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917B1 -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 Google Patents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917B1
KR101433917B1 KR1020120101775A KR20120101775A KR101433917B1 KR 101433917 B1 KR101433917 B1 KR 101433917B1 KR 1020120101775 A KR1020120101775 A KR 1020120101775A KR 20120101775 A KR20120101775 A KR 20120101775A KR 101433917 B1 KR101433917 B1 KR 10143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solving
gas
water
tank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193A (ko
Inventor
전윤진
Original Assignee
전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윤진 filed Critical 전윤진
Priority to KR102012010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9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를 통해 소량의 오존가스와 용수를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여 오존가스와 용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며, 아울러, 회전 디스크를 통해 오존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오존가스의 용해율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는, 투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에 용수와 오존가스를 포함하는 가스가 투입 및 상기 가스가 용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해 탱크(10)와; 상기 용해 탱크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상기 용수에 용해시키는 각각 다공성의 고정 디스크(20) 및 회전 디스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용해 탱크의 투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와 용수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주입하는 믹싱 노즐(60)을 포함하되, 상기 믹싱 노즐은, 용수의 투입구(62)와 가스의 투입구(63) 및 혼합 유체의 배출구(64)가 구비된 노즐관(61), 상기 노즐관 내부에 타구간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용수와 상기 가스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공급하는 벤추리형 믹싱부(6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용해 탱크(10)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 탱크(10)에서 배출되는 혼합 유체를 공급받는 2차 용해 탱크(210), 상기 2차 용해 탱크의 내부에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각각 다공성의 제1,2용해 디스크(220,230)로 이루어진 2차 용해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해 디스크(220)는 순환공(221)을 통과하는 혼합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체류한 후 통과하도록 가이드(222)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GAS SOLUBLE DEVICE}
본 발명은 가스 용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가스나 산소 등의 가스를 용수에 용해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존가스 등은 강한 산화력 등에 의해 오염수(녹조 포함)를 정화하고 용존산소를 높이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가스 용해 장치를 통해 용수에 용해되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가스와 액체의 반응은 기액 계면의 접촉에 의한 확산에 의존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액 계면의 확대를 위하여 기체의 단위 체적 당 액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가스 용해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스 용해반응장치는 기포기 또는 산기장치라 불리는 장치로서 작은 기공을 갖는 물체를 액체 속에 위치하게 하여 기포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기체가 기포상태로 액체에 혼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포기 또는 산기장치는 쉽게 설치될 수 있고 이용하기도 쉬운 장점이 있지만 기액 접촉 전달효율이 비교적 낮아서 간단한 시스템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 가스 용해반응장치는 기체를 액체에 혼합시키는 점에 중점을 두고 필요한 가스와의 반응을 별도의 탱크 내에서 장시간 체류시킴으로써 혼합을 유도한다. 따라서 기체와 액체의 효율적인 혼합 및 반응을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용해탱크가 매우 커지는 특징이 있어 비효율적이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1-8267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의 크기를 무리하게 대형화하지 않더라도 가스와 용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가스의 용해율을 증대할 수 있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용수와 오존가스를 포함하는 가스가 투입 및 상기 가스가 용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해 탱크와; 상기 용해 탱크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상기 용수에 용해시키는 각각 다공성의 고정 디스크 및 회전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용해 탱크의 투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와 용수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주입하는 믹싱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믹싱 노즐은, 용수의 투입구와 가스의 투입구 및 혼합 유체의 배출구가 구비된 노즐관, 상기 노즐관 내부에 타구간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용수와 상기 가스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공급하는 벤추리형 믹싱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용해 탱크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 탱크에서 배출되는 혼합 유체를 공급받는 2차 용해 탱크, 상기 2차 용해 탱크의 내부에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각각 다공성의 제1,2용해 디스크로 이루어진 2차 용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해 디스크는 순환공을 통과하는 혼합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체류한 후 통과하도록 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의하면, 고정 디스크와 회전 디스크를 통해 소량의 오존가스와 용수를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여 오존가스와 용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며, 아울러, 회전 디스크를 통해 오존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오존가스의 용해율을 증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스 용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적용된 고정 디스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적용된 회전 디스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적용된 믹싱 노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2차 용해기가 적용된 예시도.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에 적용된 2차 용해기의 제1,2용해 디스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100)는, 용수(물)와 가스(오존가스, 산소 등을 말하며 이하에서는 오존가스를 예로 들어 설명함)가 투입 및 가스를 용수에 용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해 탱크(10), 용해 탱크(10) 내부에 교대로 반복하여 장착되며 오존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용수에 용해되도록 하는 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로 구성된다.
용해 탱크(10)는 내부가 중공이며 투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된다. 투입구(11)와 배출구(12)는 도면에서 도시된 것처럼 관형의 포트일 수 있고 구멍의 형태일 수도 있는 등 투입과 배출이 가능한 모든 구조가 포함된다.
지금까지는 용해 탱크(10)가 횡방향으로 배치[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는 종방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용해 탱크(10)는 종방향으로 배치[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는 횡방향]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디스크(20)는 용수와 오존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형 순환공(21)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중앙의 축관통공(22)[회전 디스크(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4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구멍이며, 축관통공(22) 또는 회전축(40)에는 고정 디스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또한, 반지름과 일치하지 않는 곡선형의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 디스크(20)는 용해 탱크(10) 내부에 용해 탱크(10)를 가로지르는 방향[경사 방향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가 스크류 형태로 배열되어 용수와 오존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체류 및 흐르게 되어 용해 효과를 증대할 수도 있다]으로 배열되면서 용해 탱크(10)에 고정된다.
고정 디스크(20)는 오존가스와 용수의 흐름을 저지(지연)시켜 혼합유체(오존가스와 용수)의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용해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고정 디스크(20)와 용해 탱크(10)의 고정 구조로 예컨대, 용해 탱크(10)는 다수의 링(1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링(13)들의 사이에 고정 디스크(20)가 개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정 두께를 갖는 링(13)의 좌우 양측(도 2 기준) 중 일측 이상에는 내부를 향하는 안착홈(13a)이 형성되고, 고정 디스크(20)는 둘레부가 링(13)의 안착홈(13a)에 안착되며, 링(13)과 고정 디스크(20) 사이를 통해 오존가스와 용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 디스크(20)와 대향되는 링(13)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예컨대 오링(14)이 장착된다.
다수의 링(13)은 근접되는 2개씩을 연쇄적으로 클램핑할 수도 있고, 각각 보스가 형성되어 장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고정 디스크(20)는 이러한 링(13)들의 결합에 의해 자연적으로 고정된다.
가장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링(13)에 투입구(11)와 배출구(12)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가장 좌측과 우측에 제1,2캡(15,16)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1,2캡(15,16)의 사이에는 링(13)과 고정 디스크(20)를 배열되고 장볼트와 너트를 통해 제1캡(15) - 링(13)과 고정 디스크(20) - 제2캡(16)이 일체화될 수 있다.
회전 디스크(30)는 예를 들어 원판형의 회전디스크 본체, 상기 회전디스크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며 회전축(40)이 수용되는 축수용공(31), 축수용공(31)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용수와 오존가스가 통과하도록 하는 다수의 제1,2커팅공(32,33)으로 구성된다.
제1커팅공(32)은 도 2 기준 좌우 양측이 개방된 구멍이고, 제2커팅공(33)은 좌우 양측이 개방된 구멍이면서 회전 디스크(30)의 둘레부를 향해 개방되는 분산부(34)가 구비된 구조이다. 즉, 제1,2커팅공(32,33)은 분산부(34)의 유무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뿐이다.
회전 디스크(30)는 회전수단[모터, 회전축(40) 등]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회전속도는 예컨대 500~2,000rpm)하는 중에 제1,2커팅공(32,33)과 분산부(34)를 통해 오존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통과시키는 것이며, 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가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다단계에 걸쳐 오존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키면서 체류시켜 용해 효율을 증대한다.
회전 디스크(30)와 회전축(40)의 결합 방식은 예를 들어, 회전 디스크(30)를 좌우 양측에서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 방식이 가능하다.
클램프(50)는 회전 디스크(30)를 양측에서 감싸는 2개의 클램프 편(51,52) 및 클램프 편(51,52)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회전 디스크(30)를 고정하는 체결구(53)로 구성된다. 2개의 클램프 편(51,52)은 각각 회전축(40)에 키방식(키돌기와 키홈, 회전축과 기어 등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도면을 생략한다)으로 결합되어 회전축(40)의 회전력이 회전 디스크(30)에 전달되도록 한다.
회전 디스크(40)의 둘레부는 용해 탱크(10)의 내주면에 대향되며, 생산 오차나 구동 저항 등에 의해 회전 디스크(40)가 용해 탱크(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디스크(40)의 둘레부에는 탄성재질의 패킹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회전 디스크(40)와 용해 탱크(10)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전 디스크(40)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과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용수와 오존가스의 빠른 주입과 용해 효율의 증대를 위하여 믹싱 노즐(60)이 적용된다. 믹싱 노즐(60)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으로서 용해 탱크(10)의 투입구(11)에 관이음되며 용수와 오존가스를 혼합하여 용해 탱크(10)에 공급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믹싱 노즐(60)은 용수의 투입구(62)(용수 공급수단에 연결)와 오존가스의 투입구(63)(오존 공급수단에 연결) 및 혼합 유체의 배출구(64)가 구비된 노즐관(61)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노즐관(61)은 유로가 직선형인 직선관으로서 용수의 투입구(62)와 혼합유체의 배출구(64)가 직선형으로 배열되고 오존가스의 투입구(63)는 상기 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관(61)을 통해서 용수와 오존가스가 투입될 때 투입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즐관(61)의 내부(유로)에는 벤추리형 믹싱부(65)가 형성된다. 벤추리형 믹싱부(65)는 노즐관(61)의 일부분에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오존가스의 투입구(63)(직경의 변화가 없는 관로)의 출구단과 용수의 투입구(62)가 합류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즉, 용수는 벤추리형 믹싱부(65)를 통과하면서 단면적의 변화를 통해 유속이 가속되어 오존가스를 투입하게 된다.
또한, 믹싱 노즐(60)을 통해 혼합 유체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용수와 오존가스의 용해 효율을 증대하기 위하여 와류 스크류(66)가 적용된다. 와류 스크류(66)는 믹싱관(61)의 내부, 벤추리형 믹싱부(65)와 배출단의 사이에 형성(고정 또는 회전)되며 용수와 오존가스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이들의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용해 효율을 증대한다.
와류 스크류(66)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예를 들어, 와류 스크류(66)는 별도의 스크류 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관은 믹싱관(61)에 분리 가능하도록 관이음된다.
용수와 오존의 양에 따라 농도가 달라지므로 이들의 혼합비율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믹싱 노즐(60)이 포함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1. 용수와 오존가스 믹싱 투입.
용수와 오존가스는 용수의 투입구(62)와 오존가스의 투입구(63)를 통해서 믹싱 노즐(60)의 내부에는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직경이 작은 벤추리형 믹싱부(65)를 통해 용수가 흐를 때 오존가스의 투입구(63)를 통해 투입되는 가스를 압력차에 의해 노즐관(61)의 유로 내에 흡입하여 혼합된다. 혼합 유체는 와류 스크류(66)를 따라 와류 형태로 흐르면서 믹싱관(61) 내부에 체류하여 용수와 오존가스가 혼합된다.
2. 오존가스 용해.
믹싱 노즐(60)을 통해 믹싱된 혼합유체는 용해 탱크(10)의 투입구(11)를 통해 용해 탱크(10) 내에 투입되어, 각각 다수의 고정 디스크(20)와 회전 디스크(30)를 교대로 반복하여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오존가스가 미세 기포로 변화되어 용수에 용해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혼합 유체는 첫 번째 위치하는 고정 디스크(20)에 충돌하며, 혼합유체는 고정 디스크(20)에 의해 진행이 저지되어 체류하게 되고, 소량의 혼합유체가 고정형 순환공(21)을 통해 고정 디스크(20)를 통과한다. 즉, 대량의 혼합유체가 일시적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소량의 혼합유체가 다음 공정으로 유동하게 되어 오존가스의 용해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오존가스는 고정 디스크(20)에 충돌하여 미세 기포로 변환된다.
고정 디스크(20)의 고정형 순환공(21)을 통과한 혼합유체는 회전 디스크(30)를 통과하며, 회전 디스크(30)는 혼합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해 직각이면서 회전 상태이기 때문에 소량의 혼합 유체만이 제1,2커팅공(32,33) 및 분산부(34)를 통과하고, 이때, 제1,2커팅공(32,33)와 분산부(34)를 통해 오존가스가 미세 기포로 변화되고, 아울러 분산부(34)를 통해 분산되어 다음의 고정 디스크(20)로 유동한다.
전술한 것처럼, 고정 디스크(20)는 혼합 유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여 회전 디스크(30)를 통과한 혼합 유체를 소량씩 통과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 디스크(20) - 회전 디스크(30)를 교대로 거치면서 오존 가스가 용수에 용해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2차 용해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2차 용해기(200)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2차 용해 탱크(210), 2차 용해 탱크(210)의 내부에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 고정되는 제1,2용해 디스크(220,230)로 구성된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용해 디스크(220)는 판상이며 다수의 순환공(221)이 형성된다. 제1용해 디스크(220)가 판재이기 때문에 혼합 유체가 순환공(221)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으며, 이는 오존가스의 용해를 돕지 못하는 것이므로 순환공(221)에는 혼합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가이드(222)가 적용된다. 제1용해 디스크(220)는 혼합 유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하기 위하여 순환공(221)이 소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순환공(221)에 의한 통수면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222)는 관형이며, 혼합 유체의 직진성을 간섭하여 혼합 유체가 가이드(222)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한 후 통과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턱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면에서 가이드(222)가 하나의 순환공(221)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이드(222)는 모든 순환공(221)에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제1용해 디스크(220)는 제2용해 디스크(230)와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며, 이때, 다수의 제1용해 디스크(220)의 순환공(221)이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제1용해 디스크(220)는 일정 각도씩 이동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용해 디스크(220)에 의해 혼합 유체의 유로가 변경되어 혼합 유체가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흐르지 않고 제1용해 디스크(220)를 따라 순환공(221)측으로 방향 전환을 하게 되어 혼합 유체의 체류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2용해 디스크(230)는 판상이며 다수의 순환공(231)이 구비된다. 순환공(231)은 제1용해 디스크(220)의 순환공(221)보다 작은 직경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2차 용해기(200)에 따르면, 가스 용해 장치(100)를 통해 오존가스가 용해된 혼합 유체는 2차 용해기(200)의 2차 용해 탱크(210)에 투입되어 제1,2용해 디스크(220,230)를 교대로 반복하여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혼합 유체는 제1용해 디스크(220)의 순환공(221)을 통과할 때 진행을 간섭받아 와류를 형성하면서 체류하여 체류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오존가스(미세 기포)가 용수에 용해되고, 이어서, 제1용해 디스크(220)를 통과한 혼합 유체는 제2용해 디스크(230)에 의해 소량씩 통과하여 제1,2용해 디스크(220,230) 사이에 체류하게 되어 체류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제2용해 디스크(230)를 통과한 혼합 유체는 제1용해 디스크(220)의 순환공(221)측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역시 제2용해 디스크(230)와 제1용해 디스크(220) 사이에 체류하게 되어 혼합 유체의 혼합을 유도한다.
10 : 용해 탱크,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링
14 : 오링, 15,16 : 제1,2캡
20 : 고정 디스크, 21 : 고정형 순환공
30 : 회전 디스크, 31 : 축수용공
32,33 : 제1,2커팅공, 34 : 분산부
40 : 회전축, 50 : 클램프
60 : 믹싱 노즐, 61 : 노즐관
65 : 벤추리형 믹싱부, 66 : 와류 스크류

Claims (7)

  1. 투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내부에 용수와 오존가스를 포함하는 가스가 투입 및 상기 가스가 용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용해 탱크(10)와;
    상기 용해 탱크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스를 미세 기포로 변화시켜 상기 용수에 용해시키는 각각 다공성의 고정 디스크(20) 및 회전 디스크(30)와;
    상기 용해 탱크(10)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용해 탱크(10)에서 배출되는 혼합 유체를 공급받는 2차 용해 탱크(210), 상기 2차 용해 탱크의 내부에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는 각각 다공성의 제1,2용해 디스크(220,230)로 이루어진 2차 용해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해 디스크(220)는 순환공(221)을 통과하는 혼합 유체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체류한 후 통과하도록 가이드(22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해 탱크(11)의 투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와 용수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주입하는 믹싱 노즐(60)을 포함하되, 상기 믹싱 노즐은, 용수의 투입구(62)와 가스의 투입구(63) 및 혼합 유체의 배출구(64)가 구비된 노즐관(61), 상기 노즐관 내부에 타구간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용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용수와 상기 가스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가스를 혼합하여 상기 용해 탱크에 공급하는 벤추리형 믹싱부(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의 믹싱부와 배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믹싱부를 통해 혼합된 혼합유체의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 스크류(6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는, 상기 용해 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판상의 회전디스크 본체, 상기 회전디스크 본체에 전후 양측이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혼합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1커팅공(32), 상기 회전디스크 본체의 둘레부에 전후 양측이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혼합 유체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2커팅공(33)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커팅공과 연통하면서 상기 회전 디스크의 둘레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혼합 유체를 상기 회전 디스크의 둘레부로 분산시키는 분산부(3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해 탱크는, 다수의 링(13)이 상기 고정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 디스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KR1020120101775A 2012-09-13 2012-09-13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KR101433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75A KR101433917B1 (ko) 2012-09-13 2012-09-13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75A KR101433917B1 (ko) 2012-09-13 2012-09-13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93A KR20140035193A (ko) 2014-03-21
KR101433917B1 true KR101433917B1 (ko) 2014-08-29

Family

ID=5064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775A KR101433917B1 (ko) 2012-09-13 2012-09-13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1A (ko) * 2018-01-24 2019-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수 제조용 라인 믹서 및 이를 이용한 오존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39B1 (ko) 2014-04-15 2016-11-22 이여형 벤츄리 구조의 단면을 가지는 메쉬 타공망을 이용한 용존관
CN103931547B (zh) * 2014-04-29 2015-12-30 黄河科技学院 新型高压气泡粉碎装置
KR101614906B1 (ko) * 2015-09-18 2016-04-29 성상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
KR101866445B1 (ko) * 2016-04-18 2018-06-12 성상규 마이크로 버블 타입의 공기 청정장치
KR102091672B1 (ko) * 2018-10-11 2020-03-20 서윤환 수소 기체 방울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수소 기체 방울 발생 장치
KR102156229B1 (ko) * 2018-11-28 2020-09-15 김학경 공기배출수단과 마이크로버블의 효율성이 향상된 자가보수가 용이한 오염수 정화장치
KR102260745B1 (ko) * 2020-02-04 2021-06-07 유영호 마찰을 이용한 나노 버블 생성 시스템
KR102373403B1 (ko) 2021-11-09 2022-03-14 이여형 강자성 금속재질의 메시 망을 이용한 유체 개질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678A (ko) * 2000-02-15 2001-08-30 오재옥 고성능 가스용해장치
JP2006000705A (ja) 2004-06-15 2006-01-05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水中駆動型ガス混合・溶解装置
JP2008161825A (ja) 2006-12-28 2008-07-17 Daikin Ind Ltd 気体溶解器
JP2011011178A (ja) * 2009-07-06 2011-01-20 Spg Technology Co Ltd 気液混合溶解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678A (ko) * 2000-02-15 2001-08-30 오재옥 고성능 가스용해장치
JP2006000705A (ja) 2004-06-15 2006-01-05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水中駆動型ガス混合・溶解装置
JP2008161825A (ja) 2006-12-28 2008-07-17 Daikin Ind Ltd 気体溶解器
JP2011011178A (ja) * 2009-07-06 2011-01-20 Spg Technology Co Ltd 気液混合溶解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151A (ko) * 2018-01-24 2019-08-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수 제조용 라인 믹서 및 이를 이용한 오존수 제조장치
KR102009778B1 (ko) 2018-01-24 2019-10-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수 제조용 라인 믹서 및 이를 이용한 오존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93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917B1 (ko) 용존 산소 공급 및 수질 정화를 위한 가스 용해 장치
JP502863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US10427117B2 (en) Central entry dual rotor cavitation
RU2136355C1 (ru) Ста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смешивания различных газовых потоков
CA2529020C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microbubbles in a liquid using hydrodynamic cavitation
US4117048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gas into a liquid
US20070237026A1 (en) Methodology for improved mixing of a solid-liquid slurry
US4193950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gas into a liquid
RU2414283C2 (ru) Прямоточный вихревой смеситель
KR100484256B1 (ko) 제트루프 반응특성을 이용한 기액혼화장치
CN104761067B (zh) 发射旋动型射流的射流曝气器
CN207667466U (zh) 微气泡发生装置
JP2013237035A (ja) 気体溶解器
RU2576056C2 (ru) 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KR101024323B1 (ko) 가스 용해반응장치
CN106745862A (zh) 一种多管射流式污水处理曝气设备
CN209476034U (zh) 一种蜂窝状高频旋流管道式混合器
KR100391858B1 (ko) 액체중의기체도입장치
JP4855051B2 (ja) 高分子凝集剤等粉体の分散装置
CN116282606B (zh) 一种高效一体化医疗废水处理方法
CN111888955A (zh) 微纳米气泡发生装置、气浮装置及液体处理方法
CN203625154U (zh) 旋切孔口散流曝气器
CN212894136U (zh) 一种水下曝气装置及医药废水处理系统
CN103663675A (zh) 旋切孔口散流曝气器
JP2001179065A (ja) 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