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42B1 - 디지털 에어밴트 - Google Patents

디지털 에어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42B1
KR101877742B1 KR1020160051614A KR20160051614A KR101877742B1 KR 101877742 B1 KR101877742 B1 KR 101877742B1 KR 1020160051614 A KR1020160051614 A KR 1020160051614A KR 20160051614 A KR20160051614 A KR 20160051614A KR 101877742 B1 KR101877742 B1 KR 10187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quid layer
liquid
contamin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28A (ko
Inventor
박명훈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밸콘 filed Critical (주)한국밸콘
Priority to KR102016005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액체층과 공기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차단부;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층의 기압을, 상기 바디의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제1기압과, 상기 제1기압보다 높은 제2기압 사이에서 유지시키는 제어부; 상기 액체층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오염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낮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을 낮추고,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높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에어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에어밴트{DIGITAL AIR VENT}
본 발명은, 배관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지털 에어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혹은 빌딩, 플랜트, 상·하수도 등 각종 설비의 물이 유동하는 배관시스템에는 에어밴트(Air Vent)가 설치된다.
그리고 에어밴트는 배관시스템에서 물의 팽창 및 수축 현상에 의해 물에서 분리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에어밴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4715호에 개시된 기계식 에어밴트에서는, 디스크(1)의 이동에 의해 시트(2)가 개폐되면, 플로트챔버(3) 내부의 에어는 선택적으로 에어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력에 의해 플로트(5)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때 디스크(1)는 레버(6)에 의해 회전 상승하여 시트(2)의 하단에 밀착됨으로써 시트(2)를 통한 에어의 배출이 정지된다.
그리고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감소하면 플로트(5)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디스크(1)는 레버(6)에 의해 회전 하강하여 시트(2)의 하단에서 이격됨으로써 시트(2)를 통해 에어가 외부로 배출된다.
즉, 종래의 기계식 에어밴트는,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일 때만 부력에 의해 플로트(5)가 레버(6) 및 디스크(1)를 작동시켜 시트(2)를 차단하고,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준보다 낮으면 시트(2)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에어배출구(4)가 항상 연통되는 개방식 에어밴트 구조를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개방식 에어밴트는, 플로트챔버(3)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이외에는 에어배출구(4)와 플로트챔버(3)의 내부는 항상 연통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로트챔버(3) 내부의 액체가 에어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렇게 에어배출구(4)를 통해 액체가 외부로 지속적으로 유출될 경우, 액체 내의 이물질에 의해 에어배출구(4)를 막히거나, 스케일(scale) 발생으로 인하여 에어밴트의 성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액체의 수질이 나쁘거나 액체가 고온일 때 빈번해 진다.
또한, 종래의 개방식 에어밴트는 외부에서 에어배출구(4)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렇게, 종래의 기계식 에어밴트는, 개방식 에어밴트 구조로, 에어배출구(4)의 막힘 현상이나, 스케일로 인한 에어밴트 성능저하 문제점 등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외부에서 에어의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에어밴트의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에어가 배출되는 유로가 막히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에어의 배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에어밴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디지털 에어밴트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액체층과 공기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차단부;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층의 기압을, 상기 바디의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제1기압과, 상기 제1기압보다 높은 제2기압 사이에서 유지시키는 제어부; 상기 액체층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오염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낮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을 낮추고,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높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높을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감지센서와,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이동축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정보와, 상기 유로차단부의 동작정보를 기초로 공기배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는,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가 낮을 때, 상기 유로차단부가 상기 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액체층과 공기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선택적을 개폐하는 유로차단부;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상기 제1감지센서의 위치보다 높도록 상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제2감지센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모두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차단부가 상기 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만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차단부가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공기층의 기압은 상기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는 디지털 에어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에 의하면, 폐쇄식 에어밴트를 제공하여, 바디의 내부공간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나, 외부의 공기가 바디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유로가 오염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는 배출되는 공기의 총량에 대한 정보와, 설정된 시간당 공기가 배출되는 횟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에어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공기감지센서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 동작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공기감지센서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바디(110), 유로차단부(120), 감지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공간(110c, 이하 “내부공간”이라고 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0c)에서는 액체과 공기가 서로 분리되며, 상기 내부공간(110c)의 상측에는 공기층(110a)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0c)의 하측에는 액체층(110b)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은, 기 설정된 제1기압 이상 및 제2기압 이하가 되도록 상기 유로차단부(1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차단부(120)는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며, 상기 유로차단부(120)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이 상기 제2기압에 도달하면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유로(110f)를 개방하여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을 상기 제1기압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압은 상기 바디(110)의 외부의 기압보다 크고, 상기 제2기압보다 작은 값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을 외부의 기압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폐쇄식 에어밴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배관(52)의 어떤 위치라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가 상기 유로(110f)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상태, 예컨대,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 또는 온도 등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상기 제어부(140)와 각각 연결된 온도센서(151)와 오염센서(152)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151)에서 측정된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온도정보와, 상기 오염센서(152)에서 측정된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가 높아지거나,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높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가 낮아지거나,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낮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 또는 온도가 높을 때,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높여,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수위(WL)를 하강시키기 때문에,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 또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유로(110f)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0c)은 상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0c)이 상측을 향할수록 좁아질 경우,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이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유로(110f)로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10)는 황동으로 만들어져 압력에 강하고,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부분적 보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디(110)는 커넥터(51)를 통해 상기 배관(5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관(52)은, 주택, 아파트 혹은 빌딩, 플랜트, 상·하수도 등의 배관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52)의 내부에서는 액체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1)의 상측은 상기 바디(110)의 하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51)의 하측은 배관(52)과 연통되어, 상기 커넥터(51)는 상기 배관(52)의 내부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공간(110c)과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52)의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는 상기 내부공간(110c)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간(110c)에서는 액체에 포함된 공기가 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10c)에서 액체로부터 분리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내부공간(110c)에서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낮아지고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이 증가하여 상기 제2기압에 도달할 경우,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유로(110f)를 통해 상기 공기층(110a)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로차단부(120)는 상기 바디(1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110f)를 선택적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유로차단부(120)는, 솔레노이드(121)와 마그넷(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22)은 상기 바디(1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122)은, 상기 바디(110)에 설치된 탄성체(123)와 솔레노이드(121)에 의해 직선왕복 이동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그넷(122)은, 상기 솔레노이드(121)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탄성체(123)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110f)를 차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21)가 작동할 때는 상기 솔레노이드(121)에 의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차단부(120)는 보턴(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턴(124)이 상기 제2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마그넷(122)은 상기 보턴(124)에 의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유로(110f)는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보턴(12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의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130)는 상기 내부공간(110c)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130)에서 감지된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센서부(130)에 감지된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부(130)는, 이동축(131)과, 감지센서(132)와, 플로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131)은 상기 내부공간(110c)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32)는 상기 이동축(131)에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133)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보다 비중이 작고, 상기 공기층(110a)의 공기보다는 비중이 크다. 따라서 상기 플로트(133)는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에 따라, 상기 이동축(1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축(131)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동축(131)의 길이가 짧아져 상기 감지센서(132)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높아져 상기 공기층(110a)은 부피는 감소하고, 상기 이동축(131)의 길이가 길어져 상기 감지센서(132)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낮아져 상기 공기층(110a)은 부피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액체의 오염도가 높을 때, 상기 이동축(131)의 길이를 길게하여, 상기 유로(110f)로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가 유입되거나,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의해 상기 유로(110f)가 막히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32)는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는 제1리드스위치(RS1), 제2리드스위치(RS2), 제3리드스위치(RS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리드스위치(RS1)는 상기 제2리드스위치(RS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리드스위치(RS2)은 상기 제3리드스위치(RS3)의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133)에는 자성체(133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는 상기 플로트(133)의 자성체(133a)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는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는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120)의 작동여부와,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리드스위치(RS1)가 상기 플로트(133)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유로(110f)가 개방되도록 설정될 경우,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낮아지고 상기 공기층(110a)의 부피는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제1리드스위치(RS1)가 상기 플로트(133)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리드스위치(RS3)가 상기 플로트(133)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작동시켜 상기 유로(110f)가 개방되도록 설정될 경우,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높아지고 상기 공기층(110a)의 부피는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제3리드스위치(RS3)가 상기 플로트(133)를 감지할 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염센서(152)는 상기 내부공간(110c)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오염센서(152)는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염센서(152)에서 측정된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의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센서(152)에서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가 낮을 때, 예컨대 상기 복수의 리드스위치(RS1, RS2, RS3) 중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1리드스위치(RS1)가 상기 플로트(133)를 감지할 때,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상기 공기층(110a)의 기압을 증가시키고, 상기 유로(110f)와 상기 액체층(110b)의 수면과의 거리를 길게하여,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가 상기 유로(110f)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정보와, 상기 유로차단부(120)의 동작정보를 기초로 공기배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정보는, 상기 유로(110f)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총량 정보와, 상기 유로(110f)를 통해 설정된 시간당 공기가 배출되는 횟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와 상기 배관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플로트(133)의 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0c)의 공기의 양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유로차단부(120)의 동작시간을 통해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통신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통신부(16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방식은 RS-232, RS-422, RS-485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될 있다.
상기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단말(170)과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7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170)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기배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는 동작등(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작등(180)은 상기 제어부(14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상기 동작등(180)을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52)의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가 수축 또는 팽창되면, 상기 액체층(110b)의 액체는 출렁이게 되고,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는 급격한 변동을 일으킨다.
이렇게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가 급격하게 변동되면, 상기 감지센서(132)는 상기 플로트(133)의 자성체(133a)를 반복적으로 감지하여 펄스신호(Pulse signal)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132)에서 발생된 펄스신호(Pulse signal)는 상기 솔레노이드(121)를 불필요하게 동작하게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100), 상기 솔레노이드(121)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지연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연회로(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부(130) 및 상기 제어부(14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부(130)에서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되는 신호를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연회로(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132)에서 제공된 감지신호, 예컨대, 상기 감지센서부(130)에서 제공된 펄스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솔레노이드(121)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를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디지털 에어밴트의 블록도이다.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200)는, 바디(210), 유로차단부(220), 공기감지센서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내부공간(210c)은 액체층(210b)과 공기층(210a)으로 구분되고, 상기 바디(210)에는 상기 공기층(210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210f)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차단부(220)는 상기 바디(210)에 설치되고, 상기 유로(210f)를 선택적을 개폐한다.
상기 공기감지센서부(230)는, 상기 공기층(210a)의 공기를 감지하고,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감지센서(231, 232, 233)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공기감지센서부(230)는, 제1감지센서(231)와 제2감지센서(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감지센서(231)는 상기 제2감지센서(232)보다 상기 내부공간(210c)에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231) 및 상기 제2감지센서(232)에서 모두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도록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센서(232)에서만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폐쇄하도록 상기 유로차단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가 상기 제1감지센서(231)의 위치보다 높고 상기 제2감지센서(232)의 위치보다 낮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감지센서부(230)는 제3감지센서(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감지센서(233)는 상기 내부공간(210c)에서 제2감지센서(23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200)는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센서(250)는 상기 내부공간(210c)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오염센서(250)에서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오염센서(250)에서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의 수위가 상기 제1감지센서(231)와 상기 제2감지센서(232)의 사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1감지센서(231)와 상기 제2감지센서(232) 모두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232)에서만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센서(250)에서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가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액체층(110b)의 수위(WL)의 수위가 상기 제2감지센서(232)와 상기 제3감지센서(233)의 사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2감지센서(232)와 상기 제3감지센서(233)에 의해 공기를 모두 감지하였을 때,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감지센서(233)만 공기를 감지하였을 때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각 감지센서(231, 232, 233)의 작동정보와, 상기 유로차단부(220)의 동작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240)는, 통신부(260)를 통해 상기 각 감지센서(231, 232, 233)의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이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에어밴트 동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에어밴트 동작방법은,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10), 감지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120),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S130) 및 공기배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10)는, 상기 오염센서(152)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10c)의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120)에서는 상기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10)에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132)의 높이가 결정된다.
상기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10)에서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가 높으면 상기 감지센서(132)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액체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S110)에 측정된 액체의 오염도가 낮으면 상기 감지센서(132)의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감지센서(132)가 공기를 감지하면,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여, 상기 내부공간(110c)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디지털 에어밴트 동작방법은, 측정시간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시간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5)에서는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최초로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하여 상기 내부공간(110c)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측정시간경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5)에서 상기 유로차단부(120)가 최초로 상기 유로(110f)를 개방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T)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단말(170)로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디지털 에어밴트
110:바디
120:유로차단부
130:감지센서부
140:제어부

Claims (6)

  1.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액체층과 공기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공기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유로차단부;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층의 기압을, 상기 바디의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제1기압과, 상기 제1기압보다 높은 제2기압 사이에서 유지시키는 제어부;
    상기 액체층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오염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낮아지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을 낮추고, 상기 액체층의 오염도가 높아지거나 상기 액체층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상기 제1기압과 상기 제2기압은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에어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감지센서와,
    상기 액체층의 액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이동축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유로차단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디지털 에어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에어밴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로트의 위치정보와, 상기 유로차단부의 동작정보를 기초로 공기배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기배출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에어밴트.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1614A 2016-04-27 2016-04-27 디지털 에어밴트 KR10187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14A KR101877742B1 (ko) 2016-04-27 2016-04-27 디지털 에어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14A KR101877742B1 (ko) 2016-04-27 2016-04-27 디지털 에어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8A KR20170122528A (ko) 2017-11-06
KR101877742B1 true KR101877742B1 (ko) 2018-07-13

Family

ID=6038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14A KR101877742B1 (ko) 2016-04-27 2016-04-27 디지털 에어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856Y1 (ko) * 1991-09-17 1998-04-20 구자홍 적외선 감지 핸즈프리(hands free)음성다이얼링 전화기의 직류전력 제어회로
JP2001084040A (ja) * 1999-09-16 2001-03-30 Yaskawa Electric Corp 水位調整装置
KR20090101639A (ko) * 2008-03-24 2009-09-29 최용운 정전용량을 이용한 밸브열림도 표시시스템
KR20110038862A (ko) * 2009-10-09 2011-04-15 (주) 두두에너텍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KR20150142297A (ko) * 2014-06-11 2015-12-22 (주)한국밸콘 전자식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856Y1 (ko) * 1991-09-17 1998-04-20 구자홍 적외선 감지 핸즈프리(hands free)음성다이얼링 전화기의 직류전력 제어회로
JP2001084040A (ja) * 1999-09-16 2001-03-30 Yaskawa Electric Corp 水位調整装置
KR20090101639A (ko) * 2008-03-24 2009-09-29 최용운 정전용량을 이용한 밸브열림도 표시시스템
KR20110038862A (ko) * 2009-10-09 2011-04-15 (주) 두두에너텍 관말 정체수 자동배출장치
KR20150142297A (ko) * 2014-06-11 2015-12-22 (주)한국밸콘 전자식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8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8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liably detecting structure and water system leaks
US20180010978A1 (en) Flow Detection Device
US200802511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water system leaks
US8402984B1 (en) Flood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200158595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Water Pipe System
WO20100986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age control and/or testing of piping and discharge points for non-compressible fluids
EP2450632A2 (en) Gas cooking household appliance with automatic valves having a safety system
US10329745B2 (en) Flood mitigation and pipe freeze prevention systems for use in a structure
JP2018072291A (ja) 漏水検出システム
WO2007092782A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211203062U (zh) 一种智能地下燃气调压设施
KR101877742B1 (ko) 디지털 에어밴트
JP6881943B2 (ja) 自動バルブの診断システム及び、自動バルブの診断方法
US11739511B2 (en) Flushing device
US4295602A (en) Control valve
KR101159463B1 (ko) 각방 난방 시스템에서의 각방 난방온도 자동 제어방법
WO2003098763A1 (en) Modified buchholz relay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gas generated by transformer internal faults
KR101990147B1 (ko) 유체 및 스팀용 디지털 에어벤트 시스템
KR20140145243A (ko) 배관 역류 감지 장치
US20080295897A1 (en) Dual range flow sensor
WO2017021718A1 (en) Improved irrigation valve and method of use
AU2017100989A4 (en) Flow detection device
KR10072759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유량 조절 장치
JP2914613B2 (ja) ガス漏洩検知装置
CN107806724B (zh) 水系统保护装置、控制方法、水系统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