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235B1 -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235B1
KR101633235B1 KR1020150167854A KR20150167854A KR101633235B1 KR 101633235 B1 KR101633235 B1 KR 101633235B1 KR 1020150167854 A KR1020150167854 A KR 1020150167854A KR 20150167854 A KR20150167854 A KR 20150167854A KR 101633235 B1 KR101633235 B1 KR 10163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water
hollow groove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연
유상석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
    • B01F15/00
    • B01F5/06
    • B01F5/0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B01F2215/005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측면과 후단에는 각각 외부로부터 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물유입구 및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물유입구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가 충돌하여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되, 하우징의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에는 내부로 중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의 측면에는 하우징의 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로관 및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관로가 각각 중공홈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쉬우며, 소형제작이 용이하여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Microbuble generator}
본 발명은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는 곳에서는 물속에 산소가 부족하여 매년 적조 및 녹조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 물속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마이크로버블 생성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기 위해서 마이크로 버블 형태의 오존수를 오염된 토양 내에 공급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정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키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46593호에 공기가 함유된 혼합 수가 유입되는 유입 부와, 상기 유입 부를 통해 유입된 혼합 수가 배출되는 배출 부와, 상기 유입 부와 상기 배출 부의 사이에서 혼합 수에 함유된 공기와 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 물을 발생하는 발생 부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양단에 상기 유입 부와 상기 배출부를 구성하는 관 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발생 부를 구성하는 공간 부가 구비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발생 부에는, 상기 몸체의 내면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통 형상의 충돌드럼이 구비되되; 상기한 충돌드럼에서 상기 유입 부와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 일 측면은, 중앙부위가 상기 유입 부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 형상의 볼록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충돌드럼에서 상기 유입부와 마주보는 면에 위치된 타 측면은, 중앙부위가 상기 배출부 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 진 원호 형상의 오목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몸체는, 일단에 상기 유입부가 형성되며 타 단은 개방된 제1 하우징과, 일단에 상기 배출 부가 형성되며 타 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발생 부를 구성하는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충돌드럼의 테두리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편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483412호에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유체 유동로가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에 비해 단면이 축소되어진 노즐본체와, 상기 유동로의 외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도록 공기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에 연통되어진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진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의 유입구의 내면에 나선형의 유체공급로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본체의 배출구의 내면에 유체충돌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유체충돌부재는 원뿔형태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측에 날개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편은 상기 나선형의 유체공급로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분사홀은 원주방향에 나선형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수질개선 및 토양을 개선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23256호에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유닛과,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유닛과, 상기 산소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산소를 공급받아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유닛과, 상기 원수공급유닛과 산소발생유닛과 오존발생유닛에 연결되어 원수와 산소와 오존을 공급받아 각각을 혼합하는 혼합유닛과, 상기 혼합유닛에 연결되어 혼합유닛에서 혼합된 원수와 산소와 오존을 공급받아 마이크로버블로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적조 및 녹조 방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닛은 원수와 산소와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 공급되는 원수와 산소와 오존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수질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를 구비하여 수질센서에서 측정한 수질의 오염 농도에 따라 원수와 산소 또는 원수와 오존을 선택적으로 혼합하게 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유닛은 수심으로 연장되어 수심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배관과, 상기 배관의 끝단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이크로버블 생성노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생성노즐의 후방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버블을 확산시키는 수평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적조 및 녹조 방제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열거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대부분 부피가 커 점유공간이 매우 크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제작이 용이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측면과 후단에는 각각 외부로부터 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물유입구 및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물유입구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가 충돌하여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되, 하우징의 배출구가 형성된 전면에는 내부로 중공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의 측면에는 하우징의 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로관 및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관로가 각각 중공홈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쉬우며, 소형제작이 용이하여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노즐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노즐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노즐부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다공판이 장착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다공판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오리피스가 장착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오리피스가 장착된 개요도의 일부분 확대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분출관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상세 개요도.
도 11과 도 12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다공판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상세 개요도.
본 발명은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00)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측면과 후단에는 각각 외부로부터 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물유입구(111) 및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물유입구(111)와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가 충돌하여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안착되되, 하우징(110)의 배출구(113)가 형성된 전면에는 내부로 중공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123)의 측면에는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로관(125) 및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관로(124)가 각각 중공홈(123)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노즐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크기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외측 중간 부분에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몸체(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출몸체(122)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몸체(1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서로 격리되어 저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구(111)와 공기유입구(112) 중 물유입구(111)가 공기유입구(112) 보다 전방에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돌출몸체(122)의 전방에는 물이 임시저장되는 워터챔버(13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가 임시저장되는 에어챔버(14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어챔버(140)에 저장된 공기가 중공홈(123)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노즐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관로(124)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공기관로(124)는 중공홈(123)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유로관(125)은 중공홈(123)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3)에는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는 배출관(150)이 장착되되, 상기 배출관(150)의 일단은 노즐부(120)의 중공홈(123) 내부 바닥면에 근접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시키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각각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111)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112)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전단에는 물유입구(111)와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가 충돌하여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의 배출구(113)가 형성된 전면에는 내부로 중공홈(123)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120)가 삽입장착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120)의 중공홈에는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로관(125) 및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관로(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로관(125)과 공기관로(124)는 각각 중공홈(123)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에는 유로관(125)을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관로(12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충돌하여 와류가 형성되면서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3)에는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는 배출관(15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150)의 일단은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의 내부 바닥면에 근접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물유입구(111)에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유도되는 물유입관(160)이 설치되어 있고, 공기유입구(170)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유입관(170)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의 내부형상은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어야 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노즐부(120)의 외부형상은 하우징(110)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입구(17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와 물유입구(111)로 물을 공급하는 물펌프는 관용의 수단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도시하지 않으며, 상세한 구성과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노즐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유체노즐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유체노즐부의 A-A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크기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외측 중간 부분에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몸체(12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몸체(122)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몸체(1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서로 격리되어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구(111)와 공기유입구(112) 중 물유입구(111)가 공기유입구(112) 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돌출몸체(122)의 전방에는 물이 임시저장되는 워터챔버(13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가 임시저장되는 에어챔버(1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중공홈(123)에 공기와 물이 유입될 때, 공기가 물보다 전방 측에 유입되면, 즉 배출구(113) 측에 가깝게 형성되면 공기가 빨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버블형성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버블형성은 물속에 공기를 분사시키면 더욱 효율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공기가 배출되는 흐름이 원활하도록 상기 에어챔버(140)에 저장된 공기가 중공홈(123)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노즐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관로(124)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공기관로(124)와 유로관(125)은 중공홈(123)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중공홈(123)에 물과 공기가 유입될 때, 와류가 형성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는 데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복수의 유로관(125)은 중공홈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관(125)과 공기관로(124)는 입구 측이 물과 공기가 잘 유입되도록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정 깊이까지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관(160)의 내부 직경을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70) 보다 크게 형성하였다.
도 5는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다공판이 장착된 개요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다공판 개요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관(150)의 내부에 복수의 통공(e)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판(a1)을 장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버블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토출관(150)의 끝단부에 플랜지(b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b2)에 대응하는 플랜지(b2)가 형성된 토출관(150-1)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결합된 상기 한 쌍의 플랜지(b1, b2) 사이에는 다공판(a1)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다공판(a1)은 원판형으로 복수의 통공(e)이 형성되어 있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b1, b2) 사이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하여 볼트공(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홈(123)에도 다공판(a2)을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오리피스가 장착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오리피스가 장착된 개요도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50)의 내부에 오리피스(c)를 형성함으로써 버블이 토출되는 효력을 증가시켰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토출관(150)의 끝단부에 플랜지(b2)를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오리피스(c)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관(150-1)을 연결하는 것으로, 오리피스(c)가 형성되어 있는 토출관(150-1)의 일단에도 플랜지(b1)가 형성되어 있어, 쉽게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다공판(a1)과 오리피스(c)를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에 삽입되는 토출관(150)의 외주연에 요철(d)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분출관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상세 개요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같이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에 근접한 토출관(150)의 끝단부는 다수개의 절개홈(g)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토출관(150)으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혼합된 유체가 불규칙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와류가 더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버블이 더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다르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150)의 입구 측보다 출구 측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였다.
대략, 토출관(150) 길이의 중간부터 직경이 더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토출관(150)의 중간부분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다공판(a3)을 장착하여 토출관(150)을 통해 버블이 형성될 때, 형성되는 버블의 크기가 더 작게 버블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분출될 때에는 더 세게 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다공판(a3)의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과 도 12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장착되는 다공판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일부분 상세 개요도이다.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다공판(a3)의 형상은 얇은 판재형상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이 사각의 격자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쉬우며, 소형제작이 용이하여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버블발생장치
110. 하우징 111. 물유입구 112. 공기유입구
113. 배출구
120. 노즐부 121. 몸체 122. 돌출몸체
123. 중공홈 124. 공기관로 125. 유로관
130. 워터챔버
140. 에어챔버
150. 배출관
160. 물유입관
170. 공기유입관
a1, a2, a3 다공판 b. 플랜지 c. 오리피스
d. 요철 e. 통공 f. 볼트공
g. 절개홈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측면과 후단에는 각각 외부로부터 물과 공기가 유입되는 물유입구(111) 및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물유입구(111)와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가 충돌하여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안착되되, 하우징(110)의 배출구(113)가 형성된 전면에는 내부로 중공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홈(123)의 측면에는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유로관(125) 및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의 공기관로(124)가 각각 중공홈(123)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오수 내에 투입되어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시켜 산소를 공급시킴으로써 오수를 정화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크기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외측 중간 부분에 하우징(110)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몸체(1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출몸체(122)로 인해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몸체(1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하우징(110)의 물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과 공기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서로 격리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물유입구(111)가 공기유입구(112) 보다 전방에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돌출몸체(122)의 전방에는 물이 임시저장되는 워터챔버(13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공기가 임시저장되는 에어챔버(14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에어챔버(140)에 저장된 공기가 중공홈(123)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노즐부(120)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관로(124)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공기관로(124)는 중공홈(123)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로관(125)은 중공홈(123)의 내측면에 접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110)의 배출구(113)에는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는 토출관(150)이 장착되되, 상기 토출관(150)의 일단은 노즐부(120)의 중공홈(123) 내부 바닥면에 근접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노즐부(120)의 중공홈(123)에 근접한 토출관(150)의 끝단부는 다수개의 절개홈(g)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토출관(150)으로 유입되는 물과 공기가 혼합된 유체가 불규칙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와류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버블이 잘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67854A 2015-11-27 2015-11-27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63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854A KR101633235B1 (ko) 2015-11-27 2015-11-27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854A KR101633235B1 (ko) 2015-11-27 2015-11-27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235B1 true KR101633235B1 (ko) 2016-06-23

Family

ID=5635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854A KR101633235B1 (ko) 2015-11-27 2015-11-27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87A (ko) * 2016-12-05 2018-06-14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 혼합 장치
KR20200063551A (ko) 2018-11-28 2020-06-05 김학경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CN114768569A (zh) * 2022-03-21 2022-07-22 厦门纳美宸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气泡装置以及出水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997A (ja) * 1992-08-26 1994-05-06 Takashi Yamamoto 曝気装置
JPH08192035A (ja) * 1995-01-19 1996-07-30 Chem Grouting Co Ltd 微細気泡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5020165A (ja) * 2013-07-22 2015-02-02 グッドファーマー技研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997A (ja) * 1992-08-26 1994-05-06 Takashi Yamamoto 曝気装置
JPH08192035A (ja) * 1995-01-19 1996-07-30 Chem Grouting Co Ltd 微細気泡を発生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5020165A (ja) * 2013-07-22 2015-02-02 グッドファーマー技研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187A (ko) * 2016-12-05 2018-06-14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 혼합 장치
KR20200063551A (ko) 2018-11-28 2020-06-05 김학경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CN114768569A (zh) * 2022-03-21 2022-07-22 厦门纳美宸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气泡装置以及出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234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KR101483412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KR101633235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JP2011167640A (ja) シャワー装置
KR101494080B1 (ko) 세라믹볼을 이용한 직립형 미세기포 발생장치
CN111715426A (zh) 喷淋头
JP6079994B2 (ja) シャワー装置
KR20150079190A (ko) 용존공기 부상 장치용 노즐
KR102305212B1 (ko) 기포 발생 장치
JP456178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6291321B2 (ja) 二流体ノズルユニット
JP2010022919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
CN102405321B (zh) 泡沫水生成水塞
JP6032442B2 (ja) シャワー装置
JP5821081B2 (ja) 節水型の散水吐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栓
US20220154438A1 (en) Aerator
CN212791473U (zh) 出水装置
JP6617400B2 (ja) シャワー装置
JPH11222890A (ja) 水道用蛇口装置
EE05866B1 (et) Kavitatsiooni aeraator
US9974709B2 (en) Nozzles
JP3168057U (ja) 泡シャワー装置
JP6066339B2 (ja) シャワー装置
KR20180130070A (ko) 나노 기포 발생기
JPH09141073A (ja) 気泡混合水製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