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565B1 -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565B1
KR101258565B1 KR1020110060560A KR20110060560A KR101258565B1 KR 101258565 B1 KR101258565 B1 KR 101258565B1 KR 1020110060560 A KR1020110060560 A KR 1020110060560A KR 20110060560 A KR20110060560 A KR 20110060560A KR 101258565 B1 KR101258565 B1 KR 10125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opening
sewage
control member
clo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80A (ko
Inventor
김준형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환경시설공단
Priority to KR102011006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5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토실에 장착되어서 많은 양의 빗물이 발생되는 우기시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우수토실과 연결된 오수유입관의 오수유입구와 대응되는 개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우수토실의 측벽에 고정핀을 통해서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고정공에 힌지고정핀을 통해서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우기시 상기 오수유입구 및 상기 개공부를 폐쇄하는 개폐제어부재;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유도판; 및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유입구 및 상기 개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가 이동할 때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우기시 많은 양의 빗물이 오수유입관을 통해 맨홀 및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관거 내에서 수압이 상승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수처리장에서 빗물을 포함한 많은 양의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 증대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ainwater inflow mounted to storm overflow chamber}
본 발명은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및 오수의 합류식관거 시설인 우수토실에 장착되어서 우기시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부 제정 하수도시설기준에 있어서는 합류식관거에서 우수 또는 오수유출량의 전량을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는 것이 관거 및 처리장시설의 증대를 초래하여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및 오수 합류식관거 시설인 우수토실(10)을 설치하여 오수로 취급하는 하수량(우천시 계획오수량)이상의 우수는 바로 또는 관거에 의하여 하천, 해역 및 호수 등으로 방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우수토실(10)은 되도록 방류수역 부근에 설치되며 계획양외의 경우에는 충분히 방류될 수 있는 곳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써, 차집관거는 하천, 해역 및 호소 등의 방류지역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토실(10)은 오수유입관(20)을 통해서 맨홀(미도시)과 연결되어 설치되는데, 오수유입관(20)에서의 수압을 고려하여 수위가 평상시 약 1/3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여 계획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오수유입관(20)에서 계획량이 넘어설 경우에는 곧 바로 하천, 해역 및 호수 등으로 방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장마철 등에서와 같이 많은 양의 우수가 발생할 경우에는 오수유입구(22)를 통한 빗물의 많은 양의 유입에 따라 오수유입관(20)에서의 수위상승 및 만관이 되고, 또한 만관으로 인한 고수압이 형성되어 물리적 자연 현상에 의해서 잠금 맨홀 뚜껑이 이탈하거나 노후화된 오수유입관(20)과 우수토실(10)의 연결지점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하수관거 주변의 침하 또는 유실로 시민의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처리장에서는 많은 양의 빗물을 포함한 오수의 전량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거 및 처리장 시설의 증대를 초래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기시 많은 양의 빗물이 오수유입관을 통해 맨홀 및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함으로써 관거 내에서 수압이 상승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수처리장에서 빗물을 포함한 많은 양의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 증대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에 장착되어서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는, 상기 우수토실과 연결된 오수유입관의 오수유입구와 대응되는 개공부를 구비하여 상기 우수토실의 측벽에 고정핀을 통해서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고정공에 힌지고정핀을 통해서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우기시 상기 오수유입구 및 상기 개공부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부재;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유도판; 및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유입구 및 상기 개공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가 이동할 때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개폐제어부재는, 상기 힌지고정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고정핀에 장착되어서 상기 힌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힌지고정링과, 상기 힌지부를 통해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수유입구 및 상기 개공부 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차단판과, 상기 힌지부와 상기 차단판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연결봉에는 나사산을 통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연결봉이 두 개로 분할되도록 하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양측에 구비하여서 두 개로 분할된 상기 연결봉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연결하여 주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지지판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평상시에는 오수유입관으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우기 시에는 역류압력에 의한 상기 차단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크린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유입 제어장치를 우수토실에 장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하수처리 구역의 설치 위치에 따라 우기시 많은 양의 빗물이 발생될 경우에도 항상 일정량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유입관의 만관으로 인한 고수압이 형성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맨홀 뚜껑이 이탈하거나 노후화된 오수유입관과 우수토실의 연결지점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둘째. 오수유입관을 통한 일정량의 오수만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관거 및 처리장 시설을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설 증대를 초래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우수토실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빗물 유입 제어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빗물 유입 제어장치가 우수토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길이조절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빗물 유입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공공하수처리구역에 사용되는 본 발명 빗물 유입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제어장치가 우수토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길이조절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10)에 장착되어서 우기 시에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 유입 제어장치는 지지판(100), 개폐제어부재(200), 이동유도판(300), 이동저지대(400) 및 스크린(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0)은 우수토실(10)과 연결된 오수유입관(20)의 오수유입구(22)와 대응되는 개공부(11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우수토실(10)의 측벽(12)에 볼트 등과 같은 다수 개의 고정핀(130)을 통해서 단단히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00)의 소정위 부위에는 다음에 기술될 힌지고정핀(210) 및 스크린(600)의 일측이 삽설되어 고정되게 하는 고정공(120)들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제어부재(200)는 지지판(100)의 고정공(120)에 힌지고정핀(210)을 통해서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많은 양의 빗물이 발생되는 우기 시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를 폐쇄하여 빗물이 오수유입관(20)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힌지부(220), 힌지고정링(240), 차단판(260) 및 연결봉(2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220)는 힌지고정핀(210)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빗물의 유속에 의해 다음에 기술될 차단판(260) 및 연결봉(280)이 이동되게 한다.
상기 힌지고정링(240)은 힌지고정핀(210)에 꽉 끼어진 상태로 장착되어서 힌지부(220)가 힌지고정핀(210)으로부터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차단판(260)은 힌지부(220)를 통해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서 많은 양의 빗물이 발생되는 우기 시에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를 막아 빗물이 오수유입관(20)을 통한 하수처리장으로의 유입을 차단하여 우수의 만관에 의한 고수압의 형성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260)의 면적은 빗물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해서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 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28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서 힌지부(220)와 차단판(260)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280)은 차단판(260)이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게 하기 위해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봉(28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을 통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재(500)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500)는, 연결봉(280)이 두 개로 분할되도록 하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숫나사부(510)와, 상기 숫나사부(510)와 체결되는 암나사부(미도시)를 양측에 구비하여서 두 개로 분할된 연결봉(28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연결하여 주는 연결편(5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편(520)이나 하측의 연결봉(280)을 통해서 연결봉(280)의 길이 또는 차단판(26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유도판(300)은 개폐제어부재(200)의 전방에, 즉 차단판(260)의 전방에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통해 개폐제어부재(200)의 차단판(260)의 이동을 개공부(11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저지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제어부재(200)의 후방, 즉 차단판(260)의 후방에 설치되고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을 통해 개폐제어부재(200)가 이동할 때의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동저지대(400)는 차단판(260)이 빗물의 유속을 통해서 이동할 때 개공부(110)를 차단하여 오수유입관(20)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서, 차단판(260)이 개공부(110)를 지나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600)은 지지판(100)의 고정공(120)에 고정 설치되어서 개폐제어부재(200)의 이동을 안내하고, 평상 시에는 오수유입관(20)으로 오수에 섞인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우기 시에는 오수유입관(20)의 만관에 따른 역류압력에 의한 차단판(2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유입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마철과 같은 우기 시에는 많은 양의 빗물이 발생되어 우수박스를 통해서 흘러내려가고, 동시에 흘러내리는 빗물은 우수토실(10) 쪽으로 유입된다(도 5 참조).
상기 우수토실(10)로 유입된 빗물은 그 양이 많아지고 점점 수위가 높아져서 오수유입구(22)와 차단판(260)에 설치된 이동유도판(300) 까지 이르게 된다.
빗물이 상기 이동유도판(300)에 이르게 되면 그의 유속에 의해 차단판(260)이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 쪽으로 이동하여 그들을 제어하게 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상기 차단판(260)은 우수토실(10)로 더 많은 빗물의 유입이 발생될 때 오수유입구(22) 및 개공부(110)를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오수유입관(22)의 만관 현상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수압상승에 의한 역류압력 발생을 방지하고 아울러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경우는 차단판(260)이 오수유입구(22)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하단 일부를 열어둘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공공하수처리구역의 경우는 항상 일정량의 수량이 유입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우수토실 12: 측벽
20: 오수유입관 22: 오수유입구
100: 지지판 110: 개공부
120: 고정공 130: 고정핀
200: 개폐제어부재 210: 힌지고정핀
220: 힌지부 240: 힌지고정링
260: 차단판 280: 연결봉
300: 이동유도판 400: 이동저지대
500: 길이조절부재 510: 숫나사부
520: 연결편 600: 스크린

Claims (3)

  1. 우수토실에 장착되어서 하수처리장으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 유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10)과 연결된 오수유입관(20)의 오수유입구(22)와 대응되는 개공부(110)를 구비하여 상기 우수토실(10)의 측벽(12)에 고정핀(130)을 통해서 설치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의 고정공(120)에 힌지고정핀(210)을 통해서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우기시 상기 오수유입구(22) 및 상기 개공부(110)를 폐쇄하는 개폐제어부재(200);
    상기 개폐제어부재(200)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의 유속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유도판(300); 및
    상기 개폐제어부재(20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오수유입구(22) 및 상기 개공부(11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우기시 빗물을 통해 상기 개폐제어부재(200)가 이동할 때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저지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제어부재(200)는,
    상기 힌지고정핀(210)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220)와,
    상기 힌지고정핀(210)에 장착되어서 상기 힌지부(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힌지고정링(240)과,
    상기 힌지부(220)를 통해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수유입구(22) 및 상기 개공부(110) 보다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차단판(260)과,
    상기 힌지부(220)와 상기 차단판(260)을 연결시켜주는 연결봉(2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개폐제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고, 평상 시에는 상기 오수유입관(20)으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우기 시에는 역류압력에 의한 차단판(2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크린(60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KR1020110060560A 2011-06-22 2011-06-22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KR10125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0A KR101258565B1 (ko) 2011-06-22 2011-06-22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0A KR101258565B1 (ko) 2011-06-22 2011-06-22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80A KR20130000080A (ko) 2013-01-02
KR101258565B1 true KR101258565B1 (ko) 2013-05-02

Family

ID=4783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60A KR101258565B1 (ko) 2011-06-22 2011-06-22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34B1 (ko) 2013-12-27 2020-08-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탄소-메탈 복합체의 제조방법
CN104179242B (zh) * 2014-08-21 2016-03-02 北京泰宁科创雨水利用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型雨水沟和雨水综合利用系统
KR101999059B1 (ko) * 2018-04-23 2019-07-10 김현숙 우수토실용 벽체 플레이트 조립체
KR102153821B1 (ko) * 2019-04-11 2020-09-08 김현숙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CN111021503A (zh) * 2019-12-25 2020-04-17 江苏惠生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方便清理截留渣质的一体化智能弃流井
CN117027135A (zh) * 2023-07-18 2023-11-10 珠海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雨污收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80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565B1 (ko) 우수토실에 장착된 빗물 유입 제어장치
JPH06510097A (ja) 堰止め能力を有する屋根および平面から降水或いは雨水を遅延して排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10820906A (zh) 一种截流井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CN205421517U (zh) 一种带有拦渣和电控限流功能的防倒灌智慧截流井
KR101563110B1 (ko) 수문
JP6132141B2 (ja)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KR101007019B1 (ko)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US20080008532A1 (en) Anti-flooding device for the exploitation of water energy
JP2016079661A (ja) 汚水桝の逆流防止装置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1674417B1 (ko)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배수장치
CN211621906U (zh) 一种截流井
KR101272581B1 (ko) 유입조, 우수 유입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유출 저감 시스템
KR101797469B1 (ko)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200420774Y1 (ko) 높이조절구조를 갖는 오수받이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GB2397538A (en) Filtration apparatus with automatic backflush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101393026B1 (ko) 유압식 가동 수문
CN218597310U (zh) 一种具备调流及防倒灌功能的智慧截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