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640B1 -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640B1
KR102504640B1 KR1020220063820A KR20220063820A KR102504640B1 KR 102504640 B1 KR102504640 B1 KR 102504640B1 KR 1020220063820 A KR1020220063820 A KR 1020220063820A KR 20220063820 A KR20220063820 A KR 20220063820A KR 102504640 B1 KR102504640 B1 KR 10250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disposed
water film
d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Original Assignee
신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철 filed Critical 신인철
Priority to KR102022006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한 발화지점에서 발생한 화염 및 유독가스가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소세대의 거주자가 대피한 쉘터로 발화지점으로부터 화염과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화재로 인한 정전에도 동작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쉘터로 대피한 사용자를 보호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며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상용수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공급모듈;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공급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모듈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전달 받아 수막을 형성하는 폐색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Water film forming device for shelter of combustion generation}
본 발명은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한 발화지점에서 발생한 화염 및 유독가스가 진행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소세대의 거주자가 대피한 쉘터로 발화지점으로부터 화염과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화재로 인한 정전에도 동작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어 쉘터로 대피한 사용자를 보호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발화지점에서 화염과 유독가스가 바람의 이동 경로를 따라 확산되어 발화지점과 인접한 세대로 화재가 확산되어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화염과 유독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층간에 제연도어를 설치하였는데, 종래의 제연도어는 단순히 두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게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도어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염과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한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의 증가를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공동주택에서는 세대를 경계하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과 유독가스의 전파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문이 설치되는데, 상기 방화문은 금속판재를 절곡 또는 용접 결합하여 표면체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그라스 울(Glass Wool), 미네랄 울(Mineral Wool), 질석 가루 등과 같은 난연성 충진재를 채워져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 방화문은 충진된 난연성 충진재의 가루가 외부로 확산되어 사용자가 흡입하는 문제점이 있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특히 습기가 유입되거나 온도 차이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한 습기가 난연성 충진재에 혼합되어 기능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 방화문은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 방화문은 공동주택의 현관 또는 공동주택의 복도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동주택 내부로 화염 및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실내 거주자를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실내 거주자가 인접한 다른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피하는 피난처인 화장실의 구조를 개선하여 임시로 대피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444호(2010.05.31., 공개)에서는,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출입문과 방열문의 이중문 구조를 가지는 개폐도어부와,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고 재차 상기 내부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임시 공기정화부와, 상기 개폐도어부의 공간부 일측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와,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건물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과 유독가스를 피해 화장실로 이동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에 설치된 화장실의 도어와 도어 프레임을 철거한 후 설치해야하므로 기존 건축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개폐도어부를 구성하는 방열문이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하여 내층과 외층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유리솜을 배치하여 형성한 것으로 방열문을 제작하는 비용이 상승하여 경제성이 좋지 않고 나아가 방열문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0444호(2010.05.3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화재 발화지점에서 발생한 화염 및 유독가스가 바람에 의해 이동하는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연소세대의 거주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연소세대의 거주자가 세대내 안전지대, 즉 쉘터인 화장실로 대피한 이후 화장실에 설치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이동한 화염 및 유독가스가 쉘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도어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설치 이후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킨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한 전기계통의 문제, 즉 정전이 발생하여도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한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배치되며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상용수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공급모듈;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공급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모듈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전달 받아 수막을 형성하는 폐색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공급된 상용수를 상기 폐색부재로 전달하는 배출공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타 공급관과 연결하는 코너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태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판이 폭 방향 타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막음판과, 상기 지지판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기 막음판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폐색부재가 배치되는 수막형성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판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색부재는, 상기 공급모듈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흡수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것으로, 단시간에 다량의 상용수를 흡수할 수 있는 고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한 화염 및 유독가스가 바람에 의해 이동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연소세대의 거주자를 보호할 수 있어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과 같은 굴뚝효과에 의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이 화장실 도어프레임을 철거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 발생하는 전기계통의 문제에도 수막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막음판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급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배치되며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상용수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공급모듈(20)과,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공급모듈(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모듈(20)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전달 받아 수막을 형성하는 폐색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쉘터의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D)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태의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12)과, 상기 베이스판(11)이 폭 방향 타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막음판(13)과, 상기 지지판(12)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판(15)과, 상기 베이스판(11)과 상기 지지판(12)과 상기 막음판(13)에 의해 형되어 상기 폐색부재(30)가 배치되는 수막형성공간(14)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0)은 화재로 인한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도료가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1)의 길이 및 폭은 설치되는 도어의 길이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길이 및 폭의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판(12)은 상기 베이스판(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판(12)은 상기 베이스판(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지판(12)과 베이스판(11)을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한 후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을 절곡 하여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판(11)의 폭 방향 타측 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12)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1)과 상기 지지판(12)과 함께 수막형성공간(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막음판(13)은 상기 지지판(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막음판(13)의 폭 중 상기 지지판(12)이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막음영역(131)과 상기 막음영역(131)에서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도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고정영역(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음영역(131)에는 상기 수막형성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관통홀(16)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16)은 상기 막음영역(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막형성공간(14)과 외부와의 연통 공간을 극대화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6)의 형태 및 배치 개수는 상기 막음영역(131)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6)이 상기 수막형성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구현하는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관통홀(16)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영역(132)은 상기 막음영역(131)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도어(D)의 일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막형성공간(14)에서 수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막음판(13)이 상기 도어(D)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공급모듈(20)의 상용수 배출 압력 또는 후술하는 폐색부재(30)의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수막형성공간(14)의 일측벽을 구성하는 막음판(13)이 도어(D)로부터 이격되어 막음판(13)과 도어(D) 사이에 공간이 생성되고, 생성된 공간을 통해 폐색부재(30)이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폐색부재이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경우 수막이 형성되지 않아 화염 또는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영역(132)을 형성하여 도어 (D)의 일면에 맞닿도록 배치하여 공급모듈(20) 또는 폐색부재(3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막음판(13)이 도어(D)로부터 이격되어 막음판(13)과 도어(D)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폐색부재(30)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볼트, 못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영역(132)을 도어(D)에 고정하는 경우 막음판(13)이 도어(D)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5)은 상기 지지판(12)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판(15)은 도어(D)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결합볼트, 결합못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도어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수막형성공간(14)은 상기 베이스판(11)과 상기 지지판(12)과 상기 막음판(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후술하는 공급모듈(20)과 폐색부재(30)이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공급모듈(20)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가 폐색부재(30)에 흡수되면서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수막을 형성한다.
상기 공급모듈(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막형성공간(14)에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즉, 수막을 형성 해야 할 때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상용수를 공급받아 이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급모듈(20)은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공급관(21)과, 상기 공급관(2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관(21)을 통해 이동하는 상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급관(21)은 배치되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수막형성공간(14)의 길이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후 상기 수막형성공간(14)에 배치되도록 구부려서 배치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길이 방향 단부에 인접한 타 공급관(21)과 연결하기 위한 코너부재(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21)의 직경 및 길이는 배치되는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의 크기, 그리고 수막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공급관(21) 중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에 결합되는 공급관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상용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밸브(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23)는 상기 공급관(21)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배치하는 공급관(21)의 배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각도가 변경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21)의 안정적인 배치 및 상용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폐색부재(30)는 상기 공급관(21)을 감싸며 결합하고 상기 수막형성공간(14)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21)의 배출공(22)을 통해 배출된 상용수를 흡수하여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수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폐색부재(30)는 상기 공급관(21)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고 동시에 전달된 상용수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화재 발생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시간에 다량의 상용수를 흡수할 수 있고 연속 공급되는 상용수에 의해서도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흡수성 부직포를 재질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부직포(Abosorbent Nonwoven)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부직포를 지칭하는 것이며,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는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을 포함한 부직포이다
이러한 고흡수성 부직포는 상기 공급관(21)의 배출공(22)을 통해 배출된 상용수를 단시간에 다량을 흡수하여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이때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는 상기 공급관(21)을 감싸며 상기 수막형성공간(14)에 배치될 때 상기 공급관(21)을 다수회 감싸며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막형성공간(14)을 가득 채우도록 구비되고 이후 배출된 상용수를 흡수한 이후에도 상기 수막형성공간(14)을 채움으로써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화재로 인한 화염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방지한다.
상술한 고흡수성 부직포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3579호(2020.01.10., 공개)에 기재된 기술을 통해 제조한 것을 이용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302호(2017.10.12, 공개)에 기재된 기술을 통해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10 : 고정프레임
11 : 베이스판 12 : 지지판
13 : 막음판 14 : 수막형성공간
15 : 고정판 16 : 관통홀
131 : 막음영역 132 : 고정영역
20 : 공급모듈
21 : 공급관 22 : 배출공
23 : 코너부재
30 : 폐색부재

Claims (5)

  1. 도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에 배치되며 쉘터에 구비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금구로부터 상용수를 공급받아 이동시키는 공급모듈(20);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공급모듈(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모듈(20)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전달 받아 수막을 형성하는 폐색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재 형태의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판(12)과,
    상기 베이스판(11)이 폭 방향 타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막음판(13)과,
    상기 지지판(12)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판(15)과,
    상기 베이스판(11)과 상기 지지판(12)과 상기 막음판(13)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폐색부재(30)가 배치되는 수막형성공간(14)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판(1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관통홀(1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공급관(21)과,
    상기 공급관(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공급된 상용수를 상기 폐색부재(30)로 전달하는 배출공(2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1)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되어 인접한 타 공급관(21)과 연결하는 코너부재(2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재(30)는,
    상기 공급모듈(20)을 통해 공급된 상용수를 흡수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새를 폐쇄하는 것으로, 단시간에 다량의 상용수를 흡수할 수 있는 고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KR1020220063820A 2022-05-25 2022-05-25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KR10250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20A KR102504640B1 (ko) 2022-05-25 2022-05-25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20A KR102504640B1 (ko) 2022-05-25 2022-05-25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640B1 true KR102504640B1 (ko) 2023-02-27

Family

ID=8532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20A KR102504640B1 (ko) 2022-05-25 2022-05-25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6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69A (ja) * 1998-08-28 2000-03-07 Bunka Shutter Co Ltd 板状部材、空間仕切り装置、耐火耐熱シート及び防火システム
JP2005194852A (ja) * 2004-01-05 2005-07-21 Kazunari Suzuki 防火引戸扉用遮煙装置
KR20100079313A (ko) * 2008-12-31 2010-07-08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KR101010444B1 (ko) 2008-11-21 2011-01-21 박세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20110067996A (ko) * 2009-12-15 2011-06-22 박갑환 방화문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469A (ja) * 1998-08-28 2000-03-07 Bunka Shutter Co Ltd 板状部材、空間仕切り装置、耐火耐熱シート及び防火システム
JP2005194852A (ja) * 2004-01-05 2005-07-21 Kazunari Suzuki 防火引戸扉用遮煙装置
KR101010444B1 (ko) 2008-11-21 2011-01-21 박세문 임시 화재 대피 기능을 갖는 건물내 화장실 구조
KR20100079313A (ko) * 2008-12-31 2010-07-08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화재시 유리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 냉각장치
KR20110067996A (ko) * 2009-12-15 2011-06-22 박갑환 방화문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4694816B2 (ja) 複層高気密断熱部材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995447B1 (ko) 알루미늄 박판층과 유리섬유 망층을 이용하여 무기질 평탄층이 고도의 일체성을 가지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 외장구조체
KR102035835B1 (ko) 다층 건물의 환기 및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2504640B1 (ko) 연소세대의 쉘터용 수막 형성장치
KR102003327B1 (ko) 습식 불연 외장 단열 마감 공법
KR102263360B1 (ko) 공사 중인 건물 내에 설치하는 안전 대피소
US20150174433A1 (en) Life-saving system for fire in multi-storey building
WO2020103841A1 (zh) 一种便于逃生的防火门
JP2023024227A (ja) 建造物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102340536B1 (ko)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115479339A (zh) 新风净化引风排烟一体化防火灾楼宇
KR102117090B1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CN113153108A (zh) 一种阻燃实木防火门
CN214006665U (zh) 一种多层/高层公共建筑安全屋
CN220038686U (zh) 消防排烟和补风系统及多层车库
CN211008293U (zh) 一种改进型的超大型隔烟防火门
KR102216096B1 (ko) 공사 중 및 준공 후 건물 소화제어시스템
CN212427956U (zh) 一种保温板及雪场带保温板的防排烟结构
WO2024077794A1 (zh) 新风净化引风排烟一体化防火灾楼宇
Ng et al. Review on the design and scientific aspects for drencher systems in different countries
KR102541030B1 (ko) 방화댐퍼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수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