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688B1 - 사각 패널형 물탱크 - Google Patents

사각 패널형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688B1
KR102293688B1 KR1020210001202A KR20210001202A KR102293688B1 KR 102293688 B1 KR102293688 B1 KR 102293688B1 KR 1020210001202 A KR1020210001202 A KR 1020210001202A KR 20210001202 A KR20210001202 A KR 20210001202A KR 102293688 B1 KR102293688 B1 KR 10229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ll
panel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문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창
Priority to KR102021000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66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자연 순환수류를 유도하여 염소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용이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사각패널을 부착하여 물탱크 본체를 구비하되 측벽패널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내벽과, 상기 측벽패널과 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챔버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상기 입수관의 일정높이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방향 유도관과, 상기 측방향 유도관의 출구는 챔버 내부에 유입수를 이송시켜 챔버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한 구성과. 상기 챔버 내부의 유입수는 내벽에 형성된 통수구멍을 통해 내벽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가 이루어진 다음 출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에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하기 위한 점검구를 설치하되 상기 점검구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사각틀체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틀체의 상단 양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덮개가 슬라이딩 결합된 구성으로 된 사각 패널형 물탱크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각 패널형 물탱크{Rectangular Water Tank with Natural Circulating Water Flow Structure}
본 발명은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의 자연 순환수류를 유도하여 염소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용이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저수조등과 같은 대형 물탱크는, 정수장 또는 배수장등에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설치하여, 소독약품과 물을 동시에 유입시켜 이를 서로 혼합되도록 하여, 상수로 사용되는 물을 소독하거나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정수장 또는 배수장에 설치되는 대형 물탱크는, 단순히 바닥판과 상판을 용접에 의해 밀봉 접합시켜 그 내부에 요홈부 형상의 챔버를 갖도록 하는 다수의 벽체(도류벽)가 설치되어 챔버 내부에서 물과 함께 소독약품인 염소의 접촉시간이 길게 되는 것이나, 이와 같은 물탱크는 수 톤에서 수천 톤의 원수가 유입되는 관계로,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된 벽체의 저부 용접부가 국부적으로 수압을 받게 됨과 아울러 다중 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많은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사각 패널형 물탱크는 스테인레스 패널을 이용하여 사각형 패널이 이웃하는 패널과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과 측벽 및 지붕을 이룬다. 이때 이웃하는 두 패널의 결합부분은 절곡되어 이를 서로 맞댄 상태로 만든 다음 용접으로 결합되어 수밀처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각형 패널은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물탱크 내부에 설치된 지지대(보강재)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러나, 물탱크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패널이 절곡되어 용접되는 부분이 바닥에 다수 구획된 형태로 상향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이동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청소시에도 돌출턱 부분에 의해 퇴수가 용이하지 않는 등 유지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대는 서로 마주보는 패널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는 바닥과 천장을 지지하고 수평으로 설치된 지지대는 측벽을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각 물탱크의 경우 최하부 측벽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낮은 위치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하부패널과 기초프레임의 용접부분은 기초프레임의 부식이 하부패널에 전이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KR 제10-1833440호 KR 제10-0440433호 KR 제10-1044475호 (실용등록문헌 0004) KR 제20-015491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자연 순환수류를 유도하여 염소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의 용접부분은 무절곡 용접을 하여 작업자 이동 및 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바닥 하부패널과 기초프레임 사이에 스테인레스 라이너를 삽입하여 기초프레임으로 부터 하부패널에 부식이 전이되지 않도록 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의 상부에 점검구를 설치하되 점검구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사각틀체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틀체의 상단 양측에 덮개가 슬라이딩 결합된 구성으로 통공을 통해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덮개는 간편하게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각패널을 부착하여 물탱크 본체를 구비하되 측벽패널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내벽과, 상기 측벽패널과 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챔버와, 상기 물탱크 본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수가 유입되는 입수관과, 상기 입수관의 일정높이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방향 유도관과, 상기 측방향 유도관의 출구는 챔버 내부에 유입수를 이송시켜 챔버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한 구성과. 상기 챔버 내부의 유입수는 내벽에 형성된 통수구멍을 통해 내벽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가 이루어진 다음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각 패널형 물탱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벽의 통수구멍은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벽의 통수구멍은 측방향 유도관의 출구를 통해 유입수가 선회되어 또 다른 측방향 유도관의 출구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의 모서리 부분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선회작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방향 유도관의 출구는 원호상으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선회유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과 인접한 하부패널의 결합부분은 무절곡되어 용접으로 결합하는 용접부에 의해 바닥판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 일측에 배수트렌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패널과 인접한 하부패널이 결합되는 용접부의 하부패널과 기초프레임 사이에 스테인레스 라이너를 삽입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과 인접한 하부패널의 결합부분은 평평하게 구비되어 용접으로 결합하는 구성에 의해 바닥판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 일측에 배수트렌치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패널과 인접한 하부패널의 용접 결합부분 하부에 받쳐지는 기초프레임의 상부에 스테인레스 라이너를 삽입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패널에 지지대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보강지지대의 내측에 가압 성형된 가압돌부가 구비되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패널의 외부에 보온마감재를 구비하되 보온마감재의 표면에 부식방지 및 긁힘을 방지하는 합성수지 적층 필름을 라미네이팅 또는 합성수지 코팅 처리하여서 된 보호피막층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 본체의 상부에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하기 위한 점검구를 설치하되 상기 점검구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사각틀체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틀체의 상단 양측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덮개가 슬라이딩 결합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각 패널형 물탱크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물의 자연 순환수류를 유도하여 염소소독효과를 증진시키고, 자연순환수류 구조에 의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물탱크 본체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의 용접부분은 무절곡 용접을 하여 작업자 이동 및 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바닥 하부패널과 기초프레임 사이에 스테인레스 라이너를 삽입하여 기초프레임으로 부터 하부패널에 부식이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측방향 유도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측방향 유도관에 의해 챔버 내에서 유입수의 선회 및 내벽의 통수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측방향 유도관에 의해 순환수류가 유도되는 작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서 물탱크 본체의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하부패널과 인접한 하부패널의 결합부분은 평평하게 구비되어 무절곡 용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기초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및 스테인레스 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최하부 측부패널의 설치높이에 따른 작업자의 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점검구의 구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측벽패널에 연결되는 지지대를 받쳐주는 보강지지대에 가압돌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보온마감재에 라미네이팅 필름을 코팅하고 이를 성형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사각 패널형 물탱크에 적용되는 사각패널의 외부에 보온재와 보온마감재 및 보호피막층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사각 패널형 물탱크는, 다수의 사각패널(20)을 부착하여 측벽패널(22), 천장패널(24), 하부패널(26)로 이루어진 물탱크 본체(10)를 구비하되 측벽패널(22)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내벽(30)과, 상기 측벽패널(22)과 내벽(30) 사이에 구비되는 챔버(40)와, 상기 물탱크 본체(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수가 유입되는 입수관(60)과, 상기 입수관(60)의 일정높이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방향 유도관(50)과, 상기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절곡되어 챔버(40) 내부에 유입수를 이송시켜 챔버(40)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한 구성과. 상기 챔버(40) 내부의 유입수는 내벽(30)에 형성된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가 이루어진 다음 출수관(65)으로 배출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 본체(10)는 측벽패널(22)의 상부에 천장패널(24)이 설치되고 바닥판은 하부패널(26)이 설치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측벽패널(22)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내벽(30)이 설치된 이중프레임 구조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 및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측벽패널(22)과 내벽(30) 사이의 설치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40) 내부에 유입수가 유입되어 챔버(40) 내부에서 유입수가 선회된 다음 내벽(30)의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방향 유도관(50)은 입수관(60)의 일정높이에서 수평으로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측방향 유도관(50)은 분기되는 시작지점에서 약 45도의 경사각도로 절곡된 다음 수평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러한 측방향 유도관(50)이 방사형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물의 분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내벽(30)의 통수구멍(3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챔버(40)에 유입수를 이송시키되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원호상으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선회유도부(54)가 구비되며, 상기 절곡된 선회유도부(54)는 챔버(4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일방향으로 선회작용을 하도록 한다.
상기 챔버(40) 내부에 있는 유입수는 내벽(30)의 하부에 형성된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가 이루어지는 와류작용으로 유입수에 염소가 골고루 혼합되는 수단으로 염소소독이 이루어진 다음 이러한 저장수가 출수관(65)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내벽(30)의 하부에 복수개의 통수구멍(32)을 형성하되 상기 통수구멍(32)은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비중이 무거운 입자상태의 물질은 침강이 되고, 챔버(40) 내부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챔버(40)의 내부를 따라 선회됨과 아울러 선회과정에서 내벽(30)의 하부에 형성된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를 유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통수구멍(32)은 내벽(30)의 둘레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챔버(40) 내부를 따라 선회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선회되는 유입수가 내벽(30)의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순환수류를 유도하는 와류작용으로 염소접촉효율을 높인 다음 출수관(65)으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벽(30)의 통수구멍(32)은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를 통해 유입수가 선회되어 또 다른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의 모서리 부분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선회작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에 의해 챔버(40)에 유입된 유입수가 내벽(30)의 통수구멍(32)으로 곧바로 유입되지 않고 선회진행방향에 위치한 또 다른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에 있는 통수구멍(32) 부분까지 선회되어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출수관(65)은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저장수는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출수관(65)으로 월류되어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 본체(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입수관(60)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는 입수관(60)의 상부에 복수개로 분기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측방향 유도관(50)으로 이송된 다음 측방향 유도관(50) 선단의 출구(52)를 통해 챔버(40) 내부로 유입수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원호상으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선회유도부(54)에 의해 유입수가 챔버(40) 내부에서 일방향 선회가 이루어지는 회전수류를 발생시킨 다음 챔버(40) 내부에서 유입수가 선회되는 과정에서 내벽(30) 하부의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를 유도하는 와류작용으로 저장수의 염소접촉이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물탱크 본체(10)는 측벽패널(22)과 내벽(30)으로 이루어진 이중프레임 구조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물탱크로 유입되는 초기 유입수는 입수관(60)에 설치된 측방향 유도관(50)에 의해 챔버(40)내부로 이송되어 챔버(40) 내부에서 유입수가 선회됨과 아울러 챔버(40) 내부에서 유입수가 선회되는 과정에서 내벽(30)의 통수구멍(32)을 통해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를 유도하는 와류작용으로 저장수의 염소접촉효율을 높인 다음 출수관(65)을 통해 외부 배출하게 되므로 유입수의 염소소독 효과를 크게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26)과 인접한 하부패널(26)의 결합부분은 평평하게 구비되어 무절곡 용접으로 결합하는 용접부(26a)에 의해 바닥판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 이동 및 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하부패널(26)과 인접한 하부패널(26)이 결합되는 용접부(26a)의 하부패널(26)과 기초프레임(100) 사이에 스테인레스 라이너(28)를 삽입하여 기초프레임(100)으로 부터 부식이 스테인레스 라이너(28)에 의해 하부패널(26)에 부식이 전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 일측에 배수트렌치(29)를 구비하여 물의 완전 배수 및 청소시에 퇴수가 이루어지는 등 유리관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고, 기초프레임(100)은 결합홈(102)을 형성하여 끼움 맞춤으로 조립하여 우수한 수평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탱크 본체(10)의 상부에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하기 위한 점검구(70)를 설치하되 점검구(70)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72)이 형성된 사각틀체(71)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틀체(71)의 상단 양측에 슬라이딩부(74)가 형성되어 덮개(73)가 슬라이딩 결합된 구성으로 통공(72)을 통해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덮개(73)는 간편하게 슬라이딩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최하부 측벽패널(22)은 1900mm 이상의 높이를 갖는 패널로 배치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물탱크 내부에서 최하부 측벽패널(22)과 이와 대응된 최하부 측벽패널(22)을 상호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80)의 높이가 작업자의 이동 및 청소시에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한다.
또, 상기 측벽패널(22)에 연결되는 지지대(80)를 받쳐주는 보강지지대(82)의 내측에 가압 성형된 가압돌부(82a)가 구비되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물탱크는 주로 옥외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하여 햇빛에 강하고, 외부의 온도가 물탱크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사각패널(20)의 외부에 스치로폴 등의 보온재(90)와 아연도금 철판 등으로 된 보온마감재(91)를 구비한다.
이러한 보온마감재(91)의 표면에 부식방지 및 긁힘(스크래치)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적층 필름(94)을 라미네이팅하거나 합성수지 코팅 처리하여서 된 보호피막층(92)을 구비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호피막층(92)을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되 PET, PVC, PE, PP, PU, Nylon 등의 합성수지 계열로 된 것을 사용하여 보호피막층(92)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피막층(92)이 형성된 보온마감재(91)는 보온재(90) 및 사각패널(20)과 일체형으로 제작된 보온일체형 패널을 사용하거나, 현장 시공시에 보온재(90) 및 보온마감재(91)와 사각패널(20)이 따로 분리되어 현장 시공시에 결합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물탱크 본체 20 : 사각패널
22 : 측벽패널 24 : 천장패널
26 : 하부패널 26a : 용접부
28 : 라이너 29 : 배수트렌치
30 : 내벽 32 : 통수구멍
40 : 챔버 50 : 측방향 유도관
52 : 출구 54 : 선회유도부
60 : 입수관 65 : 출수관
70 : 점검구 71 : 사각틀체
72 : 통공 73 : 덮개
74 : 슬라이딩부 80 : 지지대
82 : 보강지지대 82a : 가압돌부
90 : 보온재 91 : 보온마감재
92 : 보호피막층 94 : 필름
100 : 기초프레임 102 : 결합홈

Claims (9)

  1. 다수의 사각패널(20)을 부착하여 구비한 물탱크 본체(10)에서 측벽패널(22)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내벽(30)과, 상기 측벽패널(22)과 내벽(30) 사이에 구비되는 챔버(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탱크 본체(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수가 유입되는 입수관(60)과,
    상기 입수관(60)의 일정높이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분기되는 시작지점에서 약 45도의 경사각도로 절곡된 다음 수평으로 절곡되어 방사형으로 복수개 배치된 구성으로 물의 분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측방향 유도관(50)과,
    상기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챔버(40) 내부에 유입수를 이송시켜 챔버(40) 내부에서 선회되도록 한 구성과.
    상기 챔버(40)의 내벽(30)에 형성되는 통수구멍(32)은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비중이 무거운 입자상태의 물질은 침강이 되고, 통수구멍(32)을 통과한 유입수는 내벽(3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순환수류가 이루어진 다음 출수관(65)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출수관(65)은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저장수는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출수관(65)으로 월류되어 배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 본체(10)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패널(26)과 인접한 하부패널(26)의 결합부분은 무절곡되어 용접부(26a)에 의해 바닥판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되 하부패널(26)과 기초프레임(100) 사이에 스테인레스 라이너(28)를 삽입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30)의 통수구멍(32)은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를 통해 유입수가 선회되어 또 다른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의 모서리 부분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선회작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유도관(50)의 출구(52)는 원호상으로 절곡되고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선회유도부(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패널(22)에 연결되는 지지대(80)를 받쳐주는 보강지지대(82)의 내측에 가압 성형된 가압돌부(82a)가 구비되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패널(20)의 외부에 보온마감재(91)를 구비하되 보온마감재(91)의 표면에 부식방지 및 긁힘을 방지하는 합성수지 적층 필름을 라미네이팅 또는 합성수지 코팅 처리하여서 된 보호피막층(92)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본체(10)의 상부에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하기 위한 점검구(70)를 설치하되 상기 점검구(70)는 측벽에 다수의 통공(72)이 형성된 사각틀체(71)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틀체(71)의 상단 양측에 슬라이딩부(74)가 형성되어 덮개(73)가 슬라이딩 결합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패널형 물탱크.
KR1020210001202A 2021-01-06 2021-01-06 사각 패널형 물탱크 KR102293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02A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1-06 사각 패널형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02A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1-06 사각 패널형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688B1 true KR102293688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02A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1-06 사각 패널형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501B1 (ko) 2023-05-17 2023-12-29 주식회사 문창 물탱크용 슬라이딩 점검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18Y1 (ko) 1997-03-27 1999-08-16 박지화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KR100440433B1 (ko) 2002-09-11 2004-07-19 강동열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JP2005515946A (ja) * 2002-01-24 2005-06-02 ドンヨウ カン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KR100501811B1 (ko) * 2005-03-19 2005-07-19 (주)동명산업 체결용 부재가 취부된 합성 수지 시트를 구비한 단위 패널및 이를 구비한 금속 탱크
KR20070105089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성지기공 스테인레스 물저장조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1468718B1 (ko) * 2014-03-31 2014-12-08 (주)삼원테크 물탱크 조립체
KR101833440B1 (ko) 2017-06-01 2018-02-28 송석환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1893097B1 (ko) * 2018-05-17 2018-08-29 (주)솔방이엔지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918Y1 (ko) 1997-03-27 1999-08-16 박지화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JP2005515946A (ja) * 2002-01-24 2005-06-02 ドンヨウ カン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KR100440433B1 (ko) 2002-09-11 2004-07-19 강동열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KR100501811B1 (ko) * 2005-03-19 2005-07-19 (주)동명산업 체결용 부재가 취부된 합성 수지 시트를 구비한 단위 패널및 이를 구비한 금속 탱크
KR20070105089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성지기공 스테인레스 물저장조
KR101044475B1 (ko) 2011-03-31 2011-06-27 이화자 도류벽이 구비된 물탱크
KR101468718B1 (ko) * 2014-03-31 2014-12-08 (주)삼원테크 물탱크 조립체
KR101833440B1 (ko) 2017-06-01 2018-02-28 송석환 향상된 저장성 및 수압지지력을 가지는 사각 물탱크
KR101893097B1 (ko) * 2018-05-17 2018-08-29 (주)솔방이엔지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501B1 (ko) 2023-05-17 2023-12-29 주식회사 문창 물탱크용 슬라이딩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3775B1 (en) Utilities container
KR100922599B1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US7604003B2 (en) Solar panel
KR102293688B1 (ko) 사각 패널형 물탱크
JPH11350759A (ja) バス・トイレ用のコンテナ
CN208455736U (zh) 一种用于卫生间的侧立式中水储水及处理回用系统
KR101134148B1 (ko) 정수 및 폐수처리용 저류조의 스테인레스 벽체 패널
CN204612531U (zh) 浴室热能回收器
KR20210112951A (ko) 시공이 용이한 외장패널 조립체
JP6419355B2 (ja) 浄化槽及び水処理施設用ブロックの結合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立式ブロック
KR101046222B1 (ko) 법랑코팅 판넬을 이용한 사각물탱크 또는 저수조 리모델링 방법
KR100486852B1 (ko) 저장탱크를 이용한 배수지
AU2003200916B2 (en) Apparatus for the recycling of used water
KR102293696B1 (ko) 무도류벽 자연순환수류 구조의 원통 물탱크
CN206071107U (zh) 一种环保卫生间
CN206494816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210065221U (zh) 一种套装导流装置
CN211143633U (zh) 一种地库采光井
JP5382402B2 (ja) 配管接続用パネル
KR20160109684A (ko) 곡면바닥을 갖는 조립식 패널수조
CN206308139U (zh) 一种景观瀑布污水处理设备
KR101746706B1 (ko) 통패드 바닥구조체가 구비된 조립식 패널수조
JP2009013752A (ja) 融雪装置
FI128158B (fi) Putkistoelementti
UA145936U (uk) Автомийка з пунктом обслуговування напоями та/або харч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