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1542A - 역삼투압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역삼투압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1542A
KR20140051542A KR1020120117650A KR20120117650A KR20140051542A KR 20140051542 A KR20140051542 A KR 20140051542A KR 1020120117650 A KR1020120117650 A KR 1020120117650A KR 20120117650 A KR20120117650 A KR 20120117650A KR 20140051542 A KR20140051542 A KR 2014005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reverse osmosis
sealing member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수 문
Original Assignee
영 수 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수 문 filed Critical 영 수 문
Priority to KR102012011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1542A/ko
Publication of KR2014005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01D61/026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comprising multiple reverse osmosi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01D61/081Apparatus therefor used at home, e.g. kitch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삼투압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얻기 위한 필터유닛이 포함된 역삼투압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링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원수가 외부의 펌프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펌프수유입관과 펌프수유출관 및 역삼투압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잔류수의 방출을 위한 퇴수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관과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통체 필터로서 양단면에 제1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유닛과,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원수가 곧장 역삼투압필터유닛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1필터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차단벽의 양단면에 차단벽밀폐부재를 갖춘 차단벽유닛과,
차단벽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역삼투압필터의 양단면에 정수되지 않은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삼투압필터유닛과,
역삼투압필터유닛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째 모양의 마지막 필터유닛이며 필터링이 끝난 정수된 물을 유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제2필터의 양단면에 아직 정수가 끝나지 않은 원수의 유출관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2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유닛과,
제1밀폐부재와 차단벽밀폐부재의 사이에는 펌프수유입관을, 차단벽밀폐부재와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의 사이에는 펌프수유출관과 펌프로 원수 가압시 발생하는 정수되지 않는 퇴출수의 방출을 위한 퇴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역삼투압 정수장치{Device of Reverse Osmosis Purifing Water}
본 발명은 역삼투압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된 물을 얻기 위한 필터유닛이 포함된 역삼투압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압 정수장치는 대개 다수의 필터를 통하여 원수를 필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각 하우징(10')은 호스에 의해서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하우징(1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커플링(C)이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각 커플링은 호스(H)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터(2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22',23')가 결합되며, 커버(23')는 다시 하우징(10')에 밀폐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1처럼 일반 필터와 달리 퇴수관(93')이 부설된 역삼투압필터(30'-1)의 앞쪽에 유입수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펌프(P)가 위치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21')가 내장된 하우징(10')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하면서도 호스에 의해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정수장치가 설치되는 면적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정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필터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 속에서는 정수장치가 더욱 크게 구성되어, 설치면적이 더욱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하게 되면, 정수장치가 설치되는 공간, 예를 들어 주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각 하우징(10')이 커플링(C) 및 호스(H)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정주부 등 정수장치를 사용하는 일반인이 필터(21')가 내장된 하우징(10')을 스스로 교환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필터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호스(H) 및 커플링(C)이 더욱 많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호스(H)의 배선이 더욱 복잡하게 되므로, 일반인이 복잡한 호스(H) 배선 속에서 하우징을 교환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종래에는 필터가 내장된 하우징(10')의 교체 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게 되어,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연결 시 커플링(C) 및 호스(H)가 사용되어 누수의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즉, 커플링(C)과 하우징 사이 및 커플링(C)과 호스(H) 사이에서 누수 가능성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필터(21')의 교체 시에는 필터뿐만 아니라 하우징(10')도 함께 교체되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는 종래에는 필터(21')가 하우징(10')과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여 함께 교체되도록 구성됨에 기인한다. 그리고 교체된 필터 및 하우징(10')이 함께 폐기되어야 하므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절감되며 설치면적을 줄임으로써 설치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필터의 교체 시 필터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이 없는 필터만을 교체하여 폐기하므로 종래의 필터를 폐기할 때보다 훨씬 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역삼투압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를 필터링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링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에 정수하러 들어오는 원수가 처음 만나며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제1필터(20')의 양단면에 정수되지 않는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밀폐부재(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유닛(20)과,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원수가 통상의 수압으로는 역삼투압필터유닛(3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수압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차단벽(13')의 양단면에 차단벽밀폐부재(130)를 갖춘 차단벽유닛(13)과,
상기 차단벽유닛(13)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역삼투압필터(30')의 양단면에 정수되지 않은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삼투압필터유닛((30)과,
상기 역삼투압필터유닛(30)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째 모양의 마지막 필터유닛이며 필터링이 끝난 정수된 물을 유출관(121)으로 배출시키는 제2필터(35')의 양단면에 아직 정수가 끝나지 않은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2밀폐부재(3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유닛(35)과,
제1밀폐부재(40)와 차단벽밀폐부재(130)의 사이에는 펌프수유입관(95)을, 차단벽밀폐부재(130)와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50)의 사이에는 펌프수유출관(96)과 펌프로 원수를 가압 시 발생하고 정수되지 않는 퇴출수의 방출을 위한 퇴수관(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장치의 설치 면적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정수장치의 설치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필터를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여 나사 몇 개만 조이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일반인이라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정수장치를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을 열어 교체 대상인 필터유닛을 분리하고 그 필터유닛을 교체한 후에 뚜껑을 다시 조립하면 필터의 교체가 완료되므로 일반 소비자도 필터의 유지·관리가 가능하여지고, 필터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유지·관리가 편리하여진다.
또한, 필터별로 별도의 하우징이 필요 없고, 필터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이나 호스도 필요 없으므로, 정수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정수장치를 경제적으로 생산·판매할 수 있게 되고, 필터를 교체할 때 버려지는 필터하우징이 없으므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사용하다가 철거하여 휴대하거나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본 발명을 분해하여 필터들을 잘 씻고 흡수가 잘되는 종이 위에 올려두거나 탈수한 후 햇빛에 말리면 필터들은 금방 바싹 마르게 된다. 그 건조된 필터들을 다시 조립하면 위생적으로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오랫동안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장기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도 수월하여진다. 재사용하여도 필터의 수명이 남아있는 한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필터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정수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압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압필터 속의 집수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차단벽이 뚜껑과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차단벽이 하우징의 몸체 바닥에 일체로 형성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수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역삼투압 정수장치는, 하우징(10)과, 제1밀폐부재(40)가 포함된 제1필터유닛(20)과, 차단벽밀폐부재(130)가 포함된 차단벽유닛(13)과, 역삼투압밀폐부재(50)가 포함된 역삼투압필터유닛(30) 및 제2밀폐부재(350)가 포함된 제2필터유닛(35)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11)와 몸체(11)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뚜껑(12)을 포함한다. 몸체(11)의 측면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12)의 중앙부에는 필터링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21)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12)의 둘레부에는 결합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1)의 상단면에는 뚜껑(12)의 관통구멍수와 같은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과 몸체는 관통구멍에 삽입된 후 몸체의 나사구멍에 결합나사(122)에 의해서 결합된다. 몸체(11)의 상단면에는 뚜껑(12)과 몸체(11)의 결합면에서 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O-링(123)을 수용할 수 있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며, 이 원형의 홈에는 O-링(123)이 삽입된다.
제1필터유닛(20)은 하우징(10) 몸체(11)의 유입관(111)에 필터링하러 들어오는 원수를 제일 처음 만나는 곳에 배치된다. 제1필터(20')는 하우징(10)에 비해서 직경이 작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다. 제1필터유닛(20)은 중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필터의 양단면에 제1밀폐부재(40)가 포함되어 있다. 원수는 제1필터(20')의 외주면(22)에서 내주면(23) 방향으로 제1필터(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원수는 중공(21)을 지난 후 중공(21)과 연결되어 있는 펌프유입관(9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외부에 있는 펌프로 들어간다. 필터(20', 30', 35')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수 기능을 가지는 활성탄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단단한 블록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필름 형태의 여과막을 여러 겹 둥글게 블록 형태로 말아 제조할 수도 있다. 원재료는 활성탄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단한 블록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세라믹 등 그 재료의 종류에 무관하다. 또한, 필터의 원재료는 입상, 분말 또는 섬유상 등 그 성분과 형태에 무관하다.
통상의 상수도압 정도로는 원수가 역삼투압필터(3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역삼투압필터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가압용 펌프(P)를 사용한다. 따라서 펌프는 역삼투압필터 앞에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정수하러 하우징(10)에 들어오는 원수는 제1필터유닛(20)을 제일 먼저 통과하고 다음에 통과하는 필터는 역삼투압필터이다. 그러므로 제1필터유닛(20)과 역삼투압필터유닛(30) 사이를 차단하지 않고 그 사이에 펌프를 설치하면 정수하러 역삼투압필터 앞까지 들어온 원수가 오히려 펌프에서 나오는 힘에 밀려 제1필터유닛(20)을 거쳐 수도관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히 제1필터유닛(20)과 역삼투압필터유닛(30) 사이에 차단벽유닛(13)을 설치하여 서로 밀폐시킨 후 차단벽유닛(13)의 앞쪽에 펌프수유입관(95)을 배치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펌프(P)의 유입부에 연결하고 차단벽유닛(13)의 뒤쪽에는 펌프수유출관(96)을 배치하여 펌프의 배출부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필터유닛(20)을 통과한 원수가 펌프수유입관(95)을 통하여 하우징 밖의 펌프를 거쳐 펌프수유출관(96)을 지나 다시 역삼투압필터유닛(30)을 통과하러 하우징 속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서 제1필터유닛(20)과 차단벽유닛(13)사이 및 차단벽유닛(13)과 역삼투압필터유닛(30) 사이가 너무 좁고 원수가 흐르는 하우징(10) 내부이기 때문에 펌프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제1필터유닛(20)을 통과한 원수를 하우징의 몸체(11) 바닥에 있는 펌프수유입관(95)을 통하여 몸체(11) 밖으로 유도하여 펌프(P)를 경유시키면서 수압을 높힌 후 몸체(11) 속의 차단벽유닛(13)과 역삼투압필터유닛(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펌프수유출관(96)을 통하여 다시 하우징 속으로 진입토록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원수를 역삼투압필터유닛(30)로 통과시킬 때 미처 정수시키지 못하고 버려지는 물의 배출을 위하여 차단벽밀폐부재(130)와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50)가 맞닿는 하우징(10)의 뚜껑(12) 사이에 퇴수관(93)을 부착하였으므로 튜브를 연결하여 적당한 곳으로 퇴수시키도록 하였다. 물론 퇴수관(93)은 펌프수유출관(96) 이웃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차단벽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처럼 단단하고 방수가 잘되는 물질이어야 한다.
차단벽유닛(13)은 제1필터유닛(20)의 내측에 배치되며, 차단벽유닛(13)의 외주면 직경은 제1필터유닛(20)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두 필터유닛 사이에는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필터유닛(20)을 통과한 원수는 차단벽유닛에 막혀 하우징(10) 내에 머무르지를 못하고 하우징 밖의 펌프(P)로 진입한 후 다시 차단벽유닛의 뒤편의 하우징 속으로 진입한 후 다음 단계의 필터인 역삼투압필터유닛(30)으로 진입하게 된다.
역삼투압필터유닛(30)은 차단벽유닛(13)에 비해서 직경이 작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다. 역삼투압필터유닛(30) 역시 중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역삼투압필터의 양단면에는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50)가 포함되어 있다. 역삼투압필터유닛(30)은 제1필터유닛(20)과 차단벽유닛(13)에 비해서 직경이 작다는 점 이외에는 모양에는 차이가 없고, 도 10과 도 11에서 보듯이 다수의 집수구멍(305)이 있는 집수관(301)에 여과막(302)과 고분자 직조물(303) 및 메쉬(304) 등으로 단단하게 말려져 있으며,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필터유닛(35)은 역삼투압필터유닛(30)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으로서, 중공(42)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양단면에는 제2밀폐부재(350)가 포함되어 있다. 제2필터유닛을 통과한 원수는 중공(42)을 지난 후 중공(42)과 연결되어 있는 뚜껑(12)의 유출관(121)을 통하여 정수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필터유닛(35)은 직경이 더 작은 제3필터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각 필터유닛의 위치를 바꾸어 배치할 수도 있고, 제3필터유닛(미도시) 속에 제4필터유닛 등을 배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각 필터와 차단벽이 구비하고 있는 "ㄷ"자 모양의 밀폐부재는 터진 부분이 필터와 차단벽의 양단부에 밀착되게 꼭 끼는 형상으로 링(ring) 모양의 탄성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O-링의 모양으로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ㄷ"자 모양의 밀폐부재는 속이 찬 사각형 모양을 취하면서 접착제로 필터와 차단벽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제1필터의 양단에 있는 제1밀폐부재(40)는, 정수장치가 결합되면, 뚜껑(12)과 하우징(11)의 몸체(11) 밑바닥에 밀착되어 접촉하면서 제1필터유닛(20)과 접촉하는 하우징 안쪽 상단면의 안팎과 하우징 안쪽 하단면의 안팎을 밀폐한다.
차단벽밀폐부재(130)와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50) 및 제2밀폐부재(350)도 몸체(11)와 뚜껑(12)이 결합되면, 뚜껑(12)의 내측과 하우징(10)의 몸체(11) 밑바닥에 밀착되어 접촉하면서 각 유닛과 접촉하는 하우징의 상단면의 안팎과 하단면의 안팎을 밀폐한다.
하우징 몸체(11)의 측면의 유입구(111)를 통해서 유입된 원수는 제1필터(20')와 펌프(P)와 역삼투압필터(30') 및 제2필터(35')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후 제2필터유닛(35)의 중공(42)과 하우징 뚜껑(12)의 유출관(121)을 통과한 후 정수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정수장치의 필터 교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우선, 결합나사(122)를 풀어, 하우징 뚜껑(12)을 하우징의 몸체(11)에서 분리한다. 다음, 교체가 필요한 필터부를 분리한 후 새로운 필터부로 교체한다. 다음, 하우징 뚜껑(12)을 하우징 몸체(11)에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필터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며, 또한 교체된 필터유닛 이외에 모든 구성요소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교체 후 버리는 필터를 감싸고 있는 플라스틱 하우징이 없으므로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유입구(124)와 유출관(121)이 모두 하우징의 뚜껑(12)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과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24)가 하우징의 뚜껑(12)에 형성되므로, 유입구(124)에서 유입된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뚜껑(12)에서 이격되어 있는 가압부재(60)가 설치된다. 가압부재(60)는 하우징 뚜껑(12)에서 하우징(10)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포스트(61)와 지지포스트(61)에 결합된 가압판(62)을 포함한다. 가압판(62)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중심부에는 관통구멍(621)이 형성된다. 유출관(121)의 일단은 가압판(62)의 관통구멍(621)과 제2필터유닛(35)의 중공(42) 내부와 연결된다. 유입구(124)에서 유입된 원수는 가압판(62)을 따라 도면상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한 후 제1필터(20')에서 제2필터(35')까지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제2필터유닛의 중공(42)과 유출관(121)을 통과하여 정수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유입구가 하우징의 몸체 바닥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과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12)에서 유입된 원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포스트(71)와 지지판(72)을 구비한 지지부재(70)를 하우징의 몸체(11) 바닥 안쪽 면에서 이격되게 설치한다. 지지부재(70)는 하우징의 몸체(11) 바닥 안쪽 면에서 하우징(10)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포스트(71)와 지지포스트(71)에 결합된 지지판(72)을 포함한다. 유입구(112)에서 유입된 원수는 지지판(72)을 따라서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한 후 제1필터(20')에서 제2필터(35')까지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제2필터유닛의 중공(42) 및 유출관(121)을 통과하여 정수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가압부재 외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하우징 뚜껑(12)에서 하우징(10)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코일스프링 지지부(63)와 가압판(64) 및 코일스프링(65)을 포함한다. 가압판(64)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641)이 형성되고, 가압판(64)의 상면에는 지지부(63)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우징 뚜껑(12)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코일스프링 지지부(643)가 형성된다. 코일스프링(65)의 일단은 하우징의 뚜껑(12)에서 연장된 코일스프링 지지부(63)에 고정되며, 타단은 가압판(64)에서 연장된 코일스프링 지지부(643)에 고정된다. 하우징 뚜껑(12)이 하우징 몸체(11)에 결합되면, 코일스프링(65)은 가압판(64)을 도면상 아래 방향으로 눌러 차단벽유닛(13)과 모든 필터유닛의 양단면에 있는 밀폐부재(40,50,130,350)에 밀착시킨다. 가압판을 누를 때 코일스프링(65)이 수축하면서 가압판(64)이 상부쪽으로 밀리면서 유출관(121)을 밀어올리게 되므로 유출관과 뚜껑(12)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뚜껑의 중앙에 유출관이 오르내릴 수 있는 관통공(41)을 형성하고 유출관과 관통공 사이에 O-링(125)을 설치하여 코일스프링의 수축 시에도 원활히 작동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3의 하우징의 몸체(11)를 기둥(110)과 하뚜껑(122)으로 분리시키고 하우징을 결합할 때에는 타이 로드(833)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기둥(110)이 뚜껑(12) 및 하뚜껑(122)과 결합하는 부위에는 O-링(123)을 설치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도 3에서부터 도 8에 이르기까지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밀폐부재를 달리 표현한 정수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가운데가 도너츠처럼 구멍이 뚫리고 원판형으로 생긴 원판형밀폐부재(500)를 뚜껑의 내측과 바닥의 내측면에 부착한 후 각 필터들과 차단벽의 양단면을 감싸고 있는 모든 밀폐부재들을 없앤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경우 필터의 교체 시 필터의 양단면이 부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하는 단점이 있지만 필터의 제조비용이 아주 저렴한 장점이 있다. 물론 바닥에 부착된 원판형밀폐부재(500)에는 펌프수유입관과 펌프수유출관 및 퇴수관이 위치한 부분에 원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멍들을 형성시켜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역삼투압필터(30')의 분해사시도로서 집수관(301)을 감싸고 있는 필름 모양의 여과막(302)과 고분자 직조물(303) 및 메쉬(304)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도면이다. 집수관에는 도 11처럼 여러 개의 집수구멍(305)들이 뚫려 있는데 여러 겹의 여과막을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이 다음 단계의 필터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집수구멍들을 많이 형성하였다. 집수관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처럼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필름 모양의 여과막과 고분자 직조물 및 메쉬처럼 유연성이 있는 재질들을 집수관에 감아 단단한 블록형태를 갖추기 위함이다.
도12는 차단벽이 뚜껑과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서 차단벽(13'-1)의 끝부분에 차단벽밀폐부재(130-1)를 갖추도록 하여 뚜껑(13')과 몸체(11)를 결합하면 자동으로 차단벽의 앞뒤가 밀폐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혔고, 도 13은 차단벽(13-2)을 몸체의 바닥과 일체로 형성시키고 차단벽의 단면에 차단벽밀폐부재(130-2)를 갖추도록 하여 이 또한 뚜껑(12)과 몸체(11')를 결합하면 자동으로 차단벽의 앞뒤가 밀폐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필터는 세 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더 많은 필터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몸체와 뚜껑은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클램프 등 다른 체결수단을 이용해서 결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1: 몸체
12: 뚜껑 13: 차단벽유닛
13': 차단벽 20: 제1필터유닛
30: 역삼투압필터유닛 35: 제2필터유닛
20': 제1필터 30': 역삼투압필터
35': 제2필터 40: 제1밀폐부재
50: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 60: 가압부재
70: 지지부재 80: 결합부재
93: 퇴수관 95: 펌프수유입관
96: 펌프수유출관 111,112,124: 유입구
121,125: 유출관 123, 125: O-링
130: 차단벽밀폐부재 301: 집수관
302: 여과막 303: 고분자 직조물
304 : 메쉬 305: 집수구멍
350: 제2밀폐부재 500: 원판형 밀폐부재
13-1,13-2: 차단벽 130-1,130-2: 차단벽밀폐부재

Claims (14)

  1. 원수를 필터링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링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양단면에 제1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유닛과,
    상기 제1필터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양단면에 차단벽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벽유닛과,
    상기 차단벽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양단면에 역삼투압필터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삼투압필터유닛과,
    상기 역삼투압필터유닛 내부에 수용되고 유출관과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통체 모양의 양단면에 제2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유닛과,
    상기 제1필터유닛과 차단벽유닛 사이에 외부의 펌프에 연결하는 목적의 펌프수유입관과,
    상기 차단벽유닛과 역삼투압필터유닛 사이에 외부의 펌프와 연결하는 펌프수유출관과 퇴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2. 원수를 필터링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링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유입된 원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원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벽과,
    상기 차단벽 내부에 수용되고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원수를 필터링하는 역삼투압필터와,
    상기 역삼투압필터 내부에 수용되고 유출관과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원수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와,
    상기 제1필터와 차단벽 사이에 외부의 펌프에 연결하는 목적의 펌프수유입관과,
    상기 차단벽과 역삼투압필터 사이에 외부의 펌프와 연결하는 펌프수유출관 및 퇴수관과,
    상기 하우징의 뚜껑과 바닥 내측면에 원판형밀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유닛과 제2필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양단면에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방수가 되고 단단한 재질로서 양단면에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이 형성된 통체로서 양단면에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필터유닛.
  6. 제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탄성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7.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몸체와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뚜껑과, 몸체의 측면에는 유입구와 뚜껑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8.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입구와 유출관이 형성된 뚜껑과, 뚜껑에서 이격되어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9.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과, 몸체 바닥 안쪽면에서 이격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10.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뚜껑과 기둥 및 하뚜껑으로 분리되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뚜껑과 몸체로 구성되며, 뚜껑과 몸체 바닥의 측면에 원판형밀착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12. 제1항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분해와 결합하는 수단으로 나사결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 수단으로 타이 로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14. 제1항과 제2항 및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 수단으로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압 정수장치.
KR1020120117650A 2012-10-23 2012-10-23 역삼투압 정수장치 KR2014005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50A KR20140051542A (ko) 2012-10-23 2012-10-23 역삼투압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50A KR20140051542A (ko) 2012-10-23 2012-10-23 역삼투압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542A true KR20140051542A (ko) 2014-05-02

Family

ID=5088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50A KR20140051542A (ko) 2012-10-23 2012-10-23 역삼투압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1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759A (ko) 2015-02-26 2016-09-0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WO2021060785A1 (ko) * 2019-09-23 2021-04-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759A (ko) 2015-02-26 2016-09-0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WO2021060785A1 (ko) * 2019-09-23 2021-04-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399B2 (en) Water purifier
JP2011098345A (ja) フィルター組立体
WO2016095401A1 (zh)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US20060086654A1 (en) Apparatus for filtering substances out of liquids
KR102138010B1 (ko) 수처리 장치의 복합 필터
JP2017530862A (ja) 濾過装置
KR20140051542A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CN103372340B (zh) 反冲洗式水过滤器
US20240082761A1 (en) Retrofitting and use of rectangular filters, assembly and method for filtration
KR101023138B1 (ko) 여과칼럼
CN210356290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净水器滤芯
KR100733691B1 (ko) 여과장치
EP3594183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113929160B (zh) 滤芯、净水系统和净水机
KR20100051947A (ko) 정수용 필터 하우징
KR101146228B1 (ko) 탈부착 가능한 수로홈을 갖는 필터 프레스용 여과판
CN111115879B (zh) 净水系统
TWI295583B (en) Water purifier
KR101902302B1 (ko) 중공사막 필터가 내장된 분리형 필터모듈 및 여과장치
KR101071229B1 (ko) 필터유닛 및 이 필터유닛이 포함된 정수장치
CN212631939U (zh) 可拆卸式过滤器及净水装置
CN212102284U (zh) 可携式净水装置
JP2004305796A (ja) 浄水器
CN218501423U (zh) 一种盘片过滤器
CN216320315U (zh) 一种龙头净水器的过滤器及龙头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