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468Y1 - 물꼬 - Google Patents

물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468Y1
KR200364468Y1 KR20-2004-0020406U KR20040020406U KR200364468Y1 KR 200364468 Y1 KR200364468 Y1 KR 200364468Y1 KR 20040020406 U KR20040020406 U KR 20040020406U KR 200364468 Y1 KR200364468 Y1 KR 200364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main body
insertion groove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주
Original Assignee
김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주 filed Critical 김천주
Priority to KR20-2004-0020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논이나 밭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단속하기 위한 물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식 및 수경 재배시 물의 단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물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물꼬는 통체 형상으로 논의 안쪽을 향한 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의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수위조절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 상기 본체의 판 삽입홈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의 중단에 형성된 배수공과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관과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판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수위조절판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물꼬{an irrigation gate}
본 고안은 물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답식은 물론 수경식 논에서 수위 및 배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물꼬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논의 외부로부터 불필요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구조를 갖는 물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논과 같이 농업용수를 저장한 상태에서 작물이 길러지는 공간은 물을 가두어 두기 위한 둑이 형성되어 있고 저장된 용수의 출입을 단속하기 위한 물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물꼬는 일반적으로 둑의 일부를 홈으로 파서 형성한 후 용수의 수위에 따라 홈을 막거나 파서 용수의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경지 정리가 이루어지고 둑이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짐에 따라 물꼬를 관리하는 데 불편이 있었으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물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물꼬는 단순하게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판 등을 착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논의 상태 즉, 경작지를 수경으로 사용하는가 건답식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물꼬의 높이가 달라져야함에도 불구하고 수위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경식으로 사용되는 경작지에 설치하였을 경우 건답식으로 사용할 때 두둑과 두둑 사이의 고랑을 따라 흐르는 물이 물꼬를 넘지 못하고 경작지의 내부에 저장되어 건답식으로 재배되는 농작물이 용수에 묻히어 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물꼬는 수로로부터 경작지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수로의 용수의 수유가 높으면 용수가 역류하여 경작지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이 용수에 묻히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작지를 수경식은 물론 건답식으로 사용할 때에도 수위의 조절이 용이한 물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로와 경작지의 높이가 유사한 지역에서 사용시 수로에 흐르는 용수가 경작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꼬를 수경식으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를 건답식으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판 삽입홈
11a : 수위조절판 삽입홈 11b : 하부폐쇄판 삽입홈
11c : 밀림방지턱
12 : 역류방지판 삽입홈 13 : 보강판
20 : 배수관 21 : 역류방지판
31 : 하부폐쇄판 32 : 수위조절판
33 : 역류방지판 40 : 뚜껑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경작지의 둑에 설치되어 경작지 내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물꼬에 있어서, 통체 형상으로 논의 안쪽을 향한 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의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수위조절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 상기 본체의 판 삽입홈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의 중단에 형성된 배수공과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관과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판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수위조절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일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꼬를 수경식으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꼬를 건답식으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꼬는 본체(10)와 배수관(20) 및 하나 이상의 수위조절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통체의 일측 즉, 경작지의 내부를 향한 면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부분의 서로 대향되는 면의 안쪽 면에 각각 수위조절판이 끼워지는 판 삽입홈(11)을 길게 형성하여 구성되며, 일측에는 배수관(20)이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판 삽입홈(1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위조절판(32)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으며, 그 폭은 수위조절판(32)과 동일하여 수위조절판(32)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이는 쉽게 상하로 이동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기 판 삽입홈(11)은 상부의 수위조절판 삽입홈(11b)과 하부의 하부폐쇄판 삽입홈(11a)이 연속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 삽입홈(11b)은 수위조절판(32)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고, 하부폐쇄판 삽입홈(11a)은 수위조절판(32) 두께의 2배의 폭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판 삽입홈(11)을 서로 폭이 다른 수위조절판 삽입홈(11b)과 하부폐쇄판 삽입홈(11a)이 연속되게 구성함으로서 하부폐쇄판 삽입홈(11a)에 끼워진 하부폐쇄판(3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20)측으로 밀리고, 수위조절판(32)이 그 전면에 남아 있는 홈 부분과 그 상부의 수위조절판 삽입홈(11b)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폐쇄판 삽입홈(11a)의 하단에는 하부폐쇄판(31)의 하단이 외부의 토압에 의해 밀려 수위조절판(3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림방지턱(11c)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폐쇄판(31)과 수위조절판(32)을 모두 사용할 경우는 경작지를 수경식으로 즉, 벼 등과 같이 수경 재배시 농업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이고, 보리나 밀 등과 같이 건답식으로 경작지를 이용할 때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판(32)은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부폐쇄판(31)을 위로 밀어 올려 두둑 사이의 고랑에 고여 있는 용수가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즉, 건답식으로 경작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경작지의 바닥에 물이 고여 있으면 작물이 손상됨으로 경작지가 물에 잠기지 않아야 하며, 이렇게 경작지의 흙이 물에 잠기지 않으나 소정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는 두둑 사이에 형성된 고랑에 적정량의 용수가 저장되어 있거나 완전히 배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경작지의 고랑은 두둑을 비롯한 다른 부분보다 움푹 파인 상태이고,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는 수경식으로 경작지를 사용할 때 보다 낮게 위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판(32)은 제거하고 고랑의 높이를 배수관(20)이 연통되게 연결된 본체(10)의 배수구와 같은 높이로 형성하며, 하부폐쇄판(31)을 개방하여 고랑에 저장되는 용수가 완전히 배출되게 하거나 용수의 양을 조절한다.
보리나 밀 등과 같은 작물의 경우에는 고랑의 물을 완전히 배출되게 하고, 딸기나 수박, 참외 등과 같이 수분의 공급을 요하는 작물의 경우 선택적으로 고랑에 물이 고여있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랑의 높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경작지를 준비할 때 고랑은 다른 부분보다 낮게 파서 형성함으로서 당연하게 배수구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의 배수관(20)이 결합된 면의 내측에는 상기 수위조절판 삽입홈(11b)과 동일한 폭을 갖는 역류방지판 삽입홈(12)을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역류방지판 삽입홈(12)에는 역류방지판(33)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판(33)은 수로의 용수가 경작지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후술하는 역류방지판(21)의 손상되었을 때 사용될 수 있는 보조 수단이다.
상기 배수관(20)은 도 1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연통되게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20)의 단부 즉, 본체(1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역류방지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류방지판(21)은 수로로부터 경작지의 내부로 용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류방지판(21)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배수관(20)의 유로를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하단이 회동될 수 있다.
즉, 배수관(20)의 단부를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중심으로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며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위쪽에 힌지핀을 설치하고 역류방지판(21)을 힌지 고정시켜 경작지의 용수가 배출될 때에는 역류방지판(21)의 하단이 용수에 의해 들어 올려져 유로가 개방되고 수로의 용수가 경작지의 내부로 유입되려하면 역류방지판(21)이 수압에 의해 배수관(20)의 단부에 밀착되어 수로의 용수가 경작지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40)이 더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에 흙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하부폐쇄판(31), 수위조절판(32) 및 역류방지판(33)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체로서 그 일측에는 홈을 형성함으로서 판(31, 32, 33)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把持)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하고 각 도 면에서는 본체는 일측이 개방된 사각 통체이고, 배수관은 원통형 통체로 형성한 것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그 형상이 이러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변형된 다른 예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의 하단은 흙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물꼬는 경작지를 건답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하부폐쇄판을 수위조절 수단으로 사용하여 고랑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고랑의 물을 완전히 배출되게 할 수 있고, 수경식으로 사용할 때에는 경작지에 저장되는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부폐쇄판은 하부폐쇄판 삽입홈에 고정시킨 후 수위조절판만을 상하로 이동시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경작지의 용도에 따라 수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역류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어 수로의 수위가 높아져도 용수가 경작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8)

  1. 경작지의 둑에 설치되어 경작지 내에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물꼬에 있어서,
    통체 형상으로 논의 안쪽을 향한 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의 단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각각 수위조절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
    상기 본체의 판 삽입홈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의 중단에 형성된 배수공과 연통되게 설치된 배수관과 ;
    상기 본체에 형성된 판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수위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단부에는 수로로부터 용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데 역류방지판의 상단이 힌지고정되어 하단이 상단을 회전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수위조절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홈은 수위조절판의 두께와 동일한 폭을 갖고, 두 개의 수위조절판이 서로 연속되게 끼워질 수 있는 높이를 갖으며, 하부에는 수위조절판이 겹쳐지게 끼워질 수 있도록 수위조절판 두께의 2배의 폭을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면의 내부에는 판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판 삽입홈에는 착탈 가능하게 역류방지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면의 내부에는 판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판 삽입홈에는 착탈 가능하게 역류방지판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뚜껑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뚜껑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착탈 가능하게 뚜껑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꼬.
KR20-2004-0020406U 2004-07-16 2004-07-16 물꼬 KR200364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06U KR200364468Y1 (ko) 2004-07-16 2004-07-16 물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406U KR200364468Y1 (ko) 2004-07-16 2004-07-16 물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468Y1 true KR200364468Y1 (ko) 2004-10-19

Family

ID=4943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406U KR200364468Y1 (ko) 2004-07-16 2004-07-16 물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4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9-06-09 송종명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KR200465237Y1 (ko) 2010-03-03 2013-02-07 주식회사 남진농기 급수용 논물막이
KR20200021348A (ko) *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657B1 (ko) 2007-08-20 2009-06-09 송종명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KR200465237Y1 (ko) 2010-03-03 2013-02-07 주식회사 남진농기 급수용 논물막이
KR20200021348A (ko) *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2159375B1 (ko) * 2018-08-20 2020-09-23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244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KR200364468Y1 (ko) 물꼬
KR100994358B1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US20080219769A1 (en) Root-irrigation pipe and root-irrigation system
CN205688414U (zh) 连接方便简易耐用塑料水渠
JP4134070B2 (ja) 地下灌漑排水用暗渠装置
KR19990001639U (ko) 물꼬
CN207714282U (zh) 白三叶种植田地的排水结构
CN110810208B (zh) 一种用于水土流失的阻控装置
KR100655420B1 (ko) 수로를 가진 식생블럭
KR200454153Y1 (ko) 역류 방지 및 수량 조절기능이 구비된 물꼬
KR200465237Y1 (ko) 급수용 논물막이
KR200250952Y1 (ko) 친환경 수로관
KR200349384Y1 (ko)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JPH0156208B2 (ko)
KR101271148B1 (ko) 생태형 농수로 조립블록
US9689132B2 (en) Permanent drainage ditch adapted to improve yield from farmland
JPH0156207B2 (ko)
KR19990028126U (ko) 물꼬
JP4074460B2 (ja) 耕作地の用水給排水制御ユニット
CN213603550U (zh) 一种鱼、青蛙、水稻种植生态共养系统
KR102074623B1 (ko)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CN218163709U (zh) 一种便于排水的骨碎补培育和种植用放置盒
KR100814275B1 (ko) 초근(草根)보호구조를 갖는 식생용 호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