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803Y1 - 논물꼬 - Google Patents

논물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803Y1
KR930001803Y1 KR2019900013935U KR900013935U KR930001803Y1 KR 930001803 Y1 KR930001803 Y1 KR 930001803Y1 KR 2019900013935 U KR2019900013935 U KR 2019900013935U KR 900013935 U KR900013935 U KR 900013935U KR 930001803 Y1 KR930001803 Y1 KR 930001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y
control plate
corrugated pipe
flow control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19U (ko
Inventor
안선기
Original Assignee
안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선기 filed Critical 안선기
Priority to KR2019900013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803Y1/ko
Publication of KR920006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논물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고리와 걸이를 사용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고리와 걸이를 사용하지 않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톱퍼 2 : 분기구
3 : 배수판 4 : 안내홈
5 : 지주 6 : 걸림홈
7 : 손잡이 8 : 걸림돌기
9 : 유량조절판 10 : 주름관
11 : 고리 12 : 걸이
13,14 : 링
본 고안은 논과 논사이의 논둑에 설치되는 논물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량조절판을 상하로 간단하게 이동시켜 논에 공급되는 용수와 논에서 빼내는 배수의 량을 쉽게 조절처리할 수 있도록 된 논물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관계시설이 잘된 농경지에 논둑에 콘크리트 수문을 설치한 것도 있고, 또 함수실이 형성된 하구통에 상구통을 인접되게 삽입하여 상구통의 좌우격판사이의 홈에 여러장의 격판을 순차적으로 끼우거나 빼어내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배구기구를 고정설치한 것도 있으나 논마다 모두 이러한 배수구를 고정설치하는 일은 매우 드물고, 특히 모를 심을때 또는 장마철에 비가 많이 와서 논물이 넘치는 경우에는 수시로 논둑을 타서 임시배수로를 형성하는 일이 빈번하며, 그럴때마다 정규의 고정수문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논둑의 흙을 파서 임시적으로 물꼬를 형성하여야만 되는바, 이러한 물꼬를 물에 파여서 논둑이 유실될 뿐만 아니라 배수량울 조절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물꼬의 폭을 좁히거나 넓혀 주어야하는 불편이 있고, 물꼬가 물에 파인 경우는 급류현상이 생겨 논의 모가 쓸려 내려가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물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배수판의 좌우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된 안내홈을 구비한 지주를 형성하여 안내홈을 따라 유량 조절판을 상하로 간단하게 이동시켜 분기구로 배출되는 배수의 량을 쉽게 조절 처리할 수 있는 논물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물꼬는 하부에 스톱퍼(1)를 형성하고 상부중앙에 분기구(2)를 형성하여서된 배수판(3)의 좌우에다 안내홈(4)이 형성된 지주(5)를 고정되게 설치하며, 안내홈(4)에는 다수의 걸림홈(6)을 형성하고, 손잡이(7)와 걸림돌기(8)를 구비한 유량조절판(9)을 상기 안내홈(4)에다 끼워 설치하며, 분기구(2)에 주름관(10)을 끼우고, 주름관(10)에 고리(11)와 걸이(12)가 각각 형성된 링(13,14)을 끼운 구조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 논 물꼬의 설치 사용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논둑(X)을 타서 임시 배수로를 형성하여야 할 위치에 논물꼬의 입수쪽이 상부논(A)을, 배수쪽이 하부논(B)을 향하도록 하여 단지 논둑의 흙을 파서 매설하는 것으로, 상부논의 논물을 하부논으로 주름관(10)을 통해 배수하게 되는데, 물이 많아서 배수위가 높은 경우는 손잡이(7)를 잡고 유량조절판(9)을 서서히 여러 단계로 하강하여 적량씩 유량조절판(9)상부로 물이 넘쳐 흐르도록 하고, 논바닥에 물이 조금만 있기를 원할 경우에는 유량조절판(9)을 분기구(2)의 중앙 및 중앙 하부에 해당 걸림홈(6)에 위치시키면 되고, 논바닥에 물이 없도록 배수할 경우에는 유량조절판(9)을 분기구(2)의 하부위치로 내린채 두는 것으로 배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유량 조절판(9)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주름관(10)입구의 개례정도가 변하게 되어 배수량이 조절되게 되는바, 배수량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유량조절판(9)의 걸림돌기(8)가 안내홈(4)하의 해당 걸림홈(6)에 걸려 고정되므로 배수량이 조절된 상태의 배수가 유지된다.
한편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름관(10)의 일즉선단을 하부논(B)의 논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상부논(A)의 논물을 하부논(B)으로 배수시키게 되면, 배수되는 부위의 하부논(B)의 논바닥이 파이게 되어 그 주위의 모가 쓸려내려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름관(10)에 고리(11)와 걸이(12)가 각각 형성된 링(13,14)을 끼우고, 고리(11)에 걸이(12)를 걸어 주름관(10)의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하면, 배수되는 논물에 의한 논바닥의 파임없이 상부논(A)의 논물이 하부논(B)으로 배수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기능을 갖는 본 고안 논물꼬는 별도의 설치기구없이 단지 논둑의 흙을 파서 매설하면 되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유량조절판의 상하이동으로 논물의 배수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중앙에 분기구(2)가 통공된 배수판(3)의 하부에는 스톱퍼(1)를 형성하고, 양쪽으로는 안내홈(4)이 형성된 지주(5)를 일체로 형성하되 그 안내홈(4)에는 유량조절판(9)을 삽입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논물꼬에 있어서, 유량조절판(9)의 상부양측에는 걸림돌기(8)를 형성하고, 안내홈(4)의 전면의 지주(5)에는 결림홈(6)을 통공하여 걸림돌기(8)가 안내홈(6)에서 삽탈되도록 하며, 분기구(2)의 선단에는 주름관(10)을 끼우고 그 주름관(2)에는 고리(11)와 걸이(12)가 각각 형성된 링(13) (14)을 끼워서된 논물꼬.
KR2019900013935U 1990-09-08 1990-09-08 논물꼬 KR930001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35U KR930001803Y1 (ko) 1990-09-08 1990-09-08 논물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935U KR930001803Y1 (ko) 1990-09-08 1990-09-08 논물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19U KR920006419U (ko) 1992-04-21
KR930001803Y1 true KR930001803Y1 (ko) 1993-04-15

Family

ID=1930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935U KR930001803Y1 (ko) 1990-09-08 1990-09-08 논물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36B1 (ko) * 2023-02-13 2023-09-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미나리 종묘 수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036B1 (ko) * 2023-02-13 2023-09-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미나리 종묘 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19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541B2 (en) Fish safe screened water diversion apparatus
KR200440994Y1 (ko)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KR930001803Y1 (ko) 논물꼬
JP3204524U (ja) 水田排水桝用の余水調整装置
US3953978A (en) Combined drain and flood gate
KR100918452B1 (ko)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DK1036894T3 (da) Nödaflöbsanordning
KR102139517B1 (ko) 퇴적물의 통과 수로로 겸용되는 어도를 가춘 낙차공
KR200145420Y1 (ko) 플라스틱 물꼬
KR200349384Y1 (ko)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KR870001514Y1 (ko) 논물의 배수장치
KR102074623B1 (ko) 강물 유동형 어도블록
JP3272695B2 (ja) 流水仕切装置
NO146167B (no) Anordning ved avloepsbroenner
JP2002115310A (ja) 集水用路面蓋
CN209508988U (zh) 一种边坡排水结构
JPH11350462A (ja) 河川用排砂構造
KR930001802Y1 (ko) 논물 수위감지 장치를 갖인 무인 개폐식 물고
KR102029766B1 (ko) 어도블록
KR950006218Y1 (ko) 농업용 수위조절 배수기
KR200247943Y1 (ko) 개문수위를 높여주는 부상식 자동수문
SU1737064A1 (ru) Плотина из грунт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KR200467111Y1 (ko)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KR920001265Y1 (ko) 배수용 트랩(Trap)
KR910003067Y1 (ko) 사료 저장 탱크의 물받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