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04B1 -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04B1
KR102503304B1 KR1020210096439A KR20210096439A KR102503304B1 KR 102503304 B1 KR102503304 B1 KR 102503304B1 KR 1020210096439 A KR1020210096439 A KR 1020210096439A KR 20210096439 A KR20210096439 A KR 20210096439A KR 102503304 B1 KR102503304 B1 KR 102503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pipe
edge
fixing
rim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099A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김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규 filed Critical 김민규
Priority to KR102021009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의 단부 테두리에 안치되도록 원형의 안치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안치테두리 외경에는 외부안치테두리를 이격편으로 연결하여 상기 안치테두리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 형성하며 상기 안치테두리 내경 상측으로는 내부이격돔을 형성한 유입관안치부와, 상기 유입관안치부의 외부를 여과망으로 덮어 유입관의 단부를 여과망으로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여과망 외측을 감싸며 안치테두리를 수용하는 수용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테두리의 외경에는 연결편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된 절곡편을 외향 절곡 형성하며 수용테두리 내경 상측으로는 외부고정돔을 형성한 외부안치부와, 상기 외부안치부와 연결되도록 유입관 테두리를 수용하며 여과망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테두리를 한 쌍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고정테두리에는 면접하는 면접판을 형성하여 턴볼트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테두리의 외경에는 절곡편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편을 외향 절곡 형성한 하단고정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Fil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in drainage pipes}
본 발명은 배수지 유입관에 설치되는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지에서 정수된 물이 다른 이물질이 섞이지 않는 깨끗하고 안전한 상태로 배수관, 급수관을 거쳐 최종 공급지(가정 등)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장치는 유입관의 구경에 상관없이 현장여건에 맞게 맞춤식으로 밀부착 설치 가능하며 필요시 여과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규격의 여과망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필요 수준별 상황대처 능력을 높였다. 또한 거름망 고정 부착장치를 이중(내부이격돔, 외부고정돔)으로 설치하여 통수(通水)시 수량(水量)의 변화, 배수지 통수 비통수(非通水) 반복 시행에 따른 망의 변형, 피로파괴를 방지하였고, 아울러 외부 이격돔은 설치망 탈락 시에도 망 유실 방지의 효과가 나타나게 하였다.
설치망은 내부이격돔 형태에 따라 반구(半球) 형태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통수단면적 증가에 따른 유수 흐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여과의 효율성을 높이고, 설치망의 단위면적당 유출 수압을 떨어트려 망의 안정성 증대를 기하게 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에서 정수과정(응집 침전 여과 살균)을 거친 물은 최종적으로 배수지에서 배수관, 급수관을 거쳐 최종 수요처(가정 등)까지 통상 공급되고 있다.
그 과정 중 정수지 정수과정에서 유입되는 유충, 유충알 등 미세 이물질 유입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배수지 유입관 등의 관 단면에 망을 직접 지지대 없이 단순히 팽팽하게 평면적으로 덮거나 주머니 형태(유수단면적 확보)가 되도록 느슨하게 덮고 관 말단부에서 벤드로 고정하여 이물질을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시공되어 지는 거름망이 작은 미세 이물질까지 차단하기 위해서는 매우 촘촘한 망(높은 메쉬 규격)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망이 촘촘할수록 통수단면적이 줄어들어 단위 시간당 통수능 저하와 함께 거름의 효율이 저하되고 아울러 강도가 약한 미세망에 높은 수압이 가해져 망의 훼손 탈락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망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통수 비통수 반복에 의한 망의 변형 및 피로파괴, 망의 연결부 마찰에 의한 망훼손 등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통수량 확보를 위해 주머니 형태로 망을 느슨하게 설치할 경우 망에 가해지는 압력은 저하되나 통수량의 변화, 통수 비통수 반복 하중(수압)에 의한 피로파괴 즉 망훼손이 매우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현장 문제점에 대한 현장 해결방안으로 본 발명장치를 추진하게 되었다.
기존 특허 출원 중에서는 본 신청건과 가까운 사례로 볼 수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84866호는 여과부가 장착된 급수관으로 원통형(일반관 형태)으로 된 여과망을 급수관에 벤딩부로 부착 고정하여 탈부착이 용이 하도록 한 장치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거름망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없다.
○ 제 9848866호 특허는 일반 형식에 적용하는 것으로, 배수지 유입관에 통상 적용되는 나팔관 형식에는 구조적으로도 적용할 수 없다.
○ 거름망 자체가 급수관과 같이 자체적으로 구조체(거름망 관(管))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함으로 관 구경이 커질수록 구조체 유지(강도와 강성 확보)를 위해 거름망 메쉬(mesh) 재료의 굵기와 함께 메쉬 구멍이 커져 미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거르지 못하게 된다. (배수지 유입관과 같은 대형관에는 적용불가)
○ 비교적 작은 관경이라 하더라도 미세망을 사용할 시에는 구조형태가 유지되기 어렵고 휘거나 변형된다. (미세망 메쉬(mesh) 재료는 굵기가 미세하고 연성이 높아져 관(管)형태 유지가 어려움). 이러한 경우 망의 유동성이 높아져 경우 통수, 비통수 반복에 의한 피로파괴, 통수압에 의한 훼손이 매우 쉽게 일어난다.
○ 거름망 자체가 관(管) 형태로 되어 있어 필요시 다수의 거름망을 겹쳐 사용하는 것은 구조상 불가하다.
○ 다양한 관의 규격(직경)에 맞는 거름망관(管)이 별도 제작되어야 함으로 일반망을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설치망 교체 등 유지관리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관구경 마다 기성품의 거름망관(管) 비축자재를 확보하여야 함으로 유지관리와 비상시 대처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 아래 기능이 가능한 장치를 발명하여 배수지 유입관 거름망에 적용하고자 한다.
○ 배수지 유입부 나팔관 형식과 같은 특수한 형식에도 적용가능
○ 유입 · 유출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장치 설치가능
○ 설치망 메쉬(mesh) 구멍의 크기와 메쉬 재질 굵기에 상관없이 적용가능
○ 이물질의 수준별, 배수지 수압별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망규격), 복수(複數)의 여과망 설치가능
○ 통수단면적 확보로 통수흐름 용이, 통수시 망에 미치는 수압상승 방지
○ 거름망의 안정적 부착으로 수량(水量)의 변화, 통수(通水) 비통수(非通水) 반복에 따른 망의 변형 및 피로파괴 방지
○ 내부 설치망 보수, 세척, 교체 등 유지관리 용이
○ 설치망 탈락시 설치망 유실 방지 (유실망 배수관 유입 사전차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관의 단부 테두리에 안치되도록 원형의 안치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안치테두리 외경에는 외부안치테두리를 이격편으로 연결하여 상기 안치테두리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 형성하며 상기 안치테두리 내경 상측으로는 내부이격돔을 형성한 유입관안치부와, 상기 유입관안치부의 외부를 여과망으로 덮어 유입관의 단부를 여과망으로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의 여과망 외측을 감싸며 안치테두리를 수용하는 수용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테두리의 외경에는 연결편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된 절곡편을 외향 절곡 형성하며 수용테두리 내경 상측으로는 외부고정돔을 형성한 외부안치부와, 상기 외부안치부와 연결되도록 유입관 테두리를 수용하며 여과망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테두리를 한 쌍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고정테두리에는 면접하는 면접판을 형성하여 턴볼트로 연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테두리의 외경에는 절곡편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편을 외향 절곡 형성한 하단고정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된 물을 상수도 정수장에서 배수지로 유입되는 유입관에 설치하는 장치로 그 효과는 아래와 같다.
○ 하단 고정벤드를 설치하여 상부의 외부 안치부와 전산볼트로 체결, 고정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지 유입부에 주로 적용되는 나팔관 형식에 최적화 되도록 하였다.
○ 하단 고정벤드와 상부의 외부 안치부 등 주요 설치부의 규격변화가 용이하여 관구경 맞춤형 설치 적용이 쉽다.
○ 내부이격돔 및 외부고정돔 설치로 거름의 정도, 망에 가해지는 수압의 크기에 맞게 여러 종류의 여과망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 고정돔을 반구(半球) 형태로 제작, 통수단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여 여과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망에 미치는 단위면적당 수압을 저하시켜 여과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 내부 이격돔 및 외부고정돔 설치로 거름망을 돔에 밀착 고정 부착함으로써 통수량(通水量)의 변화, 통수(通水) 비통수 반복에 따른 망의 변형 훼손 및 피로파괴를 방지하였으며 높은 통수 수압 시에도 변형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 전산볼트(6개소) 해체만으로 거름망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여 망의 보수, 세척, 교환 등 유지관리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 외부 고정돔을 최외단에 설치하여 만일 설치망의 탈락 시에도 유실되지 않도록 하였다.
(유충, 유충알과 같이 크기가 작은 미세 이물질까지 여과하고자 할 때는 그 이물질의 크기에 비례하여 매우 촘촘한 망이 사용되어 져야 하는데 기존 통상의 방법으로 시행할 경우, 통수단면적이 망설치전에 비해 매우 축소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통수단면적 미확보에 의한 통수량 부족, 망의 단위면적당 통수압의 증가에 따른 설치망의 파괴 탈락의 문제점이 생긴다. 통수량 확보를 위해 주머니 형태로 망을 느슨하게 설치할 경우 망에 가해지는 압력은 저하되나 통수량의 변화, 통수 비통수 반복 수압에 의한 피로파괴 즉 망훼손이 매우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유로 미세 이물질 거름망의 경우 통수단면적 확보, 미세망의 견고한 고정 부착장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유입관안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외부안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단고정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유입관안치부에 여과부와 외부안치부가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유입관안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외부안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의 하단고정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유입하기 위한 여과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유입관안치부(10)와, 상기 유입관안치부(10)에 설치되는 여과부(20)와, 상기 여과부(20)를 고정하는 외부안치부(30)와, 상기 외부안치부(30)와 연결하여 고정하는 하단고정벤드(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입관안치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의 단부 테두리에 안치되도록 원형의 안치테두리(12)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유입관안치부(10)의 안치테두리(12)의 외경에는 외부안치테두리(13)를 이격편(14)으로 연결하여 상기 안치테두리(12)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연결 형성하고 상기 안치테두리(12) 내경 상측으로는 철사를 연결하여 내부이격돔(1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유입관안치부(10)의 외측으로는 여과부(20)를 형성한다.
상기의 여과부(20)는 유입관안치부(10)의 안치테두리(12)와, 외부안치테두리(13)와 내부이격돔(15)의 외부를 여과망(21)으로 덮어 유입관(11)의 단부를 여과망(21)으로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여과망(21)의 메쉬는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여과부(20)의 여과망(21) 외측으로는 외부안치부(30)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안치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의 여과망(21)을 감싸며 안치테두리(12)를 수용하는 수용테두리(31)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테두리(31)의 외경에는 연결편(32)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32) 단부에는 연결홀(33)이 형성된 절곡편(34)을 외향 절곡 형성한다.
상기의 외부안치부(30)의 수용테두리(31)의 내경 상측에도 철사를 연결하여 외부고정돔(3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안치부(30)와 연결하여 유입관(11)에 고정되도록 하단고정벤드(4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하단고정벤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안치부(30)와 연결되도록 유입관(11) 테두리를 수용하며 여과망(21)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테두리(4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테두리(41)의 외경에는 절곡편(34)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42)이 형성된 고정편(43)을 외향 절곡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를 위하여 미도시된 광역상수도 정수장에 설치되는 배수지 유입관(11)의 단부에 유입관안치부(10)를 설치한다.
물탱크의 저장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유입관(11)의 직경 크기에 따라 유입관(11)의 단부를 안치테두리(12) 또는 외부안치테두리(13)의 저면에 안치시키고 유입관안치부(10)의 외부에 여과부(20)의 여과망(21)을 덮어씌운다.
상기의 여과망(21)은 유입관안치부(10)를 전부 감싸고 유입관(11)의 단부 외경까지 감싸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감싸여진 여과망(21)의 외측으로 외부안치부(30)를 덮어 씌운다.
이렇게 외부안치부(30)를 덮어씌우면 외부안치부(30)의 수용테두리(31)의 저면에 유입관안치부(10)의 외부안치테두리(13)가 삽입된 상태로 겹쳐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관(11)의 단부 외경에 감싸여진 여과망(21)의 끝부분을 수용하며 하단고정벤드(40)를 설치한다.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된 하단고정벤드(40)의 고정테두리(41)의 내측으로 유입관(11)을 감싸고 있는 여과망(21)의 끝부분이 수용되도록 한 후 고정테두리(41)의 면접판(44)이 면접되도록 한 후 턴볼트(V)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테두리(41)에 형성된 고정편(43)과 외부안치부(30)에 형성된 절곡편(34)을 턴볼트(V)로 연결하여 너트로 고정하여 유입관안치부(10)를 유입관(11)에 안치시킨 상태와 여과부(20)의 여과망(21)이 씌여진 상태와 외부안치부(30)가 안치된 상태로 고정하여 유입되는 물을 여과할 수 있다.
10 : 유입관안치부 11 : 유입관
12 : 안치테두리 13 : 외부안치테두리
14 : 이격편 15 : 내부이격돔
20 : 여과부 21 : 여과망
30 : 외부안치부 31 : 수용테두리
32 : 연결편 33 : 연결홀
34 : 절곡편 35 : 외부고정돔
40 : 하단고정벤드 41 : 고정테두리
42 : 고정홀 43 : 고정편
44 : 면접판

Claims (4)

  1. 유입관(11)의 단부 테두리에 안치되도록 원형의 안치테두리(12)를 형성한 유입관안치부(10)와,
    상기 유입관안치부(10)의 외부를 여과망(21)으로 덮어 유입관(11)의 단부를 여과망(21)으로 막을 수 있도록 형성한 여과부(20)와,
    상기 여과부(20)의 여과망(21) 외측을 감싸며 안치테두리(12)를 수용하는 수용테두리(31)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테두리(31)의 외경에는 연결편(32)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32) 단부에는 연결홀(33)이 형성된 절곡편(34)을 외향 절곡 형성한 외부안치부(30)와,
    상기 외부안치부(30)와 연결되도록 유입관(11) 테두리를 수용하며 여과망(21)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테두리(4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테두리(41)의 외경에는 절곡편(34)과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홀(42)이 형성된 고정편(43)을 외향 절곡 형성한 하단고정벤드(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안치부(10)의 안치테두리(12)의 외경에는 외부안치테두리(13)를 이격편(14)으로 연결하여 상기 안치테두리(12)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연결 형성하고 상기 안치테두리(12) 내경 상측으로는 철사를 연결하여 내부이격돔(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안치부(30)의 수용테두리(31)의 내경 상측으로는 철사를 연결하여 외부고정돔(3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벤드(40)의 고정테두리(41)는 중앙을 분리하여 한 쌍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마주보는 반원 형상의 고정테두리(41)에는 면접하는 면접판(44)을 형성하여 턴볼트로 연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KR1020210096439A 2021-07-22 2021-07-22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KR102503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39A KR102503304B1 (ko) 2021-07-22 2021-07-22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439A KR102503304B1 (ko) 2021-07-22 2021-07-22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99A KR20230015099A (ko) 2023-01-31
KR102503304B1 true KR102503304B1 (ko) 2023-02-23

Family

ID=8510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439A KR102503304B1 (ko) 2021-07-22 2021-07-22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86Y1 (ko) 2001-01-19 2001-07-19 오훈 하수구의 이물질 유입방지덮개
KR200321139Y1 (ko) 2003-04-25 2003-07-23 이주영 배수구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70Y2 (ja) * 1989-07-06 1994-06-29 株式会社クボタ 管芯出固定治具
KR101431222B1 (ko) * 2012-11-26 2014-08-18 (주)동서그린산업 필터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86Y1 (ko) 2001-01-19 2001-07-19 오훈 하수구의 이물질 유입방지덮개
KR200321139Y1 (ko) 2003-04-25 2003-07-23 이주영 배수구 여과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0108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99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5315A1 (en) Filter medium for strainers used in nuclear reactor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s
KR200494668Y1 (ko) 정배수지용 필터조립체
BG61801B1 (bg) Филтър за вода за аварийна охладителна система в ядренаелектроцентрала
KR102503304B1 (ko)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US6699387B2 (en) Waste water filter having multiple wall filter elements and outlet protection
US10675564B1 (en) Filter system
CN210933997U (zh) 一种放射性废水杂质滤除过滤器
JP5896681B2 (ja)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KR101193732B1 (ko)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CN212017030U (zh) 一种精密式多级过滤器
JP2015027646A (ja) ろ過装置
KR200273289Y1 (ko) 원통형 망목구조를 갖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JP4044697B2 (ja) 液体処理塔
CN219240731U (zh) 一种排水结构
KR102616060B1 (ko) 부단수 자동역세 소형생물 여과장치
CN213433242U (zh) 一种自清洗滤水装置
JP3100518B2 (ja) 定流量排出装置
CN210163284U (zh) 一种改进结构的脱油污水过滤器
CN213572323U (zh) 一种用于建筑给排水的排污管道
KR102668170B1 (ko) 다공성 필터를 이용한 여과장치
CN215782105U (zh) 一种供水管路除污装置
CN212974292U (zh) 一种污水过滤分离装置
KR200171941Y1 (ko) 폐수처리장치용 노즐
KR20070011754A (ko) 이온교환수지 재생탱크에서 역세수 배출이 용이한 가변형가지관을 가진 역세관
CN209507768U (zh) 一种碱性废水配合酸性废气处理曝气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