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713B1 - 유수 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713B1
KR101410713B1 KR1020130023645A KR20130023645A KR101410713B1 KR 101410713 B1 KR101410713 B1 KR 101410713B1 KR 1020130023645 A KR1020130023645 A KR 1020130023645A KR 20130023645 A KR20130023645 A KR 20130023645A KR 101410713 B1 KR101410713 B1 KR 10141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vertical
pip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403A (ko
Inventor
우희득
Original Assignee
우희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희득 filed Critical 우희득
Priority to KR102013002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7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유수분리부(200)와 수준유지부(300)를 포함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한다. 유수분리부(200)는 수직관(211, 212, 213)과 상부 수평관(221, 222) 및 하부 수평관(231, 232)을 포함하며, 수준유지부(300)는 수직관(311, 312)과 상부 수평관(321)을 포함한다. 수준유지부(300)에는 하부 수평관(330)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유수분리부(200)의 입구(110)에 수평으로 분기된 기체 출구(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유수분리부(200)의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구(150)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수 분리기 {OIL-WATER SEPARATOR}
이 발명은 기름과 물이 섞인 유수혼합물로부터 기름과 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유수혼합물이 흘러가는 수로를 이루는 파이프의 조합만으로 간편하게 구성되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튀김 요리 등과 같이 기름을 사용하는 주방 및 닭을 소재로 하는 통닭(오리, 돼지 등의 기름을 포함한 동식물)프랜차이즈등 에서는 폐유가 거의 상시적으로 다량으로 발생한다. 특히, 기름 묻은 용기를 물로 세척하는 경우에는 물과 기름이 섞이고 슬러지가 혼입된 폐수가 발생한다. 기름 묻은 용기의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고온의 세척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증기가 발생하기도 한다.
유분이 섞인 유수혼합 폐수를 그대로 하수관에 방류하는 경우에는 유분을 분해하기 위해 복잡하고 고비용 장시간의 처리시설과 처리과정이 요구되고, 유분을 충분히 분해하거나 제거하지 못한 유수혼합 폐수가 하천에 흘러들면, 하천수의 부영양화 등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처리기술과 시설이 개발되어 유수혼합 폐수의 유분 분해처리 또는 유분 분리처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지만, 시설설치 공간상의 문제, 처리비용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유수혼합 폐수의 처리가 기피되거나 적절하고 충분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유수혼합 폐수의 처리 실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이 저렴한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폐수 발생량을 감안하여 적절하고도 충분한 규모의 설비로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충분한 폐수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목적은 세척조 등과 같은 폐수발생원의 폐수 배출구와 하수관의 중간에 배치되어 수로를 이루는 파이프의 조합만으로 간단하게 구성되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면, 수로를 이루는 파이프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수분리기가 제공되며, 파이프 조합은 유수분리부와 수준유지부를 포함하고, 유수분리부는 2개 이상의 수직관과, 2개 이상의 수직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상부 수평관 및, 2개 이상의 수직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하부 수평관을 포함하며, 유수분리부의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하나의 수직관의 상류에는 입구가 연결되고, 유수분리부의 상부 수평관의 하류에는 제1 출구가 연결되며, 유수분리부의 하부 수평관의 하류에는 수준유지부가 연결되고, 수준유지부의 하류에는 제2 출구가 연결되며, 수준유지부는 유수분리부의 수직관의 상단 근처의 높이까지 물이 채워진 채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수준유지부는 제1 수직관과 상부 수평관 및 제2 수직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준유지부의 제1 수직관의 하단은 유수분리부의 하부 수평관의 하류에 연결되고, 수준유지부의 제2 수직관의 하류에는 제2 출구가 연결되며, 수준유지부의 수평관은 제1 수직관의 상단과 제2 수직관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준유지부의 제1 수직관의 하단과 제2 수직관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수평관을 더 포함하고, 하부 수평관의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수분리부의 입구에서 수평으로 분기된 제3 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수분리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4 출구를 더 포함하고, 제4 출구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4 출구는 유수분리부의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최상류측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4 출구는 유수분리부의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최하류측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수분리부는 3개 이상의 수직관을 포함하고, 제4 출구는 유수분리부의 3개 이상의 수직관 중 중간의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4 출구는 2개 이상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출구를 포함하며, 제4 출구의 각각은 유수분리부의 2개 이상의 수직관의 각각의 하단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세척조 등과 같은 폐수발생원의 폐수 배출구와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하여 수로를 이루게 하면, 입구로 유입된 유수혼합물에서 기체와 유분 및 슬러지가 제각기 분리되어, 증기 등과 같은 기체는 제3 출구로, 유분 등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은 제1 출구로, 슬러지 등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은 제4 출구로 각각 배출되고, 제2 출구에서는 물과 수용성 성분만 배출된다.
그럼으로써, 이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여 유수혼합 폐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며,
도 6은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며,
도 8은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내부의 수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유수분리기의 수로의 일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이 발명의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하면서 비교적 다순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수로를 이루기 위한 파이프(pipe)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되며, 이 파이프 조합은 유수분리부(200)와 수준유지부(30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유수분리부(200)는 2개의 수직관(211, 212)과 2개의 수평관(221, 231)을 포함하며, 유수혼합액의 입구(110)로 유입된 유수혼합액 중 물의 대부분은 제1 수직관(211)과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고, 물의 소부분과 유분(oil fraction)은 상부 수평관(221)을 통해 흘러가서, 유분은 유분 출구(130)로 흘러나가며, 물의 소부분은 제2 수직관(212)을 통해 하류로 흘러간다.
제1 수직관(211) 및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흘러온 물의 대부분과, 상부 수평관(221) 및 제2 수직관(212)을 통해 흘러온 물의 소부분은, 합류하여 유수분리부(200)의 하류에 설치된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과 상부 수평관(321) 및 제2 수직관(312)을 통해 물의 출구(120)로 흘러나간다.
수준유지부(300)의 수준유지 작동과 유수분리부(200)의 유수분리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수준유지부(300)에 하부 수평관(330)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동일하다. 하부 수평관(330)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3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수평관(330) 및 개폐밸브(331)의 용도 및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유수분리부(200)의 유수혼합액의 입구(110)에 수평으로 분기된 기체 출구(14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동일하다. 기체 출구(140)의 용도 및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5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유수분리부(200)의 하부에 슬러지(sludge) 배출구(15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동일하다. 슬러지 배출구(150)에는 2개의 개폐밸브(241, 242)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개폐밸브(241, 242)가 설치되어 있지만, 1개의 개폐밸브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슬러지 배출구(150)의 용도 및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6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유수분리부(200)가 제3 수직관(213)과 제2 상부 수평관(222) 및 제2 하부 수평관(23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동일하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는, 유수혼합액의 입구(110)로 유입된 유수혼합액 중 물의 대부분은 제1 수직관(211)과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고, 물의 잔여 부분과 유분은 제1 상부 수평관(221)을 통해 흘러가서 물의 제1 소부분은 제2 수직관(212)과 제2 하부 수평관(232)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며, 물의 제2 소부분과 유분은 제2 상부 수평관(222)을 통해 흘러가서, 유분은 유분 출구(130)로 흘러나가며, 물의 제2 소부분은 제3 수직관(213)을 통해 하류로 흘러간다.
제1 수직관(211) 및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흘러온 물의 대부분과, 제1 상부 수평관(221) 및 제2 수직관(212)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1 소부분 및, 제2 상부 수평관(222) 및 제3 수직관(213)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2 소부분은, 합류하여 유수분리부(200)의 하류에 설치된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과 상부 수평관(321) 및 제2 수직관(312)을 통해 물의 출구(120)로 흘러나간다.
도 7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유사하지만, 제5 실시예에서는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의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150)가 제6 실시예에서는 유수분리부(200)의 제2 수직관(2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유사하지만, 제5 실시예에서는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의 하부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150)가 제7 실시예에서는 유수분리부(200)의 제3 수직관(2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유수분리부(200)가 제4 수직관(214)과 제3 상부 수평관(223) 및 제3 하부 수평관(233)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와 동일하다.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에서는, 유수혼합액의 입구(110)로 유입된 유수혼합액 중 물의 대부분은 제1 수직관(211)과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고, 물의 잔여 부분과 유분은 제1 상부 수평관(221)을 통해 흘러가서 물의 제1 소부분은 제2 수직관(212)과 제2 하부 수평관(232)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며, 물의 잔여 소부분과 유분은 제2 상부 수평관(222)을 통해 흘러가서 물의 제2 소부분은 제3 수직관(213)과 제3 하부 수평관(233)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며, 물의 제3 소부분과 유분은 제3 상부 수평관(223)을 통해 흘러가서, 유분은 유분 출구(130)로 흘러나가며, 물의 제3 소부분은 제4 수직관(214)을 통해 하류로 흘러간다.
제1 수직관(211) 및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흘러온 물의 대부분과, 제1 상부 수평관(221) 및 제2 수직관(212)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1 소부분과, 제2 상부 수평관(222) 및 제3 수직관(213)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2 소부분 및, 제3 상부 수평관(223) 및 제4 수직관(214)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3 소부분은, 합류하여 유수분리부(200)의 하류에 설치된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과 상부 수평관(321) 및 제2 수직관(312)을 통해 물의 출구(120)로 흘러나간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수준유지부(300)와 유수분리부(200)를 포함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각 구성요소의 용도 및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0에 보이듯이,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유수혼합액 입구(110), 물 출구(120), 유분 출구(130), 기체 출구(140), 슬러지 배출구(150)와,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 제2 수직관(212), 제3 수직관(213), 제1 상부 수평관(221), 제2 상부 수평관(222), 제1 하부 수평관(231), 제2 하부 수평관(232) 및,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 제2 수직관(312), 상부 수평관(321)을 포함한다.
도 10에 보이듯이 모든 구성요소를 이루는 파이프들이 비어 있는 초기상태에서 장착된 유수분리기에 물을 흘려 넣으면, 도 11에 보이듯이,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 제2 수직관(212), 제3 수직관(213), 제1 하부 수평관(231), 제2 하부 수평관(232) 및,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에 물이 채워진다.
수준유지부(300)의 상부 수평관(321)의 높이는 유수분리부(200)의 제1 상부 수평관(221) 및 제2 상부 수평관(222)과 같거나 낮은 높이에 있어야 한다. 수준유지부(300)의 상부 수평관(321)의 높이가 유수분리부(200)의 제1 상부 수평관(221) 또는 제2 상부 수평관(222)보다 높은 높이에 있으면, 유수분리부(200)의 제1 상부 수평관(221) 또는 제2 상부 수평관(222)에도 물이 채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원활한 유수분리 작동을 기대하기 어렵다.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유수혼합액 입구(110)에 유수혼합액을 흘려넣으면, 유수혼합액은 기체 출구(140)로의 수평 분기부를 이루는 수평 파이프를 통해 흐르면서 유수혼합액 속에 섞인 기체가 분리되어 기체 출구(140)로 빠져나간다.
유수혼합액 중 물의 대부분은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과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고, 물의 잔여 부분과 유분은 제1 상부 수평관(221)을 통해 흘러가서 물의 제1 소부분은 제2 수직관(212)과 제2 하부 수평관(232)을 통해 하류로 흘러가며, 물의 제2 소부분과 유분은 제2 상부 수평관(222)을 통해 흘러가서, 유분은 유분 출구(130)로 흘러나가며, 물의 제2 소부분은 제3 수직관(213)을 통해 하류로 흘러간다.
유수혼합액 입구(110)로 유입되는 유수혼합액의 양이 소량인 경우에는 유수혼합액 중 물의 거의 전부가 유수분리부(200)의 제1 수직관(211) 속으로 흘러들어가고, 미량만 제1 상부 수평관(221)으로 분기되어 흐른다.
유수혼합액 입구(110)로 유입되는 유수혼합액의 양이 많아질수록 제1 상부 수평관(221) 및 그 하류의 상부 수평관(222, 223)으로 분기되어 흐르는 양이 많아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수분리부(200)가 2 내지 4개의 수직관(211, 212, 213, 214)을 포함하고 있지만, 유수혼합액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수직관의 수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수직관(211, 212, 213, 214)의 높이에 구체적인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수직관(211, 212, 213, 214) 속으로 흘러든 물 속에 혼입될 수 있는 유분이 하부 수평관(231, 232,233)에 도달하기 전에 수직관(211, 212, 213, 214)의 상부로 떠오르는 것을 보장할 정도의 깊이를 가져야 한다.
물 속에 혼입된 유분이 수직관(211, 212, 213, 214)의 상부로 떠오르는 것은 수직관(211, 212, 213, 214) 속에서의 유속에 영향을 받는다. 즉, 유속이 느리면 유분이 빠르고 쉽게 떠오르지만, 유속이 빠르면 유분이 더디 떠오르면서 수직관(211, 212, 213, 214) 속으로 끌려들어가는 깊이가 더 깊어진다. 유량이 동일하다면, 수직관(211, 212, 213, 214)의 직경이 클수록 유속이 느리다. 그러므로, 수직관(211, 212, 213, 214)의 직경이 클수록 깊이는 낮게 할 수 있다.
제1 수직관(211) 및 제1 하부 수평관(231)을 통해 흘러온 물의 대부분과, 제1 상부 수평관(221) 및 제2 수직관(212)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1 소부분 및, 제2 상부 수평관(222) 및 제3 수직관(213)을 통해 흘러온 물의 제2 소부분은, 합류하여 유수분리부(200)의 하류에 설치된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과 상부 수평관(321) 및 제2 수직관(312)을 통해 물의 출구(120)로 흘러나간다.
유수분리기의 정상작동시에는 수준유지부(300)의 하부 수평관(331)의 개폐밸브(330)가 폐쇄되어 하부 수평관(331)을 통한 물의 흐름이 저지되고, 상부 수평관(321)을 통해서만 흐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준유지부(300)의 상부 수평관(321)이 유수분리부(200)의 상부 수평관(221, 222, 223)보다 약간 낮게 설치되어 있다.
유수혼합액의 유입이 정지된 상태에서 물이 수준유지부(300)의 상부 수평관(321)을 통해 출구(120)로 빠져나간 후에는, 도 11에 보이듯이, 수준유지부(300)의 제1 수직관(311)의 상단까지 채워져 있으며, 유수분리부(200)의 수직관(211, 212, 213)에도 동일한 높이까지 채워지므로 상단보다 약간 낮은 높이까지 채워진다.
유수혼합액이 유입되면, 수준유지부(300)에서의 물의 높이가 제1 수직관(311)의 상단보다 높아지면서 상부 수평관(321)을 통해 흐르고, 유수분리부(200)에서도 물의 높이가 상승하면서 유량에 따라 수직관(211, 212, 213)의 상단에 도달하거나 더 높아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유분 출구(130)가 다른 파이프들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지 않고 직각으로 꺾여 전방으로 돌출되어나오는 수평관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분 출구(130)가 직각으로 꺾인 수평관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유분 출구(130)로의 유체 흐름에 저항이 생기면서 유분 속에 혼입된 물이 유분 출구(130)로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되고 수직관(213) 속으로 흘러들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상부 수평관(222)을 통해 흘러오는 유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유분 출구(130)가 다른 파이프들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유분만 유분 출구(130)로 빠져나가고 물은 수직관(213) 속으로 흘러들 것으로 기대된다.
유수혼합액에 응고된 슬러지 등과 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직관(211) 속으로 물과 함께 흘러든 슬러지가 유수분리부(200)의 하부의 슬러지 배출구(150) 속으로 가라앉는다.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구(150)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하부 수평관(231, 232)을 통해 하류로 흘러갈 수 있다. 그러므로, 유속이 빠른 경우에는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서처럼 슬러지 배출구(150)를 제2 수직관(212) 또는 제3 수직관(213)의 하부 등과 같이 좀더 하류에 설치하거나 2 이상의 위치에 복수의 슬러지 배출구(150)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슬러지 배출구(150)의 제1 개폐밸브(241)가 개방되고 제2 개폐밸브(24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개폐밸브와 제2 개폐밸브(242) 사이에 슬러지가 쌓이면, 제1 개폐밸브(241)를 폐쇄하여 물의 배출을 방지하고 제2 개폐밸브(242)를 개방함으로써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구(150) 밖으로 배출된다.
수준유지부(300)의 하부 수평관(330)의 개폐밸브(331)는 평소에는 닫혀 있으며, 유수분리기 전체를 청소할 때 등과 같이 특별한 상황에서만 개폐된다.
이상과 같이 입구(110)로 유입된 유수혼합물에서 기체와 유분 및 슬러지는 분리되어 기체 출구(140)와 유분 출구(130) 및 슬러지 배출구(150)로 배출되고, 출구(120)에서는 물과 수용성 성분만 배출된다.
출구(120)는 하수관(도시 안됨) 또는 하수 처리시설(도시 안됨)로 연결되어 물과 수용성 성분만 흘려보내 처리하고, 유분 출구(130)는 유분 수거시설(도시 안됨)로 연결되어 유분을 수거하여 처리하며, 기체 출구(140)는 탈취 및 소독설비를 가진 기체 포집부(도시 안됨)로 연결되어 탈취 및 소독 후 방출하고, 고상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구(150)에서 수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이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이용하여 유수혼합 폐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구성의 세부적인 사항들은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준유지부가 2개의 수직관과 1개 이상의 수평관으로 구성되며, 물의 출구가 유수분리부의 하부 수평관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이 발명의 유수분리기의 수준유지부는 그러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부의 수준유지부의 용도는 유수분리기를 통해 흘러가는 물을 이용하여 유수분리부의 수직관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를 수직관의 상단 근처로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정할 수 있는 간편한 구성으로는 유수분리부의 수직관의 상단 근처의 높이에 배치된 출구를 갖는 단일의 수직관으로 수준유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구성의 단순화를 위해서는 수준유지부를 단일의 수직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른 어떤 이유로든 다수의 수직관과 수평관을 포함하는 더 복잡한 구성의 수준유지부도 가능할 것이다.
이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 발명의 정신 및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앞서 설명한 유수분리기의 구성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조절,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아래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와 같이 이 발명의 정신 및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조절, 수정 및 변경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둘 것을 의도한 것이다.

Claims (9)

  1. 수로를 이루는 파이프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조합은 유수분리부와 수준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분리부는 2개 이상의 수직관과,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상부 수평관 및,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하부 수평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하나의 수직관의 상류에는 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상부 수평관의 하류에는 제1 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하부 수평관의 하류에는 상기 수준유지부가 연결되고,
    상기 수준유지부의 하류에는 제2 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수준유지부는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의 상단 근처의 높이까지 물이 채워진 채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유수분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준유지부는 제1 수직관과 상부 수평관 및 제2 수직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준유지부의 상기 제1 수직관의 하단은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하부 수평관의 하류에 연결되고,
    상기 수준유지부의 상기 제2 수직관의 하류에는 상기 제2 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수준유지부의 상기 수평관은 상기 제1 수직관의 상단과 상기 제2 수직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유수분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준유지부의 상기 제1 수직관의 하단과 상기 제2 수직관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수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관의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유수분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입구에서 수평으로 분기된 제3 출구를 더 포함하는, 유수분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4 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출구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유수분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출구는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최상류측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된, 유수분리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출구는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최하류측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된, 유수분리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부는 3개 이상의 수직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출구는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3개 이상의 수직관 중 중간의 수직관의 하단에 연결된, 유수분리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출구는 2개 이상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출구의 각각은 상기 유수분리부의 상기 2개 이상의 수직관 중 2개 이상의 수직관의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 유수분리기.
KR1020130023645A 2013-03-05 2013-03-05 유수 분리기 KR10141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645A KR101410713B1 (ko) 2013-03-05 2013-03-05 유수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645A KR101410713B1 (ko) 2013-03-05 2013-03-05 유수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03A KR20130046403A (ko) 2013-05-07
KR101410713B1 true KR101410713B1 (ko) 2014-06-27

Family

ID=4865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645A KR101410713B1 (ko) 2013-03-05 2013-03-05 유수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7364B (zh) * 2015-03-16 2017-01-0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油水分离装置和油水分离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949Y1 (ko) 2001-04-11 2001-10-11 최수만 비중차를 이용한 유수분리기
KR200320288Y1 (ko)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KR200432702Y1 (ko) 2006-09-05 2006-12-07 임수태 유수분리기
KR20080006524A (ko) * 2007-12-28 2008-01-16 한상관 오염된 물 또는 자연물을 정화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949Y1 (ko) 2001-04-11 2001-10-11 최수만 비중차를 이용한 유수분리기
KR200320288Y1 (ko) 2003-04-24 2003-07-22 이경수 유수 분리기
KR200432702Y1 (ko) 2006-09-05 2006-12-07 임수태 유수분리기
KR20080006524A (ko) * 2007-12-28 2008-01-16 한상관 오염된 물 또는 자연물을 정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403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CN202343009U (zh) 餐厨油水分离装置
CN102614684A (zh) 一种用于水电站渗漏排水系统的油水分离装置
KR101410713B1 (ko) 유수 분리기
JP2017190655A (ja) 阻集器
JP6529122B2 (ja) 油水分離システム
CN102399041A (zh) 全自动化无动力装置集油器
JP6401913B2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KR101661736B1 (ko) 개수로용 유량 측정 장치
KR101657508B1 (ko)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JP6203646B2 (ja) 排水システム
JP6333097B2 (ja) 流路洗浄装置を備えたフィルタ洗浄設備
CN209114580U (zh) 水封地漏芯及地漏安装结构
CN204097134U (zh) 油水分离装置
KR101720201B1 (ko) 정체층 형성을 방지하는 무동력 저장탱크
RU2666858C2 (ru) Септик
CN105709496A (zh) 厨房用油水分离器
CN210645230U (zh) 一种油水分离器及其组合油水分离装置
CN103488196B (zh) 污水流量恒定方法
JP3195658U (ja) 阻集器
KR20150093369A (ko) 음식물과 물과 기름을 동시에 분리하는 장치
CN105254046A (zh) 一种含油水的除油装置
JP2005219047A (ja) 油水分離装置
CN205773515U (zh) 高效水油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