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508B1 -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 Google Patents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508B1
KR101657508B1 KR1020150129651A KR20150129651A KR101657508B1 KR 101657508 B1 KR101657508 B1 KR 101657508B1 KR 1020150129651 A KR1020150129651 A KR 1020150129651A KR 20150129651 A KR20150129651 A KR 20150129651A KR 101657508 B1 KR101657508 B1 KR 101657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ipe
hole
oil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회규
Original Assignee
임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회규 filed Critical 임회규
Priority to KR102015012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7/00Separation of mixtures of fats or fatty oils into their constituents, e.g. saturated oils from unsaturated 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 식물에서 오일과 수용성 피톤치드를 얻기 위하여 편백나무의 잎과 줄기 또는 솔잎 등에서 증류법 또는 압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되어 부유물질과 침전된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오일과 수분이 함유된 혼합유수를 정유 성분의 오일과 수용성 피톤치드가 함유된 물로 분리하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유수에 대해 물과 오일의 비중 차이로 인해 중력 부상하는 상등오일 속에 포함된 잔여 수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규격이 다른 3개조의 독립된 탱크조를 구비하여, 제 1탱크조 내부에 제 2탱크조를 내장하고 제 2탱크조 내부에 제 3탱크조를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비중 차이에 의한 오일 성분을 3회에 걸쳐 부상시켜 월류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순수한 오일과 향기성분 및 피톤치드가 함유된 유출수로 분리하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식물성 혼합유수(700)가 유입되는 유입관(500)이 탱크 외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130)과 하단부 저면으로부터 파이프 관통공(110a, 110b, 110c)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관통공(110a)에 리턴 파이프(120)가 연결된 제 1탱크조(100);와
상기 제 1탱크조(100)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유입시키는 1차 월류관(240)이 탱크의 내부 상단에 단일몸체로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230)과 하단부 저면에 파이프 관통공(210a, 210b)을 형성하여 파이프 관통공(210a)에 리턴 파이프(2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2탱크조(200);와
상기 제 2탱크조(200)내측의 360도 방향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수집하는 오목한 원형경사판(410)의 중심부에 2차 월류관(420)이 단일체로 형성된 월류정(400);과
상기 월류정(400)의 하면과 결합되는 경사면(340)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40) 하측의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33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파이프 관통공(310)에 리턴 파이프(3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3탱크조(300);를 구비하여,
상기의 제 1탱크조(100) 내부에 제 2탱크조(200)를 내장하고 월류정(400)이 결합된 제 3탱크조(300)를 제 2탱크조(2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유출관(600)과 리턴 파이프(120, 220, 320)로 연결되어 3개조의 탱크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an oil-water separator tank}
본 발명은 방향성 식물에서 추출된 혼합유수를 정유 성분의 오일과 수용성 피톤치드가 함유된 물로 분리하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된 단독 탱크 내부에 순차적으로 2개의 탱크가 추가적으로 내장되게 설치하여 비중의 차이로 월류하는 상등오일 속에 미세 입자로 존재하는 수분을 단일체로 이루어진 탱크조에서 점진적으로 분리하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유수분리기(등록번호 : 20-0320288 등록일자 : 2003. 07. 04)는 몸통부재 내부에 물이 보관되는 구역과 기름이 보관되는 구역으로 각각 분리된 제 1 칸막이판과 유입된 폐수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제 2 칸막이판으로 이루어져,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가 유입되면 물과 기름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름속에 미세한 수분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실용신안 등록 1) 등록번호 : 20-0320288 등록일자 : 2003. 07. 04
청구항 1.
소정 형상의 몸통부재;
상기 몸통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에서 상기 몸통부재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물이 보관되는 구역과 기름이 보관되는 구역으로 각각 분리시키는 제 1 칸막이판;
상기 제 1 칸막이판과 이격되고 하부가 상기 제 1 칸막이판의 하부보다 높고, 상부가 상기 제 1 칸막이판의 상부보다 낮은 길이로 설치되어 유입된 폐수의 흐름을 안정화시키는 제 2 칸막이판;
상기 물보관구역을 형성하는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된 물배출구; 및 상기 기름보관구역을 형성하는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면에 설치된 기름배출구를 구비되며;
상기 제 1 칸막이판의 하부에서 상기 물배출구 사이에 물을 채워놓은 후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폐수가 유입되면 물과 기름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칸막이판과 몸통부재로 사이에 상기 제 2 칸막이판의 하부보다 높고, 상부가 상기 몸통 부재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유입되는 폐수가 수직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제 3 칸막이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칸막이판과 상기 몸통부재 사이에 상기 낙하되는 상기 폐수로부터 고체 형태의 이물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물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청구항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칸막이와 몸통부재 사이에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구가 형성된 뚜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구의 위치보다 낮은 상기 몸통부재의 일측면에 물속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본 발명은 혼합유수 속에 포함된 잔여 수분을 전량 분리하기 위하여 규격이 다른 3개조의 독립된 탱크조를 구비하여, 제 1탱크조 내부에 제 2탱크조를 내장하고 제 2탱크조 내부에 제 3탱크조를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비중 차이에 의한 오일 성분을 3회에 걸쳐 부상시켜 월류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순수한 정유와 식물의 향기성분 및 피톤치드가 함유된 유출수로 분리하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혼합유수(700)가 유입되는 유입관(500)이 탱크 외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130)과 하단부 저면으로부터 파이프 관통공(110a, 110b, 110c)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관통공(110a)에 리턴 파이프(120)가 연결된 제 1탱크조(100);와
상기 제 1탱크조(100)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유입시키는 1차 월류관(240)이 탱크의 내부 상단에 단일몸체로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230)과 하단부 저면에 파이프 관통공(210a, 210b)을 형성하여 파이프 관통공(210a)에 리턴 파이프(2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2탱크조(200);와
상기 제 2탱크조(200)내측의 360도 방향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수집하는 오목한 원형경사판(410)의 중심부에 2차 월류관(420)이 단일체로 형성된 월류정(400);과
상기 월류정(400)의 하면과 결합되는 경사면(340)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40) 하측의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33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파이프 관통공(310)에 리턴 파이프(3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3탱크조(300);를 구비하여,
상기의 제 1탱크조(100) 내부에 제 2탱크조(200)를 내장하고 월류정(400)이 결합된 제 3탱크조(300)를 제 2탱크조(2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유출관(600)과 리턴 파이프(120, 220, 320)로 연결되어 3개조의 탱크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혼합유수 속에 존재하는 미세수분을 전량 분리함으로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고품질의 순수 오일로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의 제 1탱크조(100)와 유입관(5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제 1탱크조(100)에 유입관(5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 2탱크조(200)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 3탱크조(300)와 월류정(4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상태에서 제 2탱크조(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3탱크조(3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월류정(4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실시예로서, 제 1탱크조(100)에 혼합유수(700)가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제 2탱크조(200)에 상등오일(720)이 유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제 3탱크조(300)에 상등오일(720)이 유입되어 유출관(600)을 통해 오일(730)이 배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리턴 파이프(120, 220, 320)의 실시예를 나타낸 절단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제 1탱크조
110a, 110b, 110c : 파이프 관통공
120 : 리턴 파이프
121 : 연결 파이프
130 : 유출관 관통공
140 : 유입관 관통공
200 : 제 2탱크조
210a, 210b : 파이프 관통공
220 : 리턴 파이프
221 : 연결 파이프
230 : 유출관 관통공
240 : 1차 월류관
241 : 월류구
300 : 제 3탱크조
310 : 파이프 관통공
320 : 리턴 파이프
321 : 연결 파이프
330 : 유출관 관통공
340 : 경사면
400 : 월류정
410 : 원형경사판
420 : 2차 월류관
500 : 유입관
510 : 유입구
600 : 유출관
700 : 혼합유수(부유물질과 침전된 슬러지가 제거된 상태의 오일과 물이 섞여있는 액상)
710 : 물(식물의 향기성분 및 피톤치드가 함유된 유출수)
720 : 상등오일(잔여수분이 존재하는 오일)
730 : 오일(잔여수분이 제거된 순수 오일)
800 : 밸브.
도 1은 본 발명인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의 제 1탱크조(100)와 유입관(5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제 1탱크조(100)에 유입관(5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부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0은 제 1탱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재질은 철재로 이루어졌으며 식물성 혼합유수(700)가 입수되는 탱크 외측면의 하단부에 유입관(500)이 유입관 관통공(140)에 용접 접합되어 제 1탱크와 단일체를 이루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130)과 하단부 저면으로부터 파이프 관통공(110a, 110b, 110c)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관통공(110a)에 리턴 파이프(120)가 용접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졌다.
이때 혼합유수(700)가 유입되는 유입구(510)의 높이는 제 2탱크조(200)에 형성된 1차 월류관(240)의 월류구(241)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출관 관통공(130)은 제 2탱크조(200) 및 제 3탱크조(300)에 형성된 유출관 관통공(230, 330,)과 수평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었다.
도 3은 제 2탱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제 2탱크조(200)의 재질은 철재로 이루어졌으며 제 1탱크조(100)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유입시키는 1차 월류관(240)이 탱크의 내부 상단에 단일몸체로 연결되어 내부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엘보우 관체 구조로 이루어져 유입관(500)을 통과한 혼합유수(700)가 제 1탱크조(100)의 내부에 유입되면서 물(710)위에 뜨는 상등오일(720)이 최상의 위치에서 월류하는 장소에 1차 월류관(240)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230)과 하단부 저면에 파이프 관통공(210a, 210b)을 형성하여 파이프 관통공(210a)에 리턴 파이프(220)가 연결되게 이루어졌다.
도 4는 제 3탱크조(300)와 월류정(40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재질은 철재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도면부호 300의 제 3탱크조는 월류정(400)의 하면과 결합되는 경사면(340)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40) 하측의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33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파이프 관통공(310)에 리턴 파이프(320)가 연결되게 이루어졌다.
상기 도면부호 400의 월류정은 오목한 원형경사판(410)의 중심부에 2차 월류관(420)이 단일체로 형성되어 제 3탱크조(300)의 내부 바닥면으로 상등오일(720)을 유입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때 원형경사판(410)의 저면은 경사면(340)과 밀착되게 접촉되는 규격으로 이루어져 제 2탱크조(200)내측의 360도 방향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집수한다.
도 5는 도 2의 상태에서 제 2탱크조(2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1탱크조(100)의 내부에 제 2탱크조(200)에 형성된 유출관 관통공(230)과 유출관 관통공(130)이 수평으로 일치되게 배치하고, 파이프 관통공(210a)과 파이프 관통공(110b)이 수평으로 일치되게 배치하여 제 1탱크조(100)내부면과 제 2탱크조(200)의 외부 하단면을 테그 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제 3탱크조(3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월류정(4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 2탱크조(200)의 내부에 제 3탱크조(300)에 형성된 유출관 관통공(330)과 유출관 관통공(230, 130)이 수평으로 일치되게 배치하고, 파이프 관통공(310)과 파이프 관통공(210b, 110c)이 수평으로 일치되게 배치하여 제 2탱크조(200)내부면과 제 3탱크조(300)의 외부 하단면을 테그 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후 유출관(600)을 유출관 관통공(130, 230, 330)에 삽입하여 용접으로 접합하고, 리턴 파이프(120, 220, 32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용접으로 접합함으로서 수밀이 유지되는 단일몸체의 제 3탱크조(300)에 월류정(400)을 결합하여 상등오일(720)이 누수없이 2차 월류관(420)으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8 및 도 9와 도 10은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의 결합으로 인한 유수분리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제 1탱크조(100)에 혼합유수(700)가 유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혼합유수(700)속에 포함된 물(710)은 비중의 차이로 바닥면으로 가라안고 잔여수분이 존재하는 상등오일(720)이 월류구(241)를 통해 1차 월류관(240)으로 유입되어, 도 9와 같이 제 2탱크조(200)에 유입되어 잔류하는 수분이 바닥면으로 침전 분리되면서 상등오일(720)은, 도 10과 같이 월류정(400)을 통해 제 3탱크조(300)로 유입된다. 이때 상등오일(720)속에 포함된 미세 입자로 존재하는 수분이 바닥면으로 분리되고 오일(730)은 유출관(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리턴 파이프(120, 220, 320)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리턴 파이프(120, 220, 320)에 연결된 각각의 연결 파이프(121, 221, 321)는 개폐용 밸브(8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전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추가적인 연결 파이프 라인으로 변경하여 사용되도록 발명되었다.

Claims (3)

  1. 식물성 혼합유수(700)가 유입되는 유입관(500)이 탱크 외측면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130)과 하단부 저면으로부터 파이프 관통공(110a, 110b, 110c)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 관통공(110a)에 리턴 파이프(120)가 연결된 제 1탱크조(100);와
    상기 제 1탱크조(100)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유입시키는 1차 월류관(240)이 탱크의 내부 상단에 단일몸체로 연결되고, 상단부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230)과 하단부 저면에 파이프 관통공(210a, 210b)을 형성하여 파이프 관통공(210a)에 리턴 파이프(2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2탱크조(200);와
    상기 제 2탱크조(200)내측의 360도 방향에서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을 수집하는 오목한 원형경사판(410)의 중심부에 2차 월류관(420)이 단일체로 형성된 월류정(400);과
    상기 월류정(400)의 하면과 결합되는 경사면(340)이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40) 하측의 일측면에 유출관 관통공(330)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파이프 관통공(310)에 리턴 파이프(320)가 연결되게 이루어진 제 3탱크조(300);를 구비하여,
    상기의 제 1탱크조(100) 내부에 제 2탱크조(200)를 내장하고 월류정(400)이 결합된 제 3탱크조(300)를 제 2탱크조(20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내장하여 유출관(600)과 리턴 파이프(120, 220, 320)로 연결되어 3개조의 탱크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탱크조(200)의 1차 월류관(240)은 제 1탱크조(10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 3탱크조(300)에 결합된 월류정(400)은 제 2탱크조(200)에 형성된 1차 월류관(24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월류하는 상등오일(720)이 유입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3탱크조(300)에 형성된 유출관(600)은 상기 월류정(400)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유출관(600)이 유출관 관통공(130, 230, 330)에 삽입되어 수평으로 접합되고,
    제 1탱크조(100)의 파이프 관통공(110a)에 리턴 파이프(120)가 삽입되어 접합되고,
    제 2탱크조(200)의 파이프 관통공(110b)과 파이프 관통공(210a)에 리턴 파이프(220)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접합되고,
    제 3탱크조(300)의 파이프 관통공(110c)과 파이프 관통공(210b)과 파이프 관통공(310)에 리턴 파이프(320)가 수평으로 삽입되어 접합되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KR1020150129651A 2015-09-11 2015-09-11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KR10165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51A KR101657508B1 (ko) 2015-09-11 2015-09-11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51A KR101657508B1 (ko) 2015-09-11 2015-09-11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508B1 true KR101657508B1 (ko) 2016-09-13

Family

ID=5694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51A KR101657508B1 (ko) 2015-09-11 2015-09-11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66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20210126467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버킷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896A (en) * 1987-07-10 1989-01-20 Kitaaki Mokuzai Kk Extraction of tree oil
JP2000201621A (ja) * 1998-09-28 2000-07-25 Meka:Kk 食用油精製方法と食用油精製装置
KR200320288Y1 (ko) *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896A (en) * 1987-07-10 1989-01-20 Kitaaki Mokuzai Kk Extraction of tree oil
JP2000201621A (ja) * 1998-09-28 2000-07-25 Meka:Kk 食用油精製方法と食用油精製装置
KR200320288Y1 (ko) *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466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20210126467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버킷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890B2 (en)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WO2005019113A3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CN202343009U (zh) 餐厨油水分离装置
KR101657508B1 (ko)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RU2011141260A (ru) Антисифонный затвор с шноркелем для безводного писсуара
AU2002254855B2 (en) Method of separating suspension, in particular for waste water treatment,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RU2011116094A (ru) Фильтрующая система со сменным картриджем
JP6529122B2 (ja) 油水分離システム
JP4754716B2 (ja) 阻集器
CN101637678B (zh) 过滤器
KR960003776A (ko)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CN207108563U (zh) 隔油器出油装置
JP7072776B2 (ja) 分離装置
KR20180133191A (ko) 유수분리기
CN202898079U (zh) 一种泔水滤油装置
CN106039772A (zh) 一种油水分离水箱
KR101410713B1 (ko) 유수 분리기
CN207286763U (zh) 油水分离装置
CN204958550U (zh) 一种高效隔油破乳沉降槽
RU2315645C1 (ru) Сепар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RU144017U1 (ru) Септик
RU2182508C2 (ru) Отстойный резервуар
CN211226450U (zh) 一种微纳米气浮液面控制装置
CN211611729U (zh) 竖流式沉淀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