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657B1 -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657B1
KR100901657B1 KR1020070083153A KR20070083153A KR100901657B1 KR 100901657 B1 KR100901657 B1 KR 100901657B1 KR 1020070083153 A KR1020070083153 A KR 1020070083153A KR 20070083153 A KR20070083153 A KR 20070083153A KR 100901657 B1 KR100901657 B1 KR 10090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plate
level control
filter plat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040A (ko
Inventor
송종명
Original Assignee
송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명 filed Critical 송종명
Priority to KR102007008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6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생물체를 이용한 친환경 농법이 적용된 논의 물꼬에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생물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그물망을 구조의 거름판과, 상기 거름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관로 개방량을 조절하는 수위 조절판과, 상기 수위 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거름판과 반대되는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관형상의 포집통이 구비된 배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친환경 농법의 일환으로 논에 방사된 우렁이나 미꾸라지와 같은 생물체가 물꼬를 통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논에 방사된 생물체(미꾸라지, 우렁이 등)의 개체 수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잡초 및 유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환경부하의 경감과 농작물에 대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친환경, 우렁이, 미꾸라지, 물꼬, 조절

Description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for water level for a sluice gate of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s}
본 발명은 우렁이나 미꾸라지와 같은 생물을 이용하여 제초나 해충을 퇴치하는 친환경 농법이 적용된 논의 물꼬에 설치되는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꼬의 높이 조절을 간편하게 실시함과 동시에 원 거리에서도 물꼬의 높이 조절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논에 방사된 우렁이나 미꾸라지와 같은 생물체가 물꼬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작은 크기의 생물체는 별도로 포집하여 재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개체 수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 농업이란 농약의 안전사용기준과 작물별 시비기준량의 준수, 적절한 가축사료 첨가제 사용 등 화학자재 사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축산분뇨의 적절한 처리 및 재활용 등을 통하여 환경을 보전하고 안전한 농축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을 말하는데 자연농업, 유기농업 등은 환경 농업의 하나의 수단이며, 천적과 생물학적 기술의 통합이용 및 윤작, 간작, 두과식물 등 흙의 자연력을 배양하고 농업환경에 오염을 줄이는 환경 친화적인 모든 영농활동을 환경 농업이라 정의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토양은 원래 중성을 유지하여 왔던 것이나, 계속적인 화학비료의 과다살포로 토양의 산성화가 날이 갈수록 심해져 유기물 분해균의 숫자가 감소하여 토양의 물질분해 능력이 떨어지므로 농작물이 영양을 섭취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어 비료성분의 유실이 많고, 또 더욱 중요한 것은 생태계의 파괴문제로써 토양의 강산성화는 수질의 산성화를 초래하여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파괴되어 환경을 자연 그대로 보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특히, 화학비료를 사용함에 따라 퇴비의 사용량이 감소되어 토양의 유기물 자체의 함량 부족뿐 아니라, 토양의 공극 형성에 의한 통기성이나 보수성이 약화되면서 흙이 단단히 굳어져 식물의 뿌리가 뻗어갈 수 없어 생육부진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물에 흡수되지 못한 화학비료 성분은 강으로, 호수로, 바다로 흘러들어 물속에 양분이 많아지는 부영양화 현상을 초래하여 수질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아울러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정 성질을 개량시키는 다양한 생물(지내, 거미, 개미 등 곤충과 지렁이, 선충, 원생동물 등 미생물)이 멸살되어 결과적으로 농약의 독성이 토양과 농작물에 흡수 축적되어 자연생태계를 교란시킬 뿐만 아니라 유독식물을 생산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친환경 농법이 적용된 논에서의 수위 조절시 미꾸라지나 우렁이와 같은 생물체가 물꼬를 통해 인근 논으로 이동하거나 방류되는 것을 차단하여 개체 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는, 생물체를 이용한 친환경 농법이 적용된 논의 물꼬에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생물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그물망을 구조의 거름판과, 상기 거름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관로 개방량을 조절하는 수위 조절판과, 상기 수위 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거름판과 반대되는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관형상의 포집통이 구비된 배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위 조절판의 높이 조절을 위해 내벽면에 수위 조절판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슬라이드홈에는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 조절판은 일측에 상기 위치 결정홈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위치 고정되는 탄성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거름판과 수위 조절판 그리고 배수판이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리 또는 이동될 수 있게 이들 거름판과 수위조절판 그리고 배수판이 슬라이드 끼움 구조로 구비되도록 각각의 위치 내벽면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땅에 매립 고정될 수 있게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판재형의 플랜지 또는 등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길이재의 포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플랜지와 포스트가 위치 간섭되지 않게 모두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배수판은 중앙에 일측으로 돌출된 관형상의 포집통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집통은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망사로 된 미세 거름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 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는, 논의 물꼬에 설치되어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수위 조절을 실시할 수 있어 종전에 흙이나 잡석이 채워진 여러 개의 자루를 이용하여 물꼬를 막거나 터주던 방식에 비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꼬의 위치를 바꾸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수위 조절판의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됨에 따라 배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 수위 조절판의 상승된 높이를 통해 배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친환경 농법의 일환으로 논에 방사된 우렁이나 미꾸라지와 같은 생물체가 물꼬를 통해 방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논에 방사된 생물체(미꾸라지, 우렁이 등)의 개체 수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잡초 및 유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환경부하의 경감과 농작물에 대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에서 포집캡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1)는 논의 물꼬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친환용 농법에 이용되는 생물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그물 철망을 구비하는 거름판(20)과, 상기 거름판(20)의 일측으로 케이스(10)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위 조절판(30) 그리고 상기 수위 조절판(30)의 일측으로 상기 거름판(20)을 통과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생물체를 포집하면서 동시에 관로의 완전 개방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집통(45)이 형성된 배수판(4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판재형의 금속부재를 굽힘 또는 용접으로 접합 가공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11), 이 바닥판(11)의 양측에 수직하게 직립된 형태로 구비되는 한쌍 의 측판(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외측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 대상 농지 즉, 물꼬가 형성된 논두렁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땅에 매립되는 플랜지(10f)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상기 플랜지(10f)는 상기 케이스(1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등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안정된 설치를 위하여 플랜지(10f)가 형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10p)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안한다. 또한, 상술한 플랜지(10f)와 포스트(10p)를 혼용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케이스(10)는 필요시 상부면을 차폐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상판을 부가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거름판(20)은 상술한 케이스(10)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친환경 농법에 사용되는 우렁이나 미꾸라지 등과 같은 생물체가 물꼬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망 형태, 바람직하게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소재로 된 철망이 사용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망을 구비하며, 이 망이 평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각 틀로 된 프레임으로 고정한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거름판(20)의 제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거름판(20)은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슬라이드홈(14)을 설치 하고, 상기 거름판(20)을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4) 상측에서 슬라이드 끼움 구조로 구비시키는 형태로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14)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름판(20)의 두께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양 측판(13)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바닥판(11)에도 형성되는 것이다.
수위 조절판(30)은 상기 거름판(20)의 일측 즉,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0)를 구획하여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키도록 설치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이러한 수위 조절판(3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해당 논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슬라이드홈(15)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드홈(15)에 상기 수위 조절판(30)이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 조절판(30)과 슬라이드홈(15)은 어느 정도의 마찰을 갖도록 마찰 끼움구조로 구비하거나 또는 상호 마찰면에 표면을 불규칙하게 가공하거나 또는 천, 부직포, 고무재 등의 마찰재를 덧대어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15)에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일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위치 결정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15)에 슬라이드 끼움된 수위 조절판(30)은 상기 위치 결정홈(15a)에 탄력적으로 끼움되게 완만한 곡면을 갖는 탄성 걸림편(31)이 구비된다. 이때의 상 기 탄성 걸림편(31)은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벤딩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밴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양단은 상기 수위 조절판(30)의 일측에 나사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수위 조절판(30)은 사용자가 수위 조절판(30)을 상측으로 잡아 당기거나 또는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수위 조절판(30)의 일측에 구비된 탄성 걸림편(31)이 상기 슬라이드홈(15) 상에서는 탄성 변형되고, 상기 위치 결정홈(15a)에 위치될 때에는 탄성 복원되는 것에 의해 걸림력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배수판(40)은 상술한 수위 조절판(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거름판(20)과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6)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배수판(4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시킨 이유는, 장마나 폭우로 인하여 논의 수위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경우 수위 조절판(30)과 함께 케이스(10)내에서 분리되게 하여 신속한 배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배수판(40)은 상기 수위 조절판(30)을 통과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면서 상기 거름판(20)을 통과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미꾸라지나 우러이 등의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통(45)이 연결 설치된다. 이때의 상기 포집통(45)은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비되며 중앙부분에 망을 구비한 포집캡(46)에 의해 커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캡(46)에 사용되는 망은 상기 거름판(20)을 구성하는 망의 눈목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눈목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거름판(20)을 통과한 생물체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집캡(46)은 필요시 상기 포집통(45)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포집캡(46)의 상·하단에 관통구멍(46b)과 끼움구멍(46a)을 각각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포집통(45)은 하단부에 걸림돌기(45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구멍(46a)에 끼워 맞춤될 수 있게 하고 상단부에는 상기 관통구멍(46b)과 일치되는 위치에 나사홀(미부호)을 형성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부재(45b)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외에도 상기 포집캡(46)의 내주면과 포집통(45)의 외주면에 나사선을 가공하여 상호 나사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포집캡(46)을 상기 배수판(40)의 중앙부분에 구비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포집캡(46)의 위치는 적정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포집캡(46)을 배수판(4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나사체결 구조로 구비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거름판(20)과 수위 조절판(30) 그리고 배수판(40)의 상측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0h)를 부가 구성하여 용이하게 분리 또는 높이 조절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이용한 수위 조절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위 조절판(30)이 상기 케이스(10)내에서 완전하게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관로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위 조절판(30)을 상측으로 임의의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잡아당기면, 상기 수위 조절판(30)이 슬라이드홈(15)을 따라 상승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수위 조절판(30)은 슬라이드홈(15)에 마찰 끼움구조로 구비되거나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홈(15a)과 탄성 걸림편(31)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한편, 상기 수위 조절판(30)이 방류를 위해 상승 이동된 상태에서는 논 내에 있는 우렁이나 미꾸라지가 물과 함께 물꼬를 통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수위 조절판(30)의 앞쪽에 배치된 그물망을 구비한 거름판(20)에 의해 비교적 크기가 큰 생물체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어서, 상기 거름판(20)을 통과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우렁이나 미꾸라지는 상기 수위 조절판(30)의 후방측에 위치한 배수판(40)에 설치된 포집통(45)에 포집되므로 사용자(농부)는 정기적으로 포집망(45)을 분리하여 해당 논에 포집된 생물체를 해당 논에 방사시키면 된다.
따라서, 친환경 농법에 의해 우렁이나 미꾸라지 등과 같은 생물체가 방사된 논에서의 안정된 수위 조절이 가능하면서 생물체가 인근 논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 개체 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에서 포집캡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위 조절장치 10 : 케이스
10h : 손잡이 10f : 플랜지
10p : 포스트 11 : 바닥판
13 : 측판 14, 15,16 : 슬라이드홈
15a : 위치 결정홈 20 : 거름판
30 : 수위 조절판 31 : 탄성 걸림편
40 : 배수판 45 : 포집통
45a : 걸림돌기 45b : 나사부재
46 : 포집캡 46a : 끼움구멍
46b : 관통구멍

Claims (6)

  1. 생물체를 이용한 친환경 농법이 적용된 논의 물꼬에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장치에 있어서,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관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생물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망을 구비한 거름판과;
    상기 거름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의해 관로 개방량을 조절하는 수위 조절판과;
    상기 수위 조절판을 사이에 두고 거름판과 반대되는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관형상의 포집통이 구비된 배수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위 조절판의 높이 조절을 위해 내벽면에 수위 조절판이 슬라이드 이동되게 끼움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수직하게 형성된 슬라이드홈에는 등간격을 두고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위 조절판은 일측에 상기 위치 결정홈에 탄력적으로 끼움되어 위치 고정되는 탄성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거름판과 수위 조절판 그리고 배수판이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리 또는 이동될 수 있게 이들 거름판과 수위조절판 그리고 배수판이 슬라이드 끼움 구조로 구비되도록 각각의 위치 내벽면에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땅에 매립 고정될 수 있게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판재형의 플랜지 또는 등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길이재의 포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플랜지와 포스트가 위치 간섭되지 않게 모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은 중앙에 일측으로 돌출된 관형상의 포집통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집통은 상기 거름판을 통과한 생물체를 포집하기 위한 망사로 된 미세 거름판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판과 수위 조절판 그리고 배수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측면에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KR1020070083153A 2007-08-20 2007-08-20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KR10090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53A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7-08-20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153A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7-08-20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40A KR20090019040A (ko) 2009-02-25
KR100901657B1 true KR100901657B1 (ko) 2009-06-09

Family

ID=4068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153A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7-08-20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6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22Y1 (ko) 2008-05-27 2010-10-18 신정희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KR101247746B1 (ko) 2011-07-29 2013-03-27 강훈이 수위 조절 장치
KR101436576B1 (ko) 2013-03-15 2014-09-01 주식회사 한림 콘크리트 조립 물꼬
KR101723032B1 (ko) 2016-05-19 2017-04-04 박종세 다목적 물꼬
KR101980858B1 (ko) * 2018-10-24 2019-05-23 (주)지금강이엔지 각도조절형 엘보우관을 갖는 물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80B1 (ko) * 2011-09-06 2012-04-18 김용원 논물 수위조절장치
KR200481598Y1 (ko) * 2014-11-13 2016-10-19 대한민국 친환경 배수 물꼬
CN108046432A (zh) * 2017-12-29 2018-05-18 天津齐康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低能耗自回流型膜生物反应器
CN110438955B (zh) * 2019-09-19 2021-03-23 保定沃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利灌溉闸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807U (ko) 1977-07-21 1979-02-16
KR200145420Y1 (ko) 1995-06-02 1999-06-15 윤성식 플라스틱 물꼬
KR200163449Y1 (ko) 1999-03-10 2000-02-15 유상호 급수용논물막이
KR200364468Y1 (ko) 2004-07-16 2004-10-19 김천주 물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807U (ko) 1977-07-21 1979-02-16
KR200145420Y1 (ko) 1995-06-02 1999-06-15 윤성식 플라스틱 물꼬
KR200163449Y1 (ko) 1999-03-10 2000-02-15 유상호 급수용논물막이
KR200364468Y1 (ko) 2004-07-16 2004-10-19 김천주 물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22Y1 (ko) 2008-05-27 2010-10-18 신정희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KR101247746B1 (ko) 2011-07-29 2013-03-27 강훈이 수위 조절 장치
KR101436576B1 (ko) 2013-03-15 2014-09-01 주식회사 한림 콘크리트 조립 물꼬
KR101723032B1 (ko) 2016-05-19 2017-04-04 박종세 다목적 물꼬
KR101980858B1 (ko) * 2018-10-24 2019-05-23 (주)지금강이엔지 각도조절형 엘보우관을 갖는 물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40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657B1 (ko)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WO2018140217A1 (en) Segregated hydroponic assembly
CN105417717A (zh) 一种组合结构生态浮岛
KR100922626B1 (ko) 경사 조정수단을 구비한 친환경 생태 이동통로
KR101337819B1 (ko)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KR20090016830A (ko)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JP2004065038A (ja) 水位調節装置
KR101820067B1 (ko) 논수위 확인장치
KR20060081452A (ko) 생태복원 수로관
CN205865373U (zh) 一种鸭稻共作系统
DE202021101502U1 (de) System zur Verbesserung und/oder Aufrechterhaltung der Wasserqualität von Gewässern
CN108301442A (zh) 一种绿化井
RU63315U1 (ru) Рифовый модуль
KR20070050814A (ko) 다슬기 양식조
CN108217963B (zh) 一种河流用水体净化稳固漂浮床
CN208549175U (zh) 一种水稻田埂盖板及连接件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0675811B1 (ko) 수생식물 재배 장치
CN212368185U (zh) 一种有机基质栽培结构
DE2532523C3 (de) Vorrichtung zum Fangen von Bisamratten und artverwandten Tieren
CN210406729U (zh) 一种海水养殖育苗生产换水装置
CN109105040A (zh) 一种用于浅水湖泊的莲藕种植方法
CN110710351B (zh) 一种耕种装置
CN105076037A (zh) 诱捕弹涂鱼坛子笼具
EP1479289B1 (de) Vorrichtung zur Grabbeetbewässe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