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229B1 -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229B1
KR101071229B1 KR1020090070170A KR20090070170A KR101071229B1 KR 101071229 B1 KR101071229 B1 KR 101071229B1 KR 1020090070170 A KR1020090070170 A KR 1020090070170A KR 20090070170 A KR20090070170 A KR 20090070170A KR 101071229 B1 KR101071229 B1 KR 101071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raw water
cov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325A (ko
Inventor
영 수 문
Original Assignee
영 수 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수 문 filed Critical 영 수 문
Publication of KR2010006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7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 B01D24/00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유닛;을 구비하며, 각 필터유닛은, 양측에 각각 관통 형성된 관통공 및 각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케이스의 일측 관통공을 막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커버; 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며,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커버; 및 제2커버 및 하우징 사이가 밀폐되도록 제2커버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절감되며 정수장치의 설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설치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유닛의 교환이 쉽게 이루어지며 필터유닛의 교체시 필터유닛이 모두 폐기되지 않게 되어 필터유닛의 교체시 유발되는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블록필터, 분말필터, 원수, 정수, 필터링, 활성탄, 탄소, 중공사

Description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Filter unit and Device for purifing water having it}
본 발명은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얻기 위한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깨끗한 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에는 가히 폭발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장치는 다수의 필터를 통하여 원수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터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각 하우징(10')은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하우징(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커플링(C)이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각 커플링은 호스(H)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터(21')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에는 커버(22',23')가 결합되며, 커버(23')는 다시 하우징(10')에 밀폐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21')가 내장된 하우징(10')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정수장치가 설치되는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정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필터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 속에서는 정수장치가 더욱 크게 구성되어, 설치면적이 더욱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하게 되면, 정수장치가 설치되는 공간, 예를 들어 주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각 하우징(10')이 커플링(C) 및 호스(H)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정주부 등 정수장치를 사용하는 일반인이 필터(21')가 내장된 하우징(10')을 스스로 교환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필터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호스(H) 및 커플링(C)이 더욱 많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호스(H)의 배선이 더욱 복잡하게 되므로, 일반인이 복잡한 호스(H) 배선 속에서 하우징을 교환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에는 필터가 내장된 하우징(10')의 교체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게 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연결시 커플링(C) 및 호스(H)가 사용되어 누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즉, 커플링(C)과 하우징 사이 및 커플링(C)과 호스(H) 사이에서 누수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필터(21')의 교체시에는 필터뿐만 아니라 하우징(10')도 함께 교체되 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는 종래에는 필터(21')가 하우징(10')과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여 함께 교체되도록 구성됨에 기인한다. 그리고, 교체된 필터 및 하우징(10')이 함께 폐기되어야 하므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절감되며 설치면적을 줄임으로써 설치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유닛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나아가 필터유닛의 교체시 필터유닛이 모두 폐기되지 않게 되어 필터유닛의 교체시 유발되는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복수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유닛은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블록필터;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를 막도록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 상기 블록필터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블록필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제2커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블록필터의 사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1커버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제2커버 및 하우징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유닛은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과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과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이 상기 유출공과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 및 하우징의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유닛은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부재; 양단부가 각각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 상기 각 중공사막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고정되며 상기 각 중공사막과 상기 삽입공 사이 및 상기 각 중공사막 양단부 사이가 밀페되도록 개재되는 포팅제;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커버 또는 커버 또는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필터링시 상기 원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 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는 O-링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필터유닛이 일렬로 배치되므로, 정수장치의 설치 면적을 줄어들며 이에 따라 정수장치의 설치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유닛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일반인이라도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정수장치를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교체 대상인 필터유닛을 분리하고 그 필터유닛의 블록필터만을 교체한 후에 다시 조립하면 필터유닛의 교체가 완료된다. 따라사 블록필터를 제외한 필터유닛을 나머지 구성요소는 재사용될 수 있으므로, 교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수장치의 필터유닛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일렬로 배치되므로, 정수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정수장치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밀폐부재의 단부의 확대도로서, 원수의 유입 전 및 후의 모습을 각각 도시하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장치(100)는 하우징(10)과, 복 수의 필터유닛(20)과, 배출유닛(3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단부에는 받침부재(11)가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받침부재(11)의 측면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통로(111)가 형성된다. 원수유입통로(111)는 받침부재(11)의 내부 및 하우징(1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1)의 단면적은 하우징(1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의 결합시 O-링 등과 같은 밀폐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된다는 것은 하우징(10)의 내경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하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돌기나 홈 등이 형성되지 않는 등 하우징(10)의 내주면이 매끄럽게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다만, 하우징(10)의 제조 기술상의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제조비용을 과다하게 증가시키기 않고서는 하우징의 내주면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복수의 필터유닛(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복수의 필터유닛(20)은 각각 외부로부터 원수유입통로(111)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한다. 각 필터유닛(20)은 블록필터(21)와, 제1커버(22)와, 제2커버(23)와, 밀폐부재(24)를 포함한다.
블록필터(21)는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인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블록필터(21)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블록필터(21)의 내부에는 공간(211)이 형성된다. 블록필터(21)의 외경은 하우징(10)의 내경보다 더 작으며, 이에 따라 블록필터(21)의 외주면과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블록필터(21)는 정수 기능을 가지는 활성탄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단단한 블록 형태로 제조되며, 원수는 블록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된다. 또한, 블록필터(21)의 원재료는 활성탄에 국한되지 않으며 고압으로 압축하여 단단한 블록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세라믹 등 그 재료의 종류에 무관하다. 또한, 블록필터(21)의 원재료는 입상, 분말 또는 섬유상 등 그 형태에 무관하다. 이와 같이 블록필터(21)가 제조되면, 블록필터(21)를 감싸는 별개의 하우징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제1커버(22)는 블록필터(2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블록필터(21)의 일단부를 막는다. 제1커버(22)도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버(22)의 외경은 하우징(10)의 내경보다 더 작으며, 이에 따라 제1커버(22)의 외주면과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제2커버(23)는 블록필터(2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제2커버(23)에는 블록필터(21)의 내부공간(211)과 연결되는 연결공(231)이 관통 형성된다. 제2커버(23)도 제1커버(22)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커버(23)의 외주면은 하우징(10)의 내경 보다 더 작다. 또한, 제2커버(23)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홈부(232)가 형성된다.
밀폐부재(24)는 전체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2커버의 홈부(232)에 끼워진다. 그리고, 밀폐부재(24)는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를 밀폐하여 원수가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밀폐부재(24)는 연질의 소재,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틈새를 막아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며 나아가 일정 정도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재(24)에는 홈부(232)에 끼워지는 끼움부(241)와, 끼움부(241)로부터 하우징(10)의 내측면쪽으로 연장되는 밀착부(242)가 형성된다.
밀착부(242)는 제2커버(23)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밀폐부재(24)의 외경, 즉 밀착부(242)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은 하우징(1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필터유닛(20)을 하우징(10)에 일방향,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하면, 밀폐부재의 밀착부(24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아래쪽으로 일정 정도 변형되며, 이에 따라 밀착부(242)는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일부 접촉, 예를 들어 선접촉한다. 밀착부(242)는 피가압면(243) 및 밀착면(244)을 가진다. 피가압면(243)은 원수의 압력이 인가되는 면을 말하며, 밀착면(244)은 하우징(10)의 내측면과 밀착하여 접촉하는 면을 말한다. 밀착면(244)은 원수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이나 원수의 이동방향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밀착면(244)이 형성되면 밀착면(244) 및 하우징(10)의 내주면이 상호 밀착하게 접촉하여 하우징(10)과 제2커버(23) 사이가 효과적으로 밀폐된다. 그리고, 밀착면(244)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밀착면(244)과 피가압 면(243)이 서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가압면(243)은 원수의 유동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20)이 하우징(10)에 삽입되면, 밀착면(244)은 하우징(10)의 내주면과 밀착되지 않게 접촉한다. 예를 들어 밀착면(244)의 일부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일부 선접촉한다. 그리고, 원수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공급되어 원수의 압력이 피가압면(243)에 인가되면, 밀착부(242)가 상방으로 일정 정도 움직이게 되어, 밀착면(244)은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면접촉하여 완전히 밀착된다. 이와 같이 밀착면(244)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는 완전히 밀폐되므로, 원수가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하우징(10)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필터유닛(20)을 하우징(10)에 삽입하면, 밀착부의 밀착면(244)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착면(244)과 하우징(10) 내주면 사이를 통해서 원수가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원수의 압력에 의해 밀착면(244)은 하우징(10) 내주면 쪽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밀착면(244)과 하우징(10) 내주면 사이의 밀착 정도는 보다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밀폐부재(24)와 하우징(10) 내주면 사이는 완전히 밀착된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유닛(2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며, 각 필터유닛(2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각 필터유닛(20)의 제2커버(23)는 제1커버(22)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필터유닛(20)을 하우징(10)에 삽입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상방에서 하방으로(원수의 유동방향의 반대방향과 동일함)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착면(244)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걸려서 필터유닛(20)의 분리가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필터유닛(20)을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을 배출유닛(3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필터유닛(20)을 삽입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시켜 하우징(10)의 상단부쪽을 통해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유닛(20)의 이동을 위해서는 막대기나 손을 이용하면 된다.
배출유닛(30)은 복수의 필터유닛(20)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출유닛(30)은 배출관(31)과, 밸브(32)를 구비한다.
배출관(31)은 양측이 개구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배출관(31)을 통하여 필터링된 정수가 배출된다. 배출관(31)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배출관(31)의 내부공간은 최상측에 배치된 필터유닛의 제2커버(23)의 연결공(231)과 연결된다. 그리고, 배출관(31)은 하우징(10)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관(31)의 결합시 O-링 등과 같은 밀폐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32)는 배출관(31)에 결합된다. 밸브(32)는 필터링된 정수의 배출을 단속한다. 밸브(32)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밸브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수장치(100)에 있어서, 외부의 원수가 원수유입통로(111)를 통해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면, 원수는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원수의 압력은 밀폐부재의 피가압면(243)에 인가되어 밀폐부재의 밀착면(244)이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각 필터유닛(20)의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가 밀폐부재(24)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다. 이와 같이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가 밀폐부재(24)에 의해 밀폐되면, 원수는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커버(22) 및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 유동 공간, 블록필터(21), 블록필터의 내부공간(211) 및 제2커버의 연결공(2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원수의 유동은 필터유닛(20)의 개수만큼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결국 원수는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필터유닛(20)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화된 후에 배출관(31)을 통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터유닛(20)을 하우징(1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정수장치(100)가 구성되므로, 일반인이라도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정수장치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폐부재(24)가 제2커버(23) 및 하우징(10)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며, 특히 하우징(10)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밀폐부재의 밀착부(242)가 원수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0)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따라서, 원수가 각 필터유닛의 블록필터(21)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고서는 배출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터유닛(20)의 성능이 저하되면, 성능이 저하된 필터유닛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특히 필터유닛 중 블록필터(21)만을 교체하고 제1커버(22), 제2커버(23) 및 밀폐부재(24)를 재사용할 수도 있게 되므로, 교 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환경오염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록필터(21)를 감싸는 별개의 하우징이 없으므로, 별개 하우징의 폐기 비용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라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필터(21)를 감싸는 별개의 하우징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제조비가 절감된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유닛(20)이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일렬로 배치되므로, 정수장치(100)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정수장치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가 제2커버의 홈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폐부재가 제2커버의 일단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의 필터유닛(20a)에서, 밀폐부재(20a)는 제2커버(23a)에 삽입지는 끼움부(241a)와, 끼움부(241a)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된 밀착부(242a)를 포함한다. 끼움부(241a)에는 블록필터의 내부공간(211) 및 제2커버의 연결공(231)과 연결되는 연결공(24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부(241a)에는 블록필터(21)가 삽입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이 복수의 하우징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장치(100b)에 있어서, 하우징(10b)은 상호 간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하우징요소(101)를 포함한다. 하우징요소(101)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필터유닛(20)의 개수에 대응되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요소(101)의 길이는 대략 필터유닛(20)의 길이와 비슷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요소(101)의 결합시 O-링 등과 같은 밀폐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10b)이 복수의 하우징요소(10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교체 대상 필터유닛(20)이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요소(101)를 분리한 후에 교체 대상 필터유닛을 쉽게 꺼내어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교체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선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중간에 배치된 필터유닛(2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교체 대상 필터유닛을 꺼내기 위해서 교체 대상 필터유닛(20)의 상방에 배치된 다른 필터유닛들도 모두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해야만 했으므로 교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각 하우징요소(101)의 길이는 앞선 실시예의 하우징(10)의 길이보다 더 작으므로, 하우징요소(101)의 내주면의 직경을 균일하게 형성하기가 보다 용이해진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폐부재가 O-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장치(100c)는 하우징(10c)의 내주면이 균일하게 형성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10c)의 내경이 하우징(10c)의 길이방향을 따라 항상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O-링에 의해서도 각 필터유닛(20c)의 제2커 버(23) 및 하우징(10c) 내주면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폐부재(24c)가 한 쌍 구비되면, 밀폐의 정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밀폐부재(24c)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의 밀폐부재(24c)에 의해 밀폐 성능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선 실시예에서의 밀폐부재(24,24a)도 한 쌍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필터유닛이 모두 블록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유닛이 케이스의 내부에 필터요소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장치(100d)에 있어서, 필터유닛(20d)은 필터(21d)와, 커버(23d)와, 밀폐부재(24)를 구비한다.
필터(21d)는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케이스(212)와 필터요소(216)를 포함한다. 케이스(2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13)이 형성되며, 케이스(212)에는 각각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214) 및 유출공(215)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공(214)은 케이스의 바닥면 및 측면에 각각 복수 형성되며, 유출공(215)은 케이스의 상측에 하나 형성된다. 필터요소(216)는 케이스(212)의 내부공간(213)에 설치되어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블록필터뿐만 아니라 입상의 필터링물질이나 중공사막(中空絲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요소(216)로서 중공사막(216)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의 양단부는 각각 포팅제(217)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의 설치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 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의 상측에는 커버(23d)가 결합된다. 커버(23d)에는 케이스의 유출공(215)을 통해 케이스의 내부공간(213)과 연결되는 연결공(2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23)에는 밀폐부재(2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는 필터요소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며 케이스가 커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터요소가 중공사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별도의 케이스 없이 중공사막을 직접 지지부재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장치(100e)에 있어서, 필터유닛(20e)은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16e)과, 지지부재(23e)와, 밀폐부재(24)를 포함한다.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e)은 각 중공사막의 양단부가 지지부재(23e)의 삽입공(231e)에 삽입되도록 구부려진다. 중공사막(216)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절단되어, 중공사막의 내부는 중공사막의 양단부에서 각각 외부와 연결된다.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e)을 준비하고, 각 중공사막을 대략 U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각 중공사막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부재(23e)의 삽입공(231e)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 때, 각 중공사막(216e)의 양단부가 지지부재(23e)의 삽입공(231e)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성능을 가지는 포팅제(potting agent)(217)를 개재한다. 포팅제(217)는 각 중공사막(216e)의 양단부 사이 그리고 각 중공사막과 삽입공(231e) 사이에도 개재되어,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e)의 양단부 및 삽입공(231e) 사이는 완전히 밀폐된다. 따라서, 원수는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e)의 양단부 사이 부분으로 유입되어 필터링된 후에,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216e)의 내부를 통해서 배출된다. 특히, 중공사막(216e)의 양단부 및 삽입공(231e)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어서, 필터링되지 않은 원수가 배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중공사(216e)는 다발 형태로 묶음되어 삽입공(231e)에 포팅제(217)에 의해 고정되므로, 원수는 복수의 중공사(216e)를 통해 필터링된 후에 배출되며, 중공사막에 의해 필터링되지 않고 배출되는 원수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3e)는 하우징(10)에 삽입되며, 지지부재(23e)의 외측면에는 밀폐부재(24)가 결합되어 있어서, 지지부재(23e) 및 하우징(10) 사이는 밀폐부재(24)에 의해 밀폐되며, 특히 원수의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밀폐 정도가 보다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3e)의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을 형상하여 원수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정수장치가 필터유닛을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정수장치가 하나의 필터유닛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선 실시예에서는 정수장치가 도 2에 도시된 필터유닛 또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유닛 또는 도 9에 도시된 필터유닛만을 각각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필터유닛, 도 8에 도시된 필터유닛 및 도 9에 도시된 필터유닛을 모두 적절하게 혼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필터유닛 및 도 8에 도시된 필터유닛만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a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밀폐부재의 단부의 확대도로서, 원수의 유입 전 및 후의 모습을 각각 도시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필터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터유닛과 다르게 구성된 필터유닛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Ⅸb-Ⅸ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b,10c...하우징 11...받침부재
20,20a,20c,20d,20e...필터유닛 21,21d...블록필터
22...제1커버 23,23a...제2커버
23d...커버 23e...지지부재
24,24a,24c...밀폐부재 30...배출유닛
31...배출관 32...밸브
100,100b,100c,100d,100e...정수장치 101...하우징요소
111...원수유입통로 211,213...내부공간
212...케이스 214...유입공
215...유출공 216...필터요소
216e...중공사 231,245...연결공
231e...삽입공 232...홈부
241,241a...끼움부 242,242a...밀착부
243...피가압면 244...밀착면

Claims (17)

  1.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블록필터;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를 막도록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
    상기 블록필터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블록필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제2커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블록필터의 사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1커버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제2커버 및 하우징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2.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과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과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이 상기 유출공과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 및 하우징의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3.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지지부재;
    양단부가 각각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복수 가닥의 중공사막;
    상기 각 중공사막의 양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고정되며 상기 각 중공사막과 상기 삽입공 사이 및 상기 각 중공사막 양단부 사이가 밀페되도록 개재되는 포팅제;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커버 또는 커버 또는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필터링시 상기 원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6.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유닛은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복수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은 제 1항에 기재된 필터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유닛은 제 2항에 기재된 필터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제2커버 또는 커버 또는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원수의 필터링시 상기 원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원수의 압력이 인가되는 피가압면과, 상기 원수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 접촉하는 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원수의 유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밀착면이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하우징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하우징요소는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14.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양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블록필터;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를 막도록 상기 블록필터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상기 블록필터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블록필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밀착부를 포함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블록필터의 사이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1커버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 및 하우징 사이는 상기 밀착부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끼움부에 결합하며, 상기 끼움부의 연결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이 관통 형성된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16.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과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과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및
    연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이 상기 유출공과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에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밀착부를 포함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밀폐부재 및 하우징의 사이는 상기 밀착부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17. 정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원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과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과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요소를 포함하는 필터;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밀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 및 하우징의 사이는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원수가 유동 가능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유닛.
KR1020090070170A 2008-12-08 2009-07-30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KR101071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718 2008-12-08
KR20080123718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25A KR20100066325A (ko) 2010-06-17
KR101071229B1 true KR101071229B1 (ko) 2011-10-10

Family

ID=4236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170A KR101071229B1 (ko) 2008-12-08 2009-07-30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710A (ko) 2014-08-18 2016-02-26 문두영 정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751B1 (ko) * 2007-05-18 2008-12-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751B1 (ko) * 2007-05-18 2008-12-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710A (ko) 2014-08-18 2016-02-26 문두영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325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3901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8216470B2 (en) Multi-stage filter cartridge with polyurethane endcaps
KR102388304B1 (ko) 여과 장치
US6156198A (en) Filter element for a fluid filter
WO2013111682A1 (ja) 濾過装置
WO2008021902A1 (en) Quick-drain filter
KR20160106661A (ko) 필터 엘리먼트 및 여과 장치
CN105126414B (zh) 离心式自清洁滤器
CN108585252A (zh) 一种环保家用净水器
KR101071229B1 (ko)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KR101131672B1 (ko)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US20140102304A1 (en) Filter assembly with sound attenuation membe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10675564B1 (en) Filter system
CN219744052U (zh) 一种过滤装置及水下清洁装置
JP463233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101038738B1 (ko) 정수 필터
KR101902302B1 (ko) 중공사막 필터가 내장된 분리형 필터모듈 및 여과장치
CN209307073U (zh) 净水装置
CN104144885A (zh) 过滤装置
CN209128167U (zh) 水处理系统及滤芯结构
KR20140051542A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KR100933079B1 (ko) 필터 카트리지 커넥터와 필터 카트리지
RU60875U1 (ru) Элемент фильтрующий
EP3406325A1 (en) Filter assembly with filler core
CN215782744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中空纤维膜组件及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