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557B1 - 산소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산소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557B1
KR101579557B1 KR1020140163235A KR20140163235A KR101579557B1 KR 101579557 B1 KR101579557 B1 KR 101579557B1 KR 1020140163235 A KR1020140163235 A KR 1020140163235A KR 20140163235 A KR20140163235 A KR 20140163235A KR 101579557 B1 KR101579557 B1 KR 10157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line
air supply
fluid
mixing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인규
최영근
이길재
피학원
최민기
이창석
선명찬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주흥환경(주)
(주)위노텍
홍인규
최영근
이길재
피학원
최민기
이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환경(주), (주)위노텍, 홍인규, 최영근, 이길재, 피학원, 최민기, 이창석 filed Critical 주흥환경(주)
Priority to KR102014016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 폐수처리 장치의 생물반응조에 산기 장치에 설치되어 폭기조의 활성슬러지를 유입한 후 대기 중의 산소를 유체에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산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산소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소이용률이 증가하여 질소뿐 아니라 고부하 유기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슬러지 및 이물질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중 펌프 등 반응조의 반송 펌프를 이용하여 브로워가 불필요하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소 용해장치{APPARATUS FOR DISSOVING OXYGEN}
본 발명은 활성 슬러지 내에 산소를 용해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 폐수처리 장치의 생물반응조에 설치되어 폭기조의 활성슬러지를 유입한 후 대기 중의 산소를 유체에 유입시켜 효율적으로 산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산소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기 장치는 생물학적 하, 폐수 처리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는 수질 관리 등의 분야에서 하, 폐수를 처리할 때 폭기(曝氣)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공기를 기포 상태로 만들어 활성 슬러지 속에 분산시키는 장치로서, 현재의 생물 반응조의 호기조 또는 포기조의 산기장치는 브로워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산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방식이 주류이다. 산기관 및 이와 유사한 공기공급은 반응조 내의 공기의 체류 시간이 짧아 즉 산소용해율이 낮아 매우 많은 산기관을 설치해야 하는 기술적 및 경제, 산업적인 손해가 있다. 또한 대부분 수중에 설치되어 일반적으로 5~10년 마다 교체시 반응조를 비우고 설치하는 비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산기관을 통해 공기공급을 하는 경우, 반드시 반응조 수중에 설치해야 하고, 산소 전달 효율이 낮아 고농도의 질소를 제거하기 어려우며, 고부하 및 충격부하에 제거효율이 저하되며, 막힘 등 효율 및 기능 저하가 많고 유지관리가 어렵다. 또한 안정적인 공기공급을 위해 약 1.2 배 이상의 브로워를 반영하므로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모되고, 교체시 반응조의 기능을 상실하여 교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0964호 (하폐수 처리 장치, 2008년 11월 21일)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감압현상에 의하여 활성슬러지 내에 대기 중의 공기를 유입하여, 대기 중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용해하는 산소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산소이용률이 증가하여 질소뿐 아니라 고부하 유기물을 제거하기 용이하며, 슬러지 및 이물질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산소 용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 장치는 내부에 혼합 공간, 혼합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부 및 혼합 공간에서 유체가 유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유체 유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혼합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공급 라인; 혼합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며, 유체가 공기 공급 라인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역류 방지부는 일측이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며, 타측이 유체 유출부에 인접하는 내부 공간;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분할된 두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중간판; 일단이 중간판에 인접하고 타단이 유체 유출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를 관통하여 내부 공간과 유체 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형성되는 디스크 유동부; 디스크 유동부의 타탄에 배치되는 판상의 디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소이용률이 증가하여 질소뿐 아니라 고부하 유기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슬러지 및 이물질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중 펌프 등 반응조의 반송 펌프를 이용하여 브로워가 불필요하므로, 설치 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며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가 설치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유체가 역류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에서 보조 역류 방지부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디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유체가 역류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가 설치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10)는 하 폐수처리장치에 설치된다. 막분리 포기조(20) 내에 설치된 무동력 슬러지 농축조(22)에 유입된 고농도 슬러지는 반송 펌프(24)에 의해 산소 용해장치(10) 내로 유입되고, 대기 중의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어 산소가 슬러지 내로 용해된다. 그 후 산소 용해장치(10)는 포기조(30) 및 막분리 포기조(20)에 산소를 공급함은 물론, 간헐 포기조(40)에도 산소를 공급하여 각 반응조들을 호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산소 용해장치(10)는 무동력 슬러지 농축조(22)의 고농도 슬러지를 간헐 포기조(40)에 공급함에 있어 대기 중의 공기 유입을 제어 내지 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기는 슬러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로 기체를 용해시킬 필요성이 있는 다양한 유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는 몸체부(100), 공기 공급 라인(200), 역류 방지부(3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내부에 혼합 공간(110), 혼합 공간(110)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부(120) 및 혼합 공간(110)에서 유체가 유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유체 유출부(130)를 포함한다.
혼합 공간(110)은 내부 중심에 배치되고 유체 유출부(130)가 위치하는 내부 혼합 공간(110b)과, 내부 혼합 공간(110b)의 외부를 둘러싸고 유체 유입부(120)가 위치하는 외부 혼합 공간(110a)으로 구분되는 2중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체 유입부(120)는 원통형 몸체부(100)의 측면에, 유체 유출부(130)는 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혼합 공간(110)이 2중의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유체가 외부 혼합 공간(110a)을 통해 유입되어 내부 혼합 공간(110b)을 거쳐 유출되도록 흐르며, 유체가 고속으로 유입되거나 유동이 치더라도 안정적으로 산소 용해 장치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고속으로 유입되어 외부 혼합 공간(110a)의 벽면에 충돌하여 난류 및 기체(산소)의 확산을 증가시킨 후 내부 혼합 공간(110b)으로 유입됨에 따라 고농도의 산소가 용해될 수 있는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 공급 라인(200)은 혼합 공간(110)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관으로서, 끝단이 몸체부(100)에 삽입 배치된다. 혼합 공간이 2중의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공기 공급 라인(200)은 내부 혼합 공간(110b)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공급 라인(200)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유체가 역류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에서 보조 역류 방지부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점선으로 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된 화살표는 유체(f)의 흐름을 나타낸다.
후술할 역류 방지부(300)에서 1차적으로 유체가 공기 공급 라인(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보조 역류 방지부(210)는 유체가 역류 방지부(300)를 통과하더라도 2차적으로 유체가 공기 공급 라인(200) 쪽으로 더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역류 방지부(2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 라인(200)의 중간에 형성되는 내부 포켓(212) 및 내부 포켓(212)에 삽입되며 유체보다 밀도 낮은 재질로 구성된 역류 방지체(2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포켓(212)의 내경(內徑)은 공기 공급 라인(200)의 내경보다 크며, 역류 방지체(214)는 원활히 공기 공급 라인(200)을 막기 위해 공기 공급 라인(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체(214)는 폴리불화에틸렌계 합성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재질은 물보다 밀도가 낮으며,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이루어져 내화학성, 내약품성 등 반응성이 작아 하수와 접촉하더라도 부식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산소 용해 장치(10)가 정상적을 동작할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체(214)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부유하고, 공기는 역류 방지체(214)에 방해받지 않고 내부 포켓(212)을 빠져나가 공기 공급 라인(200)을 통과할 수 있다. 그런데 유체(f)가 역류하여 공기 공급 라인(200)까지 침투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유체가 내부 포켓(212)에 차게 된다. 이 때, 역류 방지체(214)는 유체(f)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내부 포켓(212)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f) 위로 부유하게 된다. 역류 방지체(214)의 직경은 공기 공급 라인(20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역류 방지체(214)가 부유하면서 상측의 공기 공급 라인(200)을 막을 수 있다.
공기 공급 라인(200)에서 분기하여 유체 유입부(12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유체 유입부(120)로 공기를 유입하는 보조 공기 공급 라인(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공기 공급 라인(220)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f)에 미리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산소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공급 라인(2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공급 라인(200)으로 화학 약품을 분사하는 약품 공급 라인(2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f)가 슬러지인 경우, 슬러지에 포함된 인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응집제를 약품 공급 라인(230)을 통해 투입시킬 수 있다.
역류 방지부(300)는 유체(f)가 공기 공급 라인(200)으로 역류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혼합 공간(110)에 배치되어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과 연결된다. 공기는 공기 공급 라인(200)을 거쳐 역류 방지부(300)를 통과한 뒤 혼합 공간(110)으로 유입된다.
역류 방지부(300)는 내부 공간(310), 중간판(320) 및 유동 개폐부(330)를 포함한다.
내부 공간(310)은 일측이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과 연결되며, 타측에 유체 유출부(130)와 인접하여 공기를 혼합 공간(110)으로 내보내는 개구부(312)가 형성된다.
중간판(320)은 내부 공간(310)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판으로서 내부 공간(310)을 분할하는데,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과 연결된 부분과 개구부(312)가 형성된 부분으로 분할한다. 중간판(320)에는 판체를 관통하여 분할된 두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홀(322)이 형성된다.
유동 개폐부(330)는 개구부(312)에 삽입되어 이동에 의해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을 개폐하는 수단이다. 산소 용해 장치(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유동 개폐부(330)가 개방되어 공기가 혼합 공간(110)으로 흘러간다. 몸체부(100) 내에 오염 또는 막힘으로 압력이 상승하여 유체(f)가 공기 공급 라인(200) 쪽으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공기 공급 라인(200)을 따라 유체가 흘러 들어가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 개폐부(330)가 이동에 의해 공기 공급 라인(200)의 입구를 폐쇄한다.
유동 개폐부(330)는 내부 공간(310)과 혼합 공간(110)을 연결하는 연결관(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단이 중간판(320)에 인접하고 타단이 유체 유출부(1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관(332)은 공기 공급 라인(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개폐부(330)는 내부 공간(310)에 배치되는 부분에 개구부(310)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갖는 단턱부(334)를 구비할 수 있다. 단턱부(334)가 개구부(310)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갖기 때문에, 유동 개폐부(330)가 이동 시에 개구부(3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간판(320)의 관통홀(322)은 공기 공급 라인(20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322) 및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 위치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공기가 직선이 아니라 우회하면서 흐르기 때문에(도 6a 참조), 공기의 속도를 줄여 혼합 공간(110)에서 공기와 유체가 만날 때, 접촉 시간을 보다 연장할 수 있다.
또는 중간판(320)의 관통홀(322)은 공기 공급 라인(200)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 개폐부(330)의 연결관(332)의 입구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322) 및 연결관(332)의 입구 위치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동 개폐부(330)의 이동에 의해 공기 공급 라인(200)의 끝단을 폐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를 나타내는 디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디스크(340)는 내부 공간(3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동 개폐부(330) 끝단에 배치되며, 개구부(3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디스크(340)는 공기의 난류 형성이나 유체의 유입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340)는 판체(342)에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44)는 판체(34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날개부(344)는 중심 방향에서 외곽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며, 경사 각도는 20 내지 25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각도를 설정하면, 유체 유출부(130)와 디스크(330)가 접지된 상태에서 판체(342)와 날개부(34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체 유출부(130) 쪽으로 유입되며, 유체의 난류를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유체가 역류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 용해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 용해 장치(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공기는 공기 공급 라인(200)을 따라 흘러 역류 방지부(300)의 내부 공간(310)으로 들어가며, 중간판(320)의 관통홀(322), 유동 개폐부(330)의 연결관(3323)을 순차적으로 지나 혼합 공간(110) 끝단의 유체 유출부(130)로 배출된다.
그리고 유체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된 유체(f)는 외부 혼합 공간(110a) 및 내부 혼합 공간(110b)를 거쳐 유체 유출부(130)로 배출되는데, 이 때 유체(f)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342)와 날개부(34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체 유출부(130) 쪽으로 유입된다. 유체(f)는 유체 유출부(130) 부근에서 공기와 혼합되며, 공기 중 산소가 유체(f)로 용해된다.
그런데 몸체부(100) 내에 오염 또는 막힘으로 압력이 상승하면, 유체(f)가 공기 공급 라인(200) 쪽으로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유체(f)가 역류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f)의 흐름에 의해 유동 개폐부(330)가 공기 공급 라인(200) 측으로 이동한다. 유동 개폐부(330)가 공기 공급 라인(200) 측으로 이동하면, 중간판(320)과 유동 개폐부(330)의 단부가 접지하면서 유동 개폐부(330)의 연결관(332)과 중간판(320)의 관통홀(322)이 폐쇄되면서 더 이상 유체(f)가 공기 공급 라인(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서로 다른 요소들 간의 결합 또는 접합(접속)시에는 이들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접합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밀봉 수단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공정의 편의와 누설 방지를 위해 끼워맞춤 형태의 소정의 돌기 또는 홈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혼합공간
120 : 유체 유입부 130 : 유체 유출부
200 : 공기 공급 라인 210 : 보조 역류 방지부
220 : 보조 공기 공급 라인 230 : 약품 공급 라인
300 : 역류 방지부 310 : 내부 공간
320 : 중간판 330 : 유동 개폐부
340 : 디스크

Claims (14)

  1. 내부에 형성된 혼합 공간, 상기 혼합 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부 및 상기 혼합 공간에서 유체가 유출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유체 유출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혼합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공급 라인; 및
    상기 혼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며, 유체가 상기 공기 공급 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부는
    일측이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과 연결되며, 타측에 상기 유체 유출부와 인접하여 공기를 상기 혼합 공간으로 내보내는 개구부가 형성된 내부 공간; 및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이동에 의해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을 개폐하는 유동 개폐부; 및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며, 분할된 두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개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과 상기 혼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공기는 상기 내부 공간,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연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역류방지부를 빠져나가는 산소 용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개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개구부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갖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산소 용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개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개구부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갖는 판상의 디스크를 구비하는 산소 용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관통홀은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끝단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산소 용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의 관통홀은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관의 단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산소 용해장치.
  7. 제1항이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부는
    상기 내부 공간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동 개폐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산소 용해장치.
  8. 제7항이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판체에 중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산소 용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중심 방향에서 외곽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며, 경사 각도는 20 내지 25도인 산소 용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중간에 형성되는 내부 포켓 및 상기 내부 포켓에 삽입되며 유체보다 밀도 낮은 재질로 구성된 역류 방지체를 구비하는 보조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산소 용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켓의 내경은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역류 방지체는 상기 공기 공급 라인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산소 용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에서 분기하여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체 유입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보조 공기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산소 용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공급 라인으로 화학 약품을 분사하는 약품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는 산소 용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간은
    내부 중심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유출부가 위치하는 내부 혼합 공간과, 상기 내부 혼합 공간의 외부를 둘러싸고 상기 유체 유출부가 위치하는 외부 혼합 공간으로 구분되며,
    유체가 상기 외부 혼합 공간을 통해 유입되어 내부 혼합 공간을 거쳐 유출되는 산소 용해 장치.
KR1020140163235A 2014-11-21 2014-11-21 산소 용해장치 KR10157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35A KR101579557B1 (ko) 2014-11-21 2014-11-21 산소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35A KR101579557B1 (ko) 2014-11-21 2014-11-21 산소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557B1 true KR101579557B1 (ko) 2016-01-04

Family

ID=5516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235A KR101579557B1 (ko) 2014-11-21 2014-11-21 산소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0826A (zh) * 2019-04-03 2019-07-23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污水处理喷药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74A (ko) * 2000-08-10 2002-02-20 이강오 오존발생장치
KR100870964B1 (ko) 2008-05-29 2008-12-01 주식회사 경우크린텍 하·폐수 처리 장치
KR20090080772A (ko) * 2008-01-22 2009-07-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류방지장치
KR100945412B1 (ko) * 2010-01-07 2010-03-05 덕 용 김 산기장치
JP2010207734A (ja) * 2009-03-10 2010-09-24 Mitsubishi Materials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74A (ko) * 2000-08-10 2002-02-20 이강오 오존발생장치
KR20090080772A (ko) * 2008-01-22 2009-07-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류방지장치
KR100870964B1 (ko) 2008-05-29 2008-12-01 주식회사 경우크린텍 하·폐수 처리 장치
JP2010207734A (ja) * 2009-03-10 2010-09-24 Mitsubishi Materials Corp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0945412B1 (ko) * 2010-01-07 2010-03-05 덕 용 김 산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0826A (zh) * 2019-04-03 2019-07-23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污水处理喷药装置
CN110040826B (zh) * 2019-04-03 2022-07-15 中棉所长江科研中心 一种污水处理喷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086B1 (ko) 나노버블 및 수산화 라디칼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염수 무약품 처리시스템
KR100916709B1 (ko) 무동력 관내 혼화장치
US9068338B2 (en) Lift station flow divert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028065A (ko) 오폐수 처리용 마이크로 제트폭기장치
CN104743642A (zh) 一种电解装置及海上生活污水处理系统
KR102131677B1 (ko) 가이드 모듈 및 하폐수 처리용 산기장치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CN218755221U (zh) 一种高效臭氧污水处理装置
KR102156229B1 (ko)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1057408B1 (ko) 침전물 생성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혐기성 소화조
CN208561833U (zh) 一种一体化mbbr污水处理设备
KR100679876B1 (ko) 기체용해반응장치
KR100665712B1 (ko) 기체용해반응장치
KR101024323B1 (ko) 가스 용해반응장치
KR101943794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
US20220080371A1 (en) Device for injecting fluid into a liquid, method for cleaning said device, and effluent treatment installation
CN111173954A (zh) 加压气浮系统的自清式高压释气阀装置
KR102362832B1 (ko) 고농도 폐수 슬러지의 막힘 없는 산기통
KR100661635B1 (ko) 분산노즐을 지닌 폭기조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
KR102432336B1 (ko) 기존 고농도 폐수처리장에 개보수시 사용되는 막힘 없는 산기통
KR200292647Y1 (ko) 수중폭기장치
CN213569837U (zh) 一种新型蛋白质分离器
US20190337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Wastewater
KR102413221B1 (ko) 약품 혼합이 용이한 라인믹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CN211599609U (zh) 加压气浮系统的自清式高压释气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