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09Y1 -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09Y1
KR200484809Y1 KR2020170001474U KR20170001474U KR200484809Y1 KR 200484809 Y1 KR200484809 Y1 KR 200484809Y1 KR 2020170001474 U KR2020170001474 U KR 2020170001474U KR 20170001474 U KR20170001474 U KR 20170001474U KR 200484809 Y1 KR200484809 Y1 KR 200484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delete delete
filter modu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170001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수용부가 구비된 원형 드럼 형상의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포함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브라켓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A Underground Water Filtering Device}
본 고안은 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관정에 구비된 양수 모터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과 같은 불순물을 걸러내어 정수(淨水)하는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장치는 호수 및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물을 취수하여 관수용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대용량의 상수도용 정수장치와, 상기와 같이 1차 정수시설을 거친 물을 식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2차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소용량의 가정용 정수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정수장치는 하천 등의 표류수나 저수지의 물과 같이 부유물질이 많이 함유되고 병원성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원수를 생활용수로 정수하는데 이용되는 시설이므로 부유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하기 위한 침전지, 여과지 등 상대적으로 복잡하면서도 대형 시설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반면 소용량의 가정용 정수장치는 1차 정수시설에서 정수된 수도물과 같은 깨끗한 물을 식용수로 정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전술한 소형 정수장치는 내부에 고형물 여과용 필터가 1개 또는 2개 정도 설치되어 있어서 물이 상수도의 수압으로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된 정수기와 상하 2개의 물통 사이에 활성탄 등의 흡착제통을 설치하여 물이 중력에 의하여 흡착제통을 통하여 하부 물통으로 낙하되도록 한 정수기가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지하수나 또는 소형 저수조에 저수된 원수를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수하는데 적당한 중형 정수시설은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상수도가 연결되지 아니한 농촌이나 과수원 등에서는 지하수나 하천수를 공동 저수조로 양수하여 저장하였다가 상수도관을 통하여 식용수로 공급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천연수를 양수하여 공동 저수조에 저장한 물은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또한 수질에 따라서는 고형물이 수중에 함유되어 있어서 식용수로 사용하려면 정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서 농장이나 과수원 등에서는 지하수 등을 직접적으로 정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 이와 같은 정수처리장치는 시설비용이 많이 들고 설치면적이 넓어야 하거나 또는 정수처리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의 유지 및 보수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단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비교적 소용량의 원수를 정수할 수 있으면서 관리유지가 간편한 정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9542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전체 볼륨이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주요 구성의 설치가 단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소형 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수용부가 구비된 원형 드럼 형상의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포함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브라켓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지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형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 하측에 설치되는 필터몸체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몸체부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를 이루는 관통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몸체부 외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여과망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필터모듈이 외부로 인출 가능한 크기로 인출홈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브라켓에 설치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는 상기 상부브라켓에 볼트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상부브라켓에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의 배출부와 상기 필터몸체부 상부를 결합시키는 상부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상부덮개부 사이로 실링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부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설치되는 하부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은 사각 판상 형상을 이루되, 상기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상기 상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 각각의 모서리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로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필터모듈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배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 필터 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이 콤팩트(compact)하게 배치됨은 물론 전체 크기가 작게 이루어져 유지 및 이동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케이스의 제거 시 필터모듈이 동시에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모듈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셋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배출부를 통하여 메인하우징 내측에 축적되는 이물질의 원활한 제거가 가능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기공급펌프를 적용하여 필터모듈에 축적된 이물질의 제거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청소시에, 배출구로 물을 유입시키고, 유입구로 물을 배출되게 함으로써, 장치의 청소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의 주요 구성이 결합된 후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펌핑부 등 주요 구성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100)는 메인하우징(110), 상부브라켓(120), 하부브라켓(130) 및 필터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수용부가 구비된 대형 관 형태의 원형 드럼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은 금속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에 부식되지 않도록 표면이 코팅처리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12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사각 판상 형태를 이루며 물이 메인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125)와 유입된 물이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145)가 포함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상부브라켓(120)은 상기 필터모듈(150)을 외부로 인출 가능한 크기로 인출홈(122)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홈(122)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상의 보조커버부(1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커버부(140)는 상기 인출홈(122)을 완전히 폐쇄할 정도의 크기를 지니며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볼트(177)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부(140)에 상기 배출부(145)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145)는 상기 보조커버부(140) 일측과 타측에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는 소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보조커버부(140)와 상기 상부브라켓(120)에 사이로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130)도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사각 판상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하부브라켓(130)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하우징(110) 외측 둘레를 따라서 상기 메인하우징(110)으로부터 소정 이격되게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상기 하부브라켓(130) 각각의 모서리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지지로드(18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로드(18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브라켓(120)과 하부브라켓(130)의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되 관통된 단부에 와셔(182)와 고정볼트(185)가 각각 체결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부브라켓(130)은 상기 필터모듈(150)에 의하여 걸러져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이물질배출부(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배출부(135)는 상기 하부브라켓(130)에 형성된 이물질배출홈(132)에 연결되는 소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개폐밸브(미도시)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130) 하측 모서리부위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100)를 지반에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19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필터모듈(15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의 내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125)를 통하여 메인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에 포함된 모래나 철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정화된 물만이 필터모듈(15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부(145)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모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의 주요 구성이 결합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모듈(150)은 크게 필터몸체부(151)와 여과망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몸체부(151)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형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상기 배출부(145)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필터몸체부(151)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를 이루는 관통홈부(159)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부(156)는 상기 필터몸체부(151) 외부를 덮어 감싸어 상기 관통홈부(159)가 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여과망부(156)는 철질 재질의 직물이 직조된 형태로 이루어져 물을 제외한 모래나 금속 등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여과망부(156)는 두 겹 또는 세 겹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철질 재질의 여과망부(156)를 두 겹 이상 적용하되, 상기 철질 여과망부(156) 사이로 물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부직포 등이 추가 적용되도록 하여 이물질의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고압의 물에 의한 부직포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여과망부(156)는 상기 필터몸체부(151) 외부를 둘러 감싸며 설치되되, 필터몸체부(151) 외부를 완전히 둘러 감싼 후 상기 여과망부(156) 양단측이 만나 접합되는 부위 외부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덮어 감싸는 결합띠부(157)가 상기 필터몸체부(151)에 여과망부(156)의 양측 결합되는 부위와 함께 나사(158)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망부(156)와 필터몸체부(151)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망부(156)의 양단측은 서로 일부 영역 폴딩된 상태를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망부(156)가 상기 필터몸체부(1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몸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덮개부(152)와 하부덮개부(15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덮개부(152)는 상기 필터몸체부(151)와 여과망부(156) 상부 외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메인덮개부(153)와, 상기 메인덮개부(153)와 연통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상부브라켓(120)의 배출부(145)에 결합되는 연결덮개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덮개부(152)와 연결덮개부(154)는 각각 직경이 서로 다른 소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덮개부(154) 내측으로 상기 배출부(145) 외측이 밀착된 상태로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연결덮개부(!54)와 배출부(145) 사이에도 실링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부(155)는 상기 필터몸체부(151)와 여과망부(156) 하부 외부를 덮어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하측이 폐쇄된 상태를 이룬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덮개부(152)와 하부덮개부(155)는 상기 필터몸체부(151)에 나사(158)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를 지반에 설치한 후, 외부펌핑장치를 이용 지하수를 상기 유입부(125)를 통하여 메인하우징(110) 내측으로 기 설정된 고압으로 공급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측으로 고압으로 유입된 지하수는 상기 필터모듈(150)의 여과망부(156)에 의하여 모래나 철질 물질 등 이물질이 걸러진 물만이 관통홈부(159)를 통과한 후 상기 필터몸체부(151)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몸체부(151) 상부덮개부(152) 상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배출부(14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배출부(145)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농장이나 과수원 등에서 관개용수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측에 여과망부(156)를 통과하지 못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소정 높이까지 쌓이게 되면 정수 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지하수의 유입 과정 시 과도한 압력이 걸릴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물의 유입을 중지시킨 후, 상기 이물질배출부(135)의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메인하우징(110) 내측에 쌓여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 후 다시 정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100)는 크기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이동이 간편하며 작동법이 간단하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편리하게 정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펌핑부 등 주요 구성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장치(100)는 상기 이물질배출부(145)에 개폐밸브(207)가 구비된 관을 연결하고, 상기 유입부(125)로 물이 유입되는 측으로는 외부펌핑장치(P1; 301)를 이용 고압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호스(202)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부(145)로는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호스(203)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스(203)는 분지된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 호스에는 고압의 공기를 다시 정수 필터 장치(100)로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P2; 302)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측 호스에는 개폐밸브(207) 및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05)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정수 필터 장치(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정수 필터 장치(100) 내측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 경우 상기 배출부(145)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압력센서(305)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배출호스(203)에 구비된 개폐밸브(207)를 폐쇄시키고 상기 이물질배출부(135) 측 개폐밸브(207)만을 개방시킨 후, 상기 공기공급펌프(302)를 이용 고압의 공기를 상기 배출부(145) 측으로 역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하우징(110) 내측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배출부(135)로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상기 필터모듈(150)의 여과망부(156)에 달라 붙은 이물질 등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커버부(140)는 철질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 후, 상기 보조커버부(140) 외측으로 별도의 강한 자석을 부착시킨 경우 미세한 철질 물질들은 상기 보조커버부(140)에 붙도록 한 후, 차후 보조커버부(140)의 분리 시에 철질 재질만을 별도로 분리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보조커버부(140)의 위치를 이물질배출부(13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자석의 제거를 통하여 철질 물질이 이물질배출부(135)를 통하여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망부(156)를 두 겹 이상으로 하는 경우 최외곽 여과망부와 다름 배치되는 여과망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최외곽 여과망부가 헐거워져 망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다음 배치된 여과망부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필터모듈(150)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띠부(157)에 결합되는 나사(158)의 삽입부가 상기 결합띠부(157)와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나사(158)의 풀림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110: 메인하우징
120: 상부브라켓 122: 인출홈
125: 유입부 130: 하부브라켓
132: 이물질배출홈 135: 이물질배출부
140: 보조커버부 145: 배출부
150: 필터모듈 151: 필터몸체부
152: 상부덮개부 153: 메인덮개부
154: 연결덮개부 155: 하부덮개부
156: 여과망부 157: 결합띠부
159: 관통홈부 180: 지지로드

Claims (10)

  1. 상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수용부가 구비된 원형 드럼 형상의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유입부와 배출부가 포함된 상부브라켓;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된 하부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브라켓;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지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모듈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부가 개구된 원형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 하측에 설치되는 필터몸체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몸체부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내외부가 관통된 상태를 이루는 관통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몸체부 외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여과망부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필터모듈이 외부로 인출 가능한 크기로 인출홈이 구비되며,
    상기 인출홈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상부브라켓에 설치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커버부는 외측에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망부는 최외곽 여과망부와 상기 최외곽 여과망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여과망부를 포함하되,
    상기 최외곽 여과망부와 상기 내부 여과망부는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20170001474U 2017-03-27 2017-03-27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200484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74U KR200484809Y1 (ko) 2017-03-27 2017-03-27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474U KR200484809Y1 (ko) 2017-03-27 2017-03-27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09Y1 true KR200484809Y1 (ko) 2017-11-20

Family

ID=6048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474U KR200484809Y1 (ko) 2017-03-27 2017-03-27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0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299Y1 (ko) * 2005-08-29 2005-11-15 해 만 최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KR20080078976A (ko) * 2007-02-26 2008-08-29 김의범 정수용 필터 장치
JP2009508668A (ja) * 2005-09-21 2009-03-05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ルタ装置
KR100969542B1 (ko) 2010-03-10 2010-07-12 서영석 지하수 정수필터 장치
KR20110023423A (ko) * 2009-08-31 2011-03-08 이종언 오일필터
KR20160050578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299Y1 (ko) * 2005-08-29 2005-11-15 해 만 최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JP2009508668A (ja) * 2005-09-21 2009-03-05 ハイダック フィルターテヒニ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ルタ装置
KR20080078976A (ko) * 2007-02-26 2008-08-29 김의범 정수용 필터 장치
KR20110023423A (ko) * 2009-08-31 2011-03-08 이종언 오일필터
KR100969542B1 (ko) 2010-03-10 2010-07-12 서영석 지하수 정수필터 장치
KR20160050578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피코그램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257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US5338446A (en) Filter unit for in-line use in a pool vacuum hose
US3439809A (en) Water cleaner
US2792943A (en) Water filtering apparatus
JP2010221206A (ja) 携行型浄水キット
US20100213114A1 (en) Self-cleaning filtration machine with rotary drum filter for contaminated liquids
US5350526A (en) 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articulate contaminants from commercial laundry waste water
KR200484809Y1 (ko)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US11660551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US2878938A (en) Swimming pool filter
JP2016104462A (ja) 水処理装置
AU2014330107B2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 liquid
US5833852A (en) Supplementary filter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RU167817U1 (ru) Картридж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KR101106546B1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US5858216A (en) Filt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KR101130918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무방류 자중수압여과식 수처리시스템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JPH02233111A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JP2016104463A (ja) 水処理装置
US264011A (en) Filter
CN209155205U (zh) 一种净水器滤芯组件
RU4921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RU26964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3730718B2 (ja) ストレ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