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046B1 -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 Google Patents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046B1
KR100578046B1 KR1020040027961A KR20040027961A KR100578046B1 KR 100578046 B1 KR100578046 B1 KR 100578046B1 KR 1020040027961 A KR1020040027961 A KR 1020040027961A KR 20040027961 A KR20040027961 A KR 20040027961A KR 100578046 B1 KR100578046 B1 KR 100578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oilet
fire
door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547A (ko
Inventor
김경술
김원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술
김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술, 김원수 filed Critical 김경술
Priority to KR102004002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4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주입구와 이송관이 구비된 주입측벽판넬(10); 양측 하단에 각각 이송관이 구비된 다수의 중간측벽판넬(20); 일측 하단에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이 배출구는 내부에 구비된 배출파이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배출측벽판넬(30); 내부 일측에만 구비된 도어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출입문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측벽판넬(40); 및 상기 각 이송관의 사이에는 연결관(22)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각 판넬은 화장실의 내부 크기에 맞게 제작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할시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대피장소로 신속하게 피신하게 되면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쉽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측벽판넬, 천정판넬, 화재발생,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Description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shunt epuipment temporary toilet of fire arrival}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사용상태 평
면도.
도 3 은 상기 도 2 의 확대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설치상태 부
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도어부의 확
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천정부의 사시
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전체 사용상
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판넬 12: 보강벽
17: 개구부 41: 도어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할시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대피장소로 신속하게 피신하게 되면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쉽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경제발전과 더불어 난방 및 취사연료의 형태가 전기, 가스, 유류 등으로 변화되었고 에너지의 다양화와 각종 위험물질의 증가에 따른 화재발생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발생한 화재를 원인별로 보면, 전기, 담배, 방화, 불장난, 불티, 가스, 유류 등이 주요원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발생의 주된 원인은 사람들의 부주의와 방심에 의한 실화로써 시간적으로 주부들이 집안 일을 마치고 시장에 가는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와 한밤중에 많이 일어난다. 계절별로는 겨울철과 비슷하게 봄에도 화재가 많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사람들이 마치 겨울철만이 불조심의 전부인 듯한 방심으로 불조심에 대한 경각심이 해이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하고 또한 아파트나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하게 피시할 장소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항상 대피요령을 습득할 필요가 있는데, 불특정 다수인이 출입하는 백화점이나 고층복합건물 등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건물구조를 상세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당황하거나 겁을 먹게 되어 이성을 잃고 무분별한 행위를 하게되므로 화재시에는 그 건물구조에 익숙한 사람이 적절한 피난유도를 해야한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형참사시 적절한 피난유도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했다는 사실을 직시할 때 평소 피난통로의 확보와 피난유도 훈련을 철저히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화재로 부터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첫째, 건물주들이 피난시설을 잘 갖추어야 함은 물론, 도난을 이유로 비상 계단이나 비상구를 잠궈놓거나 피난기구를 창고에 방치해 두고 검사때에만 전시해 두는 등의 행위를 하여서는 안되며 비상시에 대비하여 점검은 물론 시설의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둘째, 피난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도 유사시 당황하거나 사용방법 미숙 등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평소 대피훈련을 철저히 하여 화재로 부터 자신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키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실시하는 곳은 거의 없을 뿐 더러, 설사 있다 하더라도 실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모두 먼저 밖으로 나가기 위해 아우성치다가 질식사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화재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는 유독가스로부터 신속히 대피해야하는데 종래의 고층건물에서는 이와 같이 신속히 대피할 만한 장소가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할시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대피장소로 신속하게 피신하게 되면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쉽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화장실 대피장소가 화염과 유독가스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을 안심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기존의 건물이나 신축중인 건물에도 화장실 대피장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화장실 대피장치가 튼튼하게 제작됨으로 인해 더욱 안심하고 화재로 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주입구와 이송관이 구비된 주입측벽판넬;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양측 하단에 각각 이송관이 구비된 다수의 중간측벽판넬;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하단에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이 배출구는 내부에 구비된 배출파이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배출측벽판넬;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만 구비된 도어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출입문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측벽판넬; 및 상기 각 이송관의 사이에는 연결관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각 판넬은 화장실의 내부 크기에 맞게 제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는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화장실의 내부 벽면에 주입측벽판넬(10), 중간측벽판넬(20), 배출측벽판넬(30) 및 도어측벽판넬(40)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입측벽판넬(10)은 하단의 단턱부(14) 일측과 타측에 각각 주입구(15)와 이송관(16)이 구비되며, 중간측벽판넬(20)은 양측 하단에 각각 이송관(21)이 구비되고, 배출측벽판넬(30)의 일측 하단에는 이송관(31)이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배출구(34)가 구비되고, 이 배출구(34)는 내부에 구비된 배출파이프(36)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배출구(34)에는 밸브(35)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만 구비된 도어(41)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출입문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측벽판넬(40)이 구비되고, 상기 각 이송관(16)(21)(31)의 사이에는 연결관(22)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각 판넬(10)(20)(30)(40)은 화장실의 내부 크기에 맞게 일정 크키로 제작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내부 중간에는 하단은 막히고 상부는 개구부(17)가 형성되게 격벽(11)이 구비됨과 아울러 주입구(15)는 격벽의 외측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이송관(16)(21)(31)은 격벽의 내측에 연통되게 설치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격벽(11)을 중심으로 판넬(10)(20)(30)의 내부 양측 전체에는 보강벽(12)이 설치되고, 이 각각의 보강벽(12)에는 통공(13)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측벽판넬(40)에는 외측면에 구비된 도어(41)에 의해 상기 보강벽(12)이 한쪽면에만 구비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외주면에 화염으로부터 장시간 견딜 수 있도록 방수, 방청제가 더 코팅 처리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일측과 타측에는 다수의 판넬을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각각 요홈(32)과 돌기(33)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32)과 돌기(33)의 사이에는 패킹(7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함은 물론 상기 패킹(70)은 방화재용 석면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패킹(70)의 외주 표면에는 윤활제인 구리스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때 상기 방화재 및 윤활제가 석면과 구리스 외에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중간측벽판넬(20)중 화장실 창문쪽에 설치되는 중간측벽판넬(20)에는 창문의 크기와 맞게 구멍(20a)을 형성하되, 이 구멍(20a)은 창문쪽의 외측보다 내측이 더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1)의 일측에는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수납홈(43) 내부에 다수의 고리(44)가 더 내장 설치되고, 상기 도어(41)의 정면과 배면 일정위치에는 손으로 잡고 도어(41)를 슬라이딩 동작시키게 손잡이홈(4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도어(41)의 내측면 적소에는 체결공(46)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체결공(46)에 체결되게 도어측벽판넬(40)의 일정위치에는 체결구(4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도 6,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상부에 다수의 천정판넬(50)이 더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다수의 천정판넬(50)중 어느 하나의 천정판넬(50)에는 주입관(53)이 구비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천정판넬(50)에는 배출관(54)이 구비되고, 상기 천정판넬(50)의 각 모서리에는 절개홈(5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절개홈(55)과 다른 절개홈(55)의 사이에는 이송관(5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판넬(50)의 내부에는 보강벽(51)이 구비되는 동시에 이 각각의 보강벽(51)에는 통공(52)이 구비되며, 상기 천정판넬(50)은 천정에 고정 설치 된 앙카볼트(60) 및 이 앙카볼트(60)에 연결된 찬넬(61)의 받침작용에 의해 조립 설치되고,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상부 내측면에는 천정판넬(50)을 받쳐주게 걸림턱(2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는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판넬(10)(20)(30)(40)을 화장실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곳으로 신속히 대피하면 인명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각 측벽판넬(10)(20)(30)(40)과 천정판넬(5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화염으로 부터 인명을 보호하는 동시에 각 측벽판넬(10)(20)(30)(40)과 천정판넬(50)이 상호 긴밀히 조립 설치됨으로 인해 유독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신속히 화장 실 내부로 대피한다. 이때 도어측벽판넬(40)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42)를 신속히 빼내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입구를 폐쇄시켜 화염 및 유독가스로부터 피신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어(42)를 도어측벽판넬(40)에서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리(44)를 잡은 상태에서 가상선과 같이 수납홈(43)의 외부로 빼낸후 잡아당긴다. 그러면 도어(41)는 도어측벽판넬(4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이때 손잡이홈(42)을 잡을 상태로 도어(41)를 일측으로 밀어 출입문 입구를 폐쇄시킨다. 이후 체결구(45)를 일측으로 밀어 체결공(46)에 끼우게 되면 도어(41)는 열리지 않게 되어 1차적으로 대피장소로 피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장실 내부로 피신한 후에는 신속히 수도물을 주입구(15)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주입구(15)로 유입된 물은 격벽(11)을 중심으로 외측부터 점점 차오르다가 격벽(11)의 상부 개구부(17)를 넘게 되면 다시 격벽(11)의 내측이 점점 차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11)의 양측에는 보강벽(12)이 구비되어 주입측벽판넬(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기 각각의 보강벽(12)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해서는 물이 통과하여 주입측벽판넬(10) 전체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입측벽판넬(10)의 내부 전체에 물이 채워지면 이송관(16)(21)을 통해 일측 중간측벽판넬(20)도 물이 채워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또한 또 다른 배출측벽판넬(30)도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채워져 화염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게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이송관(21)(31)을 통해 배출측벽판넬(30)의 내부에 물 이 채워짐을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물이 채워진 배출측벽판넬(30)은 배출파이프(36)와 배출구(34)에 의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구(34)에 구비된 밸브(35)를 통해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판넬(50)의 내부에도 물이 채워져 화염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게 되는 것으로, 수도꼭지와 연견된 주입관(53)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 천정판넬(50)의 내부에도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천정판넬(5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유사한 것으로, 각각의 보강벽(51)에 형성된 통공(52)을 통해 물이 채워짐은 물론 절개홈(55)과 절개홈(55)의 사이에 구비된 이송관(56)을 통해 다른 천정판넬(50)로 물이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천정판넬(5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채워진 천정판넬(50)중 어느 하나는 배출관(54)이 구비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천정판넬(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보강벽(51)이 구비되어 강도면에서 우수하고 앙카볼트(60)의 하단에 연결된 찬넬(61)이 천정판넬(50)을 받쳐줌은 물론 각 판넬(10)(20)(30)(40)에 형성된 걸림턱(25)도 천정판넬(50)을 받쳐주게 되어 천정판넬(50)이 상부에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각 판넬(10)(20)(30)(40)은 돌기(33)와 요홈(32)에 의해 상호 긴밀이 조립 설치됨은 물론 이 요홈(32)과 돌기(33) 사이에 구비된 패킹(70)과 이 패킹(70)의 외주면에 구비된 구리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독가스가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판넬(10)(20)(30)(40)(50)의 표면에는 방음, 방청제가 코팅 처리되어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중간측벽판넬(20)중 화장실 창문쪽에 설치되는 중간측벽판넬(20)에는 구멍(20a)을 형성한 것으로, 창문을 열면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유입시켜 충분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할시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대피장소로 신속하게 피신하게 되면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쉽게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화장실 대피장소가 화염과 유독가스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하여 사람들을 안심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기존의 건물이나 신축중인 건물에도 화장실 대피장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화장실 대피장치가 튼튼하게 제작됨으로 인해 더욱 안심하고 화재로 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7)

  1.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하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주입구와 이송관이 구비된 주입측벽판넬(10)과,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양측 하단에 각각 이송관이 구비된 다수의 중간측벽판넬(20)과,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 하단에는 이송관이 연결되는 동시에 타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이 배출구는 내부에 구비된 배출파이프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배출측벽판넬(30), 상기 화장실 내부 벽면의 일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만 구비된 도어가 슬라이딩 동작하여 출입문 입구를 개폐시키는 도어측벽판넬(40) 및, 상기 각 이송관의 사이에는 연결관(22)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각 판넬은 화장실의 내부 크기에 맞게 제작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상기 주입구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각 판넬에 물이 충진될 수 있게 구성된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의 내부 중간에는 하단은 막히고 상부는 개구부가 형성되게 격벽(11)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구는 이러한 격벽의 외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관은 격벽의 내측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 판넬(10)(20)(30)(40)의 외주면에는 방수, 방청제가 코팅 처리됨과 동시에 각 판넬의 일측와 타측에는 각각 요홈(32)과 돌기(33)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판넬끼리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중간측벽판넬 중 화장실 창문쪽에 설치되는 중간측벽판넬에는 창문의 크기와 맞게 구멍(20a)을 형성하되, 이 구멍은 창문쪽의 외측보다 내측이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수납홈 내부에 고리(44)가 내장되는 한편 상기 도어의 정면과 배면 일정위치에는 손으로 잡고 도어를 슬라이딩 동작시킬 수 있게끔 손잡이홈(42)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 적소에는 체결공(46)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체결공에 체결되게 도어측벽판넬의 일정위치에는 체결구(4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2. 삭제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벽을 중심으로 판넬의 내부 양측 전체에는 보강벽(12)이 설치되고, 이 각각의 보강벽에는 통공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과 돌기의 사이에는 패킹(7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7. 제 6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70)은 방화재용 석면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8. 제 7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70)의 외주 표면에는 윤활제인 구리스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의 상부에는 다수의 천정판넬(50)이 더 조립 설치되되, 이러한 다수의 천정판넬중 어느 하나의 천정판넬에는 주입관(53)이 구비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의 천정판넬에는 배출관(54)이 구비되고, 상기 천정판넬의 각 모서리에는 절개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절개홈과 다른 절개홈의 사이에는 이송관(5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14. 삭제
  15. 제 1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넬의 내부에는 보강벽(51)이 구비되는 동시에 이 각각의 보강벽에는 통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16. 제 1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넬은 천정에 고정 설치된 앙카볼트 및 이 앙카볼트에 연결된 찬넬(61)의 받침작용에 의해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17. 제 13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의 상부 내측면에는 천정판넬을 받쳐주게 걸림턱(2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KR1020040027961A 2004-04-22 2004-04-22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KR10057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61A KR100578046B1 (ko) 2004-04-22 2004-04-22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61A KR100578046B1 (ko) 2004-04-22 2004-04-22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47A KR20050102547A (ko) 2005-10-26
KR100578046B1 true KR100578046B1 (ko) 2006-05-11

Family

ID=37280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61A KR100578046B1 (ko) 2004-04-22 2004-04-22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51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44B1 (ko) * 2008-11-21 2011-01-21 박세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101720746B1 (ko) * 2016-05-23 2017-03-3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매연을 제거하는 매연제거장치
KR102175774B1 (ko) * 2018-06-07 2020-11-09 김종태 건축구조물의 재난대피시스템
KR20240015450A (ko) 2022-07-27 2024-02-05 주식회사 힘펠 급기가압 제연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51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47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31B1 (ko)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KR20140118810A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EP2982416A1 (en) Building fire life-saving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100578046B1 (ko)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US6161564A (en) Fire transmission prevention system
CN112007294B (zh) 一种逃生防火安全柜
JP5136130B2 (ja) 防護シェルター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NO333582B1 (no) Brannsikkert sluk
US20060237678A1 (en) Metallic Air Admittance Valve
KR20060091331A (ko) 스프링클러 시험 밸브함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20120607A (ko)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Authority The New Zealand Building Code Handbook
KR101143881B1 (ko)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CN110327559A (zh) 楼宇居民火灾避难设施
CN217811391U (zh) 一种双立管微降板同层排水管件系统
KR102074891B1 (ko) 철판구조보강클램프가 일체로 구비된 배관 고정 캡형 내화재
SU1131982A1 (ru) Система внутренней канализации зданий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Nassar et al. Management of mechanical systems using building management system (BMS) and Internet of thing (IoT)
JP7483248B2 (ja) 防災備蓄倉庫および防災備蓄倉庫の製造方法
KR970006634Y1 (ko) 볼(ball) 밸브의 록킹장치
JPS5931807Y2 (ja) 耐寒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