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668Y1 -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668Y1
KR200494668Y1 KR2020210001701U KR20210001701U KR200494668Y1 KR 200494668 Y1 KR200494668 Y1 KR 200494668Y1 KR 2020210001701 U KR2020210001701 U KR 2020210001701U KR 20210001701 U KR20210001701 U KR 20210001701U KR 200494668 Y1 KR200494668 Y1 KR 200494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pipe
filtering net
longitudinal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곤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1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61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정배수지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의 내부유로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연결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안착되는 타공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타공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타공관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여과망과 일치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을 상기 타공관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스프링; 상기 타공관의 길이방향 타측을 덮는 캡;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는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는, 단위시간당 여과용량이 크고, 물의 유동압력이 크더라도 유입관 및 유출관 내부의 수압이 커지더라도 여과망이 손상되지 아니하며, 여과망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Filter assembly for reservoir}
본 고안은 정수지 또는 배수지에 설치되어 물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위시간당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고 수압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경우, 취수장에서 물을 취수하고 정수지에서 정수한 후 대형 송수관을 통해 배수지까지 송수한다. 이후, 배수지에서 각 가정의 앞 도로까지 배수관을 통해 물을 배수하고, 각 가정에서는 배수관에서 분기된 급수관을 통하여 물을 급수받는다.
이때, 상기 정수지 또는 배수지(이하 '정배수지'라 약칭한다)를 거치는 물 속에 각종 벌레나 유충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바, 이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조립체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필터조립체는 정배수지로 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유입관 및 유출관의 내부 유로에 장착되는데, 이와 같이 필터조립체가 유입관 및 유출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단위시간당 여과량이 매우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유입관 및 유출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수압 즉, 물의 유동압력을 높이면 단위시간당 여과량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물의 유동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의 유동압력이 상승하면 필터조립체에 인가되는 압력 역시 상승하게 되므로, 필터조립체 내의 여과망이 손상된다는 문제도 발생된다.
한편, 필터조립체를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여과망이 오염될 수 있는데, 종래의 필터조립체는 여과망만을 분리하기가 어려워 여과망의 유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도 있다.
KR 10-0906743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위시간당 여과용량이 크고, 물의 유동압력이 크더라도 유입관 및 유출관 내부의 수압이 커지더라도 여과망이 손상되지 아니하며, 여과망 유지보수가 용이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는, 길이방향 일단이 정배수지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의 내부유로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연결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안착되는 타공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타공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타공관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여과망과 일치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을 상기 타공관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스프링; 상기 타공관의 길이방향 타측을 덮는 캡;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는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여과망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후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양측 내측면을 덮도록 180도 폴딩되며, 상기 여과망 중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부위를 상기 지지스프링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여과망 중 180도 폴딩된 부위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강선과,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너트바로 구성된다.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왼나사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오른나사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바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강선의 직경이 증가하고, 상기 너트바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강선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강선은 일정 각도 경사진 나선형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양단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계단형으로 절곡된다.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타공관 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캡은 상기 타공관의 길이방향 타단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은 상기 타공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타단에 안착된다.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플랜지부에 적층 구조로 결합되는 슬립온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슬립온 플랜지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확관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슬립온 플랜지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는, 단위시간당 여과용량이 크고, 물의 유동압력이 크더라도 유입관 및 유출관 내부의 수압이 커지더라도 여과망이 손상되지 아니하며, 여과망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수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에 포함되는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에 포함되는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가 유입관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는 정수지 또는 배수지(이하 '정배수지'라 약칭함)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에 장착되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벌레나 유충 등의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여과성능이 우수하면서 유입관 또는 유출관을 지나는 물의 유동압이 크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길이방향 일단이 정배수지의 유입관(20) 또는 유출관(30)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의 내부유로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112)를 구비하는 연결관(110)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이 상기 연결관(110)의 타단에 안착되는 타공관(120)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타공관(1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타공관(120)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130)과,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여과망(130)과 일치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여과망(1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130)을 상기 타공관(120)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스프링(140)과, 상기 타공관(12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을 덮는 캡(160)과, 길이방향 양단에 수나사산(172)이 각각 형성되되 길이방향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이 상기 크로스바(112)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상기 캡(160)에 결합되는 체결바(170)를 포함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체결바(17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크로스바(112)와 캡(16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타공관(120)은 각각 캡(160)과 연결관(110)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여과망(130)은 타공관(120)과 지지스프링(140) 사이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입관(2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유입관(20)을 통해 배수지(10)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연결관(110) 내부를 통해 여과망(13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여과망(130)과 타공관(120)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배수지(10) 내에 채워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출관(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배수지(10) 내의 물은 타공관(120)과 여과망(1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연결관(110) 및 유출관(30)을 통해 배수지(10)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연결관(110)과 캡(160) 사이에서 고정된 타공관(120)의 내측면에 여과망(130)이 밀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타공관(120)의 직경이나 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여과망(130)의 전체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단위시간당 여과량이 현저히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여과망(130)이 지지스프링(140)에 의해 타공관(12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여과망(130)이 자립할 수 없을 정도의 유연함을 갖도록 제작되더라도 상기 여과망(13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상기 여과망(130)의 재질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직경이 상이한 두 개의 타공관(120)이 여과망(130)을 사이에 두고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는 구조가 제안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두 개의 타공관(120)을 이중관 구조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여과망(13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외력에 의해 직경 변화가 가능한 코일스프링 형상의 지지스프링(140)에 여과망(130)이 결합된 후 상기 지지스프링(140)이 타공관(120)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조립 과정에서 여과망(130)이 손상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자는 여과망(130)을 지지스프링(140)에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스프링(140)을 타공관(120) 내측으로 삽입시켜 여과망(130)을 타공관(120) 내벽에 밀착시키므로, 조립과정에서 여과망(130)이 손상될 우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물의 여과가 일정 기간 지속되면 상기 여과망(130)에는 각종 이물질이 끼어 여과성능이 저하되므로, 역세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망(130)이 타공관(120)의 외측면을 덮도록 결합되면, 타공관(120) 외부에서 타공관(120) 내부를 향하도록 물이 여과망(130)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망(130)이 타공관(1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역세 과정과 같이 타공관(120) 내부에서 타공관(120) 외부를 향하도록 물이 여과망(130)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망(130)이 타공관(120)으로부터 이격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망(130)이 타공관(120)과 지지스프링(140)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물이 어느 방향으로 여과망(130)을 통과하더라도 여과망(130)이 타공관(1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여과망(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물이 어느 방향으로 여과망(130)을 통과하더라도 파손되지 아니하므로, 유입관(20)에 장착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고 유출관(30)에 장착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는 장점 즉,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상기 타공관(120)이 연결관(110)과 캡(16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바(17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사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170)가 나사결합 구조로 연결관(110) 및 캡(16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바(17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112)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바(17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캡(160)을 관통한 후 별도의 체결너트(18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체결너트(180)를 조임에 따라 상기 캡(160)이 타공관(120)의 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을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캡(160)이 타공관(120)의 상단을 하향 가압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160)의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타공관(120)의 상단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바(170)가 나사결합 구조로 장착되면, 상기 체결너트(180)가 파손되거나 풀리지 아니하는 한 타공관(120)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체결너트(180)를 풀었을 때에는 지지스프링(140)과 여과망(130), 타공관(120)을 모두 탈거할 수 있으므로, 여과망(130)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포함되는 고정수단(15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포함되는 고정수단(15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여과망(130)의 내측으로 지지스프링(140)이 삽입된 이후, 상기 여과망(130)의 길이방향 양단은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후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양측 내측면을 덮도록 180도 폴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과망(130)이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싸더라도 여과망(130)은 지지스프링(140)에 고정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여과망(130)은 별도의 고정수단(150)에 의해 지지스프링(14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50)은 여과망(130) 중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감싼 후 180도 폴딩된 부위를 지지스프링(140)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여과망(130) 중 180도 폴딩된 부위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강선(152)과,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너트바(15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너트바(154)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강선(152)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강선(152)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왼나사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오른나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선(152)이 길이방향 양단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면,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을 너트바(154)의 양단에 나사결합시킨 이후 상기 너트바(15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은 너트바(154)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강선(152)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너트바(154)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너트바(15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강선(152)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자는 강선(152)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너트바(15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150)을 지지스프링(140) 내측(더 명확하게는 여과망(130) 중 180도 폴딩된 지점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너트바(154)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강선(152)의 직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강선(152)이 여과망(130) 중 180도 폴딩된 부위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선(152)이 여과망(130) 중 180도 폴딩된 부위에 압착되면, 상기 여과망(130)이 견고하게 지지스프링(14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강선(152)은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코일 단면 사이에 일부 묻히도록 안착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지지스프링(140)은 코일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감겨지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기 강선(152)이 하나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강선(152) 전체가 인접한 두 개의 코일 단면 사이에 묻힐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강선(152)은 코일이 감기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강선(152)이 나선형으로 연장되면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 높이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선(152)은 길이방향 양단이 하나의 너트바(154) 양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계단형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측이 계단형으로 절곡되면, 각각의 절곡규격을 다르게 하여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을 하나의 너트바(154)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단이 너트바(15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너트바(154)가 여과망(130)이나 지지스프링(140)에 간섭되면 너트바(154) 회전 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선(152)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너트바(154)가 여과망(130)이나 지지스프링(14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내측 공간을 향해 계단식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포함되는 고정수단(1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포함되는 고정수단(150)은 여과망(130)을 지지스프링(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여러가지 구조도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1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망(130) 중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부위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립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50)이 클립 구조로 이루어지면, 지지스프링(140)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고정수단(150)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착탈이 간편하여 여과망(130)의 교체 등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수단(150)이 클립 구조로 이루어지면 고정수단(150)을 착탈하는 과정에서 여과망(13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130)이 연질의 재료로 제작되어 손상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고정수단(150)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포함되는 캡(1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타공관(120)의 상측을 덮는 캡(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관(120)의 상단이 저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위가 타공관(120)의 내벽을 타고 상기 타공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캡(160)은 상기 타공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에 안착되므로, 체결너트(180)의 나사결합이 진행되어 상기 캡(160)이 하강할수록 상기 지지스프링(140)은 압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160)이 타공관(12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구조로 구성되면, 상기 지지스프링(140)의 길이가 타공관(120)보다 짧게 제작되더라도 상기 지지스프링(140)을 타공관(120)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140)에 결합된 여과망(130)을 타공관(120)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에 적용되는 캡(160)은 상기 타공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지지스프링(140) 및 이에 결합된 여과망(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입관(20)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연결관(110)의 길이방향 일측이 유입관(20)이나 유출관(30)의 플랜지부(2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유입관(20) 및 유출관(30)에 연결관(110)을 플랜지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과 연결관(110)에 형성된 체결홀(24)을 일치시켜야 한다.
이때,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의 배열패턴이 플랜지부(22)의 센터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틀어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110)을 플랜지부(22)에 결합시켰을 때 타공관(120)이 수직으로 세워지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공관(12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타공관(120)의 자중에 의해 타공관(120)이 점진적으로 더 기울어져 타공관(120)의 길이방향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하단)과 연결관(110)의 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사이가 벌어지고, 종국에는 타공관(120)이 연결관(110)으로부터 분리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의 배열패턴에 상관없이 상기 타공관(120)이 항상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20)의 플랜지부(22)에 적층 구조로 결합되는 슬립온 플랜지(1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11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슬립온 플랜지(116)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확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온 플랜지(116)는 상기 연결관(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관(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유입관(20)의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의 배열패턴이 틀어져 있더라도 상기 슬립온 플랜지(116)를 회전시켜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과 슬립온 플랜지(116)에 형성된 체결홀(117)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타공관(120)을 항상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플랜지부(22)와 슬립온 플랜지(116)는 상기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체결홀(24)과 상기 슬립온 플랜지(116)에 형성된 체결홀(117)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결합은 종래의 플랜지 결합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슬립온 플랜지(116)가 플랜지부(22)에 적층되도록 포개어졌을 때 상기 슬립온 플랜지(116)와 플랜지부(22) 사이에는 확관부(114)가 위치되므로, 상기 플랜지부(22)와 슬립온 플랜지(116)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누수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상기 플랜지부(22)와 슬립온 플랜지(116) 사이에 삽입되어 플랜지부(22)와 슬립온 플랜지(116)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은 플랜지부(22)와 슬립온 플랜지(116) 사이의 누수를 막을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 및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입관(20)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유출관(30)에도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출관(30)에 결합되는 구조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유입관(20)에 결합되는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가 배수지(10)에 활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100)는 정수지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수조 및 물탱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배수지 20 : 유입관
22 : 플랜지부 24 : 체결홀
30 : 유출관 100 :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110 : 연결관 112 : 크로스바
114 : 확관부 116 : 슬립온 플랜지
117 : 체결홀 120 : 타공관
130 : 여과망 140 : 지지스프링
150 : 고정수단 152 : 강선
154 : 너트바 160 : 캡
170 : 체결바 172 : 수나사산
180 : 체결너트

Claims (10)

  1. 길이방향 일단이 정배수지의 유입관 또는 유출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측의 내부유로를 가로지르는 크로스바를 구비하는 연결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안착되는 타공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타공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타공관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망;
    길이방향 중심축이 상기 여과망과 일치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여과망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망을 상기 타공관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스프링;
    상기 타공관의 길이방향 타측을 덮는 캡; 및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캡에 결합되는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망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후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양측 내측면을 덮도록 180도 폴딩되며,
    상기 여과망 중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끝단을 감싼 부위를 상기 지지스프링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스프링의 내측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여과망 중 180도 폴딩된 부위에 밀착되는 원호 형상의 강선과,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양단을 연결하는 너트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왼나사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강선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오른나사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바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강선의 직경이 증가하고, 상기 너트바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강선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강선은 일정 각도 경사진 나선형으로 연장되되, 길이방향 양단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계단형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양측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바의 길이방향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을 상기 타공관 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타공관의 길이방향 타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타공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스프링의 길이방향 타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 또는 유출관의 플랜지부에 적층 구조로 결합되는 슬립온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슬립온 플랜지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확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슬립온 플랜지 사이를 밀폐시키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KR2020210001701U 2021-05-31 2021-05-31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KR200494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01U KR200494668Y1 (ko) 2021-05-31 2021-05-31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01U KR200494668Y1 (ko) 2021-05-31 2021-05-31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668Y1 true KR200494668Y1 (ko) 2021-12-01

Family

ID=7889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01U KR200494668Y1 (ko) 2021-05-31 2021-05-31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6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101B1 (ko) * 2023-01-26 2023-06-30 디엠에프씨(주) 여과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및 여과정제시스템
KR102597425B1 (ko) * 2022-08-29 2023-11-01 김진남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011B1 (ko) * 2005-08-09 2006-06-14 박종수 저수조용 스크린 필터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9-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20160002422U (ko) * 2014-12-29 2016-07-11 현대다이모스(주) 오일 필터 조립체
KR101828783B1 (ko) *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011B1 (ko) * 2005-08-09 2006-06-14 박종수 저수조용 스크린 필터
KR100906743B1 (ko) 2008-06-16 2009-07-09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배수지 또는 정수지에 사용되는 용수저장탱크
KR20160002422U (ko) * 2014-12-29 2016-07-11 현대다이모스(주) 오일 필터 조립체
KR101828783B1 (ko) *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425B1 (ko) * 2022-08-29 2023-11-01 김진남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KR102549101B1 (ko) * 2023-01-26 2023-06-30 디엠에프씨(주) 여과필터와 이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및 여과정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668Y1 (ko)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US8292089B2 (en) Helical support structure for intake screens
CN109475797B (zh) 液体过滤器装置以及方法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US8877057B2 (en) Manifold and filter arrangement for bulk fluid filtration
JP3250274B2 (ja) 濾過器
US20170014746A1 (en) Snap in place natural gas filter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EP2879772B1 (en) Water intake filter
US20130001148A1 (en) Filter assembly
US20060260995A1 (en) Filtered flow-through fitting
US20040007541A1 (en) Integrated liquid and gas distribution device for underdrain block laterals
US20140319050A1 (en) Water filter assembly
US8616396B2 (en) Water treatment pressure vessel having internal conical distributor plates
KR100986260B1 (ko) 스트레이너 유닛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JP4455744B2 (ja) フィルタ装置
US20140042070A1 (en) Filtering apparatus
KR102616060B1 (ko)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KR102503304B1 (ko)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KR200371616Y1 (ko) 보일러용 난방수 필터
CN212214823U (zh) 管道过滤器
KR200484809Y1 (ko)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102551111B1 (ko) 배관용 버킷메쉬필터
KR101071229B1 (ko)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