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384Y1 -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384Y1
KR200349384Y1 KR20-2004-0000424U KR20040000424U KR200349384Y1 KR 200349384 Y1 KR200349384 Y1 KR 200349384Y1 KR 20040000424 U KR20040000424 U KR 20040000424U KR 200349384 Y1 KR200349384 Y1 KR 200349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pening
irrigation canal
agricultural wat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규
석기종
Original Assignee
이청규
석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규, 석기종 filed Critical 이청규
Priority to KR20-2004-000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관개수로와 논을 구획하는 두렁에 형성되어 관개수로로부터 농업용수를 논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취수구를 여닫는 개폐패널에 관한 것으로,
취수구의 입구 측(관개수로 측)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소에는 취수구를 폐쇄하여 관개수로로부터 농업용수가 논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다가 농업용수를 논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개방 작동시켜 취수구의 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관개수로를 차단, 농업용수의 흐름을 제한하여 농업용수가 논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두렁의 측벽에 힌지 연결된 개폐패널을 개폐함으로써 취수구를 통한 농업용수의 공급 여부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농업용수 공급 시 농업용수의 유입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intake of irrigation canal}
본 고안은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구를 통해 농업용수의 공급 여부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고, 농업용수 공급 시 물 유입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한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농작물 생육의 안전을 기하고 농업경영의 합리화를 위해 논에는 농업용수를 체계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때문에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논(1)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2)가 형성되고, 논(1)과 관개수로(2)를 구획하는 두렁(3)의 적소 적소에는 관개수로(2)로부터 논(1)으로 농업용수가 흘러 들어오게 하기 위한 취수구(4)가 형성된다.
그러나 근래 효과적인 농업경영을 위해 바둑판 모양으로 경지정리를 시행한 두렁에 형성된 취수구는 관개수로와 수직을 이루기 마련이므로 막상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자 하더라도 농업용수의 흐름을 취수구로 전환시킬 수 없어 그 대부분이 미처 취수구로 유입되지 못하고 취수구를 지나 그대로 관개수로를 따라 흘러가 버림에 따라 농업용수의 막대한 낭비가 초래되고, 농업용수 공급에 많은 시간이 허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현장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평소 취수구의 입구를 모래주머니 등으로 막아 두었다가 이를 논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걷어내고, 이 걷어낸 모래주머니 등을 관개수로 내 일정 지점에 쌓음으로써 농업용수의 흐름을 차단, 농업용수가 취수구로 보다 쉽게 유입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그 방식 자체가 원시적이라 사용이 대단히 번거롭고, 모래주머니 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사후관리 소홀로 이들이 분실되거나 손상되어 정작 필요할 때에는 새 것을 마련해야 했으며, 분실되거나 손상된 모래주머니 등이 여기저기 흩어져 두렁을 어지럽히거나 관개수로의 곳곳을 막아 불필요하게 농업용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관개시설 관리 측은 주기적으로 방치된 모래주머니 등을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원을 고용해야만 했었고, 때문에 시간상 혹은 예산상 여러 손실을 감수해야만 했었다.
한편 취수구 개폐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취수구의 입구에 상하로 개폐되는 수문을 설치한 취수구 개폐구조가 제안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취수구 개폐구조는 수문으로 인해 농업용수 유입량 조절과 분실예방이 가능하기는 하나 도 1, 2와 같이 농업용수의 흐름을 취수구로 전환하는 기능이 없어 이에 따른 문제점을 갖고 있는 한편 수문 설치를 위한 작업 자체가 어렵고 복잡하여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소에는 취수구를 폐쇄하고 있다가 취수구가 개방되게 작동시켰을 때에는 관개수로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된 개폐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취수구를 간편히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농업용수가 취수구로 신속히 유입되게 유도할 수 있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관개시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로크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구조의 응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논 12 : 관개수로
13 : 두렁 14 : 취수구
20 : 취수구 개폐패널 25 : 패킹
30 : 로크수단 31 : 로크 훅
31a : 후크부 32 : 로크 링
35 : 브래킷 36 : 로크 플레이트
36a : 고리부 37 : 조작레버
38 : 링크 플레이트 39 : 로크 핀
H : 취수구 개폐패널의 높이 L : 취수구 개폐패널의 길이
상기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논의 둘레에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논과 관개수로를 구획하는 두렁의 측벽에 취수구를 형성한 후 상기 취수구를 통해 관개수로로부터 농업용수를 논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 관개시설에 설치된 취수구의 개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의 입구 측에는 한쪽으로 회전되면 취수구를 폐쇄하고 반대로 회전되면 취수구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게 취수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여 취수구 측으로 농업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취수구 개폐패널이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면부호 11 내지 14는 농사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끌어 대기 위한 관개시설의 구조를 나타내는 바, 11은 논이고, 12는 상기 논(11)의 둘레에 형성된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이며, 13은 상기 관개수로(12)와 논(11)을구획하는 두렁(13)이고, 14는 관개수로(12)로부터 농업용수가 논(11)으로 공급되게 상기 두렁(13)의 측벽 적소 적소에 농업용수의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 취수구이다.
이와 같은 관개시설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14)의 입구 측에는 한쪽으로 회전되면 취수구(14)를 폐쇄하고 반대쪽으로 회전되면 취수구(14)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게 취수구(14)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관개수로(13)를 차단, 농업용수의 흐름을 제한하여 취수구(14) 측으로 농업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취수구 개폐패널(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취수구(14)를 기준으로 하류에 해당하는 쪽 관개수로(12) 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취수구 개폐패널(20)은 취수구(14)를 폐쇄하였을 때 농업용수의 물살 등 외부의 작용으로 뜻하지 않게 개방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크수단(30)으로 잠겨진다.
여기에서 상기 로크수단(30)은 선단에 후크부(31a)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이 취수구 개폐패널(20)의 가장자리 한쪽에 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리 연결된 로크 훅(31)과, 취수구 개폐패널(20)에 의해 취수구(14)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로크 훅(31)의 후크부(31a)를 끼워 걸을 수 있게 두렁(13)의 측벽에 박힌 상태로 정착된 로크 링(3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취수구(14)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을 시켰을 때 과도하게, 즉 90도 이상 회전되어 관개수로(12)를 차단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관개수로(12)의 폭에 비해 그 길이(L)가 약간 길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취수구(14)의 개방으로 관개수로(12)가 차단되었을 때 농업용수 중 그 일부만이 취수구(14)로 유도,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관개수로(12)를 따라 하류 쪽의 다른 취수구를 향해 흘러가 버리게 농업용수의 평균 수면에 비해 그 높이(H)가 낮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취수구 개폐패널(20)은 취수구(14)가 폐쇄되었을 때 두렁(13)과의 수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취수구(14)와 마주보는 면에 패킹(25)이 부착된다.
이상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40은 취수구 개폐패널(20)의 상하 양쪽에 각각 형성된 힌지 핀(21)을 감싸 지지함으로써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을 두렁(13)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브래킷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논(11)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 취수구(14)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취수구 개폐패널(20)을 완전히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그 길이(L)가 관개수로(12)의 폭에 비해 길어 끝 부분이 두렁(13)의 취수구(14) 맞은 편 측벽에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관개수로(12)는 취수구 개폐패널(20)의 높이(H)가 농업용수의 수면에 비해 낮아 일부만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관개수로(12)를 흐르는 농업용수는 도 5a와 같이 그 흐름이 일부 막혀 자연히 취수구(14)로 유도, 유입되어 논(11)으로 공급되고, 일부는 취수구(14)를 지나 그대로 관개수로(12)를 따라 흘러가게 된다.
다음 논(11)으로의 농업용수 공급을 중단하고자 할 경우, 취수구(14)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취수구 개폐패널(20)을 완전히 회전시킨 후 로크수단(30)의 잠금 훅(31)을 잠금 링(32)에 끼워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관개수로(12)를 흐르는 농업용수는 취수구 개폐패널(20)에 의한 방해 없이 흐르게 되고,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20)은 로크수단(30)에 의해 폐쇄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취수구(14)는 패킹(25)의 작용으로 수밀이 유지된 상태로 폐쇄된다.(도 5b 참조)
도 6은 상기 로크수단(30)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로크수단(30)의 다른 예는 취수구 개폐패널(20)의 가장자리 한쪽에 볼트, 너트로 체결된 브래킷(35)과, 선단에 슬롯 모양의 고리부(36a)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이 상기 브래킷(35)의 한쪽에 힌지 연결되며 중앙부가 약 90도 구부러진 로크 플레이트(36)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36)의 구부러진 중앙부에 로크 플레이트(36)의 회전 조작을 위해 끝이 힌지 연결된 조작레버(37)와, 상기 조작레버(37)의 중앙부와 브래킷(35)의 다른 쪽에 양끝이 각각 힌지 연결되어 로크 플레이트(36)와 조작레버(37)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링크 플레이트(38)와, 취수구(14)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조작레버(37)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로크 플레이트(36)의 고리부(36a)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두렁(13)의 측벽에 정착된 로크 핀(39)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크수단(30)은 로크 훅(31)과 로크 링(32)으로 구성된 로크수단(30)에 비해 외부의 작용으로 뜻하지 않게 잠금이 해제되는 현상이 없는 등 전체적으로 잠금 성능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구조의 응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고안은 관개수로의 분기점에도 설치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설치하면 메인수로로부터 농업용수가 분기수로로 신속히 흘러들어 가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두렁에 형성된 취수구의 입구 측에 힌지 연결되어 한쪽으로 회전되면 취수구를 폐쇄하고 반대쪽으로 회전되면 관개수로를 차단하는 취수구 개폐패널에 의해 취수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구 개방 시 관개수로의 차단으로 농업용수의 흐름이 취수구로 유도되어 농업용수를 논으로 신속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취수구 개폐패널의 길이가 관개수로의 폭보다 길어 취수구 개방 시 취수구 개폐패널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높이가 농업용수의 수면보다 낮아 농업용수의 전체 흐름에 큰 방해가 없는 상태로 농업용수를 취수구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로크수단에 의해 취수구를 폐쇄한 취수구 개폐패널이 뜻하지 않은 개방되도록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패킹에 의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논의 둘레에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를 형성하고, 상기 논과 관개수로를 구획하는 두렁의 측벽에 취수구를 형성한 후 상기 취수구를 통해 관개수로로부터 농업용수를 논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 관개시설에 설치된 취수구의 개폐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의 입구 측에는 한쪽으로 회전되면 취수구를 폐쇄하고 반대로 회전되면 취수구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게 취수구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관개수로를 차단하여 취수구 측으로 농업용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취수구 개폐패널이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에 의한 취수구의 폐쇄가 유지되게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의 회전을 제한하는 로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선단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이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크 훅과, 상기 취수구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로크 훅의 후크부를 끼워 걸 수 있게 상기 두렁의 측벽에 정착된 로크 링으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에 체결된 브래킷과, 선단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이 상기 브래킷의 한쪽에 힌지 연결된 로크 플레이트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끝이 힌지 연결된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중앙부와 브래킷의 다른 쪽에 양끝이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조작로크 플레이트와 조작레버가 반대로 회전되게 하는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취수구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조작레버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고리부에 끼워지거나 빠지도록 상기 두렁의 측벽에 정착된 로크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은 취수구 개방 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자 상기 관개수로의 폭에 비해 길이가 길도록 형성되고, 농업용수의 일부는 상기 취수구로 유도되고 일부는 상기 관개수로를 따라 흘러가 버리게 농업용수의 수면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 폐쇄 시 수밀이 유지되게 상기 취수구 개폐패널에 패킹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KR20-2004-0000424U 2004-01-08 2004-01-08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KR200349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24U KR200349384Y1 (ko) 2004-01-08 2004-01-08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24U KR200349384Y1 (ko) 2004-01-08 2004-01-08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384Y1 true KR200349384Y1 (ko) 2004-05-04

Family

ID=4942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24U KR200349384Y1 (ko) 2004-01-08 2004-01-08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3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10B1 (ko) 2012-03-05 2014-01-16 (주)덕유 레버형 분수문장치
KR20220018840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이엠시스템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10B1 (ko) 2012-03-05 2014-01-16 (주)덕유 레버형 분수문장치
KR20220018840A (ko)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이엠시스템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KR102393318B1 (ko) * 2020-08-07 2022-05-03 주식회사 이엠시스템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9384Y1 (ko)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US20040256298A1 (en) Sewer grate with insect block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1184608B1 (ko) 농업용수의 수량을 조절하고 급수기능을 갖는 게이트
KR100375550B1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KR19990001639U (ko) 물꼬
KR20150056728A (ko) 수문겸용 친환경 어도 장치
CN208870003U (zh) 一种用于守护洲滩的弧形开口生态坝体结构
KR200248973Y1 (ko) 수로관의 용수 유입장치
KR930001803Y1 (ko) 논물꼬
KR200194737Y1 (ko) 수목보호용 물주머니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KR20170002655U (ko) 물꼬
JPH1161790A (ja) 用水口の水止め装置
KR100226204B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950005246Y1 (ko)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JP3670426B2 (ja)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KR100481908B1 (ko)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CN207978471U (zh) 一种屋顶绿化植物毯
KR200306422Y1 (ko) 수문용 어도장치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KR200259261Y1 (ko)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