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963A -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963A
KR20110079963A KR1020100000083A KR20100000083A KR20110079963A KR 20110079963 A KR20110079963 A KR 20110079963A KR 1020100000083 A KR1020100000083 A KR 1020100000083A KR 20100000083 A KR20100000083 A KR 20100000083A KR 20110079963 A KR20110079963 A KR 2011007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assembly
cutter
filter housing
cut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한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9963A/ko
Publication of KR2011007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6Resilient foam as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 형상의 필터 하우징(140),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여과 부재(142), 및 상기 필터 하우징(140)과 상기 여과 부재(142)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커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부재(200)의 내측에는 상기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터(22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압에 의해 커터 부재가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여과 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긁어내어 세척하므로, 사용자가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여과 부재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필터 어셈블리{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정수기에 사용되는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시키는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방법으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안전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기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필터 어셈블리에 유입된 물이 필터링되어 유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수수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필터 어셈블리는 원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하면 오염 물질이 축적되므로 필터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필터 어셈블리의 세척시 사용자가 직접 필터 캡을 열어 세척해야 하고 세척 주기도 짧아 자주 세척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필터 캡을 열어 여과 부재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여과 부재, 및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여과 부재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커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여과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터가 돌출 형성된 필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커터 부재의 상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가 배치되고, 상기 커터 부재의 하측에는 상기 커터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의 하부에는 오염 물질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필터 하부 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부 캡의 사이에는 메시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커터 부재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리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원수압에 의해 커터 부재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여과 부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긁어내어 세척하므로, 사용자가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여과 부재를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0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커터 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필터 어셈블리(1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필터 어셈블리(100)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00)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100)는 필터 상부 캡(120), 필터 하우징(140), 및 필터 하부 캡(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터 상부 캡(120)은 필터 하우징(140)의 상부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필터 상부 캡(120)에는 입수구(122)와 출수구(124)가 배치된다. 입수구(122)로는 원수가 유입되고 출수구(124)로는 여과 부재(142)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정수수가 유출된다.
필터 하우징(140)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여과 부재(142)가 배치된다. 여과 부재(142)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입수구(122)로 유입된 물이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물이 여과 부재(142)의 중공부에 모여서 출수구(124)로 배출된다. 따라서, 필터 상부 캡(120)의 입수구(122)는 여과 부재(142)의 외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출수구(124)는 여과 부재(142)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여과 부재(142)는 그 기능에 따라 침전 필터, 선카본 필터, UF 필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필터 하부 캡(160)은 필터 하우징(140)의 하부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필터 하부 캡(160)은 후술하는 커터 부재(200)에 의해 긁혀서 떨어진 오염 물질이 모아질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 필터 하우징(140)과 필터 하부 캡(160)의 사이에는 메시망(162)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 부재(200)에 의해 떨어진 오염 물질이 메시망(162)을 통과하여 필터 하부 캡(160)의 수용 공간에 축적될 수 있다. 한편, 필터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재(144)는 후술하는 스프링(2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시망(162)과 스프링 지지부재(14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40)과 여과 부재(142)의 사이에는 고리 형상의 커터 부재(2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커터 부재(200)의 외경은 필터 하우징(14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커터 부재(200)의 내경은 여과 부재(14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3은 커터 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부재(200)의 내측에는 복수의 커터(220)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커터(220)는 커터 부재(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리브(2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커터(220)가 형성하는 원의 둘레는 여과 부재(14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 부재(200)를 여과 부재(142)의 둘레에 장착하면, 복수의 커터(220)가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고, 복수의 커터(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터 부재(200)의 하측에는 스프링(260)이 배치된다. 스프링(260)은 필터 하우징(140)의 하부의 스프링 지지부재(144)에 의해 지지되며, 커터 부재(20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터 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a는 필터 어셈블리(1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필터 어셈블리(100)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상부 캡(120)의 입수구(122)로 원수가 유입되지 않는 때에는, 커터 부재(200)가 스프링(260)의 지지력에 의해 필터 하우징(140)의 상측에 위치한다.
입수구(122)로 원수가 유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압에 의해 커터 부재(200)가 하방으로 밀려나면서 원수가 유입된다. 커터 부재(200)가 하방으로 내려가면 커터 부재(2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의 커터(220)가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에 부착된 오염 물질 등이 떨어져 내려간다. 여과 부재(142)로부터 이탈된 오염 물질은 하방으로 이동하는 커터(220)를 따라 내려가 필터 하부 캡(16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한편, 원수는 필터 하우징(140)의 내주면과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 사이로 유입되고,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물은 여과 부재(142)의 중공부에 모이고, 상측의 필터 상부 캡(120)에 형성된 출수구(1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입수구(122)로의 원수 유입이 중단되면, 하방으로 이동한 커터 부재(200)는 스프링(26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필터 어셈블리(100)를 사용한 후에는 필터 하부 캡(160)을 필터 하우징(140)으로부터 분리하여 필터 하부 캡(16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재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터 어셈블리(100)에 따르면, 원수압에 의해 커터 부재(200)가 이동하면서 여과 부재(142)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긁어내어 세척하므로, 사용자가 필터 하우징(140)으로부터 여과 부재(142)를 분리하여 세척할 필요가 없고, 단지 필터 하부 캡(160)에 모아진 오염 물질만 주기적으로 제거해주면 된다.
즉,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가 필터링되는 동시에 여과 부재(142)에 대한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빈번하게 여과 부재(142)를 분리하여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120 필터 상부 캡 122 입수구
124 출수구 140 필터 하우징
142 여과 부재 144 스프링 지지부재
160 필터 하부 캡 162 메시망
200 커터 부재 220 커터
240 리브 260 스프링

Claims (6)

  1. 중공 형상의 필터 하우징(140),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여과 부재(142), 및
    상기 필터 하우징(140)과 상기 여과 부재(142)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커터 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 부재(200)의 내측에는 상기 여과 부재(142)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터(22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 부재(200)의 상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22)가 배치되고, 상기 커터 부재(200)의 하측에는 상기 커터 부재(20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6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60)은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재(14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오염 물질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필터 하부 캡(16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140)과 상기 필터 하부 캡(160)의 사이에는 메시망(16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220)는 상기 커터 부재(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리브(2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KR1020100000083A 2010-01-04 2010-01-04 필터 어셈블리 KR2011007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83A KR20110079963A (ko) 2010-01-04 2010-01-04 필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083A KR20110079963A (ko) 2010-01-04 2010-01-04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963A true KR20110079963A (ko) 2011-07-12

Family

ID=4491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083A KR20110079963A (ko) 2010-01-04 2010-01-04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0057A1 (de) 2011-08-11 2013-02-14 Mando Corporation Kolbenanordnung eines Schwingungsdämpfers
CN110841364A (zh) * 2019-12-02 2020-02-28 广东韦博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器用滤芯锁止结构及应用其的滤芯装配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0057A1 (de) 2011-08-11 2013-02-14 Mando Corporation Kolbenanordnung eines Schwingungsdämpfers
CN110841364A (zh) * 2019-12-02 2020-02-28 广东韦博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器用滤芯锁止结构及应用其的滤芯装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21109A (ja) フィルタ及びそのために提供されるフィルタエレメント
JP3123449U (ja) 螺旋流入式ストレーナ
KR20160050578A (ko)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CN105579145A (zh) 磁性过滤设备
JP3148922U (ja) 雨水濾過器
US20030205518A1 (en) Water filter assembly
KR20110079963A (ko) 필터 어셈블리
US10252197B2 (en) Filter assembly
CN214327154U (zh) 一种滤芯易清洗的净水器
KR101770652B1 (ko) 물 여과장치
KR200461433Y1 (ko)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필터 교환용 카트리지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JP5832100B2 (ja) 阻集器
CN201848132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反洗式滤芯
KR200461432Y1 (ko)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필터 교환용 카트리지
RU113678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CN211198692U (zh) 一种滤膜组件
KR101083691B1 (ko) 필터가 내장된 하우징과 커넥터의 착탈장치
CN217829186U (zh) 净水机构及热水器
KR101339660B1 (ko) 정수기용 필터
CN218306451U (zh) 一种香皂生产用原料过滤装置
JP2013500156A (ja) 灌漑システムの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
CN211290220U (zh) 油烟分离器
TWI361098B (en) Improved filter element
RU10706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