 기능이외에 배수 홀(140)을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흙 및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수 유닛(210)은 함체(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함체(110)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함체(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유닛(212)은 함체(110) 외부로부터 하부 배수 유닛(210)을 통한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 방지 유닛(212)은 체크 밸브(170)와 같이 물의 유동을 일측 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100)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릴 유닛(152)이 함체(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에 부가되는 하중이 줄 수 있으며, 호스(150)가 함체(110) 내부로부터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110: 함체
120: 도어 유닛
122: 도어 본체
124: 잠금 유닛
126: 보조 도어
130: 소화수 공급 라인
140: 배수 홀
150: 호스
152: 릴 유닛
160: 하우징
170: 밸브
180: 도어 프레임
182: 내측 프레임
184: 외측 프레임
186: 물받이 공간
190: 실링 유닛
200: 상부 배수 유닛
210: 하부 배수 유닛
212: 역류 방지 유닛

Claims (10)

  1. 지중에 매설 가능하며, 일면이 개방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의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유닛;
    상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외부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는 소화수 공급 라인;
    일단이 상기 소화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며, 타단으로 소화수가 분사되는 호스;
    상기 소화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호스로 소화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호스가 감기는 릴 유닛; 및
    상기 도어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유닛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함체의 일면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함체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외측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측 프레임;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물받이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물받이 공간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와 상기 내측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실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물받이 공간에 유입된 물이 상기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 측에 형성된 상기 배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배수 홀의 위치와 대응되어 복수의 상기 배수 홀을 각각 커버하도록 상기 외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상부 배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배수 유닛은 지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받이 공간에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 홀을 통해 지중으로 바로 배출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의 잠금 여부를 조절하는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잠금 유닛을 커버하는 보조 도어를 더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함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함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 배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배수 유닛은 상기 함체 외부로부터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KR1020180173974A 2018-12-31 2018-12-31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00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74A KR102007127B1 (ko) 2018-12-31 2018-12-31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PCT/KR2019/018772 WO2020141846A1 (ko) 2018-12-31 2019-12-31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74A KR102007127B1 (ko) 2018-12-31 2018-12-31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127B1 true KR102007127B1 (ko) 2019-09-18

Family

ID=6807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974A KR102007127B1 (ko) 2018-12-31 2018-12-31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1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846A1 (ko) * 2018-12-31 2020-07-09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236012B1 (ko) * 2020-05-12 2021-04-06 (주) 삼진정밀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KR20210155265A (ko) * 2020-06-15 2021-12-22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KR102380213B1 (ko) * 2021-07-30 2022-03-30 중경기술(주) 지하 매설식 소화전함
KR102457160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54U (ko) * 1998-09-21 2000-04-25 박흥식 설비함용 패드
JP2001172998A (ja) * 1999-12-16 2001-06-26 Haneda Hume Pipe Co Ltd マンホール蓋の解錠システム
JP2001234562A (ja) * 2000-02-24 2001-08-31 Tashin Kogyo Kk 屋内配管用集合装置
KR20110114389A (ko) * 2010-04-13 2011-10-19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 장치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54U (ko) * 1998-09-21 2000-04-25 박흥식 설비함용 패드
JP2001172998A (ja) * 1999-12-16 2001-06-26 Haneda Hume Pipe Co Ltd マンホール蓋の解錠システム
JP2001234562A (ja) * 2000-02-24 2001-08-31 Tashin Kogyo Kk 屋内配管用集合装置
KR20110114389A (ko) * 2010-04-13 2011-10-19 중경기술주식회사 소방 장치
KR101351939B1 (ko) 2013-03-04 2014-01-17 이정율 권취식 소방호스가 장착된 소화전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846A1 (ko) * 2018-12-31 2020-07-09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236012B1 (ko) * 2020-05-12 2021-04-06 (주) 삼진정밀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KR20210155265A (ko) * 2020-06-15 2021-12-22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KR102358187B1 (ko) * 2020-06-15 2022-02-03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KR102457160B1 (ko) * 2021-04-27 2022-11-01 강은진 지하 매설식 다목적 소방시스템
KR102380213B1 (ko) * 2021-07-30 2022-03-30 중경기술(주) 지하 매설식 소화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102007127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20110114389A (ko) 소방 장치
US20180078801A1 (en) Fire-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1640432B1 (ko) 공동주택 폐쇄형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 설치방법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WO2020141846A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CN206910638U (zh) 一种具有自动开启功能的消防设备
CN208884626U (zh) 单建地下建筑消防水箱
KR102358187B1 (ko) 폼분사 지하 비상소화함 시스템
CN211898631U (zh) 埋地消火栓井坑快速开槽装置
KR102619622B1 (ko) 지하 매설식 소방함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102628970B1 (ko) 지하 매설식 소방함
KR100578046B1 (ko)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JP2958641B1 (ja) 配水本管内貯留緊急給水装置
KR101389799B1 (ko) 수막을 이용한 산불방지 급수 시스템
KR101232194B1 (ko) 소화전 설치방법
CN204193374U (zh) 室内埋地式消防栓装置
CN209608298U (zh) 一种用于室外火警线路的模块化拉线手井
KR101223964B1 (ko) 맞춤형 소화전
JP4557190B2 (ja) 非常用貯水装置
CN207361057U (zh) 一种具有内缩径底座的人孔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077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0312

Effective date: 202107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2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426

Effective date: 20211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209;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