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918Y1 -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918Y1
KR200154918Y1 KR2019970005933U KR19970005933U KR200154918Y1 KR 200154918 Y1 KR200154918 Y1 KR 200154918Y1 KR 2019970005933 U KR2019970005933 U KR 2019970005933U KR 19970005933 U KR19970005933 U KR 19970005933U KR 200154918 Y1 KR200154918 Y1 KR 200154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einforcing bar
water storage
vertical
rectangu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672U (ko
Inventor
박계화
Original Assignee
박지화
주식회사삼양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980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5491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화, 주식회사삼양보일러 filed Critical 박지화
Priority to KR201997000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91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물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수평상의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등이 설치되어 서로 교차됨으로 해서, 정기적으로 물저장탱크의 내측벽을 청소해 주기위한 공간이 좁아 작업자가 들어가서 청소작업을 하는데는 매우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로 접합된 사각패널의 모서리부마다 각각의 보강대와 지지대를 부착시켜야 하는등 보강재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물저장탱크(10)의 하부에 직사각패널(14)을 부착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상의 가로·세로보강대(30)(32)의 숫자를 절감하고, 대각선상으로 직사각패널(14)의 접합부(18)와 수직보강대(16) 사이에 보조보강대(20)를 설치함으로서, 물저장탱크(10)의 하부에 수평상의 가로·세로보강대(30)(32)의 절감된 숫자 만큼 투입되는 자재가 절감되면서 물저장탱크(10)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게 됨과 동시에 활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중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내부 청소작업을 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본 고안은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저장탱크의 하부를 이루는 사각패널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확장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의 숫자를 절감하고, 대각선상으로 보조보강대를 설치하여 물저장탱크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면서, 내부에 활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 주택이나 연립주택의 옥상에는 음료용수 또는 생활용수를 저장해 놓는 섬유강화프라스틱(F.R.P)재질의 물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섬유강화프라스틱 재질의 물저장탱크는 태양광의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여 저장된 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있어 근래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된 물저장탱크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물저장탱크는 외형상 원통형과 사각형의 입방체형으로 구분이 되며, 상기 원통형과 입방체형의 물저장탱크 내부에는 수직보강대와 수평보강대가 다수 설치되어 물저장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테인레스강 재질의 물저장탱크는 첨부된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각각의 사각패널(2)을 용접에 의해 접합시켜 물저장탱크(1)를 형성하되, 상기 물저장탱크(1)의 내부에는 수평상 가로보강대(3)와 세로보강대(4)를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교차하는 교차점들을 수직상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수직보강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상의 가로·세로보강대(3)(4)와 수직상의 수직보강대(5)는 물저장탱크(1)를 이루는 사각패널(2)의 각 모서리부분을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측 끝단부에는 까치발식의 지지대(6)를 다수 부착하여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을 이루어 그 접합부위가 저장된 물의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각패널(2)은 첨부된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외형상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부에는 호형상의 돌출부(7)를 형성하고 사각패널(2)의 상·하, 양측단부를 상기 돌출부(7)의 반대방향으로 절곡시켜 접합플렌지부(8)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사각패널(2)의 양측과 상·하측에 동일한 사각패널(2)을 접하도록 하여 밀착된 접합플렌지부(8)의 단부를 접합시켜, 입방체의 물저장탱크(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규격화된 사각패널(2)을 이용하여 설치장소에 적합하도록 물저장탱크(1)의 용량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저장탱크(1)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압을 견딜수 있도록 수평상의 가로보강대(3)와 세로보강대(4)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5)등이 교차되도록 다수 설치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물저장탱크(1)의 내측벽을 청소해 주기위한 공간이 좁아 작업자가 들어가서 청소작업을 하는데는 매우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좌·우로 접합된 사각패널(2)의 모서리부 마다 각각의 보강대(3)(4)(5)와 지지대(6)를 설치해야 하는등 보강재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물저장탱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저장탱크의 하부를 이루는 사각패널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확장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대의 숫자를 절감하고, 대각선상으로 보조보강대를 설치하여 물저장탱크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며, 내부에 활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물저장탱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패널을 상·하, 좌·우측으로 접합하고, 그 내부에 수평상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물저장탱크에 있어서, 물저장탱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정사각패널과 직사각패널을 부착하고, 그 내측으로 수평상의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를 설치하되, 상기 가로·세로보강대의 교차부분과 직사각패널의 양측을 접합시켜 이루어진 접합부 사이에 보조보강대를 설치하여 물저장탱크의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며, 그 내측으로 활동공간을 갖추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물저장탱크 구성품인 사각패널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직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대의 접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저장탱크 12 : 정사각패널
14 : 직사각패널 16 : 수직보강대
18 : 접합부 20 : 보조보강대
22 : 돌출부 24 : 요홈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수의 사각패널을 상·하·좌·우측으로 연속 접합하고, 그 내측으로 수평상의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입방체의 물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10)의 상부와 하부에 그 길이가 서로 다른 정사각패널(12)과 직사각패널(14)을 부착하되, 상기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보강대(16)와 직사각패널(14)의 접합부(18)사이에 상·하 대칭형의 보조보강대(20)를 설치하고, 상기 직사각패널(14)의 중앙부와 그 주변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타원형의 돌출부(22)와 내측으로 돌출된 요홈부(24)를 형성하여 수압에 대한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며, 직사각패널(14)을 길이 방향으로 세워서 내측으로 활동공간을 갖출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0과 32는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상의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 34는 물저장탱크(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다리, 36은 물저장탱크(10)의 상면에 형성된 청소용 맨홀뚜껑이다.
예시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직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4는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대의 접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5는 직사각패널의 종단면도로서, 상기 물저장탱크(10)는 다수의 사각패널을 상·하·좌·우측으로 연속 접합하고, 그 내측으로 수평상의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32)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16)를 설치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물저장탱크(10)는 그 상하부에 각각 규격이 상이한 정사각패널(12)과 직사각패널(14)을 부착하되, 상기 정사각패널(12)은 그 중앙에 외측으로 반구형의 돌출부를 돌출시키고, 상기 직사각패널(14)은 그 중앙과 그 주변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타원형의 돌출부(22)와 내측으로 돌출된 요홈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정사각패널(12)과 직사각패널(14)은 자체 녹발생이 없는 내식성이 강한스테인레스 스틸재로 제작된 것으로, 정사각패널(12)과 직사각패널(14)이 상·하부에 연속적으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수평상의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32)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수직상의 수직보강대(16)가 설치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정사각패널(12)의 중앙부와 직사각패널(14)의 중앙부에 각각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돌출부와 타원형의 돌출부(22)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압은 특정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이 된다.
또한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패널의 양측단과 상·하측단의 일정한 두께로 절곡되어 접합플렌지를 형성시켜 내측에서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을 이루게 된 패널의 접합부(18)는 내측단은 접합이 되고 외측단은 단지 밀착된 상태이므로, 저장된 물의 수압이 접합된 패널부위에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약간의 탄력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 다수의 보강대(16)(30)(32)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직사각패널(14)의 접합부(18)와 수직보강대(16) 사이에 상·하 대칭형의 보조보강대(20)가 설치되어 직사각패널(14)의 중앙부가 수압에 견딜수 있도록 되고, 그 내측으로 작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 직업 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물저장탱크(10)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일측면에 부착된 사다리(34)와 상면에 형성된 청소용 맨홀뚜껑(36)을 통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상기 작업공간에서 작업자가 충분히 활동할 수 있어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물저장탱크(10)의 하부에 직사각패널(14)을 부착시켜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상의 가로·세로보강대(30)(32)의 숫자를 절감하고, 대각선상으로 직사각패널(14)의 접합부(18)와 수직보강대(16) 사이에 보조보강대(20)를 설치함으로서, 물저장탱크(10)의 하부에 수평상의 가로·세로보강대(30)(32)의 절감된 숫자 만큼 투입되는 자재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물저장탱크(10)의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게 되며 동시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사용중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내부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사각패널을 상·하, 좌·우측으로 연속 접합하고, 그 내측으로 수평상의 가로보강대와 세로보강대 및 수직상의 수직보강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사각패널을 이용한 통상의 물저장탱크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10)의 상부에는 정사각패널(12), 하부에는 직사각패널(14)을 부착하되, 상기 물저장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보강대(16)와 직사각패널(14)의 접합부(18)사이에 상·하 대칭형의 보조보강대(20)를 설치하고, 상기 직사각패널(14)의 중앙부와 그 주변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타원형의 돌출부(22)와 내측으로 돌출된 요홈부(24)를 형성하여 수압에 대한 강성과 강도를 확보하고, 내측으로 작업공간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패널을 이용한 것을 물저장탱크.
KR2019970005933U 1997-03-27 1997-03-27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KR200154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33U KR200154918Y1 (ko) 1997-03-27 1997-03-27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33U KR200154918Y1 (ko) 1997-03-27 1997-03-27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72U KR19980061672U (ko) 1998-11-16
KR200154918Y1 true KR200154918Y1 (ko) 1999-08-16

Family

ID=1949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933U KR200154918Y1 (ko) 1997-03-27 1997-03-27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9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80B1 (ko) * 2015-03-18 2016-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물탱크
KR20180120574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삼양테크 물탱크의 계단 장치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사각 패널형 물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191B1 (ko) * 2020-06-25 2022-10-18 이근식 기능성 제트 펌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280B1 (ko) * 2015-03-18 2016-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물탱크
KR20180120574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삼양테크 물탱크의 계단 장치
KR101986576B1 (ko) 2017-04-27 2019-06-10 주식회사 삼양테크 물탱크의 계단 장치
KR102293688B1 (ko) 2021-01-06 2021-08-26 주식회사 문창 사각 패널형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672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762B1 (ko) 외부를 보강한 내진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20090046604A (ko) 내외면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2133096B1 (ko)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KR102182923B1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863864B1 (ko) Pe 복합 스테인리스 강판제 물탱크 상판의 체결구조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JP5437050B2 (ja) 仮設貯液槽用の枠組体及び仮設貯液槽
KR200154918Y1 (ko) 사각패널을 이용한 물저장탱크
KR100379898B1 (ko) 조립식 대형수조
KR102098025B1 (ko) 저장탱크
KR0119659Y1 (ko) 플라스틱 수조
KR100440433B1 (ko) 연속적 라운드사각구조를 갖는 물탱크
KR200154627Y1 (ko) 합성수지제 대형수조
KR19990014726U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20070057727A (ko) 저장탱크
KR100244887B1 (ko) 조립식 탱크구조물
KR101593112B1 (ko) 물탱크의 바닥 프레임
JPS6211817Y2 (ko)
JPH059348Y2 (ko)
JPH08133384A (ja) 円筒型液体貯溜タンク
KR102440815B1 (ko) 웨이브형 조립블록을 이용한 내진성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CN214609400U (zh) 一种地埋抗浮无拉筋立式罐体
JPH018554Y2 (ko)
KR200240519Y1 (ko) 스테인레스 강판제 물탱크
JPS5931597Y2 (ja) パネル水槽における内部支柱の下部固定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75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01102

Effective date: 2001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01102

Effective date: 200104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30000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0925

Effective date: 200108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0925

Effective date: 2001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2

Year of fee payment: 4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