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229B1 -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229B1
KR102156229B1 KR1020180149373A KR20180149373A KR102156229B1 KR 102156229 B1 KR102156229 B1 KR 102156229B1 KR 1020180149373 A KR1020180149373 A KR 1020180149373A KR 20180149373 A KR20180149373 A KR 20180149373A KR 102156229 B1 KR102156229 B1 KR 10215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orage tank
dissolved
dissolved water
contami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551A (ko
Inventor
김학경
Original Assignee
김학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경 filed Critical 김학경
Priority to KR102018014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장착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유동관 막힘 현상을 해결하고, 오염수 정화장치의 용존수 저장조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존수 저장조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용존수 정화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을 회전하며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오염수 정화장치 전체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숙련공의 도움없이 스스로 오염수 정화장치를 가보수(自家補修)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Easy-to-repair pollution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improved efficiency of air discharge and micro bubble}
본 발명은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장착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유동관 막힘 현상을 해결하고, 오염수 정화장치의 용존수 저장조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존수 저장조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용존수 정화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을 회전하며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오염수 정화장치 전체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숙련공의 도움없이 스스로 오염수 정화장치를 가보수(自家補修)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녹조류의 이상 번식에 의해 오염되는 하천이나 저수지의 용수 또는 산업폐수, 생활하수, 개인하수도, 정수장, 지하수, 산업용수 등에 의해 오염되는 용수에는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오염수는 큰 사회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이들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물속에 함유되어 발생되는 오염원으로는 각종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 도시하수, 개인생활오수, 공업용수, 정수시설 또는 녹조류의 이상 번식 등이다.
이들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함유된 폐수, 하수 등의 오염수에 대한 처리는 일반적인 처리방법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여, 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처리 대상수로부터 응집침전, 여과장치나 막분리 기술을 이용하여 난분해성 물질을 분리하고 수용성 난분해성 유기물질은 과산화수소, 또는 일반 오존 및 산소를 이용하여 산화, 분해하는 기술이 적용되는 오염수 정화장치를 설치하여 오염수를 처리하였다.
상기 오존 및 산소를 이용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오염수를 정화하도록 원수(原水)를 공급받고 공급된 원수에 산소 및 오존을 혼합하여 원수에 용존하게 되고, 산소 및 오존이 용존된 용존수를 저장조에 저장하여 내부 토출관을 통해 오염수에 토출하여 용존수를 오염수와 혼합하게 하여 산소 및 오존의 기능에 의해 오염수 정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존 및 산소를 이용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공급받는 원수가 유동하여 오존 및 산소가 마이크로버블 형태로 원수에 용존되어 용존수저장조에 저장되도록 하는 유동관이 거의 직선 형태의 유동관으로 이루어져 한두 부분의 유동관에서 막힘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유동관 전체를 점검하여 이의 분해, 점검, 청소, 보수 및 조립을 위하여 숙련공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시간, 비용, 노력 등이 과다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펌프의 작동이상이 발생하여도 이를 교체하는데 상당히 숙련된 정비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오존 및 산소가 용존된 용존수를 저장하는 종래의 용존수저장조의 구조에서, 용존수 저장조의 용존수에 용존되는 오존 및 산소 중에서 원수에 용존되지 않은 비용존 오존 및 산소를 재활용하도록 다시 순환시키는 상부 바이패스관의 구성은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므로, 용존수 저장조의 구성은 다소 복잡한 구성을 구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오존 및 산소를 이용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오존 및 산소가 마이크로버블 형태로 원수에 용존되어 용존수 저장조에 저장될 때, 용존수저장조 상층에 모이는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부에 공기 배출장치가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 배출장치는 오염수를 정화할 때 용존수저장조 상층에 모이는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반복적인 과정에서 커버내부의 수용공간에는 금속면에 부착한 피막상의 불순물인 스케일이 부착되어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스케일로 인해 공기 배출장치의 작동이 정지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공기 배출장치를 분해하여 세척을 해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금전적인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배출장치는 용존수 저장조의 상부에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을 위한 분리가 어렵고, 최초 설계 시 정해진 부력에 대해서만 동작되는 구조로서 부력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특히, 용존수 저장조로 유입되는 용존수에 혼합된 산소와 오존이 불완전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저장 및 토출관을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용존수의 오존과 산소의 용존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용존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하여 선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809373호(등록일: 2017년 12월 08일) 자기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구동펌프와,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오존발생기와, 오존이 용존된 용존수를 저장하는 용존수 저장조로 이루어지며 자가보수가 가능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A)는, 구동펌프(10)와; 상기 구동펌프(1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원수가 흡입되어 구동펌프(10)로 공급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로 구성되며, 상기 다관절 분절연결 구성은 각각 양단에 형성된 커플러를 포함한 게이트밸브(21) 및 역압방지체크밸브(22)와 제1 절곡연결관(23)을 구비하는 제1유동관(20)과; 상기 제1유동관(20)을 통해 유동하는 원수를 혼합기(50)로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 구성되며 다관절 분절연결 구성은 각각 양단에 형성된 커플러를 포함한 정량조절밸브(31) 및 상기 정량조절밸브(31)와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기 혼합기(50)에 연결되는 제2 절곡연결관(32)을 포함하는 제2유동관(30)과; 오존을 발생하며 발생된 오존이 혼합기(50)에 공급되게 연결된 오존발생기(40)와; 상기 제2유동관(30)을 통해 유동하는 원수와 상기 오존발생기(40)가 발생하는 오존을 혼합하여 오존을 원수에 용존시키는 혼합기(50)와; 일단이 상기 혼합기(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용존수저장조(70)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기(50)에서 공급되는 용존수를 용존수저장조(70)로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 구성되며 상기 다관절 분절연결구성은 양단에 형성된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기(50)에 연결된 수평연결관인 제3유동관(60)과;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동관(60)과 연결되게 연장되고 내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유입관(71)과, 상면 외부에 형성되어 내부 상층에 모이는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오토벤트(72)와, 하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저장된 용존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관(73)과, 내부로 오존의 용존을 최대화하여 가압저장조 기능을 발휘하고 용존 오존의 안정밸런스를 유지하게 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격벽(74)이 형성되어 상기 혼합기(50)에서 공급된 용존수를 저장하는 용존수저장조(70)와; 상기 용존수저장조(70)의 토출관(73)에 연결되어 토출된 용존수를 오염수저장조로 토출하여 공급하는 토출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오염수 정화장치는 오염수 정화장치를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어 오염수 정화장치의 유지보수와 같은 관리 부분에서는 유용한 특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용존수 저장조 내부의 잔존공기에 의한 문제점이나 용존수 저장도 내부에 발생되는 스케일 및 산소와 오존의 혼합저하에 따른 효율성 저하등과 같은 문제점은 계속하여 발생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8891호(공개일: 2009년 07월 21일) "오존수 제조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528712호(등록일: 2015년 06월 08일) "산소 및 오존을 포함한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 등록특허공보 제10-1394385호(등록일: 2014년 05월 07일)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810362호(등록일: 2017년 12월 12일) "버블 크기를 이용한 무필터 수처리 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806366호(등록일: 2017년 12월 01일) "식물재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633235호(등록일: 2016년 06월 17일)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656292호(등록일: 2016년 09월 05일) "초미세 미립자 공기방울을 이용한 새싹채소 세척방법 및 그 세척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장착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구동펌프의 전후에 연결되어 공급받는 원수가 용존수저장조에 저장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관을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하여 각 분절 부위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현장에서 즉시 각 구성요소의 분절 부위별로 점검, 보수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동관의 막힘에 따른 보수와 같은 유지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오염수 정화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용존수 저장조에 연결된 공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용존수 저장조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존수 저장조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조립식 구조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부력에 대응하여 잔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용존수 정화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정화조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이 회전하며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존수에 혼합된 산소와 오존의 완전한 혼합을 보장하여 용존수의 기능 향상에 따른 살균효과, 오염제거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오염수 정화장치 전체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숙련공의 도움없이 스스로 오염수 정화장치를 가보수(自家補修)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구동펌프(1)의 유입구에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며 게이트밸브(21)와 역압방지체크밸브(22)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된 제1 절곡연결관(23)에 의하여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유동관(2)과, 구동펌프(1)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원수를 오존발생기(4)가 연결된 혼합기(5)로 공급하여 오존을 원수에 용존시키며 정량조절밸브(31)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된 제2 절곡연결관(31)에 의하여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유동관(3)과, 일단이 상기 혼합기(5)에 연결되고 타단이 용존수 저장조(7)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기(5)에서 공급되는 용존수를 용존수 저장조(7)로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 구성된 제3유동관(6)과, 상부에 제3유동관(6)과 잔존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수단(80)이 연결되고 하부에 토출관(71)이 연결되는 용존수 저장조(7)와, 상기 용존수저장조(7)의 토출관(71)에 연결되어 토출된 용존수를 오염수저장조로 토출하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리개 작동판(731)이 형성되어 좌/우 회전을 통해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을 조절 공급하는 토출수단(73);을 포함하는 오염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존수 저장조(7)는 원통형의 함체 형태를 갖으며 내부의 수용부(752)와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플랜지(751)가 형성된 케이스(75);와,
상기 케이스(75)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상부에 유입관(74)과 하부에 토출관(7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7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용존수를 하향 이동시킴과 동시에 용존수의 미세기포의 손실방지와, 미세기포의 균일화 및 용존된 산소와 오존의 용존상태와 밸런스를 안정화시키는 스크류(72);와,
상기 플랜지(751)에 조립되어 수용부(752)를 밀폐하는 뚜껑(76);과,
상기 뚜껑(76)의 중앙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수용부(752)에 발생된 잔존공기가 유입 배출되는 공기배출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72)의 상부와 하부에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돌출부(723)와 내측에 구멍(724)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판(725)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스크류(7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판(725)의 구성을 통하여 스크류가 회전시 흔들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존수 저장조(7)의 케이스(75) 내면에 코팅되는 세라믹 코팅층(75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세라믹 코팅층(753)을 통하여 스케일 증착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72)의 회전축(721)은 하부에 형성된 모터(722)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스크류(72)를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수단(80)은, 상기 오염수 정화장치의 용존수 저장조(7)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오존 용존수에 잔존하는 공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ㅇ하로 분리 가능한 하부커버(81a) 및 상부커버(81b)를 포함하는 커버(81);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측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 측에는 측공(852)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커버(81b) 외부 측에는 배출공(851)이 마련된 에어배출부(85);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잔존공기가 통과하는 에어홀(831)이 형성된 연질의 실리콘튜브(83);
상기 실리콘튜브(83)가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에 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4);
상기 에어배출부(85) 하측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잔존공기의 배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1)을 폐쇄하는 에어개폐핀(86);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개폐핀(86)과 체결되어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의 공기압에 따라 에어개폐핀(86)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볼(87); 및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81b)의 내주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마이크로 버블이 분사되도록 일정간격마다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타공된 분사홀(881)이 형성된 에어튜브(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는,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장착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구동펌프의 전후에 연결되어 공급받는 원수가 용존수 저장조에 저장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관을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하여 각 분절 부위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현장에서 즉시 각 구성요소의 분절 부위별로 점검, 보수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동관의 막힘에 따른 보수와 같은 유지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오염수 정화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존수 저장조에 연결된 공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용존수 저장조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존수 저장조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공기배출수단이 조립식 구조로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성을 갖음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진공볼에 다양한 크기의 무게중심추를 부착하여 다양한 부력에 대응하여 잔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존수 정화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정화조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이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회전하며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존수를 최대한 용존수 정화조 내부에 머물게 함으로써 용존수에 혼합된 산소와 오존의 농도를 향상 및 안정화시켜 살균효과, 오염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오염수 정화장치 전체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숙련공의 도움없이 스스로 오염수 정화장치를 가보수(自家補修)를 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토출수단에 형성된 조리개 작동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용존수 저장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용존수 저장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공기배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공기배출수단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공기배출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공기배출수단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토출수단에 형성된 조리개 작동판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이하, '오염수 정화장치'라 한다.)(100)는 오염수 정화장치에 외부의 원수를 공급하는 구동펌프(1)와, 상기 구동펌프(1)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원수가 구동펌프(1)로 공급되는 제1유동관(2)과, 상기 제1유동관(2)을 통해 유동하는 원수를 혼합기(5)로 공급하는 제2유동관(3)과,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4)와, 상기 제2유동관(3)을 통해 유동하는 원수와 상기 오존발생기(4)가 발생하는 오존을 혼합하여 오존을 원수에 용존시키는 혼합기(5)와, 일단이 상기 혼합기(5)에 연결되고 타단이 용존수저장조(7)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기(5)에서 공급되는 용존수를 용존수저장조(7)로 공급하는 제3유동관(6)과,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유동관(6)과 연결되게 연장되는 유입관(74)과, 상면 외부에 형성되어 내부 상층에 모이는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수단(75)과, 하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저장된 용존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관(71)과, 내부로 오존의 용존을 최대화하여 가압저장조 기능을 발휘하고 용존 오존의 안정밸런스를 유지하도록 용존수 저장조(7)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크류(76)가 형성되어 상기 혼합기(5)에서 공급된 용존수를 저장하는 용존수저장조(7)와, 상기 용존수저장조(7)의 토출관(71)에 연결되어 토출된 용존수를 오염수저장조로 토출하여 공급하는 토출수단(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유동관(2)은 게이트밸브(21)와 역압방지체크밸브(22)가 연결되며 복수 개의 다관절관으로 분절연결된 제1절곡연결관(23)으로 구성되고, 제2유동관(3)은 구동펌프(1)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원수를 오존발생기(4)가 연결된 혼합기(5)로 공급하여 오존을 원수에 용존시키며 정량조절밸브(31)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된 제2 절곡연결관(32)으로 구성되며, 제3유동관(6)은 일단이 상기 혼합기(5)에 연결되고 타단이 용존수 저장조(7)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기(5)에서 공급되는 용존수를 용존수 저장조(7)로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유동관(2)과 제2유동관(3) 및 제3유동관(6)은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다관절 분절연결된 구성을 갖음으로써 오염수 정화장치(100)의 이상발생 또는 점검 및 부분적인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오염수 정화장치의 신속한 유지관리를 통한 계속적인 사용을 보장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용존수 저장조(7)는, 상기 혼합기(5) 및 제3유동관(6)을 통해 공급되는 살균력이 있는 오존 용존수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함체 형태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플랜지(751)가 형성된 케이스(75)와, 상기 케이스(75)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상부에 유입관(74)과 하부에 토출관(71)과, 상기 플랜지(751)에 조립되어 수용부(752)를 밀폐하는 뚜껑(76) 및 상기 뚜껑(76)의 중앙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공기배출수단(8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75)의 내면에 세라믹 코팅층(753)을 형성하여 스케일 증착을 방지함으로써 스케일증착에 따른 유지보수 기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신속한 스케일의 제거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75)의 상부에 형성된 프랜지(751)와 뚜껑(76)은 가장자리가 복수 개의 체결볼트에 의하여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써 수용부(752)의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수용부(752)에는 하부가 케이스(7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72)에 의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용존수의 미세기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큰 기포와 미세기포의 분리가 원활하며, 용존된 산소와 오존을 용존상태를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오존의 용존을 최대화하고 용존 오존의 밸런스를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용존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스크류(72)는 회전축(721)의 하부가 기어로 모터(722)와 치합되어 수용부(752) 내부에서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유입관(74)을 통하여 유입된 용존수를 하부의 토출관(71) 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축(72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돌출부(723)와 내측에 구멍(724)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판(725)을 형성하여 스크류(71)가 회전시 돌출부(723)가 수용부(752)의 내면에 미끄럼 밀착하는 형태로 회전하여 스크류(72)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회전을 가이드한다.
또한, 유입되는 용존수의 내부에 혼합된 잔존공기는 구멍(724)을 통하여 상부의 공기배출수단(80) 측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 제거된다.
즉, 용존수에 용존된 오존은 용존수 저장조(7)의 내부에서 유지되는 5기압 이내의 가압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고, 잔존공기는 가이드판(725)의 가장자리 부분과 복수 개의 구멍(724)을 통하여 상부의 공개배출수단(8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유입관(74)은 상기 용존수 저장조(7)의 중간부에 상기 제3유동관(60)과 연결되게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타측이 용존수 저장조(7) 내부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74)을 통해 오존 용존수는 용존수 저장조(7)에 유입 저장된다.
상기 토출관(71)은, 상기 용존수저장조(7)의 하부에 외부와 연통되게 배치되어 저장된 오존 용존수가 토출수단(7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토출수단(73)은, 상기 토출관(71)과 연결되어 토출관(71)을 통해 토출되는 오존 용존수를 오염수 저장조로 토출 공급하여 오염수를 정화시키도록 오존 용존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즉, 상기 토출수단(73)에는 조리개 작동판(731)이 형성되어, 좌/우 회전을 통한 상기 조리개 작동판(731)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오염수의 오염 정도와 오염수에 내포된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을 조절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염 정도가 심하면 마이크로버블의 크기를 작게 하여 오염 정화 표면적을 크게 하여 정화 능력을 제고하게 되고, 오염물질의 크기가 작으면 마이크로버블의 직경 역시 작게 하여 오염물질의 정화력을 제고하게 된다.
상기 뚜껑(76)은 가장자리에 상기 프랜지(751)와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761)과 중앙부분에 상기 공기배출수단(80)으로 잔존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연결공(762) 및 상기 연결공(762)의 가장자리로 상기 공기배출수단(80)과 조립식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공(76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수단(80)은, 상기 유입관(74)을 통해 유입 저장되는 오존 용존수에 잔존하여 내부 상층으로 상승하여 모이는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용존수에 용존된 오존은 용존수 저장조(70)의 내부에서 유지되는 5기압 이내의 가압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함으로 상부의 공개배출수단(80)은 잔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하고 잔존 오존은 배출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공기배출수단(80)은 크게 커버(81)와, 클램프(82), 실리콘튜브(83), 고정브라켓(84), 에어개폐핀(86), 진공볼(87) 및 에어튜뷰(8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81)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상ㅇ하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서, 하부커버(81a) 및 상부커버(81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커버(81a)는 하측에 오염수 정화장치의 용존수저장조(7)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811)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811)는 내부가 관통되고 일반적인 플랜지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커버(810a) 하부 일측에는 커버(81) 내부의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염수 배출구(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염수 배출구(812)는 커버(81)에 수용된 오염수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OL1)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커버(81a) 상측 테두리 부분에는 상부커버(81b)와 결합되기 위한 하부플랜지(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81b)는 상측에 후술하는 에어배출부(85)가 관통되는 관통공(8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81b) 외측 상부에는 마이크로 버블을 커버(81)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부(8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부(81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OL1)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81b) 하측 테두리 부분에는 하부커버(81a)와 결합되기 위한 상부플랜지(8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81a)와 상기 상부커버(81b)가 결합되는데 있어 상기 하부플랜지(813)과 상부플랜지(816) 사이에는 커버(81)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연질의 가스켓(817)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81a)와 상기 상부커버(81b) 결합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8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82)는 상기 하부커버(81a)와 상기 상부커버(81b)가 밀착된 상태로 상호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상기 하부커버(81a) 하부플랜지(813)과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부플랜지(816)의 테두리 부분을 동시에 감싸듯 고정시키는 테두리부(821)와 상기 테두리부(821)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테두리부(82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8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821)는 내측에 홈이 형성된 다수의 관절 구조로 이루어져 단계적으로 하부플랜지(813)와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부플랜지(816)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면서 내측에 형성된 홈에 하부플랜지(813)과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부플랜지(816)의 테두리 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822)를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부(8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822)는 테두리부(821)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스터디볼트 구조로서 끝단에 너트 구조의 손잡이가 결합되고, 손잡이를 돌려서 조이면 테두리부(821)가 안쪽으로 모여 조여지게 되면서 테두리부(821)가 고정부(8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에어배출부(85)는 상기 커버(81) 내부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실리콘튜브(83) 및 고정브라켓(84)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에어배출부(85)는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기 관통공(814)을 통해 상측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에어배출부(85)는 상기 상부커버(81b) 외부 측에 마련되고, 중심부분이 상측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개방된 배출공(851)과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 측에 마련되고, 측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측공(852)과 상기 상부커버(81b)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814)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고정턱(853)과 상기 상부커버(81b) 외측으로 관통되어 노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854) 및 후술하는 에어개폐핀(86)이 걸림되어 하측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85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턱(853)이 상부커버(81b)의 관통공(814)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배출공(851)이 마련되는 상기 나사부(854)는 상부커버(81b)의 관통공(814)을 기준으로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측공(852)이 위치된 하부는 상부커버(81b)의 관통공(814)을 기준으로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부(854)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결되는 배관(미도시)이 나사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배출부(85)가 상부커버(81b)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이 아닌 에어배출부(85)의 고정턱(853)이 상부커버(81b)의 관통공(814)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어배출부(85) 상부 내주면 일측에는 키홈(856)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브라켓(84)이 상기 에어배출부(85)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키홈(856)에 고정키(857)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실리콘튜브(83)는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잔존공기가 통과하는 에어홀(831)이 형성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브라켓(84)은 상기 실리콘튜브(83)가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에 밀착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브라켓(84)은 하부 중심에 상기 실리콘튜브(83)가 삽입되는 고정홈(841)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오링홈(842)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842)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853)이 결합된다. 또한, 상부에는 상부에서 하부 중심부까지 폭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직경은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1)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에어개폐핀(86)은 잔존공기의 배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1)을 폐쇄하는 부분이다.
상기 에어개폐핀(86)은 상기 에어배출부(85) 하측 중앙에 결합되고, 상부는 에어홀(831)을 폐쇄하기 위해 중심부가 뾰족하게 돌출되어 상면이 경사가 형성된 폐쇄면(86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부가 돌출되어 후술하는 진공볼(87)의 체결부(871)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돌기(862)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862)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진공볼(87)의 체결부(871)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홀에 끼움되는 체결핀(8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개폐핀(86) 외주면 일측 테두리 부분는 외주면의 직경을 달리하여 단턱이 형성된 걸림부(86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864)가 상기 에어배출부(85)의 걸림턱(855)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에어개폐핀(86)이 상기 에어배출부(85)에서 분리되지 않고 걸림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진공볼(87)은 상기 에어개폐핀(86)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81) 내부의 공기압에 따라 에어개폐핀(86)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진공볼(87)은 상기 커버(81)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금속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에어개폐핀(86)의 체결돌기(862)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87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진공볼(87)은 상기 커버(81) 내부의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특정 압력 이상일 경우 부력이 발생하여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존수 저장조(7)에 포함된 잔존공기가 커버(81) 내부로 유입될 때, 커버(81) 내부 기압을 5기압 이내의 기압으로 유지될 경우에는 진공볼(87)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5기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진공볼(87)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1)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기압은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다양한 공기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볼(87) 하측에는 상기 진공볼(87)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87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볼(87)과 무게추(872) 사이에는 기밀유지를 위해 패킹(873)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에어튜브(88)는 상기 커버(81)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에어튜브(88)는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81b)의 내주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버블이 분사되도록 일정간격마다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타공된 분사홀(88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튜브(88) 일측은 상부커버(81b)의 주입부(815)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주입부(815)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이 에어튜브(88)관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마이크로 버블은 에어튜브(88)의 분사홀(881)을 통해 커버(81) 내부 및 진공볼(87)의 표면을 향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81b)의 주입부(815)와 상기 하부커버(81a)의 오염수 배출구(812)에는 마이크로 버블 주입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오염수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각 제1솔레노이드밸브(SOL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SOL2)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배출수단(80)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용존수 저장조(7)로부터 잔존공기가 하부커버(81a)의 설치부(811)를 통해 커버(81)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커버(81) 내부에 스케일이 쌓이게 될 경우 세척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부커버(81b)의 주입부(815)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된다. 이때, 제1솔레노이드밸브(SOL1)를 통해 주입 흐름이 제어된다.
그 다음, 주입부(815)를 통해 주입된 마이크로 버블은 주입부(815)와 연통된 에어튜브(88)로 이송되고, 에어튜브(88) 관 내 공간으로 마이크로 버블이 주입되게 된다.
그 다음, 마이크로 버블은 에어튜브(88)의 분사홀(881)을 통해 커버(81) 내부 공간 및 진공볼(87)의 표면을 향해 분사되고, 이에 따라 커버(81)내부 공간 및 진공볼(87)의 표면에 쌓인 스케일이 제거되게 된다.
그 다음, 제거된 스케일은 하부커버(81a) 바닥면에 떨어지고 오염수와 함께 오염수 배출구(8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밸브(SOL2)를 통해 배출 흐름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배출수단(80)은, 상기 공기 배출수단(80)의 내부 수용공간에 마이크로 버블을 주입하여 커버(81)의 내부 및 진공볼 표면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스케일이 쌓이는데 따라 공기 배출장치 작동이 정지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커버(81)를 상하로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하여 쉽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진공볼(87)에 다양한 크기의 무게추(872)를 부착하여 여러 상황에 따른 부력에 대응하여 잔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오존을 이용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를 장착한 오염수 정화장치의 구성 중 구동펌프의 전후에 연결되어 공급받는 원수가 용존수 저장조에 저장되도록 안내하는 유동관을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하여 각 분절 부위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현장에서 즉시 각 구성요소의 분절 부위별로 점검, 보수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동관의 막힘에 따른 보수와 같은 유지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오염수 정화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존수 저장조에 연결된 공기배출수단을 통하여 용존수 저장조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존수 저장조 내부에 쌓인 스케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공기배출수단이 조립식 구조로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성을 갖음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진공볼에 다양한 크기의 무게중심추를 부착하여 다양한 부력에 대응하여 잔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용존수 정화조의 내부에 발생되는 마이크로버블이 정화조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이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회전하며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용존수를 최대한 용존수 정화조 내부에 머물게 함으로써 용존수에 혼합된 산소와 오존의 농도를 향상 및 안정화시켜 살균효과, 오염제거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오염수 정화장치 전체를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숙련공의 도움없이 스스로 오염수 정화장치를 가보수(自家補修)를 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구동모터 2 : 제1유동관
21 : 게이트밸브 22 : 역압방지체크밸브
23 : 제1절곡연결관 3 : 제2유동관
31 : 정량조절밸브 32 : 제2절곡연결관
4 : 오존발생기 5 : 혼합기
6 : 제3유동관 7 : 용존수 저장조
71 : 토출관 72 : 스크류
73 : 토출수단 74 : 유입관
75 : 케이스 80 : 공기배출수단
81 : 커버 82 : 클램프
83 : 실리콘 튜브 84 : 고정브라켓
85 : 에어배출부 86 : 에어개폐핀
87 : 진공볼 88 : 에어튜브

Claims (5)

  1. 구동펌프(1)의 유입구에 연결되어 원수가 유입되며 게이트밸브(21)와 역압방지체크밸브(22)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된 제1 절곡연결관(23)에 의하여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유동관(2)과, 구동펌프(1)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원수를 오존발생기(4)가 연결된 혼합기(5)로 공급하여 오존을 원수에 용존시키며 정량조절밸브(31)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연결 구성된 제2 절곡연결관(31)에 의하여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유동관(3)과, 일단이 상기 혼합기(5)에 연결되고 타단이 용존수 저장조(7)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기(5)에서 공급되는 용존수를 용존수 저장조(7)로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관절로 분절된 분절연결 구성된 제3유동관(6)과, 상부에 제3유동관(6)과 잔존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수단(80)이 연결되고 하부에 토출관(71)이 연결되는 용존수 저장조(7)와, 상기 용존수저장조(7)의 토출관(71)에 연결되어 토출된 용존수를 오염수저장조로 토출하며 분사되는 마이크로버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리개 작동판(731)이 형성되어 좌/우 회전을 통해 마이크로버블의 직경을 조절 공급하는 토출수단(73);을 포함하는 오염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존수 저장조(7)는 원통형의 함체 형태를 갖으며 내부의 수용부(752)와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에 플랜지(751)가 형성된 케이스(75);와,
    상기 케이스(75)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상부에 유입관(74)과 하부에 토출관(7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75)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용존수를 하향 이동시킴과 동시에 용존수의 미세기포의 손실방지와, 미세기포의 균일화 및 용존된 산소와 오존의 용존상태와 밸런스를 안정화시키는 스크류(72);와,
    상기 플랜지(751)에 조립되어 수용부(752)를 밀폐하는 뚜껑(76);과,
    상기 뚜껑(76)의 중앙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수용부(752)에 발생된 잔존공기가 유입 배출되는 공기배출수단(8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72)의 상부와 하부에 가장자리로 복수 개의 돌출부(723)와 내측에 구멍(724)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판(725)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스크류(7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판(725)의 구성을 통하여 스크류가 회전시 흔들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존수 저장조(7)의 케이스(75) 내면에 코팅되는 세라믹 코팅층(753)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세라믹 코팅층(753)을 통하여 스케일 증착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72)의 회전축(721)은 하부에 형성된 모터(722)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스크류(72)를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80)은, 상기 오염수 정화장치의 용존수 저장조(7)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오존 용존수에 잔존하는 공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ㅇ하로 분리 가능한 하부커버(81a) 및 상부커버(81b)를 포함하는 커버(81);
    상기 상부커버(81b)의 상측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의 잔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 측에는 측공(852)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커버(81b) 외부 측에는 배출공(851)이 마련된 에어배출부(85);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잔존공기가 통과하는 에어홀(831)이 형성된 연질의 실리콘튜브(83);
    상기 실리콘튜브(83)가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 중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출부(85) 내측에 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4);
    상기 에어배출부(85) 하측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잔존공기의 배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튜브(83)의 에어홀(831)을 폐쇄하는 에어개폐핀(86);
    상기 커버(81)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개폐핀(86)과 체결되어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의 공기압에 따라 에어개폐핀(86)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는 진공볼(87); 및 상기 상부커버(81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81b)의 내주면을 따라 위치되도록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마이크로 버블이 분사되도록 일정간격마다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타공된 분사홀(881)이 형성된 에어튜브(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20180149373A 2018-11-28 2018-11-28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215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73A KR102156229B1 (ko) 2018-11-28 2018-11-28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73A KR102156229B1 (ko) 2018-11-28 2018-11-28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51A KR20200063551A (ko) 2020-06-05
KR102156229B1 true KR102156229B1 (ko) 2020-09-15

Family

ID=7108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373A KR102156229B1 (ko) 2018-11-28 2018-11-28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009A (ko) 2022-01-10 2023-07-18 김학경 버블의 크기 및 oh라디칼의 투입량을 최적화하여 장치효율성을 향상시킨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682B1 (ko) * 2020-09-08 2021-05-17 주식회사 알엠 폐플라스틱 페트류 및 페트 플레이크의 세정 및 살균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373B1 (ko) * 2016-08-10 2018-01-18 정일이앤지(주)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617A (ko) * 1998-11-09 2000-06-05 박철순 내외면에 세라믹층을 코팅한 동관 및 그 코팅방법
KR20090078891A (ko)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동아지질 오존수 제조장치
KR101394385B1 (ko) 2012-06-25 2014-05-13 김동식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
KR101433917B1 (ko) * 2012-09-13 2014-08-29 전윤진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KR101528712B1 (ko) 2014-12-05 2015-06-15 김현주 산소 및 오존을 포함한 살균용 마이크로버블발생기
KR101656292B1 (ko) 2014-12-19 2016-09-22 사회복지법인 유은복지재단 초미세 미립자 공기방울을 이용한 새싹채소 세척방법 및 그 세척장치
KR101633235B1 (ko) 2015-11-27 2016-06-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806366B1 (ko) 2017-03-16 2017-12-07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식물재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1810362B1 (ko) 2017-04-21 2017-12-20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버블 크기를 이용한 무필터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373B1 (ko) * 2016-08-10 2018-01-18 정일이앤지(주)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009A (ko) 2022-01-10 2023-07-18 김학경 버블의 크기 및 oh라디칼의 투입량을 최적화하여 장치효율성을 향상시킨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5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0322B2 (ja) 微細気泡を利用した水処理設備
AU2007281033B2 (en) Well cleaning apparatus
EP2258663A1 (en) Grey water regeneration system
KR102156229B1 (ko)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US5348650A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8376254B2 (en)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CN104743642A (zh) 一种电解装置及海上生活污水处理系统
US6511054B1 (en) Porous air diffuser for treatment of liquids
KR102352538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KR101809373B1 (ko)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JP2002346351A (ja) 気体溶解装置
CN111268786B (zh) 空气排出装置和微气泡的效率性得到提高的容易自行维护的污染水净化装置
KR101943794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
KR102511909B1 (ko) 응집제 혼합 탱크 및 이를 가지는 이동식 오수 정화장치
US20160257586A1 (en) Waste distributor system and apparatus
KR101579557B1 (ko) 산소 용해장치
RU2165891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JP2006187728A (ja) 散気装置
KR101532770B1 (ko) 차압식 산기장치
CN109603629A (zh) 一种污水处理用絮凝剂添加装置及其使用方法
CN217651050U (zh) 一种微电解芬顿处理设备
RU2787823C1 (ru) Система ввода газа для оптимизации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нопузырьков в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м растворе
CN212982671U (zh) 一种脱硝设备废水处理用加药装置
CN209226721U (zh) 一种新型工业环保设备
KR102432336B1 (ko) 기존 고농도 폐수처리장에 개보수시 사용되는 막힘 없는 산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