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862A -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8862A
KR20110038862A KR1020090096036A KR20090096036A KR20110038862A KR 20110038862 A KR20110038862 A KR 20110038862A KR 1020090096036 A KR1020090096036 A KR 1020090096036A KR 20090096036 A KR20090096036 A KR 20090096036A KR 20110038862 A KR20110038862 A KR 2011003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pipe
water supply
sens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운
고두석
Original Assignee
(주) 두두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두두에너텍 filed Critical (주) 두두에너텍
Priority to KR102009009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8862A/ko
Publication of KR2011003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및 물공급배관 등에서 발생되는 정체수의 오염이 식수등에서 피해가 발생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체수중에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를 해소할 수 있는 해소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수도 공급관의 끝단에 정체되는 물의 오염을 해소하기 위해 측정구에 배관을 연결하여 물의 수질을 감지센서를 내장한 자동배출장치로 측정하도록 장착하여 구성하고,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측정치가 오염의 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면, 제어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개폐변을 개폐하여 물을 자동배출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수질, 감지센서, 관측, 제어

Description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Device of auto discharge for solving stagnant water in pipe end}
본 발명은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및 물공급배관 등에서 발생되는 정체수의 오염이 식수 등에서 피해가 발생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를 해소할 수 있는 해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수도 관말지점에 퇴수변이나 소화전 등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퇴수를 실시하여 정체수를 관리하였다.
도 1에 도시한 한 바와 같이 정체수가 발생되는 정체수발생구간(100)은 급수관(120)이 사용되는 지역은 물이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이후의 공급관(110)에는 물이 순환되지 않아 물이 오염이 발생되어 많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소화전이나 물을 배출할 수 없는 지역이 많고, 그로 인한 상수도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물을 사용하거나 식수로 사용시 상수도의 가치를 높이지 못하는 관말의 외곽지역이 발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단수가 발생시 정체수가 거꾸로 흘러나와 맑고 깨끗한 상수도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정체수가 발생되는 것은 외곽지역의 상수도 관말부분에서 발생이 되므로 상수도 오염을 방지하도록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관말부분의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오염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수도 공급관의 끝단에 정체되는 물의 오염을 해소하기 위해 오염감지센서를 내장한 오염물 자동배출장치를 구성하여 오염의 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며 자동배출하여 오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존의 상수도 공급관의 끝부분에 발생되는 정체수로 인한 오염 및 수질의 개선하기 위한 끝말부분의 일정한 위치에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규정치이상이면 배출하도록 하여 상수도관내의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효과가 있 다.
본 발명은 상수관말부분의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수도 오염의 원인과 오염지역을 관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는 장시간 적체되어 있는 상수도 관말지역의 정체수를 해소하여 소비자들에게 물의 신뢰성을 높여주고, 전체적인 수질의 질적향상을 높이도록 관말지역인 상수도 공급관의 끝단에 자동배출장치를 구성한 것을 본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다.
도 2 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는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를 해소하기 위해 관말정체구간(120)의 수질을 측정하여 배출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수도 공급관의 끝단에 정체되는 물의 오염을 해소하기 위해 측정구(130)에 연결하여 물의 수질을 감지센서(160)가 내장한 자동배출장치(170)로 측정하도록 장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감지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측정치가 오염의 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며 제어부(180)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개폐변(150)을 개폐하여 물을 자동배출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자동배출장치는 정체된 물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정체된 구간의 중간부분 또는 관말부분에 물을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구(130)를 관통하여 배관(140)에 연결하여 감지센서를 거치게하여 수질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이때 측정된 측정값을 제어부(180)로 보내지게 되고 보내어진 측정값과 이미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자개폐변이 열리게 되어 측정구를 통하여 관말정체구간(1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관말부분에 정체된 물의 배출되는 시간은 관말의 길이에 따라 시간설정을 길게 하거나 짧게하여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수도 공급관내의 오염된 물을 일정 시간배출하도록 하여 배출이 완료되면 전자개폐변(220)을 닫아 배출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관말부분의 오염을 감지센서를 측정하여 배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감지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탁도측정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질의 오염을 측정하는 다른 감지센서의 장착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센서는 탁도측정기로 사용되며 상수도의 관말에서 오염정도에 따라 화학적 응집과 여과의 특별한 처리를 해야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 다른 여러 자료로 활용하게 되며, 수질 관리시에 약품 및 그 투여량에 따른 처리의 효율성을 판단하는데 이용이용되고,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성 있는 약품처리와 약품 등을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탁도측정기는 오염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침체된 물을 판단하는데 이용되기도 하며, 화학적 처리를 이용하는 공정에서는 약품의 투여량을 수시로 변동시키는 과 정에서 필요한 정보(최소의 약품의 투여량으로 양질의 배출수를 얻는 수 있는 자료)를 수시로 얻을 수 있으므로 수질처리 과정의 중요한 인자의 역할을 한다.
음용수 수질 기준은 일반적으로 색도 5도 이하, 탁도 2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의도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도시한 자동배출장치는 상수도 공급관에 측정할 수 있는 측정구(130)를 최종 급수관과 관말사이에 구성하고, 상기 측정구에 감지센서(160)인 탁도측정기와 상기 탁도측정기에서 측정치값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제어부(180)를 구성하였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값보다 높은 측정값이 측정시에는 공급관의 끝단인 관밸브(240)에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에 전자개폐변(220)을 구성하였다. 상기 전자개폐변에 전원을 공급하여 밸브를 열어 오염된 물을 배출구(230)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전자개폐변으로 오염된 물을 일정시간 배출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전원차단되어 배출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관말내의 수질을 측정하여 실시간적으로 관측소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제어부에 유선송신부 또는 무선송출부(190)를 구성하여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측정치를 관측소(210)의 유선수신부 또는 무선수신부(200)로 송신하도록 구성하였다.
여러곳에 설치되어 있는 관말부분을 일일이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오염정도가 기온 및 순환압력에 의해 좌우됨으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배출하도록 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수도 정체수가 발생되는 공급관의 배관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급수관 110 : 공급관
120 : 정체수발생구간 130 : 측정구
140 : 배관 150 : 전자개폐변
160 : 감지센서 170 : 탁도측정기
180 : 제어부 190 : 무선송출부
200 : 무선수신부 210 : 관측소
220 : 전자개폐변 230 : 배출구
240 : 관밸브

Claims (3)

  1. 상수도 관말(막다른 골목)지역의 정체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수도 공급관의 끝단에 정체되는 물의 오염을 해소하기 위해 측정구에 연결하여 물의 수질을 감지센서를 내장한 자동배출장치로 측정하도록 구성하고,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측정치가 오염의 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면, 제어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개폐변을 개폐하여 물을 자동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출장치는
    상수도 공급관에 측정할 수 있는 측정구를 최종급수관과 공급관의 끝단사이에 구성하고, 상기 측정구에 탁도감지센서와 상기 탁도 감지센서에서 측정치값을 표시하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제어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값보다 높은 측정값이 측정시에는 관말에 구성한 전자개폐변에 전원을 연결하여 밸브개폐를 제어하여 오염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출장치는
    탁도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제어부에서는 실시간으로 유선송출부 또는 무선송출부를 통하여 관측소의 유선수신부 도는 무선수신부로 송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KR1020090096036A 2009-10-09 2009-10-09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KR20110038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36A KR20110038862A (ko) 2009-10-09 2009-10-09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036A KR20110038862A (ko) 2009-10-09 2009-10-09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862A true KR20110038862A (ko) 2011-04-15

Family

ID=4404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036A KR20110038862A (ko) 2009-10-09 2009-10-09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88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2542A (zh) * 2016-03-07 2016-07-20 中国计量学院 基于无线传输的楼宇燃气立管自动切断放空系统及方法
KR101877742B1 (ko) * 2016-04-27 2018-07-13 (주)한국밸콘 디지털 에어밴트
KR102210644B1 (ko) * 2020-06-23 2021-02-03 (주) 삼진정밀 지능형 상수관망 자동 드레인 시스템
CN113502877A (zh) * 2021-08-24 2021-10-15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末端放水控制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2542A (zh) * 2016-03-07 2016-07-20 中国计量学院 基于无线传输的楼宇燃气立管自动切断放空系统及方法
CN105782542B (zh) * 2016-03-07 2018-08-14 中国计量学院 基于无线传输的楼宇燃气立管自动切断放空系统及方法
KR101877742B1 (ko) * 2016-04-27 2018-07-13 (주)한국밸콘 디지털 에어밴트
KR102210644B1 (ko) * 2020-06-23 2021-02-03 (주) 삼진정밀 지능형 상수관망 자동 드레인 시스템
CN113502877A (zh) * 2021-08-24 2021-10-15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末端放水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55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flushing
US11561150B2 (en) Passive leak detection for building water supply
US1140765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quality and flow
US7174771B2 (en) Leak detection system
CN102362037B (zh) 用于监测饮用水管网中的水质的设备和方法
EA024948B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ек текучей среды
US11493401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water pipe system
KR20110038862A (ko)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WO2018179494A1 (ja) 水質測定装置
KR102458172B1 (ko) 상수도관 수질에 따른 자동 드레인시스템
GB2521049A (en) Monitoring and operation of a liquid flow circuit containing a chemical additive
KR20180103295A (ko) 수질 관리 시스템 및 수질 관리 서버
KR20160112229A (ko) 스마트 염소처리시스템
KR20220011545A (ko) 상하수도 모니터링 시스템
JP6493441B2 (ja) 水質測定方法
KR20160011606A (ko) 음수기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156525B2 (en) Egress point localization
KR200453850Y1 (ko) 수질 관리 센서 내장형 수도미터기
CN113993819A (zh) 具有连接远程操作的截止阀的水处理系统
JP2009024960A (ja) 貯湯式給湯装置
JP5475076B2 (ja) 水位変化検出機能付残留塩素計
JP2019013896A (ja) 水質管理システム及び水質管理方法
CN205348282U (zh) 一种“互联网+”安全二次供水系统水质检测装置
JP5593145B2 (ja) 給湯システム
CN205910535U (zh) 一种居民楼宇自来水进水的水质简易监测与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