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222B1 - 필터유닛 - Google Patents

필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222B1
KR101431222B1 KR1020120134534A KR20120134534A KR101431222B1 KR 101431222 B1 KR101431222 B1 KR 101431222B1 KR 1020120134534 A KR1020120134534 A KR 1020120134534A KR 20120134534 A KR20120134534 A KR 20120134534A KR 101431222 B1 KR101431222 B1 KR 101431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space
flui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376A (ko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서그린산업 filed Critical (주)동서그린산업
Priority to KR102012013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수용된 저수조 내에 설치되며, 상부가 열린 제1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유체가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된 외통과, 제1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제2내부공간으로 유체는 유입되되,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거름망과, 제2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의 흡입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3내부공간이 마련되며, 거름망을 통해 걸러진 유체가 제3내부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3관통구가 형성된 내통과, 외통에 거름망 및 내통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은 약제가 수용된 저수조 내에 인입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외통 및 내통 사이에 거름망이 설치되므로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거름망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필터유닛{Filter unit}
본 발명은 필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와 같은 유체가 수용된 저수조에 설치되어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유체 내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화초 등의 병충해를 방지하고 소, 돼지, 닭 등을 사육하는 축사 등의 전염병과 각종 질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소독 및 방제약제를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살포하여 병충해를 방지하고 가축의 전염병과 질병의 감염과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액 살포장치는 다량의 약제가 수용된 저수조와, 흡입관이 약제저수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약제를 펌핑하는 펌프와, 연결관에 의해 펌프의 배출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펌프로부터 펌핑된 약제를 살포대상 지역에 분사하는 분사기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분사기를 들고 살포대상 지역을 지나면서 약제를 살포한다. 이때, 펌프의 흡입관은 단부가 저수조 내에 수용된 약제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때, 펌프로 약제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약제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펌프 및 분무기로 유입되어 흡입구, 배출구 또는 약제 유동 경로를 폐쇄하여 펌프 및 분무기의 고장이 원인이 된다.
또한, 펌프 및 분무기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거름망을 사용하는 데, 종래의 거름망은 흡입관에 설치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교체 및 세척시에도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저수조 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펌프로 유체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은 유체가 수용된 저수조 내에 설치되며, 상부가 열린 제1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제1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으로 상기 유체는 유입되되,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제2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의 흡입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3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거름망을 통해 걸러진 상기 유체가 상기 제3내부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3관통구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에 상기 거름망 및 내통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관통구는 상기 제1관통구 및 제3관통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내통은 외측면이 상기 거름망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외측면이 상기 외통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제1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1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각각 관통되게 제2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제2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내주면에 각각 관통되게 제3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결합홀들이 형성된 위치의 상기 내통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내통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게 제4결합홀들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결합홀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통, 거름망, 외통 및 고정판을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통의 상측 외주면에 상기 외통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통은 내주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의 하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외통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삽입돌기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은 약제가 수용된 저수조 내에 인입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외통 및 내통 사이에 거름망이 설치되므로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거름망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필터유닛의 고정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고정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고정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필터유닛(10)은 약제가 수용된 저수조(11)에 설치된 외통(20)과, 상기 외통(20) 내부에 설치되며, 유체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30)과, 거름망(30) 내에 설치되는 내통(40)과, 외통(20)에 거름망(30) 및 내통(40)을 고정하는 고정부(50)를 구비한다.
외통(20)은 내부에 거름망(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내부공간(21)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1내부공간(21)으로 저수조(11)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관통구(25)가 형성된다. 외통(20)은 저수조(11) 내에 설치시 상단부가 약제의 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저수조(11)의 깊이에 따라 적합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20)은 상면에 거름망(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손잡이(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내부공간(21)은 외통(20)의 내측면이 거름망(3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거름망(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고, 거름망(30)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통(20)은 후술되는 고정부(50)의 고정볼트(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제1결합홀(23)들이 형성된다. 외통(20)은 펌프(15)의 흡입력에 의해 외형 변형이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30)은 내부에 내통(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내부공간(31)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 외통(20)의 내측면이 접할 수 있도록 제1내부공간(21)의 직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제1내부공간(21)의 상방방향 연장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내부공간(31)은 거름망(30)의 내측면이 내통(40)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내통(4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고, 내통(40)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30)은 상면에 내통(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제1관통구(25)를 통과한 유체는 통과되고, 유체 내의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제1관통구(25)보다 작은 크기의 제2관통구(33)들이 형성된 메쉬구조를 갖는다. 이때, 거름망(30)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름망(30)은 후술되는 고정부(50)의 고정볼트(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통(20)의 제1결합홀(23)들에 대향되는 각 위치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다수의 제2결합홀(32)들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은 내부에 펌프(15)의 흡입부(16)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3내부공간(41)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 거름통의 내측면이 접할 수 있도록 제2내부공간(31)의 직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고, 제2내부공간(31)의 상하방향 연장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내통(40)은 상면에 펌프(15)의 흡입부(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며, 외주면에 거름망(30)을 통과한 유체가 제3내부공간(4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3관통구(43)가 마련된 메쉬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통(40)은 고정부(50)의 고정볼트(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거름망(30)의 제2결합홀(32)들에 대향되는 각 위치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다수의 제3결합홀(42)들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은 펌프(15)의 흡입력에 의해 외형 변형이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을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거름망(30)은 외통(20) 및 내통(40) 사이에 설치되고, 펌프(15)의 흡입부(16)가 내통(40)의 제3내부공간(41)에 인입되게 설치되므로 펌프(15)의 흡입력에 의해 거름망(30)의 외형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부(50)는 내통(40)의 내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고정판(51)과, 외통(20), 거름망(30), 내통(40) 및 고정판(51)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52)와, 고정볼트(52)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외통(20), 거름망(30), 내통(40) 및 고정판(51)을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너트(53)를 구비한다.
고정판(51)은 제3결합홀(42)이 형성된 위치의 내통(40) 내주면에 밀착되며, 내통(40)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형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내통(40)의 제3결합홀(42)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게 제4결합홀(54)이 형성된다. 고정판(51)은 저수조(11) 내에 수용된 유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판(51)이 내통(40)의 내주면을 따라 호형을 연장되며, 고정볼트(52) 및 고정너트(53)의 체결로 인한 체결력이 내통(40) 내주면에 균일하게 인가되므로 내통(40)을 용이하게 외통(20)에 밀착시킨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두 개의 고정판(51)이 내통(40)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고정판(51)의 설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통(40)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볼트(52)는 제1 내지 제4결합홀(23,32,42,54)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나사부재(56)와, 나사부재(56)의 일단부에 형성된 헤드부재(55)를 구비한다.
나사부재(56)는 내통(4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너트(53)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부재(56)는 외통(20), 거름망(30), 내통(40) 및 고정판(51)의 두께의 총 합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재(55)는 나사부재(56)가 제1 내지 제4결합홀(23,32,42,5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결합홀(23,32,42,54)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헤드부재(55)는 외주면에 십(十)자형 드라이버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십(十)자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너트(53)는 나사부재(56)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부(57)와,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57)의 단부에 설치된 파지부(58)를 구비한다.
체결부(57)는 내통(4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나사부재(56)의 타단부에 대향되는 일단면에는 상기 나사부재(56)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58)는 체결부(57)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체결부(5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57)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결을 갖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게 위해 파지홈들이 중심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파지홈은 파지부(58)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3개가 형성되나,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파지부(58)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필터유닛(10)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통(20)의 제1내부공간(21)에 거름망(30)을 삽입한다. 이때, 외통(20)의 제1결합홀(23)과 거름망(30)의 제2결합홀(32)이 상호 대향되도록 거름망(3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20) 내에 거름망(30)을 설치한 다음, 거름망(30)의 제2내부공간(31)에 내통(40)을 삽입한다. 이때, 거름망(30)의 제2결합홀(32)과 내통(40)의 제3결합홀(42)이 상호 대향되도록 내통(40)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1 내지 제3결합홀(23,32,42)에 나사부재(56)가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고정볼트(52)들을 설치한다. 이때, 헤드부재(55)가 외통(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볼트(52)를 설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고정볼트(52)의 설치가 완료되면, 나사부재(56)의 타단부가 제4결합홀(54)에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판(51)을 내통(40)의 내주면에 설치한다.
고정판(51)들의 설치가 완료되면 내통(40) 내로 인입된 고정볼트(52)의 나사부재(56) 타단부에 고정너트(53)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판(51)을 외통(20) 방향으로 밀착시켜 외통(20), 거름망(30), 내통(40) 및 고정판(51)을 상호 고정시킨다. 고정부(50)에 의해 거름망(30) 및 내통(40)이 고정된 외통(20)을 약제와 같은 유체가 수용된 저수조(11)에 인입하고, 펌프(15)의 흡입부(16)를 내통(40)의 제3내부공간(41)에 인입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유닛(10)은 약제가 수용된 저수조(11) 내에 인입하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외통(20) 및 내통(40) 사이에 거름망(30)이 설치되므로 펌프(15)의 흡입력에 의해 거름망(3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1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150)는 내통(40)의 상측 외주면에 외통(120)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삽입돌기(151)가 내통(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외통(120)은 내주면에 삽입돌기(1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삽입홈(121)이 형성되고, 제1삽입홈(121)의 하단부에 연장되며, 외통(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홈(122)이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홈(121)의 상단부는 삽입돌기(15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121,122)은 복수개가 삽입돌기(151)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제2삽입홈(122)들은 제1삽입홈(121)을 기준으로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름망(130)은 삽입돌기(151)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151)에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삽입홀(131)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삽입돌기(151)가 삽입홀(131)에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연질의 거름망(130) 내부에 내통(40)을 삽입시킨다. 삽입돌기(151)의 단부가 제1삽입홈(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거름망(130)이 끼워진 내통(40)을 외통(120) 내부에 삽입시킨다. 삽입돌기(151)가 제1삽입홈(121)의 하단부에 위치하면 외통(120)을 제2삽입홈(122)의 연장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돌기(151)가 제2삽입홈(122)에 삽입되도록 한다. 삽입돌기(151)가 제2삽입홈(122)에 구속되어 내통(40)이 외통(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150)는 삽입돌기(151)가 제1 및 제2삽입홈(121,122)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로 내통(40)을 외통(120)에 결합시키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250)는 고정판(51) 대신에 고정통(251)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통(251)은 내통(40)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내통(4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4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고정통(251)은 펌프(15)의 흡입부(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통(251)은 내통(40)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해 절반의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통(251)은 내통(40)을 통과한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다수의 유입공(2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입공(252)은 내통(40)의 제3관통구(43)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통(251)의 하면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방되거나 다수이 유입공(2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통(251)은 고정볼트(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결합홀(42)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단 외주면에 제5결합홀(253)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통(251)은 거름망(30) 및 내통(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통(40) 내부에 고정통(251)을 인입하여 배치하고, 제1 내지 제3결합홀(23,32,42) 및 제5결합홀(253)에 나사부재(56)가 관통되도록 고정볼트(52)들을 설치한다. 고정볼트(52)의 설치가 완료되면, 나사부재(56)의 타단에 고정너트(53)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고정통(251)은 펌프(15)의 흡입력에 의해 거름망(30) 및 내통(4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름망(30) 및 내통(40)을 지지한다. 즉, 거름망(30) 및 내통(40)의 관통구에 이물질이 끼면 부분적으로 펌프(15)에 의한 흡입압력이 상승하고, 이 흡입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거름망(30) 및 내통(40)이 구멍이 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통(251)이 지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필터유닛
20: 외통
21: 제1내부공간
25: 제1관통구
30: 거름망
31: 제2내부공간
33: 제2관통구
40: 내통
41: 제3내부공간
50: 고정부
51: 고정판
52: 고정볼트
53: 고정너트

Claims (4)

  1. 유체가 수용된 저수조 내에 설치되며, 상부가 열린 제1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된 외통과;
    상기 제1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2내부공간으로 상기 유체는 유입되되, 상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된 거름망과;
    상기 제2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의 흡입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제3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거름망을 통해 걸러진 상기 유체가 상기 제3내부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제3관통구가 형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에 상기 거름망 및 내통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관통구는 상기 제1관통구 및 제3관통구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내통은 외측면이 상기 거름망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외측면이 상기 외통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관통되게 제1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1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각각 관통되게 제2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제2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의 내주면에 각각 관통되게 제3결합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3결합홀들이 형성된 위치의 상기 내통 내주면에 접하며, 상기 내통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호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결합홀들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되게 제4결합홀들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결합홀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나사부재와, 상기 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결합홀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갖는 헤드부재가 마련된 고정볼트와;
    상기 나사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통, 거름망, 외통 및 고정판을 상호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34534A 2012-11-26 2012-11-26 필터유닛 KR101431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34A KR101431222B1 (ko) 2012-11-26 2012-11-26 필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534A KR101431222B1 (ko) 2012-11-26 2012-11-26 필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76A KR20140067376A (ko) 2014-06-05
KR101431222B1 true KR101431222B1 (ko) 2014-08-18

Family

ID=5112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534A KR101431222B1 (ko) 2012-11-26 2012-11-26 필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93Y1 (ko) 2016-05-31 2016-12-14 강희환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KR20190138067A (ko) * 2018-06-04 2019-12-12 한국농어촌공사 밭 지대 용수 확보를 위한 다기능 저류조
CN113387488A (zh) * 2021-04-26 2021-09-14 知思特有限公司 结合过滤、吸附、杀菌功能的模块化水处理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04B1 (ko) * 2021-07-22 2023-02-23 김민규 배수지 유입관의 이물질 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476U (ja) * 1992-02-07 1993-08-27 信之助 野村 水槽用浄化ポンプ
KR19990039839U (ko) * 1998-04-21 1999-11-15 류동건 와이어 컷팅 머신의 필터 하우징 구조
KR100471270B1 (ko) 2002-11-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수펌프용 흡입 필터 장치
KR100824593B1 (ko) * 2007-11-23 2008-04-23 한성완 여과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476U (ja) * 1992-02-07 1993-08-27 信之助 野村 水槽用浄化ポンプ
KR19990039839U (ko) * 1998-04-21 1999-11-15 류동건 와이어 컷팅 머신의 필터 하우징 구조
KR100471270B1 (ko) 2002-11-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수펌프용 흡입 필터 장치
KR100824593B1 (ko) * 2007-11-23 2008-04-23 한성완 여과기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93Y1 (ko) 2016-05-31 2016-12-14 강희환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KR20190138067A (ko) * 2018-06-04 2019-12-12 한국농어촌공사 밭 지대 용수 확보를 위한 다기능 저류조
KR102118948B1 (ko) * 2018-06-04 2020-06-04 한국농어촌공사 밭 지대 용수 확보를 위한 다기능 저류조
CN113387488A (zh) * 2021-04-26 2021-09-14 知思特有限公司 结合过滤、吸附、杀菌功能的模块化水处理过滤装置
KR102335470B1 (ko) * 2021-04-26 2021-12-06 주식회사 지씨텍 여과, 흡착, 살균기능이 결합된 모듈형 수처리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376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222B1 (ko) 필터유닛
US6440303B2 (en) Fluid filter
US10427076B2 (en)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443906B1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이물질 자동 제거장치 및 이에 의한 이물질 제거방법
TWI391179B (zh) A hollow yarn film member, a frame for a hollow yarn film member, and a filter membrane device
KR101917249B1 (ko) 비닐하우스의 약액 이동관 및 분사노즐 청소 시스템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0950830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JP2018015676A (ja) 洗浄モジュール及び複層濾過塔
US7025878B2 (en) Fluid filter
KR100732376B1 (ko) 약제 연막 살포기의 세척액 펌핑 연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195456B1 (ko) 여과기능을 가진 비닐하우스용 분기관
DE102013018175A1 (de) Sicherer Umgang mit gesundheitsgefährdenden Flüssigkeiten
CA2550911A1 (en) Distributor for domestic water filters
KR200482093Y1 (ko)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CA2668626C (en)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927112B1 (ko)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KR200340528Y1 (ko) 중공사막 여과기의 결합 및 세정장치
KR101333723B1 (ko) 농업용 약액의 여과수단
KR20150055943A (ko) 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백 필터
GB2492640B (en) Filter unit
DE20000648U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Abdichten runder, hängender, vertikal ausgerichteter Filterschläuche mit Stützkörben in einer horizontal angeordneten Schlauchaufnahmeplatte
KR20090075945A (ko)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분배기구
CN112675593B (zh) 过滤组件、原水箱、水箱组件和净水设备
KR200273289Y1 (ko) 원통형 망목구조를 갖는 집수장치용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