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444B1 -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 Google Patents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444B1
KR101010444B1 KR1020080116352A KR20080116352A KR101010444B1 KR 101010444 B1 KR101010444 B1 KR 101010444B1 KR 1020080116352 A KR1020080116352 A KR 1020080116352A KR 20080116352 A KR20080116352 A KR 20080116352A KR 101010444 B1 KR101010444 B1 KR 10101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temporary
space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349A (ko
Inventor
박세문
Original Assignee
박세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문 filed Critical 박세문
Priority to KR102008011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여 거주자들이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신이 용이하지 않을 때 임시로 대피하여 2차적인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구조자들이 구조시간을 벌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지의 화장실 구조에 있어서, 출입문과 방열문의 이중문 구조를 가지는 개폐도어부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재차 상기 내부공간 내로 배기시키는 임시 공기정화부와; 개폐도어부의 공간부 일측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와;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화재, 화염, 유독가스, 화장실, 건물, 대피, 피난.

Description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The strutcure of toilet having a temporary fire-escape function}
본 발명은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여 거주자들이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신이 용이하지 않을 때 임시로 대피하여 2차적인 인명피해를 방지하고 구조자들이 구조시간을 벌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빌딩같은 다층 건물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거주자들은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피난하기 위하여 구조를 위한 소방차량의 사다리를 이용하거나, 건물내 별도로 설치된 비상탈출을 위한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난장치의 일예로는 베란다의 일측에 개폐문이 구비된 방호벽에 의해 구획되는 피난로를 형성하고, 피난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피난구에는 상부로만 개폐되며 계지편이 구비된 복개가 설치되며, 피난사다리가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초고층 아파트의 등장으로 인하여 아파트에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사다리 또는 피난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에는 큰 한계가 있고, 특별피난계단에 설치되는 피난시설 및 피난장치는 부실, 낙후되어 실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많아서 고층 아파트에서는 화재 발생시 특히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여 피난처를 찾기 보다는 평소에 잘 다니고 화염 또는 유독가스를 피하여 본능적으로 대피하기 때문에 건물내 구비되었을 별도의 대피장소나 피난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적다.
그리고, 이는 창문을 깨고 빌딩 밖으로 뛰어내리는 등 극단적인 행동을 취하게 만들어 추락과 유독가스에 의한 2차적인 재해, 즉 대형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화재발생시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피해보다는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피해가 크고, 상기 유독가스는 순식간에 화재가 발생한 내부공간을 뒤덮기 때문에 특히나 고층건물일 경우 대피할 시간적인 이득을 얻기가 어렵고 외부로 부터의 도움의 손길을 기다리기 위해 시간을 벌어야 한다.
이때,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화재대상물의 종류에따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대표적으로 아래의 것들을 들 수가 있다.
CO2 - 결막증을 유인,호흡곤란,약한자극,질식
CO - 혈액순환저해,두통,근육조절장애
HCN - 세포호흡정지,어지러움
H2S - 호흡중추마비,눈.상부기도의 점막자극
HCl - 눈.상부기도의 점막자극, 상부기도파괴에의한 기계적질식
NH3 - 눈.상부기도의 점막을자극,폐수종
HF - 눈.상부기도의 점막을자극,부식작용
SO2 - 기관지점막자극,폐.성대의 수종,기도폐쇄
Cl2 - 폐조직자극 콧물,재채기,폐수종에의한 호흡곤란,질식
COCl2 - 기관지.폐세포를 자극,폐수종에의한 호흡곤란,질식
NO2 - 기관지.폐세포를 자극,폐수종에의한 호흡곤란,질식
통계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망원인은 일산화탄소중독과 산소결핍에의한 질식사가 4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재시 심리적 요인으로는 연기를 보았을 때 또는 연기를 마셨을 때 순간적 공포감으로 판단정지나 행동정지가 올 수 있으며 이것은 피난속도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연구에 의하면 연기농도 즉 감광계수 0.1/m일 경우에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요하기 시작하며 소수의 강건한 사람만이 0.2~0.4/m에서 동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화염과 유독가스에 의해 건물밖으로의 피난이 여의치 않을 때, 구조자들에 의한 구조시간을 벌고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 을 때도 자주 드나들어 본능적으로 피난하게 되는 임시 대피장소를 제공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들이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어 2차적인 인명피해를 예방하고 구조에 필요한 시간을 벌 수 있도록 구성된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물내의 화재 발생시 소방차량의 접근이 용이하고 피난시간을 벌 수 있도록 추락 등의 2차 재해없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전한 방화구역으로 이용가능하게 이루어진 임시 화재 대피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을 이송시키는 급수관로가 매설된 건물내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출입문을 가지는 공지의 화장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과 간격에 의해 공간부를 가지며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방열문으로 구성되어 이중문 구조를 가지는 개폐도어부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측 천정 벽체 슬라브와 천정 패널의 사이공간에 설치되고,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재차 상기 내부공간내로 배기시키는 임시 공기정화부와; 상기 개폐도어부의 공간부 일측에 돌출된 분사노즐과, 상기 급수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된 분기관로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 와; 상기 물 분사부와 임시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부의 방열문은, 난연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내·외층과, 상기 내·외층 사이에 유리솜이 구비된 판형상을 가지며, 40∼60㎜의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임시 공기정화부는, 천정 패널의 일측에 관통된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와 연통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공기정화제가 내부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S'자 형의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필터통과, 상기 필터통의 전측 또는 후방측 덕트에 구비된 흡배기휀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은, 임시 전원공급부와 보조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급수관로에서 분기된 메인 분기관과, 상기 메인 분기관과 연통되어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 외측 별도 공간내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보조 분기관과, 상기 메인 분기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공간 내로 돌출되고 물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 및 드레인 밸브로 구성된 보조 소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소화부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일측에 매립되고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보조 분기관과 메인 분기관의 일부가 함체공간상에 노출되며 상기 제어 밸브 및 드레인 밸브가 구비된 매립함과, 상기 매립함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의하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연기나 유독가스로부터 벗어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내의 화재 발생시 구조를 위한 소방차량이 접근할 수 있는 시간적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추락 등의 2차 재해없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전한 방화구역으로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불의 화재로 인하여 화염과 유독가스가 발생하였을 때 피신처를 찾지 못할 때 화장실을 임시 대피장소로 제공하여 피신할 수 있으며, 진화작업중의 인명피해를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 조에 적용되는 보조 소화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보조 소화부의 매립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1)는, 일반적인 화장실, 즉 욕조(101), 세면대(102), 변기(103)가 구비되고 물을 이송시키는 급수관로(3)가 매설된 건물내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내부공간(A)을 가지는 화장실의 구조를 변경하여,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들이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하여 외부로부터의 도움의 손기를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도록 임시적인 대피소 기능을 갖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내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2)는 25∼35㎝, 보다 상세하게는 30㎝ 정도의 두께를 가져 별도의 방지 판넬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화재발생시 어느 정도의 화염과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화재발생시 임시적으로 거주자들이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할 수 있는 임시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외부의 도움을 얻기 까지의 시간을 벌 수 있도록 화장실 내에 대피 기능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1)는, 크게 개폐도어부(10)와, 임시 공기정화부(20)와, 물 분사부(30)와, 제어를 위한 스위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폐도어부(10)는 건물내 발생된 화염과 유독가스가 임시 대피기능을 갖는 화장실 내부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중문 구조를 갖는데, 일반적인 화장실은 일측에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출입문(11) 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부(10)는 상기 출입문(11)과, 상기 출입문(11)의 내측면, 즉 화장실 내부공간(A)을 형성하는 면과 간격에 의해 공간부(B)를 가지며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방열문(12)으로 구성되어 이중문 구조를 가진다.
이때,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는 상기 건물내 화장실의 크기, 즉 내부공간(A)을 이루는 건물내 콘크리트 벽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거주자의 사용이 편이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 1의 도면에서는 회동구조의 개폐도어부(10)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출입문(11)은 힌지축(11-1)에 의해 회동되면서 화장실을 개폐시키고, 방열문(12)은 화장실의 내부공간(A) 내에서 힌지축(12-1)에 의해 회동되면서 필요시, 즉 화재발생시 상기 출입문(11)과 함께 닫혀 화염과 유독가스의 내부공간(A) 인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열문(12)은 콘크리트 벽체(2)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2-1)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는 거주자의 편이가 건물의 건설시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도어부(10)의 방열문(12)은 불에 타지 않는 난연재로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내·외층(12-2)을 형성하고, 상기 내·외층(12-2) 사이에 유리솜(12-3)이 구비되어 판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유리솜(12-3)은 유리 섬유를 솜 모양으로 만든 물질로 주로 방열재, 방음재, 절연재로 쓰이는 것으로 약 1200℃의 열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공간(A)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도1, a)가 약 30㎝의 두께를 형성하는 바, 상기 방열문(12)은 40∼60㎜의 두께(b+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방열문(12)이 가지는 40㎜ 미만의 두께는 충분한 방열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60㎜이상의 두께는 방열문(12)의 개폐가 용이하지 못하고, 임시적인 대피 기능을 화장실에 부여하는 바 더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방열문(12)은 편이성과 사용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상기 방열문(12)의 두께는 5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내·외층(12-2)의 두께(b)를 0.5∼1.5㎜ 가지고 나머지 두께(c)를 유리솜을 이용해 채우게 된다.
재차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임시 공기정화부(20)는, 상기 내부공간(A)의 상부측 천정 벽체 슬라브(2a)와 천정패널(4)의 사이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A)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재차 상기 내부공간(A)내로 배기시킨다.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임시로 화장실로 대피하였을 때, 상기 개폐도어부(10)의 개폐시 외부 유독가스가 일부 내부공간(A)내로 침투했을 우려가 있으 며, 이를 정화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을 벌 수 있도록 임시 공기정화부(2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정 패널(4)은 일측에 관통되게 흡기구(21)와 배기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21)와 배기구(22)는 천정 패널(4)의 상부에 설치된 덕트(24)에 의해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덕트(24)의 일측에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통(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터통(25)은 공기정화제(25a)가 내부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정화제(25a)는 활성탄, 야자열매, 숯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통(25)의 내부공간에 꽉차게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 시켜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통(25)의 내부공간에는 다수개의 격벽(25b)이 지그재그 형태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S'자 형의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오염된 공기의 공기정화제(25a) 접촉 시간과 면적을 크게 해 정화효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통(25)의 전측 또는 후방측 덕트(24)의 일측에는 흡배기휀(23b)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A)내의 공기를 임시 공기정화부(20)측으로 흡기하거나 상기 필터통(25)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를 상기 내부공간(A)내로 다시 배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배기휀(23b)은 필요에 따라 상기 필터통(25)의 전측과 후방측 덕트(24) 양측에 다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한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건물내 화재 발생시 발생된 화염과 유독가스는 열을 발생시켜 도어개 폐부를 달구게 되고, 이를 방지하고 시간을 벌 수 있도록 물 분사부(30)가 도어개폐부(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재차,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구조(1)의 물 분사부(30)는, 상기 개폐도어부(10)의 공간부(B) 일측에 돌출된 분사노즐(31)을 이용해 상기 공간부(B)내로 물을 분사시켜 열을 식히고 화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분사노즐(31)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2)에 매설된 급수관로(3)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된 분기관로(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 문사부(30)의 분사노즐(31)은 공간부(B)의 상부측 중심측에 위치토록 구성해 분사되는 물이 공간부(B) 전체로 퍼져나갈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물 분사부(30)와 임시 공기정화부(20)는 내부공간(A)의 일측 벽체에 구비된 스위치부(40)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치부(4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수개의 작동제어 스위치를 가지는데, 내부공간내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스위치와, 상기 물분사부의 물 분사를 제어하는 분사제어스위치와, 임시 공기정화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화제어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40)는, 내부공간(A)의 외부측 벽체에 구비된 가스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스감지센서(미도시.)는 내부공간(A) 외측의 유독가스를 감지하여 임시 공기정화부(20)와 물 분사부(30)의 작동을 자동 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문 구조의 개폐도어부(10)와, 실내 내부공간 공기를 정화시켜 다시 배기시키는 임시 공기정화부(20)와, 상기 개폐도어부(10)의 공간부(B)에 물을 분사해 화염과 유독가스의 침입을 방지하는 물 분사부(30)와, 상기 구성의 작동제어를 위한 스위치부(40)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1)는,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여 구조자의 구조활동 시간 동안 안전하게 거주자가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1)는, 필요에 따라 건물내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임시적으로 상기 화장실 구조(1) 내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임시 전원공급부(60)와, 거주자가 화자실로 임시 대피하였을 때 유독가스의 침입량이 많아 숨을 쉬기 곤란할 경우 신선한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보조 공기공급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건물내에는 전원공급 차단시 별도의 건물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해 일정 공간내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구조(1)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임시 전원공급부(60)를 더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임시 전원공급부(60)는, 상기 내부공 간(A)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천정 패널(4)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건물내 전원공급을 감지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상기 임시 공기정화부(20)와, 물 분사부(30)와, 스위치부(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축전지로 구성된다.
상기 임시 전원공급부(60)는 건물내 안전시설물로서 평상시에 축전과 방전을 제어하여 항상 축전이 되어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보조 공기공급부(50)는, 상기 내부공간(A)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배기구(22) 측의 덕트(24)와 전자밸브(51)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스위치부(40)의 조작에 의해 저장된 신선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22)를 통해 내부공간(A)으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 공기공급부(50)에 의해 내부공간(A)으로 피신한 거주자는 보다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구출과 대피 시간을 벌 수 있다.
또다른 한편, 상기 거주자의 대피시 내부공간(A)내로 유독가스가 침투하였을 때 순간적인 호흡곤란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A)은 도시하진 않았지만 일측에 산소가 충진된 다수개의 휴대용 공기통(미도시.)와, 다수개의 방진마스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거주자의 내부공간(A) 대피시 대피 구조 확률을 더욱 높이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1)는, 건물내의 화재 진압을 위한 별도의 보조 소화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소화부(70)는 상기 화장실 구조(1)의 내부공간(A)을 형성하 는 콘크리트 벽체(2)에 매설된 급수관로(3)와 연결된 분기관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분기관은 각각 건물내 다른 내부공간 까지 연장되고 단부에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밸브 조작에 의해 물을 분사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 상기 내부공간(A)은 상기 급수관로의 일측에 분기된 메인 분기관(71)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 분기관(71)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공간(A) 내로 돌출되고 물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74) 및 드레인 밸브(7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분기관(71)과 연통되어 내부공간(A)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2) 외측의 별도 공간, 즉 화장실과 이웃하는 거실 및 방과 같은 다른 공간내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보조 분기관(72)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소화부(70)는, 임시 대피한 거주자의 의지에 따라 제어 밸브(74)와 드레인 밸브(73)를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공간(A)과 이웃한 공간, 즉 화염과 유독가스가 발생된 공간내에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화와 구조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소화부(70)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2)의 일측에 매립되고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보조 분기관(72)과 메인 분기관(71)의 일부가 함체공간(75b)상에 노출되며 상기 제어 밸브(74) 및 드레인 밸브(73)가 구비된 매립함(75)과, 상기 매립함(75)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75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줄이고, 사용자가 보조 소화부(7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작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물 분사부(30)를 구성하는 분기관로(32) 또한 상기 보조 소화부(70)의 매립함(75)상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 밸브를 통해 물 분사부(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보조 소화부(70)는 보조 분기관(72)의 수에 따라 개별적인 개별 제어 밸브(74b)를 구성하고, 메인 분기관(71)의 일측에 메인 제어 밸브(74a)를 구비하여 작동의 편이성을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에 적용되는 보조 소화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보조 소화부의 매립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임시 화재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3 : 급수관로 4 : 천정 패널
10 : 개폐도어부 11 : 출입문
12 : 방열문 20 : 임시 공기정화부
24 : 덕트 25 : 필터케이스
30 : 물 분사부 40 : 스위치부
50 : 보조 공기공급부 60 : 임시 전원공급부
70 : 보조 소화부 A : 내부공간
B : 공간부

Claims (8)

  1. 물을 이송시키는 급수관로(3)가 매설된 건물내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내부공간(A)을 가지며, 일측에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출입문을 가지는 공지의 화장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11)과, 상기 출입문의 내측면과 간격에 의해 공간부(B)를 가지며 회동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는 방열문(12)으로 구성되어 이중문 구조를 가지는 개폐도어부(10)와;
    상기 내부공간(A)의 상부측 천정 벽체 슬라브(2a)와 천정 패널(4)의 사이공간에 설치되고, 내부공간(A)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재차 상기 내부공간내로 배기시키는 임시 공기정화부(20)와;
    상기 개폐도어부(10)의 공간부(B) 일측에 돌출된 분사노즐(31)과, 상기 급수관로(3)에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31)과 연결된 분기관로(32)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B)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30)와;
    상기 물 분사부(30)와 임시 공기정화부(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40)를 포함하여;
    건물내 화재 발생시 거주자가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임시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부(10)의 방열문(12)은, 난연재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내·외층(12-2)과, 상기 내·외층 사이에 유리솜(12-3)이 구비된 판형상을 가지며, 40∼6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공기정화부(20)는, 천정 패널(4)의 일측에 관통된 흡기구(21) 및 배기구(22)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와 연통된 덕트(24)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공기정화제(25a)가 내부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격벽(25b)에 의해 'S'자 형의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필터통(25)과, 상기 필터통의 전측 또는 후방측 덕트(24)에 구비된 흡배기휀(23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A)은, 천정 패널(4)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건물내 전원공급을 감지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임시 공기정화부(20)와, 물 분사부(30)와, 스위치부(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다수개의 축전지로 구성된 임시 전원공급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A)은, 배기구(22)측의 덕트(24)와 전자밸브(51)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스위치부(40)의 조작에 의해 저장된 신선한 공기를 상기 배기구(22)를 통해 내부공간(A)으로 유입시키는 보조 공기공급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40)는, 내부공간(A) 외측의 유독가스를 감지하여 임시 공기정화부(20)와 물 분사부(30)의 작동을 자동제어하는 가스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A)은, 일측에 산소가 충진된 다수개의 휴대용 공기통과, 다수개의 방진마스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A)은, 상기 급수관로(3)에서 분기된 메인 분기관(71)과, 상기 메인 분기관과 연통되어 내부공간(A) 외측의 별도 공간내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보 조 분기관(72)과, 상기 메인 분기관(71) 또는 보조 분기관(72)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공간(A) 내로 돌출되고 물의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74) 및 드레인 밸브(73)로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 벽체(2)의 일측에 매립되고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상기 각각의 보조 분기관(72)과 메인 분기관(71)의 일부가 함체공간(75b)상에 노출되며 상기 제어 밸브(74) 및 드레인 밸브(73)가 구비된 매립함(75)과, 상기 매립함(75)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75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1020080116352A 2008-11-21 2008-11-21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10101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52A KR101010444B1 (ko) 2008-11-21 2008-11-21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52A KR101010444B1 (ko) 2008-11-21 2008-11-21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49A KR20100057349A (ko) 2010-05-31
KR101010444B1 true KR101010444B1 (ko) 2011-01-21

Family

ID=4228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352A KR101010444B1 (ko) 2008-11-21 2008-11-21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4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03B1 (ko) 2015-04-15 2016-03-25 배영진 질식사 방지장치
KR20190104804A (ko) 2018-03-02 2019-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KR102504640B1 (ko) 2022-05-25 2023-02-27 신인철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253B1 (ko) * 2018-06-05 2020-12-11 주식회사 정우에이앤씨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KR102263360B1 (ko) * 2020-07-28 2021-06-11 신기남 공사 중인 건물 내에 설치하는 안전 대피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71A (ja) 1985-07-16 1987-01-26 キング工業株式会社 耐火シエルタ−
JPH03112567A (ja) * 1989-09-27 1991-05-14 Fujita Corp 防火ガラスを用いた安全区画システム及び防火壁構造
KR20000028323A (ko) * 1998-10-31 2000-05-25 전재홍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20050102547A (ko) * 2004-04-22 2005-10-26 김경술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71A (ja) 1985-07-16 1987-01-26 キング工業株式会社 耐火シエルタ−
JPH03112567A (ja) * 1989-09-27 1991-05-14 Fujita Corp 防火ガラスを用いた安全区画システム及び防火壁構造
KR20000028323A (ko) * 1998-10-31 2000-05-25 전재홍 화장실 임시 대피소 장치
KR20050102547A (ko) * 2004-04-22 2005-10-26 김경술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803B1 (ko) 2015-04-15 2016-03-25 배영진 질식사 방지장치
WO2016167556A1 (ko) * 2015-04-15 2016-10-20 배영진 질식사 방지장치
KR20190104804A (ko) 2018-03-02 2019-09-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파트 화재대피용 캡슐형 안전구조물
KR102504640B1 (ko) 2022-05-25 2023-02-27 신인철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49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JP6189404B2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010444B1 (ko)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CN202215035U (zh) 楼房防火救生间
KR101030195B1 (ko)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N103933685A (zh) 一种建筑的供气系统
CN102296863A (zh) 楼房防火救生间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CN209154929U (zh) 一种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KR20100005316A (ko) 세대 경계벽을 이용한 보안강화형 수평탈출구
CN108939345A (zh) 庇佑仓以及壁掛式滑道火灾逃生装置
WO2014110983A1 (zh) 一种具有供气管道的建筑
CN203160790U (zh) 一种楼房
CN203154648U (zh) 一种建筑的火灾避难处
KR102126829B1 (ko) 아파트, 건축물 화재 시 공기 순환식 피난설비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CN214006665U (zh) 一种多层/高层公共建筑安全屋
KR101507514B1 (ko) 재해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에어 포켓
CN203154649U (zh) 一种建筑的供气系统
CN103938909A (zh) 一种建筑
KR102423971B1 (ko) 화재시 소방용 제연장치
JPH1119237A (ja) 加圧式排煙方法および加圧式排煙装置
KR102190253B1 (ko) 비상 대피용 화장실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