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515B1 -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515B1
KR102481515B1 KR1020200090613A KR20200090613A KR102481515B1 KR 102481515 B1 KR102481515 B1 KR 102481515B1 KR 1020200090613 A KR1020200090613 A KR 1020200090613A KR 20200090613 A KR20200090613 A KR 20200090613A KR 102481515 B1 KR102481515 B1 KR 10248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ewage
water
flow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545A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함
Priority to KR102020009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를 제어하는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시설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에 구비되어 상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상수도 감지 센서; 시설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이송하는 하수도에 구비되어 하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하수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상하수도 감지 센서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며,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Water and sewag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과, 상하수도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상하수도를 제어할 수 있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를 흐르는 상수는 수원지에서 물을 취수하여 정수장에서 사람이 먹을 수 있게 정수된 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 정수는 배수지에서 보관되어있다가, 수도관을 통하여 각 시설물에 상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었다.
또한, 하수도를 흐르는 오수는, 각 가정 또는 공장 부지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말하는 것으로, 하수도 처리 시설로 이송되어 정화 및 폐기 처분되었다.
또한, 시 또는 광역 단위 등으로 설치된 상하수도의 관로 상에는 복수의 유량 분기점이 존재하며, 이러한 관로 상의 유량 분기점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9000717호 "상수도 관로용 밸브의 원격제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과, 한국등록특허 제10-2104210호 "상수도관의 운영관리 및 제어 시스템"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 장치는,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를 제어할 수 없으며, 각각의 시설물에 투입되는 상수의 양과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각 시설물마다 소모 및 배출 유량의 양이 시시각각 다름으로 인해,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하수도 관을 통하는 상수 및 오수의 압력, 유속, 유입량 등의 정보를 알 수 없어, 신속하고 정확한 유량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상하수도 관로 내부를 흐르는 상수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제어 장치가 없어서, 깨끗한 수돗물 공급에 대한 신뢰도의 저하, 일반 가정 등지에서 수돗물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 등을 증폭시키는 한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시설물에 투입되는 수도의 질과 양을 감시함과 동시에 하수도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감시하여, 이를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가 시설물에 구비되는 상하수도에 흐르는 상수의 질과 양, 오수의 양을 용이하게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시설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에 구비되어 상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상수도 감지 센서; 시설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이송하는 하수도에 구비되어 하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하수도 감지 센서; 상기 상하수도 감지 센서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며,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수도 감지 센서는, 상수도 내의 상수의 유량을 감시하는 상수도 유량 감지 센서; 상수도 내의 유속을 감지하는 상수도 유속 감지 센서; 상수도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상수도 수압 측정 센서 및 상수도 내의 수질을 측정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도 감지 센서는, 하수도 내부에서 흐르는 오수의 유량을 감시하는 하수도 유량 감지 센서; 하수도 내의 유속을 감지하는 하수도 유속 감지 센서 및 상수도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하수도 수압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하수도 관리 서버에 저장된 스케쥴 설정 정보에 따라 상수도를 허용, 차단 시키는 스케쥴 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설정 정보는, 상수도를 제어함에 있어 월, 일자, 시간에 따른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통해 전달받은 상하수도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상하수도 이상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감지 모듈은,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도출되는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있던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정보가 도출될 시, 상기 이상 정보의 내역을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수질 감시 모듈 및 오수 차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질 감시 모듈은, 상기 수질 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상수도의 수질 오염도가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내역을 오수 차단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오수 차단 모듈은, 상기 오수 내역이 검출된 상수도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누수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모듈은, 상하수도에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유입구 내벽에 구비되어, 상하수도의 유입량을 감시하는 제 1 측정 센서 및 상하수도에 물이 토출되는 방향의 토출구 내벽에 구비되어, 상하수도의 토출량을 감시하는 제 2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정 센서와 제 2 측정 센서에서 도출되는 정보에 이상 내역이 발생될 경우, 상기 내역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는,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수 및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격판; 상하수도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하수도의 일측을 개폐시켜 상하수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 수단 및 상기 압력 제어 수단에 의해 상하수도의 일측이 개방될 경우 상하수도에서 토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상하수도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어, 관리자가 직접 현장에 가지 않아도 용이하게 상하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하수도에 구비되는 감시 센서를 통해, 상하수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관리자 단말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상기 이상 내역을 곧바로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월, 일, 시간에 따라 상하수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케쥴 설정 모듈을 포함하여, 보다 능동적인 상하수도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누수 감지 모듈을 포함하여, 상하수도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리 시스템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차단 모듈이 구비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수 감지 모듈이 구비된 상하수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 격판, 압력 제어 수단 및 유도관이 구비된 상하수도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 격판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0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리 시스템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은, 관리자 단말(100), 감지 센서(200),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100)은, 상기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10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전자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예일 뿐,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을 관리하기 위한 PC 혹은 PDA 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200P)는, 시설물(M)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P)의 배관 내에 구비되어, 상수도(P)를 통과하는 상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센서(200P)는, 유량 감지 센서(210P), 유속 감지 센서(220P), 수압 측정 센서(230P) 및 수질 측정 센서(240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센서(200P)는, 시설물(M)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수도관(P)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상수를 필요로 하는 시설물(M)(스팀 보일러 또는 냉방기 등과 같은 상수가 이용되는 장치 혹은 시설"이하, 시설물 이라 함.")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량 감지 센서(210P)는, 상수도(P)에서 투입 및 토출되는 상수의 유량을 감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 감지 센서(210P)는, 전자식의 유량 센서 또는 초음파 방식을 이용한 유량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전자식의 유량 센서는 유량을 계측하기 위해 여자코일에 적정한 전압을 인가하고 유체의 흐름에 비례한 유도신호를 추출하여 유량을 계측하는 장치이고, 초음파식의 유량 센서는 펄스파형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유체의 흐름에 비례한 수신 시간에 따른 지연시간을 검출하여 유체의 흐름을 계측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시설물(M)에 투입되는 상수량이 지나치게 과다 또는 낮을 경우, 상기 정보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상수도(P)를 통과하는 상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속 감지 센서(220P)는, 상수도(P)에서 투입 및 토출되는 상수의 유속을 감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속 감지 센서(220P)는 상수도(P)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속 감지 센서(220P)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유량 감지 센서(210P)를 통해 도출되는 유량과, 수도관(P)의 관로의 단면적을 토대로 수도관내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압 측정 센서(230P)는, 상수도(P)에서 투입 및 토출되는 상수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도관(P)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수도관(P) 내의 상수의 높이에 따라, 수압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수압 측정 센서(230P)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질 측정 센서(240P)는, 상수도(P)에서 투입 및 토출되는 상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질 측정 센서(240P)는, 수도관(P)을 흐르는 상수의 pH 농도를 검출하는 pH 검출 센서 또는 상수 내의 용존산소량을 검출하는 DO(Dissolved Oxygen)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질 측정 센서(240P)로 도출되는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는, 시설물(M)에 투입되는 상수의 질을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상수도(P)를 통한 상수의 유입을 제어 밸브(V)로 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수의 pH 와 수질의 이상에 따른 시설물(M)의 부식에 따른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수질 측정 센서(240P)는, 부유물질과 탁도를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초음파 센서가 아닌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수도의 정보를 도출하는 감지 센서(200S)는, 시설물(M)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이송하는 하수도(S)의 배관 내에 구비되어, 하수도(S)를 통과하는 오수에 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수도(S)에 구비되는 감지 센서(200S)는, 유량 감지 센서(210S), 유속 감지 센서(220S) 및 수압 측정 센서(230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수도(S)에 구비되는 유량 감지 센서(210S)는 시설물(M)에서 토출되는 오수의 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유속 감지 센서(220S) 및 수압 측정 센서(230S)는 하수도(S) 관 내에 가해지는 부담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 감지 센서(210S), 유속 감지 센서(220S) 및 수압 측정 센서(230S)에서 도출되는 정보들은, 이후 서술될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상하수도(P, S)를 흐르는 상수의 흐름을 조절하고,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 상수도(P)에 구비되는 제어 벨브(V)와 연동되어 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하수도(S)에 구비되는 제어 벨브(V)로 하여, 오수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앞서 서술된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측정 센서(210P, S 내지 230P, S 및 240P)를 통해 도출되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310)에 상기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내역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100)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 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상기 관리자 단말(100)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는 유선으로도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100) 역시, 상기 상수도(P)와 하수도(S)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자 단말(100)에 구비되는 저장 모듈(110)에 감지센서(200P, S)에서 센싱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100)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저장 모듈(11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시킬 수 있다.
이는, 야간 또는 공휴일과 같은 상수의 이용량이 많지 않고, 오수의 배출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에 관한 정보가 저장됨으로 인해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10)와 관리자 단말(100)의 저장 모듈(110)에 저장 공간에 불필요한 정보가 누적되어, 저장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를 관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관리자 단말(100)은,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를 통해 전달받은 상수도의 유량, 유속, 수압, 수질에 관한 정보를 그래프(G) 또는 문자, 숫자, 표로 도시할 수 있다.
도 3 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그래프(G)는, 상수도(P)를 통과하는 상수에 관한 정보를 숫자, 막대형, 꺾은선 그래프로 도시하는 방식으로 관리자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하수도(S)를 통과하게 되는 오수에 관한 역시, 상수도(P)의 그래프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자 단말(1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 역시, 관리자 단말(100)에 표시된 그래프(G)에 관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100)이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를 통해, 저장되어 있던 상수도(P) 및 하수도(S) 정보에 관련된 그래프(G)를 요청할 경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요청된 상수도, 하수도 정보에 관한 그래프(G)를 관리자 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자 단말(100)을 소지한 관리자는, 상수도(P) 및 하수도(S)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쉽게 전달받아 이를 확인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310)는, 수도를 필요로 하는 시설물(M)에 따른 수도관(P)에 관한 감지센서의 센싱정보 즉, 유량, 유속, 수압, 수질 감지센서(210P 내지 240P)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유량, 유속, 수압, 수질에 관한 허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하수도(S)에 관한 감지센서의 센싱정보 즉, 유량, 유속, 수압센서(210S 내지 230P)로부터 각각 전달되는 유량, 유속, 수압에 관한 허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가 정보는, 관리자 단말(100) 또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시설물(M)에 투입되는 상수에 유량, 유속, 수압, 수질에 관한 허용값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100) 또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허용값을 유지하도록 상수도(P) 관내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를 제어하여 수도의 유량, 유속, 수압, 수질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수도(P)를 통과하는 상수가 유량, 유속, 수압, 수질에 관한 허용값을 초과하거나, 미달될 경우,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상기 내역을 관리자 단말(100)에 전송하고, 상수도(P)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를 조절함으로서, 상수의 유량, 유속, 수압, 수질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 밸브(V)를 조절함으로 인해, 상수도(P) 관내의 유량, 유속, 수압, 수질이 허용값의 범위 내로 복귀되었을 시,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수도의 상태가 정상으로 복귀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관리자 단말(100)에 전송하고, 다시 제어 밸브(V)를 조절함으로서, 상수도(P) 관내의 상수를 일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하수도(S)에도 앞서 상술된 상수도(P)를 제어하는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시설물(M)과 연결되며 시설물(M)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P)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능동적으로 상하수도(P, S)의 상태를 조절하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를 통해, 관리에 관한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함으로 인해, 수도관(P)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의한 시설물(M)의 단수를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수도(S)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는, 스케쥴 설정 모듈(320), 상하수도 이상 감지 모듈(330), 수질 감시 모듈(340) 및 오수 차단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케쥴 설정 모듈(320)은 월, 일자, 시간에 따라 상수도(P)를 흐르는 상수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쥴 설정 모듈(320)은,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에 저장된 월, 일자, 시간에 따른 상수 이용량에 대한 기저장 정보를 바탕으로, 상수도(P) 관내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기저장 정보는, 관리자 단말(100)로 하여 관리자가 월, 일자, 시간에 따른 정보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데이터를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가 전달받아,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수도(P)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를 조절하여 상수도(P)를 허용 또는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케쥴 설정 모듈(320)은, 상수도(P)가 이용되는 각각 시설물(M)과 연동되어, 각각의 시설물(M)마다 상수 이용량을 시간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수도(P)를 통한 수도의 공급을 각각의 시설물(M)에 알맞은 시간대로 설정함으로서, 상수도(P)를 이용하는 시설물(M)에 따른 용도 등에 맞춰 상수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날씨가 더운 여름철이라면 에어컨을 가동하기 위한 냉각수의 목적으로 상수가 이용될 경우 스케쥴 설정 모듈(320)은, 에어컨에 투입되는 수도의 량을 조절함에 있어, 허용 상태로 유지하되, 가장 더운 오후 1 시와 오후 3 시 사이의 상수의 허용값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날씨가 더움으로 인해 스팀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는 여름철임에 따라, 보일러에 투입되는 상수는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날씨가 추운 겨울철, 스팀 보일러를 가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수가 이용될 경우 스케쥴 설정 모듈(320)은, 보일러에 투입되는 수도의 량을 조정함에 있어, 허용 상태로 유지하되, 날씨가 추운 저녁 6 시부터, 그 다음날인 새벽 6 시까지 상수의 허용값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날씨가 추움으로 인해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기에, 에어컨에 투입되는 냉각수 목적의 상수는 차단하도록 한다.
이로써, 이용되지 않는 시설물(M)에 투입되는 수도를 차단함으로서, 시간별, 월별, 일자별로 주로 이용되는 시설물(M)에 투입되는 수도를 끊임 없이 공급시켜 줄 수 있어, 용이한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수도 이상 감지 모듈(330)은, 상술된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센서(240)를 통해 도출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수도(P)를 흐르는 상수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고, 하수도(S)를 흐르는 오수에 따른 하수도(S)의 부하 및 오수량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 센서(200)를 통해 도출되는 정보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상수 및 오수의 표준 데이터와 비교되어, 데이터 대비 차이값이 발생될 경우, 이를 관리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표준 데이터란, 시설물(M)에 구비되는 상수도(P)를 흐르는 상수의 평균값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평균값은,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상수에 관한 유량, 유속, 수압, 수질의 각각의 평균량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표준 데이터란, 시설물(M)에서 평균적으로 토출되는 오수의 평균값, 즉, 하수도(S)를 통해 흐르는 오수의 평균값을 말하는 것으로, 이 역시 상술된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오수에 관한 유량, 유속, 수압의 각각의 평균량을 말하는 것이다.
이로써, 관리자 단말(100)을 소지한 관리자는, 상기 이상 내역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수도(P) 및 하수도(S)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신속한 후속 조치로하여 상수 또는 오수로 인해 시설물(M)에 발생될 수 있는 상수의 단수, 오수의 역류 등과 같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질 감시 모듈(340) 및 오수 차단 모듈(350)은 도 4 를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 차단 모듈이 구비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이다.
먼저, 상기 수질 감시 모듈(340)은 수질 측정 센서(240)와 연동되어 상수도(P)의 수질 오염도가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상기 내역을 오수 차단 모듈(3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내역을 전달받은 오수 차단 모듈(350)은, 상기 오수 내역이 검출된 상수가 흐르는 상수도(P)에 구비되는 제어 밸브(V)를 제어 및 차단함으로서, 오수가 시설물(M)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수 차단 모듈(3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밸브(V)를 제어함으로서, 오수가 시설물(M)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오수가 투입되고있는 상수도(P)를 차단하는 것이 아닌, 시설물(M)에 투입되기 이전, 오수 처리를 위한 하수도 배관(355)으로 오수를 오수 저장을 위한 오수 저장탱크(351)와 연결되는 유입관(353)이 구비되어,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 저장 탱크(351)에 오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수 저장 탱크(351)는, 정화 모듈(3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오염도에 따라 오수를 하수도(S)로 흘려보내 처분하거나, 오수의 소독을 위해 구비되는 염소 투입 장치를 이용하여 오수를 정화한 후, 정화된 오수를 다시 시설물(M)에 투입시킬 수 있는 유입관(35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수질 감시 모듈(340) 및 오수 차단 모듈(350)이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오수가 시설물(M)에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정화하여 이용될 수 있는 수질의 오수는 정화하여 다시 시설물(M)에 이용될 수 있어, 물의 낭비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수 감지 모듈이 구비된 상수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 관내의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 감지 모듈(400)은, 제 1 측정 센서(410) 및 제 2 측정 센서(420) 및 GPS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수 감지 모듈(400)은 상수도(P)와 하수도(S)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상수도(P)에 관한 실시 예를 적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측정 센서(410)는, 상수도(P)의 관내로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유입구 내벽 혹은 외벽에 구비되어, 상수도(P)에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누수 감지 모듈(400)로 유입 유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측정 센서(420)는, 상수도(P)에 물이 토출되는 방향의 토출구 내벽에 구비되어, 상수도(P)에서 토출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누수 감지 모듈(400)로 토출 유량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누수 감지 모듈(400)이 상기 제 1 측정 센서(410)와 제 2 측정 센서(420)에서 도출되는 수도량의 정보에 이상 내역이 발생될 경우, 상기 내역을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정 센서(410)와 제 2 측정 센서(420)가 구비되는 상수도 관(P)에는, GPS 모듈(430)이 구비되어, 상수도(P)에 관한 위치 정보를 관리자 단말(100) 또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누수가 발생된 상수도(P)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GPS 모듈(430)을 통해 관리자 단말(100)에 전송되는 상수도(P)의 위치는, 관리자 단말(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GPS(120)와 연동되어, 관리자 단말(100)과 상수도(P)가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 찾아가는 길, 이동시 소요 시간등과 같이 위치로 도출될 수 있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100)에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 격판, 압력 제어 수단 및 유도관이 구비된 상수도의 외관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하수도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 제어 격판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고, 도 10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모니터링 시스템(1)에 구비되는 상수도(P) 또는 하수도(S)는, 유량 제어 격판(500), 압력 제어 수단(600) 및 유도관(7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내부에 구비되되, 바람직하게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 도의 각도를 이루며 3 개의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가지는 유량 제어 격판으로 변형되어 1 내지 2 개 혹은 4 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이 상수도(P)에 구비될 경우, 상수도(P) 내부를 유동하는 상수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녹이 슬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를 흐르는 상수 및 오수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내부 호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유량 제어 격판(500)이 상수도(P)를 완전히 개방시켰을시, 상수도(P)의 내부를 흐르는 상수가 유량 제어 격판(500)으로 인해 상수가 간섭되어 불균일하게 시설물(M)로 공급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모터(510)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유량 제어 격판(500)을 상수도(P) 및 하수도(S)의 내부에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는 기계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격판(500)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에서 도출되는 정보 중, 유량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동작될 수 있다.
작동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감지 센서(200)를 통해 도출되는 상수도(P), 하수도(S)의 유량 정보에 이상이 없을 경우, 유량 제어 격판(500)을 도 9 의 (b) 와 같이 유지시키다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를 통과하는 상수 및 오수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유량 제어 격판(500)을 도 9 의 (a) 와 같이 조절하여, 상수가 상수도(P), 하수도(S)를 통과하는 유량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 제어 수단(600)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측면을 일부 개방시킴으로서 상수도(P)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제어 수단(600)은,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물이 토출되는 유출공(620)이 형성된 커버(610), 상기 커버(610)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610)는, 상기 회전 모터(630)의 종단에서 연장되는 기어치(631)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치(611)가 표면에 형성되어, 회전 모터(630)에 의해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에도 상기 유출공(620)과 상응하는 간격과 개수의 유출공(6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제어 수단(600)은, 상수도(P) 및 하수도(S)의 정보를 도출하는 감지 센서(200)와 연동되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작동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감지 센서(200)를 통해 도출되는 상수도(P) 및 하수도(S)의 압력 정보에 이상이 없을 경우, 압력 제어 수단(600)을 도 10 의 (a) 와 같이 밀폐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다가, 감지 센서(200)를 통해 도출되는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압력 제어 수단(600)을 도 10 의 (b)와 같이 조절하여, 즉, 커버(610)에 형성된 유출공(620)과,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에 형성된 유출공(621)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서, 상수도(P) 또는 하수도(S)의 내부를 흐르는 상수 또는 오수를 외부로 유출시켜, 상수도(P)와 하수도(S)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수도(P)의 외부로 유출된 상수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유도관(7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지하에 파묻혀있던 상수도(P)의 외부로 상수가 토출될 경우, 상수도(P)를 덮고있던 지반이 물을 머금게되어 상수도(P)의 고정력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도관(70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역시, 과도한 압력이 발생된 하수관(S)이 아닌 정상 압력의 하수관(S)과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제어 수단(600)의 외부에는, 물의 유출을 유도하기 위해 유도관(700)이 구비되되, 상술된 압력 제어 수단(600) 및 상하수도(P, S)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회전 모터(510, 630)를 감싸는 하우징(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H)은, 회전 모터가 구비되는 공간(H-1)과, 상술된 유출공(620, 621)에서 유출되는 상수가 임시 저장되는 공간(H-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H)이 하나의 공간만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었던 회전 모터(510, 630)에 물이 침습하여,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로 손상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유도관(700)으로 유입되는 상수는, 앞서 상술된 하수도 배관(S)으로 배출되거나 상수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 탱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100 : 관리자 단말
110 : 저장 모듈
120 : 관리자 단말에 구비되는 GPS 모듈
200 : 감지 센서
210 : 유량 감지 센서
220 : 유속 감지 센서
230 : 수압 측정 센서
240 : 수질 측정 센서
300 : 상하수도 관리 서버
310 : 데이터베이스
320 : 스케쥴 설정 모듈
330 : 상하수도 이상 감지 모듈
340 : 수질 감시 모듈
350 : 오수 차단 모듈
351 : 오수 저장 탱크
352 : 정화 모듈
353 : 오수가 들어오는 유입관
354 : 정화된 물이 시설물로 들어가는 배출관
355 : 하수도 배관으로 오수를 토출하는 배출관
400 : 누수 감지 모듈
410 : 제 1 측정 센서
420 : 제 2 측정 센서
430 : 누수 감지 모듈에 구비되는 GPS 모듈
500 : 유량 제어 격판
510 : 유량 제어 격판 회전 모터
600 : 압력 제어 수단
610 : 커버
611 : 기어치
620 : 유출공
621 : 상수도 유출공
630 : 압력 제어 수단 회전 모터
640 : 기어치
700 : 유도관
G : 그래프
P : 상수도
V : 제어 밸브
M : 시설물
S : 하수도
H : 하우징

Claims (9)

  1.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시설물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에 구비되어 상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상수도 감지 센서;
    시설물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이송하는 하수도에 구비되어 하수도 정보를 도출하는 하수도 감지 센서;
    상기 상하수도 감지 센서에서 도출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에 정보를 전달하며, 상하수도를 제어하는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수도는,
    원통형의 상하수도 내주면 형상과 상응하는 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수도의 내주면을 따라 120°의 각도를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하수도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수 및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격판;
    상하수도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하수도의 일측을 개폐시켜 상하수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제어 수단 및
    상기 압력 제어 수단에 의해 상하수도의 일측이 개방될 경우 상하수도에서 토출되는 물을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량 제어 격판에는,
    유량 제어 격판을 동작시키는 회전 모터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유량 제어 격판이 회전 모터에 의해 개별 제어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상하수도의 둘레에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제어 수단은,
    상기 상하수도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하수도의 둘레에 형성되는 유출공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유출공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감지 센서는,
    상수도 내의 상수의 유량을 감시하는 상수도 유량 감지 센서;
    상수도 내의 유속을 감지하는 상수도 유속 감지 센서;
    상수도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상수도 수압 측정 센서 및
    상수도 내의 수질을 측정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도 감지 센서는,
    하수도 내부에서 흐르는 오수의 유량을 감시하는 하수도 유량 감지 센서;
    하수도 내의 유속을 감지하는 하수도 유속 감지 센서;
    상수도 내의 수압을 측정하는 하수도 수압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하수도 관리 서버에 저장된 스케쥴 설정 정보에 따라 상수도를 허용, 차단 시키는 스케쥴 설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설정 정보는,
    상수도를 제어함에 있어 월, 일자, 시간에 따른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하수도 관리 서버를 통해 전달받은 상하수도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상하수도 이상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감지 모듈은,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도출되는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있던 유량, 유속, 수압, 수질 정보를 비교하여 이상 정보가 도출될 시, 상기 이상 정보의 내역을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 관리 서버는,
    수질 감시 모듈 및 오수 차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질 감시 모듈은,
    상기 수질 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상수도의 수질 오염도가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오수 내역을 오수 차단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오수 차단 모듈은,
    상기 오수 내역이 검출된 상수도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누수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모듈은,
    상하수도에 물이 유입되는 방향의 유입구 내벽에 구비되어, 상하수도의 유입량을 감시하는 제 1 측정 센서 및
    상하수도에 물이 토출되는 방향의 토출구 내벽에 구비되어, 상하수도의 토출량을 감시하는 제 2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정 센서와 제 2 측정 센서에서 도출되는 정보에 이상 내역이 발생될 경우, 상기 내역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9. 삭제
KR1020200090613A 2020-07-21 2020-07-21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13A KR102481515B1 (ko) 2020-07-21 2020-07-21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13A KR102481515B1 (ko) 2020-07-21 2020-07-21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545A KR20220011545A (ko) 2022-01-28
KR102481515B1 true KR102481515B1 (ko) 2022-12-26

Family

ID=8005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13A KR102481515B1 (ko) 2020-07-21 2020-07-21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331B1 (ko) * 2022-07-07 2024-01-18 주식회사 이엔아이씨티 배관 이상 기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91635B1 (ko) * 2022-08-22 2023-01-27 (주)이콘 인공지능 기반의 상수도시설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46065B1 (ko) * 2022-10-25 2024-03-11 (주) 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91B1 (ko) * 2005-06-02 2007-07-23 남의석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광역상수도 수운영시스템 및 그방법
KR101685179B1 (ko) * 2016-06-09 2016-12-09 첨단제어시스템 주식회사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하수도 통합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KR200490922Y1 (ko) * 2018-07-09 2020-02-11 이승태 유량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2906B2 (ja) * 2010-05-28 2014-10-2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691B1 (ko) * 2005-06-02 2007-07-23 남의석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광역상수도 수운영시스템 및 그방법
KR101685179B1 (ko) * 2016-06-09 2016-12-09 첨단제어시스템 주식회사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하수도 통합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KR200490922Y1 (ko) * 2018-07-09 2020-02-11 이승태 유량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545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515B1 (ko)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US11066813B2 (en) Water management, metering, leak detection, water analytics and remote shutoff system
ES2779651T3 (es) Disposición de protección contra fugas
US20210079630A1 (en) Water management, metering, leak detection, water analytics and remote shutoff system
US10526772B2 (en) Automatic shut off valve
US20150376874A1 (en) Water leak detection,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0602606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fluid leaks
US20160161940A1 (en) Intelligent water emergency system
KR101685179B1 (ko) 지능형 원격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상하수도 통합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JP2000084537A (ja) 水道水質管理システム
EP2595714B1 (en) Sound-velocity based control of a hydrocarbon dewatering system
KR101758248B1 (ko) 디지털 필터 기능의 수위계를 이용하여 오수펌프장, 배수지의 원격제어진단이 가능한 계측제어시스템
CN107923160B (zh) 用于借助多通阀自动冲洗的设备、系统和方法
WO2011107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KR100975566B1 (ko) 유량계 부착형 수질계측장치
US201002063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bling utilities
KR20160112229A (ko) 스마트 염소처리시스템
US20240003774A1 (en) Periodic water leak detection
KR20130109549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상수 염소투입장치
US9690303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10038862A (ko)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KR101278715B1 (ko) 약품 농도 제어장치
US20200024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pressure-driven system from a source
US11746508B2 (en) Control valve
US20230124213A1 (en) Whole home water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