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78A -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78A
KR20160050578A KR1020140149044A KR20140149044A KR20160050578A KR 20160050578 A KR20160050578 A KR 20160050578A KR 1020140149044 A KR1020140149044 A KR 1020140149044A KR 20140149044 A KR20140149044 A KR 20140149044A KR 20160050578 A KR20160050578 A KR 2016005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filters
water filter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현
임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4014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578A/ko
Publication of KR2016005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복합소재가 동심원을 이루어 정수필터를 형성할 경우, 유체 흐름을 간섭하게 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방지하기 위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원통형상의 제1정수필터;
상기 제1정수필터와 동심원을 이루고 상기 제1정수필터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체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제2정수필터,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원수를 2차로 정수처리하여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purifing filter composing of complex material}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소재가 동심원을 이루어 정수필터를 형성하는 경우, 유체 흐름을 간섭하게 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방지하기 위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량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바,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이하,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함으로써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 1인 가족 및 소형가족 증가로 정수기의 소형화, 슬림화, 복합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소 2종 이상의 소재가 한 정수필터 내에 형성되는 복합필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정수기에는 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세디멘트필터와, 상기 세디멘트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선카본필터와, 상기 선카본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를 통과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여 물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카본필터로 이루어진 정수필터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는
유체(일 예로서, 수돗물 등의 원수를 말함)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 및 배출구(2)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3)(본체(3a)와, 본체(3a)에 융착고정되는 캡(3b)으로 이루어짐)과,
상기 유입구(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기 위한 정수필터로서,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정수필터(4)(일 예로서 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해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 카본블록, 세라믹필터를 포함하고, 기공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처리필터를 말함) 및 제2정수필터(5)(일 예로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 카본블록, 세라믹필터를 포함하고,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재로이루어지는 후처리필터를 말함)가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정수필터(4) 및 제2정수필터(5)는 동심원상으로 밀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3) 내에 수용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7 및 8은 상기 제1,2정수필터(4,5)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하우징(3) 내에 제1,2정수필터(4,5)를 유동되지않게 고정하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이다.
이로 인해 상기 유입구(1)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3) 내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4)와 제2정수필터(5)를 이들의 반경방향으로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고, 정수처리된 정수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5) 중앙의 정수수 집수통로(12)에 모아진 후 상기 배출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정수필터(4)에 이물질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사용수명이 다할 경우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전체 면적을 활용하여 정수처리하기가 힘들게 된다. 즉 상기 제1정수필터(4)를 이의 반경 방향으로 통과한 원수가 상기 제2정수필터(5)의 반경방향으로 통과할 경우, 원수는 상기 제1정수필터(4)와 가장 근접한 위치의 제2정수필터(5)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정수필터(4,5)가 동심원을 이루어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정수필터(4)의 일측에 이물질(A)이 고착된 경우,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4)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정수필터(5)로 이동시, 상기 이물질(A)(상기 제1정수필터(4)를 통과하여 제2정수필터(5)로 이동하는 원수의 흐름 방향을 간섭하게 됨)과 인접한 위치의 제2정수필터(5)에는 원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 된다.
이로 인해, 정수처리시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전체 단면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정수효율이 떨어지고, 사용수명이 남아있는 상태의 상기 제2정수필터(5)를 교체하게 되어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77408호에 정수기의 복합필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는, 복합소재가 동심원을 이루어 정수필터를 형성할 경우, 외측 정수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내측 정수필터로 이동시 흐름 방향에 간섭을 받지않아 정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능, 사용수명 등이 다른 필터소재가 하나의 정수필터 내에 복합으로 수용될 경우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는, 복합소재를 이루는 정수필터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되지않아 정수필터의 전체 단면을 활용하여 정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원통형상의 제1정수필터;
상기 제1정수필터와 동심원을 이루고 상기 제1정수필터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체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제2정수필터,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원수를 2차로 정수처리하여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정수처리필터는 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2정수처리필터는 후처리용 필터로서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정수필터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상기 제1,2정수필터사이에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의 내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를 상호 이격시키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정수필터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상기 제1,2정수필터사이에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2정수필터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를 상호 이격시키는 링 또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복합소재가 동심원을 이루어 정수필터를 형성할 경우, 외측 정수필터를 통과한 원수가 내측 정수필터로 이동시 흐름 방향에 간섭을 받지않아(내측 정수필터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되지 않음) 내측 정수필터의 전체 단면을 활용하여 정수처리함에 따라 정수효율을 높이고, 정수필터의 사용수명 및 교체주기를 연장시킴에 따라 정수필터를 구입하는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성능, 사용수명 등이 다른 필터소재가 하나의 정수필터 내에 복합으로 수용될 경우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므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필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는,
유체(일 예로서, 수돗물 등의 원수를 말함)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 및 배출구(2)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3)(본체(3a)와, 본체(3a)에 융착고정되는 캡(3b)으로 이루어짐);
상기 필터하우징(3)에 수용되고, 상기 유입구(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원통형상의 제1정수필터(4)(일 예로서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해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 카본블록, 세라믹필터를 포함하고, 기공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처리용필터로 이루어짐);
상기 제1정수필터(4)와 동심원을 이루고 상기 제1정수필터(4)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체이동통로(6)를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3)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제2정수필터(5)(일 예로서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 카본블록, 세라믹필터를 포함하고,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후처리용필터로 이루어짐), 상기 제2정수필터(5)는 상기 제1정수필터(4)를 통과한 원수를 2차로 정수처리하여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기 배출구(2)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3)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4,5)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3) 내에 제1,2정수필터(4,5)를 유동되지않게 고정하는 상부 홀더(7) 및 하부 홀더(8),
상기 제1,2정수필터(4,5)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6)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홀더(7) 및 하부 홀더(8)의 내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상호 이격시키는 리브(9)(ri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3)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4,5)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하우징(3) 내에 제1,2정수필터(4,5)를 유동되지않게 고정하는 상부 홀더(7) 및 하부 홀더(8),
상기 제1,2정수필터(4,5)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6)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상호 이격시키는 링(11) 또는 돌출편(미도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2는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차례로 통과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정수수를 모으는 정수수 집수통로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유입구(1)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3) 내로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4)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원수 중에 포함되는 녹, 먼지 등의 부유물질, 염소 성분 및 휘발성 유기물질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1차로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1정수필터(4)를 통과하여 1차 여과된 원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5)를 이의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원수 중에 포함되는 미세입자, 염소 성분 및 휘발성 유기물질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상기 제2정수필터(5)를 통과하여 정수처리된 정수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5) 중앙의 정수수 집수통로(12)에 모아진다.
상기 정수수 집수통로(12)에 모아진 정수수는 상기 상부 홀더(7)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를 통해 필터하우징(3)에 유입되는 원수와 상기 상부 홀더(7)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2)로 이동되는 정수수는 상기 상부 홀더(7) 외측면에 장착된 오링(7a)에 의해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를 통해 상기 필터하우징(3)에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정수필터(4) 및 제2정수필터(5)를 차례로 통과함에 따라 정수처리된후 상기 정수수 집수통로(12)에 모아진다. 이때 상기 제1,2정수필터(4,5)사이에 형성된 유체이동통로(6)에 의해 상기 제2정수필터(5)에 유체 흐름을 간섭하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정수필터(4)에 의해 여과되는 이물질이 상기 제1정수필터(4) 일측에 고착될 경우에도(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정수필터(4) 일측에 고착되어 제1정수필터(4)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여 제2정수필터(5)로 이동되는 유체 흐름을 간섭하는 이물질(A)을 말함), 상기 제1정수필터(4)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한 원수는 상기 유체이동통로(6)에 이동된 후 상기 제2정수필터(5)를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체이동통로(6)에 이동된 원수는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전체 단면을 통과하여 상기 정수수 집수통로(12)에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전체 단면을 활용하여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게 되므로 상기 제2정수필터(5)를 이용하여 정수처리하는 정수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정수필터(4,5) 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6)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필터하우징(3) 내에서 유동되지않도록 고정시키는 상부 홀더(7) 및 하부홀더(8)의 내부에 동심원으로 형성된 리브(9)에 의해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이격시킬 수 있다(도 2에 도시됨).
또한 상기 제2정수필터(5)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링(11) 또는 돌출편(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제1,2정수필터(4,5)를 이격시켜 상기 유체이동통로(6)를 형성할 수 있다(도 3에 도시됨).
1; 유입구
2; 배출구
3; 필터하우징
4; 제1정수필터
5; 제2정수필터
6; 유체이동통로
7; 상부 홀더
8; 하부 홀더
9; 리브(rib)
11; 링
12; 정수수 집수통로

Claims (5)

  1.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1차로 정수처리하는 원통형상의 제1정수필터;
    상기 제1정수필터와 동심원을 이루고 상기 제1정수필터와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체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필터하우징에 수용되는 원통형상의 제2정수필터, 상기 제2정수필터는 상기 제1정수필터를 통과한 원수를 2차로 정수처리하여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수필터는 전처리용필터로서 기공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수필터는 후처리용필터로서 기공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정수필터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부유물을 여과하기 위한 발포형 또는 나권형의 세디먼트필터,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카본블록필터 및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라믹필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정수필터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상기 제1,2정수필터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의 내부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를 상호 이격시키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정수필터를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내설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되는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
    상기 제1,2정수필터사이에 상기 유체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2정수필터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2정수필터를 상호 이격시키는 링 또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KR1020140149044A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KR2016005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44A KR20160050578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44A KR20160050578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78A true KR20160050578A (ko) 2016-05-11

Family

ID=5602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44A KR20160050578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57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9Y1 (ko) * 2017-03-27 2017-11-20 신명철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20180131051A (ko) * 2017-05-31 2018-12-10 유비에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수도 직결형 정수기
CN109694109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CN109694145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KR102087898B1 (ko) * 2019-11-25 2020-03-11 (주)워피온 수전용 정수필터
KR20210077568A (ko) * 2020-03-09 2021-06-25 이송학 샤워 필터장치
KR102315167B1 (ko) * 2021-06-07 2021-10-19 정관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KR20210127105A (ko) * 2020-04-13 2021-10-21 폴 코포레이션 필터 장치용 어댑터 및 사용 방법
KR102482047B1 (ko) * 2022-06-13 2022-12-2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큰 현탁물질 흡착을 저감시키는 특화 여과필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9Y1 (ko) * 2017-03-27 2017-11-20 신명철 지하수 정수 필터 장치
KR20180131051A (ko) * 2017-05-31 2018-12-10 유비에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수도 직결형 정수기
CN109694109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CN109694145A (zh) * 2017-10-23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过滤器及冰箱
KR102087898B1 (ko) * 2019-11-25 2020-03-11 (주)워피온 수전용 정수필터
KR20210077568A (ko) * 2020-03-09 2021-06-25 이송학 샤워 필터장치
KR20210127105A (ko) * 2020-04-13 2021-10-21 폴 코포레이션 필터 장치용 어댑터 및 사용 방법
KR102315167B1 (ko) * 2021-06-07 2021-10-19 정관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WO2022260393A1 (ko) * 2021-06-07 2022-12-15 정관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KR102482047B1 (ko) * 2022-06-13 2022-12-28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큰 현탁물질 흡착을 저감시키는 특화 여과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0578A (ko)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CN201921616U (zh) 一种用于高温高浓度气体的旋风除尘装置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KR101649048B1 (ko) 카본 백필터
KR20170011642A (ko) 상업용 복합 정수필터
KR200462817Y1 (ko) 필터하우징의 호환성이 가능한 정수필터
KR101736833B1 (ko) 여과기
US10617977B2 (en)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KR10178033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20090009625A (ko) 마이크로 필터가 포함된 활성탄 블록
CN104492154B (zh) 具反冲洗功能的净水器
CN204352636U (zh) 具反冲洗功能的净水器
CN204111484U (zh) 一种一体化饮用水净化装置
KR20110079963A (ko) 필터 어셈블리
KR20120111316A (ko) 필터카트리지 및 그 필터교환방법
KR20110013985A (ko)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954761B1 (ko) 수질 여과용 전처리 필터 어셈블리
KR20100133121A (ko) 필터 어셈블리
KR200478985Y1 (ko) 정수기 필터
KR102115321B1 (ko) 정수기의 미분 방지 필터 모듈
EP3498677B1 (en) Outside-in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11570276U (zh) 一种更换便捷的净水机滤芯
KR101463737B1 (ko) 정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