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62B1 -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 Google Patents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62B1
KR101689262B1 KR1020160087200A KR20160087200A KR101689262B1 KR 101689262 B1 KR101689262 B1 KR 101689262B1 KR 1020160087200 A KR1020160087200 A KR 1020160087200A KR 20160087200 A KR20160087200 A KR 20160087200A KR 101689262 B1 KR101689262 B1 KR 101689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walls
tank
ho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주)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 filed Critical (주)금강
Priority to KR1020160087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62B1/ko
Priority to PCT/KR2017/006577 priority patent/WO20180127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는 도류벽이 외부탱크와 내부탱크에 일체형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절곡패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고,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맨홀구멍이 도류벽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이 지그재그로 유동되도록 맨홀구멍과 관통공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Water storage tank having increased durability due to training wall having manhole and inner/outer wall being coupled each other integrally}
본 발명은 물탱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류벽이 내,외부탱크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어 내,외부탱크를 지지하고 절곡패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지력이 우수하고,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맨홀구멍이 도류벽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이 와류로 인해 아래ㆍ위 및 좌ㆍ우로 지그재그로 유동되도록 맨홀구멍과 관통공이 배치된 물탱크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탱크에 설치되는 도류벽은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벽으로서,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류벽(1)(2)은 외부탱크(5)의 내부면과 내부탱크(3)의 외부면에 교대로 설치되고, 내,외부탱크(3)(5) 사이의 거리(S) 보다 짧은 폭(W)을 갖는다. 외부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관(4a)을 통해서 내부탱크(3)에 공급되고, 내부탱크(3)의 물은 유출구(4b)를 통해 외부탱크(5)로 공급되며, 외부탱크(5)의 물은 도류벽(1)(2)을 경유하여 이동한 후 배수관(4c)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도류벽(1)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도류벽(2)에는 관통공이 없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 유동하는 물과 도류벽(1)이 없는 부분을 통해 유동하는 물은 흐름의 저항이 다르기 때문에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체수 및 단락류가 생기지 않고 순차적인 물 흐름이 가능하며, 교반작용과 체류값을 증가시켜 이물질 침전을 위한 시간을 증가시키고 염소 소독 효과를 크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류벽(1)(2)의 폭(W)은 내,외부탱크(3)(5) 사이의 거리(S) 보다 짧은데, 이것은 청소 작업 또는 보수 작업시 도류벽(1)(2)이 없는 부분을 통해서 작업자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류벽(1)(2)은 내,외부 탱크(3)(5)에 작용하는 하중(수압 등)을 지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류벽(1)(2)은 저장된 물에 와류를 발생시키지만 상기 와류는 저장된 물을 좌,우로 지그재그로 유동시키는 작용만 하고 상,하로 유동시키는 작용은 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내,외벽이 도류벽에 의해서 일체형 구조로 되고 도류벽이 절곡패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외부탱크에 작용하는 하중(수압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류벽에 형성된 맨홀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물이 도류벽의 맨홀구멍과 관통공으로 인해 상ㆍ하 및 좌ㆍ우로 지그재그로 유동되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는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내,외부탱크(130)(120)에 작용하는 수압(하중)을 지지하는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도류벽(150)(250)(160)(260)에 의해서 내,외벽(내,외부탱크의 측벽)이 일체형 구조가 된다.
제1 도류벽(150)(250)과 제2 도류벽(160)(260)은 유출구(4b)에서부터 배수관(4c)에 이르기까지 유동 경로를 따라(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된다.
제1,2 도류벽(150)(250)(160)(260)에는 맨홀구멍(156)(166)과 다수 개의 관통공(157)(158)이 형성된다. 맨홀구멍(156)(166)은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의 아랫부분(하부)에 형성된다.
제1 도류벽(150)(250)의 맨홀구멍(156)은 내부탱크(13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맨홀구멍(166)은 외부탱크(12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맨홀구멍(156)(166)을 통하여 지그재그로 흘러가게 된다.
내,외부탱크(130)(120)에 대한 하중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은 그 높이 방향(도 6b, 도 7b, 도 11b, 도 12b의 상하 방향)으로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는 각각 내부탱크(130)에서부터 외부탱크(120)쪽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의 테두리에는 보강 프레임(170)이 결합될 수도 있다. 보강 프레임(170)은 사각형 형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보강 프레임(170)은 제1,2 도류벽(150)(250)(160)(260)과 협력하여 내,외부탱크(130)(120)에 작용하는 수압을 지지하고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이 유동하는 물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탱크(130)의 측벽(내벽)과 외부탱크(120)의 측벽(외벽)은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13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패널(122)(132)의 상단에 설치된 앵글이 상부에 위치한 패널(122)(132)의 하단에 설치된 앵글과 결합됨으로써 패널(122)(132)이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 중 하부에는 수압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하단 사이에도 앵글(124)(134)이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132)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아래 위로 유동되며 흘러가게 된다.
상기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도류벽(250)의 관통공(157)(158)은 내부탱크(130)와 가까운 곳에만 형성되고 제2 도류벽(260)의 관통공(157)(158)은 외부탱크(120)와 가까운 곳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물탱크의 물이 좌우로 지그재그로 흘러가게 된다.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곡 패널(15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곡패널(152)은 그 상,하단부(153)(154)가 직각으로 벤딩되고, 상,하단부(153)(154) 사이의 부분(중간 부분)은 앞,뒤쪽으로 교대로 반복적으로 벤딩되며, 상,하단부(153)(154)는 위,아래의 절곡패널(152)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도류벽에 의해서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되고 도류벽이 절곡패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외부탱크에 작용하는 하중(수압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둘째, 도류벽에 형성된 맨홀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다.
셋째, 저장된 물이 도류벽에 형성된 맨홀구멍과 관통공으로 인해서 상ㆍ하 및 좌ㆍ우로 지그재그로 유동되고, 이에 따라 정체수와 단락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순차적인 물 흐름이 가능하고 교반작용 및 체류값을 증가시켜 이물질 침전을 위한 시간과 염소 소독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내,외부 탱크의 측벽 패널의 상,하부를 보강하기 위한 플랜지 유닛(앵글)과 도류벽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므로 측벽의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물탱크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통형 물탱크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물탱크에 구비된 외부탱크와 내부탱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물탱크에서 제1,2 도류벽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제1 도류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b는 제1 도류벽과 보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제2 도류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b는 제2 도류벽과 보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3의 물탱크에서 발생되는 물 흐름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3의 물탱크에서 발생되는 물 흐름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서 제1,2 도류벽이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는 도 10의 물탱크에 구비된 제1 도류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제1 도류벽과 보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a는 도 10의 물탱크에 구비된 제2 도류벽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제2 도류벽과 보강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탱크와 외부탱크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물탱크(100)는 기초부(110)와,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된 외부탱크(120)와, 외부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탱크(130)와,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 사이에 설치된 제1,2 도류벽(150)(160) 및, 지붕(180)을 포함한다. 내부탱크(130)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도 2 및 도 8의 4a)과, 물탱크 내부의 염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염소 배출관(도면에 미도시) 등이 설치되지만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는 각각 기초부(110) 위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탱크(120)의 측벽(외벽)은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4개의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이 결합되어 외부탱크(120)의 측벽을 이루지만,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의 개수는 물탱크의 높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의 상단에는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1
단면 형상의 앵글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2
단면 형상의 앵글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하단의 앵글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위, 아래의 패널(122)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탱크(120)의 측벽 중 하부에 위치한 패널(122)에는 상기 상,하단 사이에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3
단면 형상의 앵글(124)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 유닛은 수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탱크(130)의 측벽(내벽)은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32)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5개의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32)이 결합되어 내부탱크(130)의 측벽을 이루지만,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32)의 개수는 물탱크의 높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패널(122)과 마찬가지로, 패널(132)의 상,하단에는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4
단면 형상의 앵글과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5
단면 형상의 앵글이 각각 결합되고, 이러한 앵글이 서로 결합(용접)됨으로써 패널(132)이 수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탱크(130)의 측벽 중 하부에 위치한 패널(132)에는 상기 상,하단 사이에
Figure 112016066524598-pat00006
단면 형상의 앵글(134)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 유닛은 수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탱크(130)는 외부탱크(120)의 내부에서 외부탱크(1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는 탱크 전체의 내부 저장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수압을 낮추는 동시에, 각 저장공간이 원통형 구조를 갖게 되므로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다.
제1,2 도류벽(150)(160)은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내ㆍ외부 탱크(130)(12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내,외부탱크(130)(120)의 측벽(내,외벽)이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2 도류벽(150)(160)은 유출구(도 8의 4b)에서부터 배수관(도 8의 4c)까지 이어지는 유동 경로 상에서 서로 교대로 설치되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도류벽(150)은 다수 개(도면에는 4개)의 절곡패널(15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절곡패널(152)은 상,하단부(153)(154)가 직각으로 벤딩되고, 상하단부 사이의 부분이 앞,뒤쪽으로 교대로 반복적으로 벤딩되어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하단부(153)(154)는 위,아래의 절곡패널(152)과 용접으로 결합된다.
상기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는 각각 내부탱크(130)에서부터 외부탱크(120)쪽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는 높이 방향(도 6a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곡패널(152)이 내,외부탱크(130)(120)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력이 커지고, 저장된 물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압을 잘 견딜 수 있다.
제1 도류벽(150)에는 맨홀구멍(156)과 다수 개의 관통공(157)(158)이 형성된다.
맨홀 구멍(156)은 보수 작업 또는 청소 작업 등을 위해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서,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직경 600mm ~ 900mm 정도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100)는 제1,2 도류벽(150)(160)이 내,외부탱크(130)(1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맨홀구멍(156)을 구비한다. 맨홀구멍(156)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사각형, 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 맨홀구멍(156) 주변의 응력집중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맨홀구멍(156)은 도류벽에 별도의 작업자용 개폐문(도면에 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보다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다는 장점과, 평상시에는 물의 이동통로가 되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맨홀구멍(156)은 제1 도류벽(150)의 아랫 부분(도면에서는 네 개의 절곡패널 중에서 가장 아래의 절곡패널)에 형성되는데, 이것은 작업자가 엎드려서 통과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높이이기 때문이다. 만약, 맨홀구멍(156)이 위쪽에 형성되면 작업자가 통과하기가 어렵다.
맨홀구멍(156)은 제1 도류벽(150)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탱크(130) 쪽에 형성된다. 이에 비해, 제2 도류벽(160)의 맨홀구멍(166)은 제2 도류벽(16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부탱크(120) 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된 물은 맨홀구멍(156)(166)을 통해서 좌우로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점은 아래에서 더 설명된다.
관통공(157)(158)은 절곡패널(15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의 이동통로가 된다. 제1 도류벽(150)의 하부(예를 들어, 4개의 절곡패널 중 아래쪽 2개의 절곡패널)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의 상부(예를 들어, 4개의 절곡패널 중 위쪽 2개의 절곡패널)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된다. 관통공(157)(158)의 크기가 다른 것은 저장된 물이 제1,2 도류벽(150)(160)을 통과하면서 아래,위로 유동되도록 하는데, 이 점은 아래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5와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도류벽(150)의 테두리에는 보강 프레임(17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도류벽(150)이 내,외부탱크(130)(12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내,외부탱크(130)(120)에 작용하는 수압(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지만, 제1 도류벽(150)의 테두리에 보강 프레임(170)이 결합됨으로써 보강 프레임(170)과 제1 도류벽(150)이 함께 상기 수압(하중)을 지지할 수도 있다.
보강 프레임(17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사각형의 내부에 제1 도류벽(150)이 용접되어 결합된다. 보강 프레임(170)은 제1 도류벽(150)과 협력하여 내부탱크(130)와 외부탱크(120)에 작용하는 수압(하중)을 지지하고, 유동하는 물에 의해서 제1 도류벽(15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도류벽(160)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 개(도면에는 4개)의 절곡패널(15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도류벽(150) 사이에 설치된다. 절곡패널(152)의 벤딩 구조와 상,하부 절곡패널(152)의 결합구조는 상술한 절곡패널(152)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2 도류벽(160)의 테두리에는 보강 프레임(170)이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점은 제1 도류벽(150)에서와 동일하다.
제2 도류벽(160)에는 맨홀구멍(166)과 다수 개의 관통공(157)(158)이 형성된다.
맨홀구멍(166)은 제2 도류벽(160)의 아랫 부분(도면에서는 네 개의 절곡패널 중에서 가장 아래의 절곡패널)에 형성된다. 그리고, 맨홀구멍(166)은 제2 도류벽(16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부탱크(120) 쪽에 형성된다.
관통공(157)(158)은 제2 도류벽(16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물의 이동통로가 된다. 제2 도류벽(160)의 하부(예를 들어, 4개의 절곡패널 중 아래쪽 2개의 절곡패널)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의 상부(예를 들어, 4개의 절곡패널 중 위쪽 2개의 절곡패널)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맨홀구멍(156)(166)이 물의 유동 경로를 따라 내부탱크(130)쪽과 외부탱크(120)쪽에 지그재그로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 및, 제1,2 도류벽(150)(160)에서 상,하부의 관통공(157)(158) 크기가 다른 구성으로 인해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좌우 및 상하로 유동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맨홀구멍(156)(166)이 물의 유동 경로를 따라(원주방향을 따라) 내부탱크(130)쪽과 외부탱크(120)쪽에 지그재그로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탱크(130)의 유출구(4b)를 통해 외부탱크(120)로 공급된 물이 배수관(4c)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 좌,우로 지그재그로 유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2 도류벽(150)(160)에서 상,하부의 관통공(157)(158) 크기가 다른 구성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상,하로 지그재그로 유동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좌우 및 상하로 지그재그로 유동하면 정체수 및 단락류가 생기지 않고 순차적인 물 흐름이 가능하며, 교반작용과 체류값이 증가되어 이물질 침전을 위한 시간이 증가되고 염소 소독 효과가 크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에서 제1,2 도류벽이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내지 도 9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물탱크(200)는 기초부(110, 도 10에 미도시)와, 기초부(110)의 위에 설치된 외부탱크(120)와, 외부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탱크(130)와,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 사이에 설치된 제1,2 도류벽(250)(260)과, 제1,2 도류벽(250)(260)의 테두리에 결합된 보강 프레임(170) 및, 지붕(180, 도 10에 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 중에서 기초부(110)와 내,외부탱크(130)(120)와 보강 프레임(170) 및 지붕(180)은 제1 실시예의 기초부(110)와 내,외부탱크(130)(120)와 보강 프레임(170) 및 지붕(180)과 각각 동일하다.
제1 도류벽(250)은, 제1 실시예의 제1 도류벽(150)과 비교하여, 관통공(157)(158)이 제1 도류벽(250)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탱크(130)쪽에만 형성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1 도류벽(250)에서 관통공(157)(158)은 맨홀구멍(156)쪽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도류벽(260)은, 제1 실시예의 제2 도류벽(160)과 비교하여, 관통공(157)(158)이 제2 도류벽(26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부탱크(120)쪽에만 형성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2 도류벽(260)에서 관통공(157)(158)은 맨홀구멍(166)과 동일한 쪽에만 형성되어 있다.
제1,2 도류벽(250)(260)의 관통공(157)(158)이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구성은 맨홀구멍(156)(166)이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 구성과 함께 물이 좌우로 더 크게 유동하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위에서는 제1 도류벽(150)(250) 하부에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상부에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 하부에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상부에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도류벽(150)(250) 하부에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상부에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 하부에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상부에 큰 관통공(158)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에서는 제1 도류벽(150)(250)의 맨홀구멍(156)이 내부탱크(130)쪽에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맨홀구멍(166)이 외부탱크(120)쪽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도류벽(150)(250)의 맨홀구멍(156)이 외부탱크(120)쪽에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맨홀구멍(166)이 내부탱크(130)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1, 2 : 도류벽 3, 130 : 내부탱크
4a : 급수관 4b : 유출구
4c : 배수관 5, 120 : 외부탱크
7, 110 : 기초부 122, 132 :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
124, 125, 134, 135 : 앵글
137 : 내부탱크의 측벽(내벽)에 설치된 출입문
150, 250 : 제1 도류벽
152 : 절곡패널 153 : 절곡패널의 상단부
154 : 절곡패널의 하단부 156, 166 : 맨홀 구멍
157, 158 : 관통공 160, 260 : 제2 도류벽
170 : 보강 프레임 100, 200 : 물탱크
S : 외부탱크(5)와 내부탱크(3) 사이의 거리
W : 도류벽(1)(2)의 폭

Claims (8)

  1. 외부탱크(120); 및
    외부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탱크(130);를 포함하고,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 사이에는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이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내,외부탱크(130)(120)의 측벽이 일체형 구조가 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제1,2 도류벽(150)(250)(160)(260)에는 맨홀구멍(156)(166)과 다수 개의 관통공(157)(158)이 형성되고,
    맨홀구멍(156)(166)은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의 아랫부분에 형성되며,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거나,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저장된 물이 아래 위로 유동되며 흘러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2. 외부탱크(120); 및
    외부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탱크(130);를 포함하고,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 사이에는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이 외부탱크(120)와 내부탱크(13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내,외부탱크(130)(120)의 측벽이 일체형 구조가 되어 하중을 지지하며,
    제1,2 도류벽(150)(250)(160)(260)에는 맨홀구멍(156)(166)과 다수 개의 관통공(157)(158)이 형성되고,
    맨홀구멍(156)(166)은 작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의 아랫부분에 형성되며,
    제1 도류벽(150)(250)의 맨홀구멍(156)은 내부탱크(13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맨홀구멍(166)은 외부탱크(12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되며,
    제1 도류벽(150)(250)과 제2 도류벽(160)(260)은 유출구(4b)에서부터 배수관(4c)에 이르기까지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지그재그로 흘러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내,외부탱크(130)(120)에 대한 하중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은 그 높이 방향으로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가 교대로 형성되되,
    상기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는 각각 내부탱크(130)에서부터 외부탱크(120)쪽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의 테두리에는 보강 프레임(170)이 결합되고,
    보강 프레임(170)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강 프레임(170)은 제1,2 도류벽(150)(250)(160)(260)과 협력하여 내,외부탱크(130)(1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고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이 유동하는 물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내,외부탱크(130)(120)의 측벽은 원형 스테인레스 패널(122)(13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에는 플랜지형 유닛이 수압을 지지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제1,2 도류벽(150)(250)(160)(26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곡 패널(152)이 수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패널(152)의 상,하단부(153)(154)는 직각으로 벤딩되고 상,하단부(153)(154) 사이의 부분에는 상기 앞쪽 돌출부와 뒤쪽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하단부(153)(154)는 위,아래의 절곡패널(15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거나,
    제1 도류벽(150)(250)의 하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제1 도류벽(150)(250)의 상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며 제2 도류벽(160)(260)의 하부에는 작은 관통공(157)이 형성되고 제2 도류벽(160)(260)의 상부에는 큰 관통공(158)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저장된 물이 아래 위로 유동되며 흘러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도류벽(250)의 관통공(157)(158)은 내부탱크(130)와 가까운 곳에만 형성되고 제2 도류벽(260)의 관통공(157)(158)은 외부탱크(120)와 가까운 곳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KR1020160087200A 2016-07-10 2016-07-10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KR10168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00A KR101689262B1 (ko) 2016-07-10 2016-07-10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PCT/KR2017/006577 WO2018012752A1 (ko) 2016-07-10 2017-06-22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이 내,외벽 또는 양쪽 측벽과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200A KR101689262B1 (ko) 2016-07-10 2016-07-10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262B1 true KR101689262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200A KR101689262B1 (ko) 2016-07-10 2016-07-10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5595A (zh) * 2017-08-10 2017-10-20 重庆合川盐化工业有限公司 制备工业用盐的卤水处理工艺
KR101796510B1 (ko) * 2017-05-18 2017-11-10 주식회사 신성티앤피 내진 구조를 가지는 물탱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958853B1 (ko) * 2009-11-27 2010-05-20 (주)제이엘크린워터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1388940B1 (ko)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교반구조를 갖는 유체 저장 탱크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0958853B1 (ko) * 2009-11-27 2010-05-20 (주)제이엘크린워터 다중 격벽을 구비한 원통형 저장탱크
KR101044475B1 (ko) *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1388940B1 (ko) * 2013-10-28 2014-04-24 (주)금강 교반구조를 갖는 유체 저장 탱크 및 그 작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510B1 (ko) * 2017-05-18 2017-11-10 주식회사 신성티앤피 내진 구조를 가지는 물탱크
CN107265595A (zh) * 2017-08-10 2017-10-20 重庆合川盐化工业有限公司 制备工业用盐的卤水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262B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내,외벽이 일체형 구조로 내구성이 향상된 물탱크
US20190232236A1 (en) Microbubble generation device
KR101718898B1 (ko) 맨홀구멍이 형성된 도류벽과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사각 물탱크
WO2014060131A1 (en) A flue gas purification device
KR101690976B1 (ko) 드레인 시스템
WO2013175994A1 (ja) 散気装置
ES2900167T3 (es) Equipo de tratamiento de vehículo
CN211383938U (zh) 进水口消能装置
CN107435371B (zh) 预制泵站单元及配水单元
US3231252A (en) Apparatus for guiding gas through liquid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RU2012103450A (ru) Пластин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поры для жидкого абсорбента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JP2010007866A (ja) 窒素置換式脱酸素装置
RU27158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бсорбции отд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газах
JP2013210185A (ja) 窒素置換式脱酸素装置
CN215939097U (zh) 一种带中间隔板的填料支撑构件
CN106930398B (zh) 预制泵站单元及配水单元
KR101659883B1 (ko) 기체 용해 장치
JP2020165158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WO2022065082A1 (ja) 排煙脱硫装置のスプレ配管構造
CN107029654B (zh) 立体传质塔板及板式塔
JP2013126634A (ja) 散気管及び貯液タンク
JP5681910B2 (ja) 気体溶解装置
CN103214102B (zh) 废水处理设备
JP4481896B2 (ja) 沸騰水型原子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