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08B1 -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 Google Patents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608B1
KR101184608B1 KR1020120027081A KR20120027081A KR101184608B1 KR 101184608 B1 KR101184608 B1 KR 101184608B1 KR 1020120027081 A KR1020120027081 A KR 1020120027081A KR 20120027081 A KR20120027081 A KR 20120027081A KR 101184608 B1 KR101184608 B1 KR 10118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closing plate
pipe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왕섭
Original Assignee
심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왕섭 filed Critical 심왕섭
Priority to KR102012002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논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개폐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선택적인 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를 기 설치된 수로관에 설치함으로써 농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과 바닥면을 구비하여 유체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의 내부에 형성된 개폐판이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수로와 연통되게 조립되는 분기관이 측면 내측에 형성된 제어수단에 의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Adjust the quantity of agricultural and water gates}
본 발명은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논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개폐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선택적인 용수의 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게이트를 기 설치된 수로관에 설치함으로써 농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수로관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콘크리트 수로관은 운반시 무게를 고려하여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몸체 상면이 개방되고 어느 일측 단부에 끼워맞춤식 조립을 위한 관접부가 확관되게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관접부내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삽입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채널형태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수로관들의 관접부와 삽입부를 서로 연속적으로 끼워맞춤 결합하여 목적하는 수로를 시설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로관은 유체를 이동시키는 목적만으로 사용됨으로써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수로의 일부분을 파손하고 가마니나 돌, 나무판, 비닐 등으로 유로를 변경시켜 수로와 근접한 논으로 용수를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수확보 문제는 매번 농번기만 되면 지주들 간에 마찰과 분쟁의 요소가 되고 있다.
즉, 수로의 상부에 위치한 논의 지주들이 자기 논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로를 파손시켜 앞서 설명한 가마니, 비밀, 돌 등을 이용하여 용수를 자기 논으로 공급함으로써 하류지역의 논의 지주들은 용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하류 지주들이 상부의 지주가 설치한 비닐, 가마니, 등을 해체하여 하류지역으로 용수를 끌어오다보면 지주들간의 마찰이나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촌지역의 빠른 고령화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많은데 농번기 때마다 앞서 설명한 재래식 수작업으로 농업용수를 확보하다 보면 들판에서 안전사고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0-0250178호에는 다기능 수로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배수로 및 용수로로 사용되는 다기능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로 사용되는 수로관은 상부(1)와, 상기 상부(1)의 중앙부에 삽입되며 하부 양측 테두리 부분에 덮개하부경사부(20)가 형성된 덮개(2)와, 상기 상부(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하부 양측테두리가 경사가 형성된 덮개(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하부 경사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 덮개고정턱경사부(20')가 형성된 덮개고정턱(2')과, 측면(3)에 형성된 배수구(9)와, 중앙부에 형성된 측면보강리브(4)와, 상기 측면보강리브(4)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5)과, 상기 측면(3)의 측면보강리브(4)의 내부에 형성된 밸브(6)로 구성된다.
또 다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94087호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수로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벽체(150)에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이 연결된 콘크리트 배수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체(150)로부터 연장하여 외측으로 구배진 내부 경사면(122')과 외부 경사면(122)이 이루어져 관구(30a)가 형성되고, 상기 관구(30a)에 분기관(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배수관(100)과 분기관(30)이 동시에 일체로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일체형 콘크리트 배수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수로의 유체를 분가관으로 유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수로관으로부터 분기시켜 상류에서 하류까지 위치한 논으로 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수로관의 측면에 설치된 분기관의 입구와 수로관의 유로에 개폐판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게이트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기존 설치된 수로관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형태의 개폐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농촌에 빠른 설치가 가능하여 쉽게 농가에 보급할 수 있는 용수 분기수단을 갖는 게이트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과 바닥면을 구비하여 유체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의 내부에 형성된 개폐판이 개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수로와 연통되게 조립되는 분기관이 측면 내측에 형성된 제어수단에 의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에서 개폐수단은 수로관의 측면 내측에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체와 타측에 원치가 형성되어 회전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와 와이어로 연결된 개폐판이 원치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며 유체의 이동을 제어함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써 수로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와 측면에 형성된 걸림판에 의하여 일측으로 회전되게 조립되는 개폐판과, 상기 수로관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체와 타측에 원치가 형성되어 회전되게 형성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와 회전판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수로관의 분기관 연결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일측면이 수로관 내면에 밀착되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이동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에 형성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와 원치의 설치높이를 조절하고 제어수단의 개폐판 개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개의 구멍이 형성된 높이조절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원치의 설치높이를 설치되는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는 수로관의 일측에 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분기관을 형성함으로서 종래 수로관의 일부를 훼손시켜 용수를 공급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논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용수의 흐름을 개폐판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어 수로관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이트의 개폐판 높이를 분기관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수로를 지나는 용수가 개폐판에 의하여 일부가 차단되고 일부가 개폐판을 넘어 하류로 이동함으로써 개폐판이 설치된 수로의 분기관 측으로 일부의 용수가 공급되고 하류에서도 분기관을 통하여 용수가 공급됨으로써 상류의 논에서부터 하류의 논까지 동시에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지주들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적재적소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과 제어수단은 기존 분기관이 설치되거나 일반 수로관이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농촌에 빠른 설치와 보급이 가능하여 단기간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 중 수로의 개폐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 중 분기관의 제어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 중 수로의 개폐수단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가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 중 분기관의 제어수단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 분기관이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100)(이하, "수로관"이라 한다)은 크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11)과 바닥면(12)을 구비하여 유체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며 일측면에 수로와 연통되도록 분기관(20)이 일체로 형성된 수로관(10)과, 이 수로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로를 지나가는 유체를 차단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개폐수단(30)과, 수로관(10) 내측의 분기관(20)이 연통되는 부분에 분기관(20)측으로 용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로관(10)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11)과 바닥면(12)을 구비하여 내부에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하고 일측에 분기관(20)이 수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30)은 수로관(10)의 측면(11) 내측에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31)와, 이 가이드부(31)의 내부에 미끄럼 이동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개폐판(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32)은 수로관(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에 연결된 원치(33)에 의하여 회전되는 샤프트(34)와 와이어(35)로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수로를 지나는 유체의 진행을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4)는 개폐판(32)의 크기 및 이동거리에 따라서 설치위치가 변형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32)의 크기가 대형일 경우 개폐판(32)의 상하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로관의 측면(11) 상부에 높이조절판(36)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각각 고정체(37)와 원치(33)를 형성하고 샤프트(34)를 연결함으로써 샤프트(34)와 와이어(35)로 연결된 개폐판(32)의 이동거리를 확보함으로서 원활하게 위치의 이동과 차단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판(32)의 높이는 수로관(10)에 형성된 분기관(20)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즉, 수로에 용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개폐판(32)에 의하여 용수의 흐름이 저지되며 일측에 형성된 분기관측으로 용수가 유입되며 개폐판 일정높이로 개방하여 용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용수의 일부는 하류로 흐르고 일부분만이 분기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상류의 논과 하류의 논에 동시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개폐판을 일부 개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개폐판이 닫힌 상태라 하더라도 일부 용수가 개폐판을 넘어 하류로 흐름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개폐판의 개폐범위를 조절하여 수로에 흐르는 용수의 량에 따라 분기관 측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량을 제어함으로써 상류의 논과 하류의 논에 동시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수로관(10) 측면(11) 내측의 분기관(20) 입구에 설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41) 사이에 개폐판(42)을 끼움하고 이 개폐판(42)의 상부에 원치(43)를 형성하여 원치(43)와 와이어(44)로 연결된 개폐판(42)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개폐판(42)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폐판(42)의 상하이동 거리가 좁을 경우 수로관(10) 측면에 높이조절판(45)을 형성하고 가이드를 연장한 상태에서 상부에 원치(43)를 형성함으로써 이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0)의 개폐판(42)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42)의 상부에 손잡이(421)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들어올려 분기관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21)의 하부에 너트(422)를 용접하여 형성하고 볼트(423)를 나사결합하여 구성하고 높이조절판(45)에 여러 개의 구멍(451)을 형성함으로 손잡이(421)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개폐판(42)을 상승시킨 후 볼트(423)를 회전시켜 볼트가 구멍(45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판(42)은 상승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분기관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 효율적인 용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로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은 개폐판(32)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로를 흐르는 물에 저항을 주어 물이 분기관(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회전범위를 조절함으로서 물이 분기관 측으로 유입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어 상류에서 하류까지 일정한 량의 용수를 분기관을 통하여 논으로 유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32)의 하부와 수로관(10)의 바닥면(12)을 힌지(38)로 연결하여 개폐판(3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수로관(10)의 측면 내측에 여러 개의 걸림판(39)을 형성하여 개폐판(32)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범위를 한정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32)의 상부에 와이어(35)를 연결하고 일정간격 이격된 샤프트(34)에 와이어(35)를 연결하여 원치(33)의 구동에 의하여 샤프트(34)가 회전하면서 와이어(35)를 감거나 푸는 과정을 통하여 개폐판(32)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샤프트(34)와 개폐판(32)을 연결하는 와이어(35)를 풀어 개폐판(32)이 수로관(10)의 바닥면(12)에 누위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수로 내부의 유체가 흘러가도록 위치시키고 제어수단(40)의 개폐판(42)을 하강시켜 유체가 수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유체를 분기관(20)측으로 이동시키려면 원치(33)를 이용하여 샤프트(34)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35)로 연결된 개폐판(32)이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고 제어수단(40)의 개폐판(42)을 들어올려 분기관(20)의 입구를 개방함으로써 유체가 분기관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폐판(32)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물의 일부는 수로를 따라 하류로 이동하고 일부가 분기관(20)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상류의 논과 하류의 논에 동시에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지주간에 분쟁을 방지하고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자기의 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로관(10)은 기존 사용되는 수로관(10)과 병행하여 설치함으로써 용수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적절하게 본 발명의 수로관을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수로관 11 ... 측면
12 ... 바닥면 20 ... 분기관
30 ... 개폐수단 31 ... 가이드부
32 ... 개폐판 33 ... 원치
34 ... 샤프트 35 ... 와이어
36 ... 높이조절판 37 ... 고정체
38 ... 힌지 39 ... 걸림판
40 ... 제어수단 41 ... 가이드
42 ... 개폐판 43 ... 원치
44 ... 와이어 45 ... 높이조절판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쪽 측면(11)과 바닥면(12)을 구비하여 유체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수로관(10)의 내부에 형성된 개폐판(32)은 바닥면에 형성된 힌지(38)와 측면에 형성된 걸림판(39)에 의하여 일측으로 회전되게 조립되며 상기 수로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측에 고정체(37)와 타측에 원치(33)가 형성되어 회전되게 형성되는 샤프트(34) 및 상기 샤프트(34)와 개폐판(32)을 연결하는 와이어(35)로 구성된 개폐수단(30)에 의하여 개폐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면에 수로와 연통되게 조립되는 분기관(20)이 측면 내측에 형성되며 수로관의 분기관(20) 연결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41)와, 상기 가이드(41)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일측면이 수로관(10) 내면에 밀착되고 상부에 손잡이(421)가 형성된 개폐판(42)과, 상기 수로관(10)의 상부에 형성하고 개폐판(42)과 와이어(44)로 연결하여 수월하게 개폐판(4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원치(43) 및 상기 개폐판(42)의 이동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21) 하부에 형성되는 볼트(423)와 너트(422)로 구성된 제어수단(40)에 의하여 유체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27081A 2012-03-16 2012-03-16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KR10118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81A KR101184608B1 (ko) 2012-03-16 2012-03-16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081A KR101184608B1 (ko) 2012-03-16 2012-03-16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608B1 true KR101184608B1 (ko) 2012-09-21

Family

ID=4711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081A KR101184608B1 (ko) 2012-03-16 2012-03-16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76B1 (ko) * 2016-11-21 2017-06-14 (주)영남콘텍 수문이 구비된 수로관
KR101820061B1 (ko) * 2016-11-09 2018-01-19 한국중부발전(주) 취수로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102183334B1 (ko) 2020-03-05 2020-11-26 심영식 용수 조절 게이트
CN117051780A (zh) * 2023-10-07 2023-11-14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适用于旱地农田的高效生态拦截沟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061B1 (ko) * 2016-11-09 2018-01-19 한국중부발전(주) 취수로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KR101747276B1 (ko) * 2016-11-21 2017-06-14 (주)영남콘텍 수문이 구비된 수로관
KR102183334B1 (ko) 2020-03-05 2020-11-26 심영식 용수 조절 게이트
CN117051780A (zh) * 2023-10-07 2023-11-14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适用于旱地农田的高效生态拦截沟渠
CN117051780B (zh) * 2023-10-07 2023-12-29 安徽省农业科学院农业工程研究所 适用于旱地农田的高效生态拦截沟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608B1 (ko)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AU2009214078B2 (en) Heat exchange devices
KR101748159B1 (ko)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20110130709A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KR101372516B1 (ko) 수위 조절을 이용한 토양 급수 시설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CN110184969A (zh) 一种公路防护栏
KR101993639B1 (ko) 우수한 배수성과 장수명을 보장하는 보도블록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1025254B1 (ko) 농업용 배수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CA2270371C (en) A draining gutter
KR20170002655U (ko) 물꼬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KR200450622Y1 (ko)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CN104674750B (zh) 双翻转闸门结构
KR200248973Y1 (ko) 수로관의 용수 유입장치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AU2019202845A1 (en) Overshot gate assembly
KR200471420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200349384Y1 (ko)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CN217104969U (zh) 一种斜压闸门
KR101348310B1 (ko) 레버형 분수문장치
JP7424625B2 (ja) 分水トラフの水門装置
KR200214169Y1 (ko) 비닐하우스 덮개 보조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