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985A -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985A
KR20110013985A KR1020090071708A KR20090071708A KR20110013985A KR 20110013985 A KR20110013985 A KR 20110013985A KR 1020090071708 A KR1020090071708 A KR 1020090071708A KR 20090071708 A KR20090071708 A KR 20090071708A KR 20110013985 A KR20110013985 A KR 20110013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ne dust
tank
main body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3985A/ko
Publication of KR20110013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는 물이 유입되는 주유입구(210)와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유출되는 주유출구(220)가 형성된 탱크본체(200); 및 상기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유입구(210)에 연결되어 상기 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을 침전시켜서 걸러낸 후 상기 탱크본체(200)로 보내는 미분진 여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탄소알갱이 등과 같은 미분진을 침전 또는 부유시켜서 걸러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탱크에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정수탱크, 미분진, 정수기

Description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TANK OF CLEAN WATER BEING ABLE TO REMOVE MICRO PARTIC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정수기에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에 의해서 여과된 물을 저장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정수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에 유입된 물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될 때, 여과되는 물 내에 미분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정수필터 중 카본필터를 거치면서 카본필터에 있는 카본알갱이 등이 여과되는 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카본알갱이 등과 같은 미분진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과 함께 정수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수탱크에 여과된 물과 함께 저장된 미분진은 여과된 물과 함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탄소알갱이 등과 같은 미분진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정수탱크에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미분진을 침전 또는 부유시켜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미분진 여과부를 정수탱크에 구비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는 물이 유입되는 주유입구와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유출되는 주유출구가 형성된 탱크본체; 및 탱크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주유입구에 연결되어 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을 침전시켜서 걸러낸 후 탱크본체로 보내는 미분진 여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분진 여과부는 주유입구에 연결되며 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미분진이 걸러진 물을 탱크본체로 보내는 유출구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에 침전된 미분진이 유출구로 이동되지 않도록 본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턱;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분진 여과부에 포함되는 본체에는 미분진을 침전시켜 거르는 침전부와, 침전부에 부유된 미분진이 유출구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침전부에 부유된 미분진을 거르는 유출부로 본체를 나누는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에는 침전부에 부유된 미분진이 유출구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부유물 유출방지턱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를 구비한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를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 여과부에 주유입구가 연결되는 전술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의 주유출구에 연결되어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에 저장된 미분진이 걸러진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콕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탄소알갱이 등과 같은 미분진을 침전 또는 부유시켜서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탱크에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미분진을 침전 또는 부유시켜서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미분진 여과부를 정수탱크에 구비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 수탱크(100)는 탱크본체(200)와 미분진 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유입구(210)와 주유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주유입구(210)를 통해 탱크본체(20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주유출구(220)를 통해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탱크본체(2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미분진 여과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미분진 여과부(300)는 주유입구(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미분진 여과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미분진 여과부(300)에서는 이에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을 침전시켜서 걸러낸 후 탱크본체(200)로 보낼 수 있다.
미분진 여과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10)와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턱(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311)와 유출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유입구(3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주유입구(2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10)의 유입구(311)는 탱크본체(200)의 주유입구(210)에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본체(310)의 유입구(311)가 탱크본체(200)의 주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은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등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출구(312)는 유입구(311)에 의해서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이 걸러진 물을 탱크본체(200)로 보낼 수 있다.
이동방지턱(32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방지턱(320)에 의해서 본체(310)에 침전된 미분진(M)이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310)에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이 걸러질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10)에는 격벽(3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격벽(330)에 의해서 미분진 여과부(300)의 본체(310)가 침전부(310a)와 유출부(310b)로 나누어질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10)에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M') 중 무거운 미분진(M)은 침전부(310a)에서 침전되고 가벼운 미분진(M')은 부유된다. 이에 따라 본체(310)의 침전부(310a)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미분진(M)을 침전시켜 거를 수 있다. 그리고, 유출부(310b)에서는 침전부(310a)에서 부유된 미분진(M')이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침천부(310a)에 부유된 미분진(M')을 거를 수 있다.
유출부(310b)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유물 유출방지턱(340)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물 유출방지턱(340)에 의해서, 침전부(310a)에 부유된 가벼운 미분진(M')이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부(310a)에 부유된 가벼운 미분진(M')을 거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가 구비된 정수기(P)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여과부(F)와, 전술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 및, 콕크(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과부(F)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f)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부(F)에 유입된 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여과부(F)에 전술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의 주유입구(2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와 미분진 여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분진 여과부(300)는 본체(310)와 이동방지턱(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격벽(330)에 의해서 본체(310)가 침전부(310a)와 유출부(310b)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유출부(310b)에는 하나 이상의 부유물 유출방지턱(340)이 형성될 수 있다.
콕크(C)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의 주유출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에 저장된 미분진이 걸러진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3과 도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와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P)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P)에 유입된 물은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f)를 거치면서 여과된다. 여과된 물은 탱크본체(200)의 주유입구(210)와 미분진 여과부(300)의 유입구(311)를 통해 미분진 여과부(300)의 본체(310)에 유입된다. 본체(310)에 유입된 여과된 물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체(310)의 침전부(310a)에 유입된다. 침전부(310a)에 유입된 여과된 물에 포함된 미분 진(M,M') 중 무거운 미분진(M)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부(310a)에서 침전되고 가벼운 미분진(M')은 침전부(310a)에서 부유된다. 한편, 침전부(310a)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방지턱(32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침전된 무거운 미분진(M)이 본체(310)의 유출부(310b)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무거운 미분진(M)을 걸러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전부(310a)에서 미분진(M)이 걸러진 여과된 물은 도3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유출부(310b)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유출부(310b)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 유출방지턱(34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침전부(310a)에서 부유된 가벼운 미분진(M')이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전부(310a)에서 부유된 가벼운 미분진(M')을 걸러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분진(M,M')이 걸러진 여과된 물은 본체(310)의 유출구(312)를 통해 탱크본체(200)로 유출된다.
그리고, 미분진 여과부(300)에서 미분진(M,M')이 걸러져서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여과된 물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주유출구(220)와 콕크(C)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사용하면, 정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탄소알갱이 등과 같은 미분진을 침전 또는 부유시켜서 걸러낼 수 있다. 따라서, 정수탱크에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물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미분진이 포함되지 않은 깨 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의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가 구비된 정수기의 일실시예와 이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수탱크 200 : 탱크본체
210 : 주유입구 220 : 주유출구
300 : 미분진 여과부 310 : 본체
310a : 침전부 310b : 유출부
311 : 유입구 312 : 유출구
320 : 이동방지턱 330 : 격벽
340 : 부유물 유출방지턱 P : 정수기
F : 여과부 f : 정수필터
C : 콕크 M, M' : 미분진

Claims (5)

  1. 물이 유입되는 주유입구(210)와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유출되는 주유출구(220)가 형성된 탱크본체(200); 및
    상기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유입구(210)에 연결되어 상기 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에 포함된 미분진(M)을 침전시켜서 걸러낸 후 상기 탱크본체(200)로 보내는 미분진 여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진 여과부(300)는
    상기 주유입구(210)에 연결되며 상기 주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11)와 미분진(M)이 걸러진 물을 상기 탱크본체(200)로 보내는 유출구(312)가 형성된 본체(310); 및
    상기 본체(310)에 침전된 미분진(M)이 상기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3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방지턱(3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진 여과부(300)에 포함되는 본체(310)에는, 미분진(M)을 침전시켜 거르는 침전부(310a)와, 상기 침전부(310a)에 부유된 미분진(M')이 상기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침전부(310a)에 부유된 미분 진(M')을 거르는 유출부(310b)로 상기 본체(310)를 나누는 격벽(3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310b)에는 상기 침전부(310a)에 부유된 미분진(M')이 상기 유출구(312)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부유물 유출방지턱(340)이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5.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f)를 구비하여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F);
    상기 여과부(F)에 주유입구(210)가 연결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 및
    상기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의 주유출구(220)에 연결되어 상기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100)에 저장된 미분진이 걸러진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콕크(C);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
KR1020090071708A 2009-08-04 2009-08-04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10013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08A KR20110013985A (ko) 2009-08-04 2009-08-04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08A KR20110013985A (ko) 2009-08-04 2009-08-04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985A true KR20110013985A (ko) 2011-02-10

Family

ID=4377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708A KR20110013985A (ko) 2009-08-04 2009-08-04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39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9755A1 (en) * 2014-04-15 2017-02-02 Wayne Mostert Winemaking tank made of a magmatic material
EP4001520A1 (de) * 2020-11-20 2022-05-25 Michael Schambach Löschwasser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9755A1 (en) * 2014-04-15 2017-02-02 Wayne Mostert Winemaking tank made of a magmatic material
EP4001520A1 (de) * 2020-11-20 2022-05-25 Michael Schambach Löschwasser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090B2 (ja) 加圧浮上装置
KR20160050578A (ko)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정수필터
MX2013010915A (es) Aparato de filtración.
KR20110013985A (ko) 미분진제거가 가능한 정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N105036381A (zh) 一种供水管道过滤装置
CN208517093U (zh) 一种高效污水处理装置
JP3178632U (ja) 高速沈殿濾過装置
TW201043578A (en) Filtration membrane,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CN2853602Y (zh) 船用涡流海水淡化系统
KR101075955B1 (ko) 흡착분리를 이용하여 방류수 중의 총인을 제거하는 장치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CN205412420U (zh) 一种全自动双向流细格栅
US20130277296A1 (en) Pre-Filter Water Cleaner
KR100606602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역세척 방법
KR200355755Y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US20070210017A1 (en)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ilter system
CN102886173A (zh) 一种高效的水沉淀过滤装置和沉淀过滤方法
KR20130114520A (ko) 다공성 경질 세라믹 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
TWM508359U (zh) 過濾淨水裝置
KR101117264B1 (ko) 연속재생 메디아 필터장치를 이용한 여과공정
KR20120111316A (ko) 필터카트리지 및 그 필터교환방법
JPH08294602A (ja) 油水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浄油機
EP3498676B1 (en) Inside-out water purification system
CN205007649U (zh) 一种斜板净化装置
JPH077713U (ja) 研削液等の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