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99Y1 -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 Google Patents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99Y1
KR200401299Y1 KR20-2005-0024725U KR20050024725U KR200401299Y1 KR 200401299 Y1 KR200401299 Y1 KR 200401299Y1 KR 20050024725 U KR20050024725 U KR 20050024725U KR 200401299 Y1 KR200401299 Y1 KR 200401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ilter
cap
hou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 만 최
Original Assignee
해 만 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 만 최 filed Critical 해 만 최
Priority to KR20-2005-0024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직각방향의 유입구와 축직각방향의 전방 배출구를 지니는 통형의 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단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축방향의 후방 배출구와 유로상의 개폐밸브를 지니는 후방 하우징; 상기전후방하우징 결합체의 내부에 동심으로 긴밀하게 수용되고, 내부공간과 관통공을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후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캡을 형성하는 농약분무용 여과기와 관련되며, 구성적 특징에 있어서 :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30)의 외주면에 다수의 홈(142)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여과망체(141) 및 상기 여과망체(141)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140)을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130)의 일측에는 다수의 연통공(144)을 가진 캡(143)이 형성되며, 상기 캡(143)의 상단에 캡스프링(145)이 장착된 세척 기능을 지니는 여과기(10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배관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여과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은 물론, 생산 및 조립이 간편함과 더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Filter for agriculture chemical spray having cleaning function}
본 고안은 농약분무용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여과망체 및 상기 여과망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배관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여과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은 물론, 생산 및 조립이 간편함과 더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간단하게 사용하는 형태의 농약분무기는 약액통을 메고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길다란 레버로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진공압 형성에 의해 약액통내의 농약을 분무 살포시킬 수 있다.
이는 소규모 영세농의 경우에 적절한 장비이고 근래에 영농 규모가 커지고 농가에 여성 및 노령층이 급증하는 현실에서 농약의 분무살포작업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별도의 여과기능을 구비하지 않아 농약에 함유된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약액통의 내부를 자주 청소해야 되는 불편이 초래된다.
때문에 고압 콤프레셔를 이용한 농약분무장치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 또한 대형 혼합통이 옥외에 방치되는 동안 먼지나 곤충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기 쉬워 유로상에 부착되어 분사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수시로 이물질을 제거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지 않는다.
장치내에 별도의 농약여과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여과기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역시 분사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수시로 여과기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여과재를 들어낸 후 세척해야 한다. 이때 여과기에 연결된 주변의 배관까지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이 과정에서 신체나 주변에 농약이 오염되는 폐단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등록 제397014호는 통형의 전방 하우징(10)과 후방 하우징(20)이 나선으로 결합되고, 전방 하우징(10)은 축직각방향의 유입구(11)와 축직각방향의 전방 배출구(12)를 지니며, 후방 하우징(20)은 축방향의 후방 배출구(21)와 유로상의 개폐밸브(25)를 지니고, 후방 하우징(20)은 개폐밸브(25), 그 전방의 관형부재, 그 후방의 후방 배출구(21) 등 3가지 부품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다.
또, 내부공간(30a)과 관통공(30b)을 구비하는 실린더(30)가 상기 하우징(10)(20) 결합체의 내부에 동심으로 긴밀하게 수용되고, 관통공(30b)은 축직각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며. 실린더(30)는 선단에서 외경이 증가되는 2단 구조로 하고, 선단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O-링(35)을 설치한다.
상기, 실린더(30)의 선단이 전방 하우징(10)의 전방 배출구(12) 측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면, 여기에 개재되는 O-링(35)에 의해 농약이 전방 배출구(12) 측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후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연통공(40a)을 구비하는 캡(40)이 상기 실린더(30)의 후방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연통공(40a)은 캡(40)의 후단부 모서리에서 축과 45°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드릴링하여 형성하며, 캡(40)에 의하여 실린더(30)의 내부공간(30a)에서 후단의 유로가 폐쇄되도록 한 것이며, 실린더(30)의 내부공간(30a)에서 선단의 유로는 전방 배출구(12)와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30)가 하우징(10)(20)에 장착되면 그 내부공간(30a)은 실린더 외측으로 유입구(11)와 연통되는 외부공간과 분리되고, 외부공간은 다시 캡(40)의 연통공(40a)을 통하여 후방 배출구(21)와 연결된다.
이때, 외부공간은 이물질이 포함된 여과전 농약이 통과되는 부분이고, 내부공간(30a)은 후술하는 여과재(50)를 거친 여과후 농약이 통과되는 부분인 것이다.
상기 발명은, 실린더(30)의 내부공간(30a)으로 유입되는 농약을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재(50)가 상기 실린더(3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장착되고, 여과재(50)는 실린더(30)의 선단과 캡(40) 사이에 설치되며, 실린더(30), 캡(40), 여과재(50)는 일체로 조립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여과재(50)는 세라믹 또는 세라믹/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양면에 무수한 주름(50a)을 지니는 고리형으로 성형되고, 주름(50a)은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유효 여과면적을 증대하고, 여과재(50)의 설치 수량은 유입구(11)의 크기, 농약의 처리용량, 유동저항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캡(40)을 돌리는 정도에 따라 여과재(50)의 설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동저항도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30) 상에 여과재(50)를 설정된 개수만큼 하나씩 삽입하고, 실린더(30)의 후단에서 캡(40)을 조이면 여과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 여과 조립체를 전방 하우징(10)의 내부에 넣어 O-링(35)을 밀착시키고 후방 하우징(20)을 돌려 끼우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농약분무용 여과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입구(11)로 투입되는 농약은 여과재(50)를 통과하고 실린더(30)의 내부공간(30a)에 도달한 후 전방 배출구(12)를 통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분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과재(50)의 외주면에는 크고 작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점차적으로 분출압을 저하시킨다. 여과재(50)의 외부에서 캡(40)의 연통공(40a)으로 누출된 농약은 개폐밸브(25)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며, 유입구(11)에 농약 대신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개폐밸브(25)를 여는 순간 여과재(50)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수압에 의해 세척되고 물과 함께 캡(40)의 연통공(40a)을 통과하여 후방 배출구(21)로 배출된다. 여과재(50)를 통과하는 유로저항이 크기 때문에 물은 거의 전량 후방 배출구(21)로만 배출된다.
이후 개폐밸브(25)를 닫고 다시 유입구(11)에 농약을 투입하면 도 2처럼 즉시 정상적인 분무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투입된 농약이 소진되어 살포작업이 중단될 때 물을 공급하고 개폐밸브(25)만 작동시켜 수시로 세척할 수 있어 분사효율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397014호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여과재(50)는 양면에 무수한 주름(50a)을 지니는 고리형상으로 어느 경우에나 주름(50a)이 균일한 치수로 형성되어야 조립 후의 틈새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품 생산이 까다롭고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으로 인해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30)의 외주면 전체에 고리형상의 여과재(50)를 수십 개 내지 수백 개를 하나씩 삽입하여야 하므로 조립이 번거로움은 물론 조립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폐단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여과망체 및 상기 여과망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배관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여과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은 물론, 생산 및 조립이 간편함과 더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축직각방향의 유입구와 축직각방향의 전방 배출구를 지니는 통형의 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단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축방향의 후방 배출구와 유로상의 개폐밸브를 지니는 후방 하우징; 상기전후방하우징 결합체의 내부에 동심으로 긴밀하게 수용되고, 내부공간과 관통공을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후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캡을 형성하는 농약분무용 여과기에 있어서 :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30)의 외주면에 다수의 홈(142)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여과망체(141) 및 상기 여과망체(141)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140)을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130)의 일측에는 다수의 연통공(144)을 가진 캡(143)이 형성되며, 상기 캡(143)의 상단에 캡스프링(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분무용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전방 하우징 및 후방하우징, 실린더로 구성된 세척기능을 지니는 농약 분무용 여과기와 관련된다.
본 고안은 원통형의 전방 하우징(110)과 후방 하우징(120)이 나선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 하우징(110)은 축직각방향의 유입구(111)와 축직각방향의 전방 배출구(112)를 지니고, 후방 하우징(120)은 축방향의 후방 배출구(121)와 유로상의 개폐밸브(125)를 지니며, 후방 하우징(120)은 개폐밸브(125)와, 그 전방의 관형부재, 그 후방의 후방 배출구(121) 등 3가지 부품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린더(130)는 내부공간(130a)과 관통공(30b)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10), (120) 결합체의 내부에 동심으로 긴밀하게 수용된다.
한편, 실린더(13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40)이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14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142)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여과망체(141)가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여과기(1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여과망체(141)가 찌그러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과망체(141)의 내부에서 여과망체(141)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후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연통공(144)을 구비하는 캡(143)과 캡스프링(144)이 상기 실린더(130)의 후방에 나선으로 결합된다.
상기 캡(143)은 실린더(130)의 선단부와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하고, 연통공(144)은 캡(143)의 후단부 모서리에서 축과 45°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드릴링하여 형성하며, 캡(143)에 의하여 실린더(130)의 내부공간(130a)에서 후단의 유로가 폐쇄되는 것으로, 실린더(130)의 내부공간(130a)에서 선단의 유로는 전방 배출구(112)와 연결된다.
상기 캡스프링(145)은 후방하우징(120) 및 전방하우징(110)의 나선결합 시, 캡(143) 및 실린더(130)가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린더(10)가 전후하우징(110)(120)에 장착되면 그 내부공간(130a)은 실린더 외측으로 유입구(111)와 연통되는 외부공간과 분리된다.
외부공간은 다시 캡(143)의 연통공(144)을 통하여 후방 배출구(121)와 연결되고, 외부공간은 이물질이 포함된 여과 전의 농약이 통과되는 부분이고, 내부공간(130a)은 후술하는 여과망체(141)를 거친 여과 후 농약이 통과되는 부분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실린더(130)의 내부공간(130a)으로 유입되는 농약을 여과하는 여과망체(141)가 상기 실린더(13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장착된다.
이때, 본 고안의 여과망체(141)는 종래의 고리 형상으로 수십 내지 수백개를 결합하여야 하는 여과재와 달리 원통형의 망체형상으로 조립작업 및 생산, 유통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세척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서, 유입구(111)로 투입되는 농약은 여과망체(141)를 통과하고 실린더(130)의 내부공간(130a)에 도달한 후 전방 배출구(112)를 통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분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과망체(141)의 외주면에는 크고 작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점차적으로 분출압을 저하시킨다. 여과망체(141)의 외부에서 캡(143)의 연통공(144)으로 누출된 농약은 개폐밸브(125)에 의해 유로가 차단된다.
도 5에서, 유입구(111)에 농약 대신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개폐밸브(125)를 여는 순간 여과망체(141)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수압에 의해 세척되고 물과 함께 캡(143)의 연통공(144)을 통과하여 후방 배출구(121)로 배출된다. 여과망체(141)를 통과하는 유로저항이 크기 때문에 물은 거의 전량 후방 배출구(121)만 배출된다.
이후 개폐밸브(125)를 닫고 다시 유입구(111)에 농약을 투입하면 도 4처럼 즉시 정상적인 분무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투입된 농약이 소진되어 살포작업이 중단될 때 물을 공급하고 개폐밸브(125)만 작동시켜 수시로 세척할 수 있어 분사효율을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기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이 아닌 여성 및 노령층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작업을 마칠 수 있다.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전방배출구를 전방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선단에 형성할 수도 잇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삭제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여과망체 및 상기 여과망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장착하여 배관을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여과재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함은 물론, 생산 및 조립이 간편함과 더불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약분무용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분무용 여과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정상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세척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전방배출구를 나타낸 작동상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농약분무용 여과기 110: 전방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전방 배출구
120 : 후방 하우징 121: 후방 배출구
125: 개폐밸브 130 : 실린더
130a: 내부공간 130b: 관통공
140 : 스프링 141 : 여과망체
142 : 홈 143: 캡
144 : 연통공 145 : 스프링

Claims (1)

  1.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축직각방향의 유입구와 축직각방향의 전방 배출구를 지니는 통형의 전방 하우징;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단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축방향의 후방 배출구와 유로상의 개폐밸브를 지니는 후방 하우징; 상기전후방하우징 결합체의 내부에 동심으로 긴밀하게 수용되고, 내부공간과 관통공을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나선으로 결합되고, 후단부 모서리에 복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캡을 형성하는 농약분무용 여과기에 있어서 :
    상기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30)의 외주면에 다수의 홈(142)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원통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여과망체(141) 및 상기 여과망체(141)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140)을 장착하고, 상기 실린더(130)의 일측에는 다수의 연통공(144)을 가진 캡(143)이 형성되며, 상기 캡(143)의 상단에 캡스프링(145)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100).
KR20-2005-0024725U 2005-08-29 2005-08-29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KR200401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25U KR200401299Y1 (ko) 2005-08-29 2005-08-29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25U KR200401299Y1 (ko) 2005-08-29 2005-08-29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99Y1 true KR200401299Y1 (ko) 2005-11-15

Family

ID=4370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725U KR200401299Y1 (ko) 2005-08-29 2005-08-29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98B1 (ko) 2007-05-03 2008-07-21 김응래 액체살포기의 살포안내장치
KR101083137B1 (ko) 2009-10-22 2011-11-11 주식회사 신성프리시젼 티타늄 플레이트 필터가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
KR200484809Y1 (ko) * 2017-03-27 2017-11-20 신명철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20180035294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KR20180035295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98B1 (ko) 2007-05-03 2008-07-21 김응래 액체살포기의 살포안내장치
KR101083137B1 (ko) 2009-10-22 2011-11-11 주식회사 신성프리시젼 티타늄 플레이트 필터가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
KR20180035294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KR20180035295A (ko) * 2016-09-28 2018-04-0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KR101927112B1 (ko) * 2016-09-28 2019-02-27 한아에스에스(주)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KR101955589B1 (ko) * 2016-09-28 2019-03-11 한아에스에스(주)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KR200484809Y1 (ko) * 2017-03-27 2017-11-20 신명철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299Y1 (ko)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US6214224B1 (en) Filtered showerhead
US5108592A (en) Rotary self-cleaning strainer simultaneously cleaned and rotated by nozzle structure
JP4881977B2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US20120255915A1 (en) Bernoulli filter
KR100950830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CN208081960U (zh) 一种生物制药提取液的过滤装置
CN110122275A (zh) 一种农业节水灌溉系统
US4221667A (en) Whirlfilter
US5595656A (en) Device for filtering agricultural water
KR100397014B1 (ko)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KR20090075945A (ko) 농약분무용 여과기의 분배기구
KR101927112B1 (ko)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CN108310893A (zh) 一种新型除尘柜
JPH0716512A (ja) 噴霧器用クリーナ
CN207219933U (zh) 一种中药材病虫害防治装置
CN214071370U (zh) 一种有效防止堵塞农药喷洒用喷淋头
JP5748727B2 (ja) インラインストレーナ
KR101955589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원거리 방제기
CN208244384U (zh) 一种新型除尘柜
CN214801885U (zh) 涡旋式喷雾装置
JP4117534B2 (ja) スプレーノズル
KR200417105Y1 (ko) 체크노즐
KR20110035110A (ko) 물티슈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