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419B1 -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419B1
KR102409419B1 KR1020220036946A KR20220036946A KR102409419B1 KR 102409419 B1 KR102409419 B1 KR 102409419B1 KR 1020220036946 A KR1020220036946 A KR 1020220036946A KR 20220036946 A KR20220036946 A KR 20220036946A KR 102409419 B1 KR102409419 B1 KR 10240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structure
coupled
cover
su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구
Original Assignee
심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구 filed Critical 심성구
Priority to KR102022003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타설된 콘크리트벽면에 에폭시 도장을 수행하던 것을, SUS(서스) 재질의 판을 에폭시 본딩을 통해 결합하여 구성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Drainage Foundation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타설된 콘크리트벽면에 에폭시 도장을 수행하던 것을, SUS(서스) 재질의 판을 에폭시 본딩을 통해 결합하여 구성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처리장, 정수지, 배수지, 침전지 등에 적용되며, 특히 정수처리장에서는 배수지의 물에 소독약품을 혼합시켜 소독을 하게 된다. 이때 정수처리장 내부로는 물과 소독약품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혼합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외에 패널 형태의 도류벽 및 정류벽 등과 같은 간막이 벽체가 설치된다.
상기 도류벽은 정수처리장내 물의 체류시간을 길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재그형태로 긴 유로를 형성하며 물의 흐름 방지재(baffle) 역할을 하게 되며, 정류벽은 적정 소독능(CT)중 접촉시간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하며, 기존 정수지에 적용된 기술의 일 실시예로서 인용고안인 등록실용신안 제20-0313209호의 전문을 인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상수도 정수처리시설 중에서 정수지 및 배수지(정수처리장)는 물이 입수(W/I : Water In) 및 출수(W/O : Water Out)되게 입수관과 출수관( 콘크리트 벽체에 배관되어 있는 직사각 내부 공간을 갖는다.
이때, 기존의 정류벽과 도류벽들은 정수지 건설과 함께 형성된 일체형 콘크리트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미리 일정 크기로 제작된 후 정수지 및 배수지의 내부에서 적조되는 콘크리트 프리케스트 방식으로 시공되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된 종래 벽면 구조물은 에폭시 도장을 이용하여 구성되는데, 본 출원인은 벽면에 SUS판을 결속하는 방식으로 내구도가 향상된 기초벽 구조물을 제안하고자 한다.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58호에는 고강도를 이용한 상수도용 도류벽의 설치방법 및 그 구조이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기술은, 상수도 시설물 중 정수지(淨水池)와 배수지(配水池)에서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소독약품(염소)과의 충분한 접촉시간(CT)을 확보하기 위해 지(池)내에 설치하는 도류벽(Baff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정수장에서 약품혼화 침전 여과등의 정수공정을 거쳐 생산된 수돗물은 정수지(淨水池)에서 약품소독(염소)처리 후 배수지(配水池)로 보내 시민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정수지(淨水池)와 배수지(配水池)에 물의 흐름을 잡아주는 시설물(Baffle)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물이 정체되는 구간에서 사수(死水)가 발생하게 되며, 환경부에서 제정한 정수처리기준에서는 생산된 정수(淨水)가 소독약품(염소)과의 충분한 접촉시간(CT)을 확보토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도류벽(Baffle)이 정수를 지(池)내에서 충분히 체류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것은 바로 생산된 정수(淨水)가 소독약품(염소)과의 충분한 접촉시간(CT)을 확보토록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강도를 이용한 상수도용 도류벽의 설치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방향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13733호에는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저수조를 보강토록 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내측벽에 다수 부착되어 내측벽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각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마주하는 테두리부 끼리 결합되며 사각판체 상에는 내측벽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반구 형태의 수압지지홈이 형성되는 벽체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 일측 모서리부에 함몰 형성되며, 저수조의 외부와 연통설치된 배수관이 구비되는 집수부와, 상기 바닥부에 다수 부착되어 바닥부를 덮도록 구성되어지되 각각 사각판체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판넬과, 상기 저수조의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어 잔류수가 유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에 삽입되어 상판이 바닥부와 수평 일치되어지되 상판에 다수 배수홀이 형성되는 배수판넬로 이루어진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13209호(2003.04.30. 등록)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058호(2008.05.15.) 등록특허공보 제10-1013733호(2011.02.01.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2162호(2011.05.18.)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타설된 콘크리트벽면에 에폭시 도장을 수행하던 것을, SUS(서스) 재질의 판을 에폭시 본딩을 통해 결합하여 구성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은, 메인벽(10)의 일측에 에폭시 본딩(E)을 통해 SUS판(20)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벽(10)의 표면에 에폭시 본딩(E)을 수행하고, 에폭시 본딩(E)이 이루어진 벽면에 SUS판(20)을 결합하되,
상기 SUS판(20)은 에폭시 본딩(E)에 의해 메인벽(10) 일측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구조물(31)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일측커버(32)와;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일측커버(3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타측커버(33);를 포함하여 상기 SUS판(2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US판(20)은 일단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일단부가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일벽면에 맞닿는 접촉층(4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의하면, 종래 타설된 콘크리트벽면에 에폭시 도장을 수행하던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을, SUS 재질의 판을 에폭시 본딩하여 구성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있어서, 메인벽에 SUS판을 결합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있어서, 메인벽에 SUS판을 결합하는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타설된 콘크리트벽면에 에폭시 도장을 수행하던 것을, SUS(서스) 재질의 판을 에폭시 본딩을 통해 결합하여 구성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은, 메인벽(10)의 일측에 에폭시 본딩(E)을 통해 SUS판(20)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술된 SUS판(20)이 메인벽(10)에 결합되는 일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있어서, 메인벽에 SUS판을 결합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메인벽(10)의 표면에 에폭시 본딩(E)을 수행하고, 에폭시 본딩(E)이 이루어진 벽면에 SUS판(20)을 결합하되, 상기 SUS판(20)은 에폭시 본딩(E)에 의해 메인벽(10) 일측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구조물(31)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일측에 볼팅이나 접착 등으로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일측커버(32)와;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타측에 볼팅이나 접착 등으로 결합되되 상기 일측커버(3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타측커버(33);를 포함하여 상기 SUS판(20)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SUS판(20)은 일단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되, 이러한 단부가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SUS판(20)에서부터 콘크리트 재질의 메인벽(10) 사이 공간에는 첨부된 도면과 다르게 에폭시 본딩(E)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일벽면에 맞닿는 접촉층(4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에 있어서, 메인벽에 SUS판을 결합하는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접촉층(40)은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구비된 SUS판(20)과;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의 내벽면; 사이에 구성된 층으로서, 플렉시블한 재질의 인위적으로 제작된 층 구조물일 수도 있고, 도포되어 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층(4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SUS판(20)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공간에는 SUS판(20)을 결합하고 일측에 중공(50)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공(50)은 빈 공간 그대로 둘 수도 있고, 혹은 별도의 블록 형상의 결합구조물을 끼워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표 1]과 같은 간격조절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22032145834-pat00001
[표 1]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중공(50) 일측에 가림벽(51)을 형성하되, 상기 가림벽(51)에는 관통홀(52)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가림벽(51)을 기준으로 중공(50)의 일측에는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 일측에서 연장된 메인축(5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축(53)의 일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메인축 헤드(531)가 구성되며, 상기 메인축 헤드(531)의 외면에는 오목홈(53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벽(51)을 기준으로 중공(50)의 다른 일측 중, 메인축(53)에 마주되는 일측커버(32) 또는 접촉층(40) 일측으로는 상승축(54)이 구성되되, 상기 상승축(54)의 일단부에는 원통향상의 상승축 헤드(541)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승축 헤드(541)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승축(54)은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 일측에 연장되는데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凸' 형상의 2단 돌기가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승축(54)의 일측에 상기 2단 돌기에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홈부가 2단 돌기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승축(54)이 회전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축 헤드(531)에서부터 상승축 헤드(541)까지 수용하는 회전커버(55)가 구성되되, 상기 회전커버(55)는 일측이 상기 메인축 헤드(531)의 오목홈(53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구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상으로서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승축(54)의 상승축 헤드(541)에 형성된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55)의 외측으로는 조작봉(551)이 돌출되어 연장되며, 이러한 조작봉(551)은 가림벽(51)의 관통홀(52)을 통해 가림벽(51)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에 따라, 조작봉(551)을 조작하여 베이스 구조물(31);과 일측커버(32); 사이 공간 또는 접촉층(40) 내측의 사이공간을 인위적으로 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SUS판(20)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E : 에폭시 본딩
10 : 메인벽
20 : SUS판
31 : 베이스 구조물
32 : 일측커버
33 : 타측커버
40 : 접촉층
50 : 중공
51 : 가림벽
52 : 관통홀
53 : 메인축
531 : 메인축 헤드
532 : 오목홈
54 : 상승축
541 : 상승축 헤드
55 : 회전커버
551 : 조작봉

Claims (4)

  1. 메인벽(10)의 일측에 에폭시 본딩(E)을 통해 SUS판(20)을 결합하여 구성된,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로서,
    상기 메인벽(10)의 표면에 에폭시 본딩(E)을 수행하고, 에폭시 본딩(E)이 이루어진 벽면에 SUS판(20)을 결합하되,
    상기 SUS판(20)은 에폭시 본딩(E)에 의해 메인벽(10) 일측에 접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구조물(31)과;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일측커버(32)와; 상기 베이스 구조물(31)의 타측에 결합되되 상기 일측커버(3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절곡된 'ㄱ'자 형상의 타측커버(33);를 포함하여 상기 SUS판(20)을 결합하고,
    상기 SUS판(20)은 일단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일단부가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또는 타측커버(33)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에 일벽면에 맞닿는 접촉층(40)을 구성하고,
    상기 일측커버(32)에서부터 베이스 구조물(31) 사이 공간에는 SUS판(20)을 결합하고 일측에 중공(50)이 포함되도록 하되,
    상기 중공(50) 일측에 가림벽(51)을 형성하되, 상기 가림벽(51)에는 관통홀(52)이 형성하고,
    상기 가림벽(51)을 기준으로 중공(50)의 일측에는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 일측에서 연장된 메인축(53)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축(53)의 일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메인축 헤드(531)가 구성되며, 상기 메인축 헤드(531)의 외면에는 오목홈(53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림벽(51)을 기준으로 중공(50)의 다른 일측 중, 메인축(53)에 마주되는 일측커버(32) 또는 접촉층(40) 일측으로는 상승축(54)이 구성되되, 상기 상승축(54)의 일단부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향상의 상승축 헤드(541)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축(54)은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 일측에 연장는데 있어서, '凸' 형상의 2단 돌기가 베이스 구조물(31) 또는 접촉층(40)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상승축(54)의 일측에 상기 2단 돌기에 대응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홈부가 2단 돌기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승축(54)이 회전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축 헤드(531)에서부터 상승축 헤드(541)까지 수용하는 회전커버(55)가 구성되되, 상기 회전커버(55)는 일측이 상기 메인축 헤드(531)의 오목홈(53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절곡되어 구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상으로서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승축(54)의 상승축 헤드(541)에 형성된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커버(55)의 외측으로는 조작봉(551)이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조작봉(551)은 가림벽(51)의 관통홀(52)을 통해 가림벽(51)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36946A 2022-03-24 2022-03-24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KR10240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946A KR102409419B1 (ko) 2022-03-24 2022-03-24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946A KR102409419B1 (ko) 2022-03-24 2022-03-24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419B1 true KR102409419B1 (ko) 2022-06-14

Family

ID=8198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946A KR102409419B1 (ko) 2022-03-24 2022-03-24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41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507A (ja) * 2000-07-24 2002-02-06 Nippon Jikkou Co Ltd 防食板ジョイン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200313209Y1 (ko) 2003-02-14 2003-05-1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정수처리시설의 내벽 조립체
KR20080001058U (ko) 2006-11-10 2008-05-15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고강도를 이용한 상수도용 도류벽의 설치방법 및 그 구조
KR101013733B1 (ko) 2010-09-09 2011-02-14 주식회사 영성위아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KR20110052162A (ko) 2009-11-12 2011-05-18 김성일 저수조 시공구조
KR20140051733A (ko) * 2012-10-23 2014-05-02 박하성 지하구조물 설치용 패널
KR101731873B1 (ko) * 2016-07-27 2017-05-11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KR101804114B1 (ko) * 2017-04-28 2017-12-04 주식회사 원진 콘크리트 저류조 및 정수장의 내부면의 위생성 향상과 사용수명 연장을 위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8507A (ja) * 2000-07-24 2002-02-06 Nippon Jikkou Co Ltd 防食板ジョイン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200313209Y1 (ko) 2003-02-14 2003-05-1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정수처리시설의 내벽 조립체
KR20080001058U (ko) 2006-11-10 2008-05-15 (주)한국건설엔지니어링 고강도를 이용한 상수도용 도류벽의 설치방법 및 그 구조
KR20110052162A (ko) 2009-11-12 2011-05-18 김성일 저수조 시공구조
KR101013733B1 (ko) 2010-09-09 2011-02-14 주식회사 영성위아 개선된 보강구조를 갖는 저수조
KR20140051733A (ko) * 2012-10-23 2014-05-02 박하성 지하구조물 설치용 패널
KR101731873B1 (ko) * 2016-07-27 2017-05-11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물탱크용 라이닝부재 시공 구조
KR101804114B1 (ko) * 2017-04-28 2017-12-04 주식회사 원진 콘크리트 저류조 및 정수장의 내부면의 위생성 향상과 사용수명 연장을 위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38B1 (ko) 상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구조
KR100886156B1 (ko) 회류유도형 원통저수조
KR102409419B1 (ko) 배수지 기초벽 구조물
CA2083538C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cleaning waste water
EP1612191A1 (de) Vollbiologische Kleinkläranlage nach dem SBR-Verfahren mit im Vorklärbehälter integriertem Reaktorbehälter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KR100512026B1 (ko)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JP2005511279A (ja) 汚水処理プラント
KR200387058Y1 (ko) 하수구 이중 배출 구조
KR100399488B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CN208657452U (zh) 一种农场的肥水系统
KR100455647B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JP5041921B2 (ja) 排水ポンプ装置
KR20070100115A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RU21294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271280Y1 (ko)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200294003Y1 (ko) 원통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상하수도 정수처리 시스템
JP3656096B2 (ja) 水中ポンプ用の予旋回槽
KR20050037234A (ko) 육각형탱크를 서로 집합한 다수격벽 물탱크.
CN212016861U (zh) 一种高效易清洗的滤料过滤池
KR20170048718A (ko)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RU209999U1 (ru) Септик
KR20060038636A (ko) 오버플로워관을 중앙지지대로하고 내부격벽형태를달리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킨 원통형유체저장탱크.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