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95B1 -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95B1
KR101030195B1 KR1020100089309A KR20100089309A KR101030195B1 KR 101030195 B1 KR101030195 B1 KR 101030195B1 KR 1020100089309 A KR1020100089309 A KR 1020100089309A KR 20100089309 A KR20100089309 A KR 20100089309A KR 101030195 B1 KR101030195 B1 KR 10103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ire door
wate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금
Original Assignee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부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8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문이 가열되어 탈출을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잠시 대피할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며, 건축물의 현관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되는 틀몸체(11)의 실내측 면에 다수개의 노즐홀(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분사관(30)이 설치되는 문틀(10); 철재로 중공의 몸체(21)를 형성하고, 몸체(21) 내부에 실내측으로 판상의 저수통(50)이 설치되며, 저수통(50)의 후방으로 단열재(22)가 삽입되고, 몸체(21) 전면 상부에 다수개의 물배출구(24)가 다수개 형성되며, 손잡이와 잠금장치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되는 방화문(20); 문틀(10)의 내부 공간부를 따라 설치된 관체(31)에 다수개의 노즐(32)이 형성되고, 노즐(32)이 문틀(10)의 노즐홀(12)에 삽입되어 문틀(10) 외부로 노출되며, 관체(31)의 일측에 수도관(1)이 연결되는 분사관(30); 문틀(10) 외측의 벽체에 내장되고, 수도관(1)의 밸브를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며, 비상용품함(50)의 잠금장치(51)에 연결되어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어박스(40); 내부에 공간부(52)가 형성된 판상의 판형몸체(51)의 상부에 물배출홀(54)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물배출구(24)와 연통되고, 판형몸체(51)의 일측에 노즐(53)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홀(23)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판형몸체(51)의 하단에 배수구(2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방화문(20) 외측으로 노출되고, 방화문의 힌지쪽 판형몸체(51)의 일측에 주입구(26)가 형성되어 플렉시블한 연결관(27)의 일단과 연결되며, 연결관(27)의 타단은 수도관(1)과 연결되는 저수통(50);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에 산소캔 및 수건이 내장되고, 잠금장치(61)가 열쇠 또는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비상용품함(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 A fire preventing door established at the entrance of building }
본 발명은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방화문이 가열되어 탈출을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잠시 대피할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건축물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는 화재 경보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화재 발생시 내부에 인화물질이 많은 경우 급속도로 화재가 진행되어 유독성 연기가 내부에 가득 차게 된다. 그리고 방화문을 통해 탈출하고자 한 사람들이 화재에 의하여 방화문이 가열되어 문 손잡이를 잡지 못하거나 열쇠를 해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외부에서 탈출 시켜 줄때까지 기다려야 하나 확산되는 화재에 의하여 탈출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건축물 내부에 화재 경보만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을 경우 더욱 그렇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건축물의 외부공간과 실내공간을 경계로 하는 출입문으로, 스테인레스나 철판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외측패널과 내부공기와 접촉하는 내측패널을 일정 간격을 두고 흡음 단열재를 채운 후 상,하측에 보강 패널을 결합시켜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방화문을 출입구에 설치하기 위하여 벽체에 문틀을 고정시킨 후 상기 문틀에 방화문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 통상 방화문은 문틀에 체결힌지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되고, 상기 체결힌지는 방화문의 일측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창문으로 달려가서 구조 요청을 하게 되지만 창문쪽에 화재가 확산되어 창문을 향하여 가지 못할 경우 방화문을 통해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방화문까지 화재가 진행되었을 때 금속재질의 문은 가열되어 탈출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이러한 경우에 화재가 현관을 향해 진행되었을 경우 꼼짝없이 사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된다.
그리고 대부분 화재 발생시 몇분의 시간을 버티지 못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잠시의 시간을 벌어줄 구조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화문의 문틀에 물을 공급하여 전방을 향하여 분사되게 하여 물에 의한 화재의 억제 역할을 하고, 방화문의 내부에 설치한 저수통으로 물을 공급하여 방화문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방화문으로 공급된 물은 방화문 상부의 물배출홀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방화문이 가열되지 않게 하고, 손잡이 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두어 더욱 효과를 높게 하고자 한다.
화재경보기와 연동하여 제어박스에서 수도관 밸브를 자동으로 열어 방화문 내부의 저수통과 분사관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화재경보기와 연동하여 비상용품함 문의 잠금장치를 자동으로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현관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되는 틀몸체(11)의 실내측 면에 다수개의 노즐홀(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분사관(30)이 설치되는 문틀(10); 철재로 중공의 몸체(21)를 형성하고, 몸체(21) 내부에 실내측으로 판상의 저수통(50)이 설치되며, 저수통(50)의 후방으로 단열재(22)가 삽입되고, 몸체(21) 전면 상부에 다수개의 물배출구(24)가 다수개 형성되며, 손잡이와 잠금장치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되는 방화문(20); 문틀(10)의 내부 공간부를 따라 설치된 관체(31)에 다수개의 노즐(32)이 형성되고, 노즐(32)이 문틀(10)의 노즐홀(12)에 삽입되어 문틀(10) 외부로 노출되며, 관체(31)의 일측에 수도관(1)이 연결되는 분사관(30); 문틀(10) 외측의 벽체에 내장되고, 수도관(1)의 밸브를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며, 비상용품함(50)의 잠금장치(51)에 연결되어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어박스(40); 내부에 공간부(52)가 형성된 판상의 판형몸체(51)의 상부에 물배출홀(54)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물배출구(24)와 연통되고, 판형몸체(51)의 일측에 노즐(53)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홀(23)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판형몸체(51)의 하단에 배수구(2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방화문(20) 외측으로 노출되고, 방화문의 힌지쪽 판형몸체(51)의 일측에 주입구(26)가 형성되어 플렉시블한 연결관(27)의 일단과 연결되며, 연결관(27)의 타단은 수도관(1)과 연결되는 저수통(50);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에 산소캔 및 수건이 내장되고, 잠금장치(61)가 열쇠 또는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비상용품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화문의 문틀에서 분사되는 물이 방화문쪽으로 화재가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여 주는 효과가 있어 방화문쪽으로 대피된 사람이 잠시동안이라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화문 내부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방화문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방화문으로 공급된 물이 방화문 상부의 물배출홀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려 방화문 가열이 방지되고, 손잡이 위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어 손잡이가 가열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경보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비상용품함내에 산소캔과 수건을 구비하여 유해연기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의 저수통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에서 도 3의 A-A선에서 방화문과 저수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20)과 문틀(10)에서 물이 분사되게 하여 화재시 현관부분에서 잠시 비상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문틀(10)은 건축물의 현관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되는 틀몸체(11)의 실내측 면에 다수개의 노즐홀(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분사관(30)이 설치된다.
분사관(30)은 수도관(1)과 연결되어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의하여 밸브가 개방되어 분사관(30)으로 물이 공급된다.
방화문(20)은 철재로 중공의 몸체(21)를 형성하고, 몸체(21) 내부에 실내측으로 판상의 저수통(50)이 설치되며, 저수통(50)의 후방으로 단열재(22)가 삽입된다.
그리고 몸체(21) 전면 상부에 다수개의 물배출구(24)가 다수개 형성되어 저수통(50)의 물배출홀(54)과 연결되고, 손잡이와 잠금장치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되어 저수통(50)의 노즐(53)과 연결된다.
전술한 분사관(30)은 문틀(10)의 공간부를 따라 설치된 관체(31)에 다수개의 노즐(32)이 형성되고, 노즐(32)이 문틀(10)의 노즐홀(12)에 삽입되어 문틀(10)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관체(31)의 일측에 수도관(1)이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면 물이 실내를 향하여 분사되면 분사되는 물에 의해 화재가 방화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주고 천정을 따라 옮겨지는 불에 의한 열기가 분사되는 물에 의해 감소된다.
제어박스(40)는 문틀(10) 외측의 벽체에 내장되고, 수도관(1)의 밸브를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한다. 그리고 비상용품함(50)의 잠금장치(51)에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문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저수통(50)은 내부에 공간부(52)가 형성된 판상의 판형몸체(51)의 상부에 물배출홀(54)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물배출구(24)와 연통되고, 판형몸체(51)의 일측에 노즐(53)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홀(23)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판형몸체(51)의 하단에 배수구(2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방화문(20) 외측으로 노출되고, 방화문의 힌지쪽 판형몸체(51)의 일측에 주입구(26)가 형성되어 플렉시블한 연결관(27)의 일단과 연결되며, 연결관(27)의 타단은 수도관(1)과 연결된다. 연결관(27)은 문틀(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방화문(20) 내측의 저수통(50)과 연결되는데, 방화문(20)의 개폐시 이러한 연결관(27)이 플렉시블하므로 방화문(20)의 개폐에 간섭이 없게 된다.
비상용품함(60)은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에 산소캔 및 수건이 내장되고, 잠금장치(61)가 열쇠 또는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경보감지장치가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스크링클러가 설치된 곳은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거나 관리부서로 경보를 보낸다. 이때 주거자가 소방차 등 화재진압을 위한 출동이 될 때까지 비상대피하여야 할때 방화문이 가열되어 문을 열지 못하면 안되므로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제어박스(40)내의 제어부가 수도관(1)의 밸브를 열고 문틀(10)과 방화문(20) 내부의 분사관(30)과 저수통(50)에 물을 공급한다.
분사관(30)의 노즐(32)을 통해 물은 실내측으로 분사되고, 저수통(50)에 물이 차게 되어 방화문(2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방화문(20)의 저수통(50)에 차게 된 물은 물배출홀(54)을 통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방화문을 더욱 식혀주고, 방화문 손잡이 위에 있는 노즐(53)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손잡이가 가열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화재경보감지장치에 의해 열리는 비상용품함(60)에는 산소캔이 내장되어 유독성 연기에 의해 질식사 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내장된 수건에 물을 묻혀 코와입을 막아 비상시에 호흡기로 열기와 유독성 연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준다.
1 : 수도관 10 : 문틀
11 : 틀몸체 12 : 노즐홀
13 : 패킹 20 : 방화문
21 : 몸체 22 : 단열재
23 : 홀 24 : 물배출구
25 : 배수구 26 : 주입구
27 : 연결관 30 : 분사관
31 : 관체 32 : 노즐
40 : 제어박스 50 : 저수통
51 : 판형몸체 52 : 공간부
53 : 노즐 54 : 물배출홀
60 : 비상용품함 61 : 잠금장치

Claims (1)

  1. 내부에 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문틀과 방화문 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현관을 이루는 벽체에 설치되는 틀몸체(11)의 실내측 면에 다수개의 노즐홀(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틀몸체(11)의 내부 공간에 분사관(30)이 설치되는 문틀(10);
    철재로 중공의 몸체(21)를 형성하고, 몸체(21) 내부에 실내측으로 판상의 저수통(50)이 설치되며, 저수통(50)의 후방으로 단열재(22)가 삽입되고, 몸체(21) 전면 상부에 다수개의 물배출구(24)가 다수개 형성되며, 손잡이와 잠금장치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홀(23)이 형성되는 방화문(20);
    문틀(10)의 내부 공간부를 따라 설치된 관체(31)에 다수개의 노즐(32)이 형성되고, 노즐(32)이 문틀(10)의 노즐홀(12)에 삽입되어 문틀(10) 외부로 노출되며, 관체(31)의 일측에 수도관(1)이 연결되는 분사관(30);
    문틀(10) 외측의 벽체에 내장되고, 수도관(1)의 밸브를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하며, 비상용품함(50)의 잠금장치(51)에 연결되어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어박스(40);
    내부에 공간부(52)가 형성된 판상의 판형몸체(51)의 상부에 물배출홀(54)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물배출구(24)와 연통되고, 판형몸체(51)의 일측에 노즐(53)이 형성되어 방화문(20)의 홀(23)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판형몸체(51)의 하단에 배수구(25)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방화문(20) 외측으로 노출되고, 방화문의 힌지쪽 판형몸체(51)의 일측에 주입구(26)가 형성되어 플렉시블한 연결관(27)의 일단과 연결되며, 연결관(27)의 타단은 수도관(1)과 연결되는 저수통(50);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에 산소캔 및 수건이 내장되고, 잠금장치(61)가 열쇠 또는 화재경보감지장치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비상용품함(6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KR1020100089309A 2010-09-13 2010-09-13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KR10103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09A KR101030195B1 (ko) 2010-09-13 2010-09-13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309A KR101030195B1 (ko) 2010-09-13 2010-09-13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195B1 true KR101030195B1 (ko) 2011-04-22

Family

ID=4405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309A KR101030195B1 (ko) 2010-09-13 2010-09-13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9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6068A (zh) * 2012-02-23 2012-07-04 卢兆能 一种门或窗及其框及采用水对门缝或窗缝进行封闭的方法
CN103982123A (zh) * 2014-06-11 2014-08-13 艾和美 内显式卧室防火门
CN104123806A (zh) * 2014-08-07 2014-10-29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常开防火门的监控系统及方法
CN104134326A (zh) * 2014-08-07 2014-11-05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活动防火门的监控系统及方法
CN105113958A (zh) * 2015-09-18 2015-12-02 安徽安旺门业有限公司 一种钢质隔热防火门
KR101694351B1 (ko) * 2016-03-11 2017-01-09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철도 터널 방화문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KR101744108B1 (ko) 2016-06-24 2017-06-07 (주)한림구조엔지니어링 건축물 현관용 비상 탈출장치
KR101904853B1 (ko) 2018-06-07 2018-10-1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시 화염차단 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CN110541664A (zh) * 2018-05-29 2019-12-06 南京正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猫眼的火灾救生门
CN111450458A (zh) * 2020-04-24 2020-07-28 河南美聚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防火报警的控制系统及方法
KR20220002252U (ko) 2021-03-12 2022-09-20 이선경 불연 패널 방화문
KR20220002251U (ko) 2021-03-12 2022-09-20 이선경 불연 패널 방화문
KR102461459B1 (ko) * 2021-08-31 2022-11-02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건축물 소방용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36B1 (ko) * 2000-03-15 2007-08-22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방화문 및 방화시스템
KR20070115320A (ko) * 2006-06-01 2007-12-06 박창기 소화기능이 구비된 도어
KR20090003213U (ko) * 2007-10-01 2009-04-06 이영배 문과 문틀 내부에 물을채워 열을차단하는 방화문.
KR20100079313A (ko) * 2008-12-31 2010-07-08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636B1 (ko) * 2000-03-15 2007-08-22 마리오프 코퍼레이션 오이 방화문 및 방화시스템
KR20070115320A (ko) * 2006-06-01 2007-12-06 박창기 소화기능이 구비된 도어
KR20090003213U (ko) * 2007-10-01 2009-04-06 이영배 문과 문틀 내부에 물을채워 열을차단하는 방화문.
KR20100079313A (ko) * 2008-12-31 2010-07-08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6068B (zh) * 2012-02-23 2014-05-28 卢兆能 一种门或窗及其框及采用水对门缝或窗缝进行封闭的方法
CN102536068A (zh) * 2012-02-23 2012-07-04 卢兆能 一种门或窗及其框及采用水对门缝或窗缝进行封闭的方法
CN103982123B (zh) * 2014-06-11 2015-11-04 艾和美 内显式卧室防火门
CN103982123A (zh) * 2014-06-11 2014-08-13 艾和美 内显式卧室防火门
CN104134326B (zh) * 2014-08-07 2016-08-24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活动防火门的监控方法
CN104134326A (zh) * 2014-08-07 2014-11-05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活动防火门的监控系统及方法
CN104123806B (zh) * 2014-08-07 2016-08-24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常开防火门的监控方法
CN104123806A (zh) * 2014-08-07 2014-10-29 深圳市中天明科技有限公司 具有语音引导提醒功能的常开防火门的监控系统及方法
CN105113958A (zh) * 2015-09-18 2015-12-02 安徽安旺门业有限公司 一种钢质隔热防火门
KR101694351B1 (ko) * 2016-03-11 2017-01-09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철도 터널 방화문
KR101744108B1 (ko) 2016-06-24 2017-06-07 (주)한림구조엔지니어링 건축물 현관용 비상 탈출장치
KR101703291B1 (ko) * 2016-08-05 2017-02-06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화염 감지 및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건축용 방화문틀
CN110541664A (zh) * 2018-05-29 2019-12-06 南京正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猫眼的火灾救生门
KR101904853B1 (ko) 2018-06-07 2018-10-10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건축물의 화재시 화염차단 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CN111450458A (zh) * 2020-04-24 2020-07-28 河南美聚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防火报警的控制系统及方法
KR20220002252U (ko) 2021-03-12 2022-09-20 이선경 불연 패널 방화문
KR20220002251U (ko) 2021-03-12 2022-09-20 이선경 불연 패널 방화문
KR102461459B1 (ko) * 2021-08-31 2022-11-02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건축물 소방용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195B1 (ko)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KR101623013B1 (ko)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KR101994223B1 (ko)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KR20140118810A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202215035U (zh) 楼房防火救生间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JP2016144629A (ja) 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およびビル火災救命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0757575B1 (ko) 창호용 화재 확산방지장치
CN209679380U (zh) 一种建筑整体消防安全智能系统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CN211714968U (zh) 一种新型安全的建筑防火门
US9682257B2 (en) Life-saving system for fire in multi-storey building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CN213627304U (zh) 一种消防防火门
CN102296863A (zh) 楼房防火救生间
KR101010444B1 (ko)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CN215632571U (zh) 一种用于消防通道的安防门防火结构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20120607A (ko) 배수로를 구비한 바닥 설치형 화재피난장치
CN213838394U (zh) 一种具有隔烟功能的防火门
CN205778339U (zh) 一种改良型防火防盗门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