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450A - 급기가압 제연설비 - Google Patents

급기가압 제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450A
KR20240015450A KR1020220093339A KR20220093339A KR20240015450A KR 20240015450 A KR20240015450 A KR 20240015450A KR 1020220093339 A KR1020220093339 A KR 1020220093339A KR 20220093339 A KR20220093339 A KR 20220093339A KR 20240015450 A KR20240015450 A KR 2024001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air supply
fan
signal
smok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철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주식회사 반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주식회사 반도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2009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450A/ko
Publication of KR2024001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3/00Special devices for ventilating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 발생 시 제연구역 내부로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있어서, 건물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에 연결되고, 제연구역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팬은, 건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건물전원부와 상기 건물전원부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비상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건물전원부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전원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급기가압 제연설비{smoke protection system by air supply pressuriz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화재 발생 시 제연구역 내부로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래 건축되는 대부분의 건물에는 건축법과 소방관련 법률에 따라 건물 화재 발생 시 자력으로 피난을 하지 못하고 건물 내에 남게 된 재실자가 구조되기까지 일시적으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는 피난장소의 역할과, 화재 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가스장벽 역할을 할 수 있는 제연구역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연구역에는 유독가스가 제연구역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연설비가 설치된다. 제연설비는 제연구역에 외부의 유독가스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압력이 높아진 상태의 양압(positive pressure)을 형성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양압설비이다. 제연설비는 화재 시에 제연구역에 건물 외부의 실외 공기를 급기하여 내부 압력을 양압으로 형성되게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재실자가 구조되기까지 제연구역에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비상 엘리베이터 앞이나 피난계단 앞에 마련된 전실이 제연구역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화재 발생 시 위험한 상황에서 재실자는 엘리베이터 앞이나 피난계단 앞에 전실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떠올리기 쉽지 않고, 건물 내부는 정전, 연기 등으로 인해 앞을 제대로 볼 수 없어 전실까지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재실자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평소에 이용하여 익숙한 화장실이나 욕실 등에 제연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촌각을 다투는 상황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이나 출입문은 크기가 작고 설치되는 개수가 적은 편이며, 외부 공간과 분리 또는 차단이 잘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양압을 유지하는 제연설비가 설치되기에 유리한 구조이다. 그런데, 욕실이나 화장실 등은 평소에 밀폐된 내부 공간의 습기로 인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며, 냄새 등이 쉽게 발생될 수 있어, 내부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 등이 설치된다. 배기팬에 의해 욕실이나 화장실의 내부 공기가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면 욕실이나 화장실의 내부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욕실이나 화장실에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경우, 제연설비가 작동하더라도 배기팬에 의해 내부 압력이 낮아지므로 양압이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이 잘 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에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높여 양압을 형성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제연설비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2547호 (2005.10.26.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2397호 (2017.07.14.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 시 건물 외부의 실외 공기를 급기함으로써, 제연구역의 내부 압력을 높여 양압을 형성하고, 그 양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급기가압 제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제연구역의 내부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방지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급기가압 제연설비를 제공한다.
건물의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있어서, 건물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에 연결되고, 제연구역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급기팬 및 상기 급기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팬은, 건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건물전원부와 상기 건물전원부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비상전원부에 연결되고, 상기 건물전원부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전원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건물의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서 송신하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급기팬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연구역에 마련된 출입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기가 상기 출입구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급기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연구역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배기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수신부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배기팬을 작동 중지시키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연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강제작동 신호와, 상기 급기팬과 배기팬을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키는 강제중지 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로 송신가능한 강제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에 상기 강제작동 신호 또는 상기 강제중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급기팬과상기 배기팬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거나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급기가압 제연설비는, 건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설비가 불능상태가 되더라도 제연구역의 내부 압력은 양압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화재 발생 시 급기팬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제연구역의 내부 압력은 신속하게 양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제연구역의 내부 공기는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제연구역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2는 도 1의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제연설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제연설비를 이루는 구성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제연구역을 나타내는 간략도, 도 2는 도 1의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제연설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2의 제연설비를 이루는 구성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1)는 건물의 제연구역(20)에 설치되며, 건물의 제연구역(20)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1)에 있어서, 건물 외부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10)에 연결되고,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급기팬(100) 및 급기팬(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급기팬(100)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제연구역(20)에 마련된 출입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기(300)와, 건물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60)에 연결되고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팬(400)과, 제연구역(20)에 설치되고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키는 강제중지 신호를 신호수신부(210)로 송신가능한 강제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팬(100)은 화재 발생 시 건물 외부의 실외 공기가 제연구역(20)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이 양압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유독가스가 제연구역(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급기팬(100)은 화재 발생 시에 제연구역(20)이 양압 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급기팬(100)은 복수개가 설치되거나 급기량이 큰 사양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므로, 풍압이 높은 후곡형 급기팬(100)이 제연구역(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기팬(100)은 건물의 벽체나 천정에 매립설치되는 급기덕트(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급기덕트(10)는 건물의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고, 이러한 급기덕트(10)를 통해 실외 공기는 제연구역(20)에 급기된다. 급기팬(100)은 송풍기의 일종으로서, 팬(도면 미도시), 전동모터(도면 미도시)와 팬하우징(도면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급기팬(100)을 구성하는 팬, 전동모터와 팬하우징 등은 이미 공지기술인 바, 이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급기팬(100)은 전동모터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구동된다. 건물에 급기팬(100)이 설치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급기팬(100)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는 건물에 설치되는 전기설비인 건물전원부(30)에 의해 공급된다. 즉 건물전원부(30)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급기팬(100)의 전동모터에 공급됨으로써, 전동모터가 팬을 회전시켜 실외 공기가 제연구역(20)에 급기된다. 또한 건물전원부(30)는 후술할 배기팬(400)에 연결될 수 있고, 건물전원부(30)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배기팬(400)의 전동모터에 공급됨으로써,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화재 발생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자제품의 과부하, 단락(short circuit) 등으로 과전류가 원인이 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과전류에 의해 건물전원부(30)나 건물에 설치된 도선 등이 손상되어 급기팬(10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화재 발생 시 고온의 열기로 인해 도선 등이 녹아내려 급기팬(100)으로 전기에너지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급기팬(100)은 건물전원부(30)와는 독립적인 전원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급기팬(100)은 건물전원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건물전원부(30)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전원부(40)와도 연결될 수 있다. 비상전원부(40)는 건물전원부(30)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건물전원부(30)가 손상되더라도 급기팬(10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소형 발전기, 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물전원부(30)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비상전원부(40)에 의해 급기팬(100)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전원부(40)에 의해 급기팬(10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급기팬(100)의 정상적인 구동이 보장될 수 있다.
급기팬(100)에 연결되는 제어장치(200)는 급기팬(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물의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기(50)에서 송신하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0)와, 신호수신부(210)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급기팬(100)을 작동시키는 작동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의 각 구역에는 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 유독가스, 고온의 열기 등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50)가 설치된다. 화재감지기(50)는 연기, 유독가스, 고온의 열기 등을 감지하는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화재 발생 시 화재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210)는 화재감지기(50)에서 송신하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작동제어부(220)는 신호수신부(210)에서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급기팬(100)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후술할 개폐감지기(300)에서 제연구역(20)의 출입구 폐쇄상태가 감지되면 급기팬(100)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신호수신부(210)와 작동제어부(220)는 화재발생 시 급기팬(100)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이 신속하게 양압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210)와 작동제어부(220)는 후술할 개폐감지기(300)에서 제연구역(20)의 출입구 폐쇄상태가 감지된 경우 급기팬(100)이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제연구역(20)의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급기팬(100)이 제연구역(20)으로 실외 공기를 급기하더라도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가 제연구역(20)의 출입구를 통해 빠져나가므로 양압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연구역(20)의 출입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급기팬(100)이 작동되게 함으로써, 제연구역(20)은 양압상태로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210)와 작동제어부(220)는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후술할 배기팬(400)이 작동되도록 하고,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배기팬(400)이 작동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는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1)는 개폐감지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감지기(300)는 제연구역(20)의 출입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광센서, 역학센서, 자기센서 등 출입구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다. 제연구역(20)의 출입구가 폐쇄된 경우 개폐감지기(300)에서 출입구가 폐쇄되었다는 출입구폐쇄 신호가 생성되고, 출입구폐쇄 신호는 제어장치(200)의 신호수신부(210)로 송신된다. 전술한 것처럼, 신호수신부(210)에서 화재발생 신호와 출입구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급기팬(100)은 작동제어부(22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1)는 배기팬(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팬(400)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 시에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를 건물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건물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60)에 연결되며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배기덕트(60)는 건물의 외부와 직접적으로 연통되고, 이러한 배기덕트(60)를 통해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는 건물 밖으로 배출된다. 배기팬(400)은 송풍기의 일종으로서, 팬(도면 미도시), 전동모터(도면 미도시)와, 팬하우징(도면 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배기팬(400)을 구성하는 팬, 전동모터와 팬하우징 등은 이미 공지기술인 바, 이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기팬(400)은 전동모터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구동된다. 배기팬(400)은 상술한 급기팬(100)과는 달리, 비상전원부(40)와 연결되지 않고 오직 건물전원부(30)와 연결된다.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 시에는 배기팬(400)이 작동됨으로써,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욕실이나 화장실 등 평소에 밀폐된 공간이 제연구역(20)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연구역(20)에 배기팬(4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배기팬(400)은 작동제어부(22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 중지되고, 제연구역(20)이 양압상태로 전환됨에 있어서 방해요소로 작용되지 않는다.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을 신속하게 높이기 위해서, 배기팬(400)은 개폐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서 배기팬(400)과 배기덕트(60)를 관통하여 건물의 외부로 이어지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데, 개폐댐퍼는 이러한 배출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제연구역(2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설비(1)는 강제작동 스위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제작동 스위치(500)는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연구역(20)에 설치된다. 강제작동 스위치(500)는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강제작동 신호와,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키는 강제중지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장치(200)의 신호수신부(210)로 송신한다. 즉 강제작동 스위치(500)는 급기팬(100)의 강제작동 신호, 급기팬(100)의 강제중지 신호, 배기팬(400)의 강제작동신호, 배기팬(400)의 강제중지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할 수 있다.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의 자동 작동과 관련된 화재감지기(50)와 개폐감지기(300)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 강제작동 스위치(500)는 임의적으로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즉 강제작동 스위치(500)가 강제작동 신호를 신호수신부(210)에 송신하고, 강제작동 신호가 신호수신부(210)에 수신되면, 화재발생 신호나 출입구폐쇄 신호가 신호수신부(210)에서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더라도, 급기팬(100) 또는 배기팬(400)은 강제적으로 작동되거나 작동 중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급기가압 제연설비(1)는, 건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설비가 불능상태가 되더라도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은 양압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건물에 화재 발생 시 급기팬(100)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제연구역(20)의 내부 압력은 신속하게 양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 시에는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기는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급기가압 제연설비
10: 급기덕트
20: 제연구역
30: 건물전원부
40: 비상전원부
50: 화재감지기
60: 배기덕트
100: 급기팬
200: 제어장치
210: 신호수신부
220: 작동제어부
300: 개폐감지기
400: 배기팬
500: 강제작동 스위치

Claims (5)

  1. 건물의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에 있어서,
    건물 외부의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10)에 연결되고,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급기팬(100); 및
    상기 급기팬(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기팬(100)을 작동시키는 제어장치(200);
    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팬(100)은,
    건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건물전원부(30)와, 상기 건물전원부(30)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비상전원부(40)에 연결되고,
    상기 건물전원부(30)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전원부(4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건물의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기(50)에서 송신하는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0); 및
    상기 신호수신부(210)에 상기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급기팬(100)을 자동적으로 작동시키는 작동제어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연구역(20)에 마련된 출입구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개폐감지기(3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210)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220)는 상기 개폐감지기(300)가 상기 출입구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급기팬(100)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건물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덕트(60)에 연결되고, 상기 제연구역(20)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팬(4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수신부(210)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220)는 상기 배기팬(400)을 작동시키고,
    상기 신호수신부(210)에 화재발생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220)는 상기 배기팬(400)을 작동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연구역(20)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00)과 상기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는 강제작동 신호와, 상기 급기팬(100)과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키는 강제중지 신호를 상기 신호수신부(210)로 송신가능한 강제작동 스위치(5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제어부(220)는,
    상기 신호수신부(210)에 상기 강제작동 신호 또는 상기 강제중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급기팬(100)과 상기 배기팬(400)을 강제적으로 작동시키거나 강제적으로 작동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가압 제연설비.

KR1020220093339A 2022-07-27 2022-07-27 급기가압 제연설비 KR20240015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39A KR20240015450A (ko) 2022-07-27 2022-07-27 급기가압 제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39A KR20240015450A (ko) 2022-07-27 2022-07-27 급기가압 제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50A true KR20240015450A (ko) 2024-02-05

Family

ID=8990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339A KR20240015450A (ko) 2022-07-27 2022-07-27 급기가압 제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4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47A (ko) 2004-04-22 2005-10-26 김경술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KR20170082397A (ko) 2016-01-06 2017-07-14 한대승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547A (ko) 2004-04-22 2005-10-26 김경술 화재발생시 화장실 임시 대피장치
KR20170082397A (ko) 2016-01-06 2017-07-14 한대승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231A (en) Smoke exhaust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446389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moke and fire in buildings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101402304B1 (ko) 제연구역 급기댐퍼의 비례제어시스템
KR20240015450A (ko) 급기가압 제연설비
CN102296863A (zh) 楼房防火救生间
KR20110077895A (ko)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CN205876108U (zh) 一种防火门监控系统
KR102308356B1 (ko) 화재 대피실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20170082397A (ko)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WO2018182362A1 (ko) 다층 건물의 비상계단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
JPH04367670A (ja) 高層集合住宅における火災時の排煙方法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2045147B1 (ko) 자동 문 개폐장치
KR200480677Y1 (ko)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CN207175126U (zh) 一种用于电梯的消防开关控制系统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CN205297147U (zh) 智能消防排烟系统
KR102364334B1 (ko) 과압 방지기능을 갖춘 방화문
EP2722607B1 (en) Pressure differentiating device
CN107473042A (zh) 一种用于电梯的消防开关控制系统
KR20200003989A (ko) 소방용 축전식 배연시스템
KR102098392B1 (ko) 화재 대피 유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