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22Y1 -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22Y1
KR200450622Y1 KR2020080006909U KR20080006909U KR200450622Y1 KR 200450622 Y1 KR200450622 Y1 KR 200450622Y1 KR 2020080006909 U KR2020080006909 U KR 2020080006909U KR 20080006909 U KR20080006909 U KR 20080006909U KR 200450622 Y1 KR200450622 Y1 KR 20045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level
hole
water
p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219U (ko
Inventor
신정희
Original Assignee
신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희 filed Critical 신정희
Priority to KR202008000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논둑에 장착되고 논물이 배수되는 배수공 및 배수관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배수공을 개폐하는 조절판을 구비함으로써,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보다 높을 때는 논물이 자동 배수되고,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와 동일할 때에는 논물을 저장할 수 있어 논의 수위 조절이 용이하며,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도 논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벼가 침수되지 않게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조절장치는 수직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논둑에 매립된 배수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논물이 배출되는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및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하우징의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수공을 개폐하는 조절판과,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는 조절판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조절판을 상하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축을 가지는 수위조절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A WATER LEVER APPARATUS OF A RICE FIELD WATER}
본 고안은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논둑에 장착되고 논물이 배수되는 배수공 및 배수관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배수공을 개폐하는 조절판을 구비함으로써,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보다 높을 때는 논물이 자동 배수되고,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와 동일할 때에는 논물을 저장할 수 있어 논의 수위 조절이 용이하며,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도 논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벼가 침수되지 않게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마철 낙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특히, 벼의 경우에는 생육 시기에 따라 적정한 수위를 이루어야만 벼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논의 적정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정성과 노력이 요구된다.
종래 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논둑에 배수관을 매립하여 논의 수위를 조절하였다. 즉, 배수관의 일단은 논의 바닥에 위치시키고 배수관의 타단은 논둑의 외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수관의 일단을 열어 논의 수위를 조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의 일단을 폐쇄하는 마개 등을 열거나 또는 닫으면서 수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일 논에 나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는 논의 주변에 상주하면서 논의 물을 빼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논둑에 장착되고 논물이 배수되는 배수공 및 배수관이 장착되는 하우징과, 배수공을 개폐하는 조절판을 구비함으로써,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보다 높을 때는 논물이 자동 배수되고, 논의 수위가 조절판의 상부와 동일할 때에는 논물을 저장할 수 있어 논의 수위 조절이 용이하며,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에도 논에 직접 나가지 않아도 벼가 침수되지 않게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마철 낙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는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수위 조절장치는;
수직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논둑에 매립된 배수관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논물이 배출되는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및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하우징의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수공을 개폐하는 조절판과,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는 조절판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조절판을 상하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축을 가지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며
조절판의 양측단은 하우징의 타측면 내측에서 배수공의 양측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하우징의 타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하우징의 상부면 상에는 이송축이 관통 체결되는 이송공이 형성되고, 이송공의 내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조절판의 일측면 상에는 이송축의 하부가 끼워지는 브라켓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브라켓에는 이송축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을 관통한 이송축의 하부에는 이송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이탈방지링이 장착되는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위 조절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조절판 및 조절판을 이송시키는 이송축을 가지는 수위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벼의 성장 속도에 맞추어 벼가 침수되지 않을 정도로 조절판을 올리거나 또는 조절판을 내려 용이하게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논의 수위 조절을 위해 배수관의 마개를 일일이 빼내거나 결합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100)는 통상의 논둑에 배치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120)를 구비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수직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논둑에 매립된 배수관(116)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타측면에는 논물이 배출되는 배수공(114)이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공(112)은 논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논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10)에는 수위조절부(120)가 배치된다.
수위조절부(120)는 조절판(122) 및 조절판(122)을 상하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축(124)을 구비한다.
조절판(122)은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하우징(110)의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배수공(114)을 개폐한다. 이때, 조절판(122)의 양측단은 하우징(11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한 쌍의 가이드레일(124)은 하우징(110)의 타측면 내측에서 배수공(114)의 양측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하우징(110)의 타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다.
한편, 이송축(126)은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128)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송축(126)은 하우징(110)의 상부면 상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조절판(122)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하우징(110)의 상부면 상에는 이송축(126)이 관통 체결되는 이송공(130)이 형성되고, 이송공(130)의 내주면 상에는 수나사(128)가 맞물리는 암나사(132)가 형성된다. 또 한 조절판(122)의 일측면 상에는 조절판(122)의 일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이송축(126)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브라켓(13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브라켓(134)에는 이송축(126)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36)이 형성되고, 관통공(136)을 관통한 이송축(126)의 하부에는 이송축(12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이탈 방지링(138)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축(126)의 상부에는 이송축(12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논의 수위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송축(126)을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이송축(126)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조절판(122)은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하우징(110)의 하부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된다. 이와 같이, 조절판(122)이 하우징(110)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면, 논물은 배수공(114) 및 조절판(122)의 상부를 지나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고, 하우징(110) 측으로 유입된 논물을 다시 결합공(112)에 장착된 배수관(116)을 통해 논둑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논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송축(126)을 타측으로 회전시켜 조절판(122)을 하우징(110)의 상부측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면, 조절판(122)의 높이와 맞추어 논물은 다시 저장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110 : 하우징
112 : 결합공 114 : 배수공
116 : 배수관 120 : 수위조절부
122 : 조절판 124 : 가이드레일
126 : 이송축

Claims (3)

  1.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장치(100)는;
    수직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지며, 일측면에는 논둑에 매립된 배수관(116)의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공(112)이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논물이 배출되는 배수공(114)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110); 및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면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배수공(114)을 개폐하는 조절판(122)과,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128)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는 상기 조절판(122)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조절판(122)을 상하로 이송되게 하는 이송축(124)을 가지는 수위조절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판(122)의 양측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면 내측에서 상기 배수공(114)의 양측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이송축(126)이 관통 체결되는 이송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공(130)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수나사(128)가 맞물리는 암나사(132)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판(122)의 일측면 상에는 상기 이송축(126)의 하부가 끼워지는 브라켓(134)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34)에는 상기 이송축(126)의 하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3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36)을 관통한 상기 이송축(126)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축(12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이탈방지링(138)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6909U 2008-05-27 2008-05-27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KR200450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09U KR200450622Y1 (ko) 2008-05-27 2008-05-27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909U KR200450622Y1 (ko) 2008-05-27 2008-05-27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19U KR20090012219U (ko) 2009-12-02
KR200450622Y1 true KR200450622Y1 (ko) 2010-10-18

Family

ID=4447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909U KR200450622Y1 (ko) 2008-05-27 2008-05-27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88B1 (ko) 2016-05-12 2016-12-22 주식회사 창성 논물 수위 조절장치
KR20170004490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030A (ja) * 1995-03-03 1996-09-17 Toyo Chem Co Ltd 排水具
KR200377415Y1 (ko) * 2004-11-03 2005-03-11 주식회사 환금 시트 경사형 수문
KR100828732B1 (ko) 2007-05-15 2008-05-09 (주)세일기계 다단 접철식 수문개폐장치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9-06-09 송종명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030A (ja) * 1995-03-03 1996-09-17 Toyo Chem Co Ltd 排水具
KR200377415Y1 (ko) * 2004-11-03 2005-03-11 주식회사 환금 시트 경사형 수문
KR100828732B1 (ko) 2007-05-15 2008-05-09 (주)세일기계 다단 접철식 수문개폐장치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9-06-09 송종명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90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101688988B1 (ko) 2016-05-12 2016-12-22 주식회사 창성 논물 수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219U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244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CN103850330B (zh) 升降式高度可调溢流板结构
KR200450622Y1 (ko)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KR200429382Y1 (ko)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100757039B1 (ko) 정밀조절이 가능한 계곡수 자동조절장치
US9428888B2 (en) In-ground flushing device
KR101258565B1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CN201933554U (zh) 一种防溢水槽龙头组
KR101184608B1 (ko)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JP2016211203A (ja) 伸縮スライド取手付収納水閘
KR101166372B1 (ko) 자동 어도 장치
KR200192019Y1 (ko) 가축사료공급용 자동급이기
JP2014132851A (ja) 水田用落水量調整装置
CN206429089U (zh) 一种机柜柜门限位装置
KR20150142561A (ko) 논물 수위 조절장치
JP3110832U (ja) 水田用自動水位調整装置
EP1944420B1 (de) Hebeanlage
JP2005113549A (ja) 水田の取水装置
KR101408386B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20170004490A (ko)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9980019301A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automatical water-supply apparatus of agricultural water)
KR200214288Y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