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420Y1 - 플라스틱 물꼬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물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45420Y1 KR200145420Y1 KR2019950012563U KR19950012563U KR200145420Y1 KR 200145420 Y1 KR200145420 Y1 KR 200145420Y1 KR 2019950012563 U KR2019950012563 U KR 2019950012563U KR 19950012563 U KR19950012563 U KR 19950012563U KR 200145420 Y1 KR200145420 Y1 KR 2001454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rainage
- gate
- plastic
- pad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논뚝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물꼬에 있어서, 논뚝에 설치되는 배수로 몸체(1)와, 상기 배수로 몸체(1)의 전단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논의 수위가 일정한 깊이 이상이 되면 물이 넘쳐흐르도록 그 내부에 배출구(15)를 형성한 수문(3)과, 상기 논의 수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 논두렁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문(3)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수문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져 배수 유도판의 틈새로 물이 새어 논뚝을 붕괴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폭우가 쏟아지거나 취수구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많은 물이 들어와서 논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문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고, 이에 따라 논두렁 붕괴 방지는 물론 시공시 배수 유도판의 저면에 방수용 비닐을 덮는 일을 없애므로 시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물꼬.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라스틱 물꼬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a)와(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폭우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식 수문 개방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중 원통형 배수로 몸체의 (a)는 외형 사시도, (b)는 절개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중 원통형 플라스틱 물꼬의 (a)는 설치 단면도, (b)는 확대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논 물 깊이 조절용 조립식 물꼬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대규모 경지 정리답의 종래의 물꼬 시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배수로 몸체 3 : 수문
7 : 배수로 벽부 11,11a : 차폐벽
13 : 누수 차단겸 보강판 15 : 배출구
16 : 영구자석 17 : 수공
18,18a : 수문 19 : 파이프
23 : 물구멍 27 : 지지봉
29 : 고정 클립
본 고안은 플라스틱 물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논두렁에 설치하여 논두렁을 보호하며 물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폭우가 쏟아져 논의 물 깊이가 필요 이상으로 깊어지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논두렁의 붕괴를 방지하는 플라스틱 물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물꼬는 일반적으로 논에 가두어진 용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물이 배출되는 쪽의 논뚝에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물꼬는 논에 물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논두렁의 일부를 절개하여 비닐 포대나 돌등으로 남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취약한 구조로 형성된 종래의 물꼬는 논의 수심이 벼의 생육에 알맞은 깊이로 유지 또는 조정하기도 어렵고, 장마철에 폭우가 쏟아지면 이러한 물꼬가 유실되어 논두렁이 붕괴되는 피해가 속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의 선행 고안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75-4069호의 논 물 깊이 조절용 조립식 물꼬를 제안한 바 있다.
제10도는 논물 깊이 조절용 조립식 물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논뚝(51)을 절개하여 매설하며 그 내부에 배출구(53)를 형성하여 상기 배출구(53)내의 양 옆단에 각각 긴 돌출부(55)를 형성한 판재(57)와, 상기 판재(57) 하단에는 직각으로 결합시킨 원호의 배수판(59)과, 상기 돌출부(55)와 결합되는 다수의 물막이판(6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판재(57)는 논뚝(51)을 절개하여 이의 하단에 방수용 비닐(63)을 깔고, 상기 비닐(63)의 상면에 판재(57)가 수직이 되도록 매설하였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물꼬는 논(65)에 물을 얕게 대고 싶으면 상기 물막이판(61)을 전부 위로 밀어 올려서 논의 물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해주고, 물 깊이를 조절하고 싶으면 상기 물막이판(61)을 배출구(53) 양측단에 형성된 흠(55)에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서 배출구(53)로 넘쳐서 흘러나가는 물의 수위가 물막이판(61) 몇 개를 아래로 내렸는가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이로서 논의 물은 원하는 깊이로 가두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꼬 역시 조립식으로 되어 조립부분의 틈새로 누출되는 물이 논뚝의 흙 속으로 스며들고, 또한 배수 유도판이 짧아 이를 타고 흐른 물이 논뚝으로 떨어져 논두렁을 붕괴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물꼬를 논두렁에 시공함에 있어서 그 저면 바닥에 비닐막을 깔아 시공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물꼬는 집중호우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자동화 시설을 갖지 못하고 있어 논두렁 붕괴를 예방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논뚝에 설치되는 배수 유도판을 일체형으로 하고, 그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여 배수 유도판의 틈새로 물이 새어 논뚝을 붕괴시키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폭우가 쏟아지거나 취수구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많은 물이 들어와서 논의 수위가 높아지면 수문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고, 이에 따라 논두렁의 붕괴를 방지하고, 시공시 배수 유도판의 저면에 방수용 비닐을 까는 일을 없애므로써 시공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물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논뚝에 설치되는 플라스틱 물꼬에 있어서, 논뚝에 설치되며 일체형 플라스틱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배수로 몸체와, 상기 배수로의 전단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논의 물을 차단하거나 흘려 보내며 그 내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수문과, 상기 수문을 비상 개방하기 위하여 물의 무게의 증가에 따라 수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수문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물꼬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은 물꼬가 설치된 논뚝 부위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배수로 몸체와, 그의 하단에 설치된 차폐벽과 다수의 누수 차단겸 보강판으로 인하여 물이 논뚝으로 스며들지 않고, 수문의 높이 조정에 따라 논의 물깊이가 일정하게 유지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라스틱 물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논뚝에 설치되며 그 바닥의 횡단면이 둥그스름하게 라운드지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날개(2)와, 왼쪽 날개(2) 밑에서부터 왼쪽 외벽, 밑바닥 바깥면, 오른쪽 외벽, 오른쪽 날개밑에 까지로 이어지는 다수의 누수 차단겸 보강판(13)이 일체로 형성되고 끝이 뾰족하게 이루어지며 논으로 향하는 쪽에는 차폐벽(11)이 일체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구조물인 배수로 몸체(1)와, 상기 배수로 몸체(1)의 전단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논의 물을 일정한 높이로 흘러 넘치게 하는 수문(3)과, 상기 수문(3)과 연결되어 논 물 깊이의 증가 등에 따라 수문(3)을 열어 주는 수문 개방수단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한 배수로 몸체(1)는 그 양측단에 바닥면(5)과 일체로 형성된 배수로 벽부(7)와, 상기 배수로 벽부(7)의 앞부분에 상기 수문(3)의 양측단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가이드홈(9)과, 상기 배수로 몸체(1)의 입구측의 하단에는 배수 방향과 직각으로 형성한 차폐벽(11)과, 상기 배수로 몸체(1)의 하단에 역시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배수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누수 차단겸 보강판(13)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수문(3)은 가운데 부분에 논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5)를 형성하고, 상기 수문(3) 상단 가운데 부분에는 수공(17)을 갖는다.
상기 수공(17)은 필요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문 개방수단은 상기 수공(17)과 연결되는 파이프(19)와, 상기 파이프(19)와 물받이 용기(21)가 결합되고, 상기 물받이 용기(21)의 하단 일측에는 물구멍(23)을 형성하여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9)의 직경의 크기에 비하여 물구멍(23)은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매우 작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날개(2)의 중앙부 상단 양측에 홈(25)을 형성하여 이에 지렛대의 작용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지봉(27)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9)의 가운데 부분이 상기 지지봉(27)의 상단부에 안착지키고, 안착된 자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클립(29)으로 이들을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논뚝 일부를 절개하여 배수로 몸체(1)를 안착시킨다.
이때 배수로 몸체(1)를 논두렁 절개 부위에 놓고 발로 밟아서 차폐벽(3)의 바닥쪽 부분과 누수 차단겸 보강판(2)이 흙속에 충분히 박혀 들어가도록 한 다음, 양쪽 측벽(7)과 우수 차단겸 보강판(2)의 사이에 흙을 넣고 다진다.
그리고 배수로 몸체(1)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폐벽(11)은 그 앞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차단하여 논뚝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밑바닥 방향과 양쪽 측벽 방향으로 넓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 몸체(1)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누수 차단겸 보강판(13)은 배수로 몸체(1) 하단으로 흐르는 미량의 물까지 통과하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차폐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는 제1도의 배수로 몸체를 논뚝에 설치한 사용예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배수로 몸체(1)를 논뚝(51)에 설치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그 하단에 별도로 비닐막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배수로 몸체(1)의 끝단부가 논뚝보다 충분하게 길게 설치되도록 하여 배수로 몸체(1) 끝단에서 낙수될 때 논뚝(51)이 붕괴되는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한다.
특히 배수로 몸체(1)의 바닥면(5)이 라운드로 형성되고 그 끝단을 뾰죽하게 형성시켜 배수로 몸체(1)를 흐르는 물이 논뚝에 떨어지지 않고 멀리까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문 개방수단의 작동은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데 (a) 내지 (b)는 제1도의 구성에 의해서 폭우로 논에 물이 가득차 이를 배출시킬 때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우선 (a)는 논(65) 물이 수문(3)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공(17)을 통하여 파이프(19)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파이프(19)는 물받이 용기(2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물받이 용기(21)에 점차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물받이 용기(21)에 물이 충분하게 고이게 되면 지지봉(27)을 작용점으로 하여 물받이 용기(21)가 하단으로 내려가고 반대쪽의 수문(3)이 상승하게 된다.
이로서 수문(3)이 열려 많은 물이 일시에 배출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물받이 용기(2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물구멍(23)을 통하여 물받이 용기(21)의 물이 서서히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면 지지봉(27)을 작용점으로 하여 물받이 용기(21)는 상승하게 되고, 수문(3)은 다시 하강하여 논(65)물 배출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논(65) 물의 양에 따라 수시로 자동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플라스틱 물꼬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제4도는 폭우시 논의 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또 한가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수문 개방수단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나 논뚝의 다른 일측에 설치하며 폭우시 빗물을 별도로 집수하여 이를 물받이 용기에 흘려주는 집수수단을 부가하고 있다.
상기 집수수단은 집수용기(31)와 상기 집수용기(31)의 하단에 수공(33)을 형성하고, 이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연결관(35)의 다른 끝단을 물받이 용기(21)내에 연결하고 있다.
상기 집수 용기(31)는 물받이 용기(21)의 입구의 직경보다 훨씬 커야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파이프(19)의 일측에 추(37)등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폭우가 쏟아지면 집수용기(31)에 물이 고이게 되고 이는 연결관(35)을 타고 물받이 용기(21)에 물이 고이게 된다.
이는 물받이 용기(21)보다 집수용기(31)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훨씬 크므로 수문 작동에 대한 반응시간이 빨라 신속하게 수문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폭우시에도 신속하게 수문이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폭우에 따른 논뚝의 붕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물넘는턱(8)의 높이가 서로 다른 몇 개의 수문(10)(12)(14)을 선택적으로 수문홈(9)에 삽입함으로써 논의 물깊이를 원하는 깊이대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물꼬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조립식 물꼬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틈새로 물이 새어 논뚝으로 스며들어 논뚝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물꼬를 설치할 때에도 비닐막 등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의 감소시킬 수 있다.
산간지의 천수답이나 계단식 논에서는 논두렁의 붕괴가 자주 발생하므로 위와 같은 자동 개방수단이 필요하지만 평야지대 논에서 논두렁 붕괴의 우려가 없는 논에서는 제6도와 같이 자동 개폐 수단을 생략하고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차폐벽(11) 일측면에 영구자석(16)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배수로 몸체(1)와, 상기 영구자석(16)에 부착되는 철판(18)등으로 이루어지는 물막이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물막이 부재를 상하 이동부착 함으로서, 수동으로 논물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UR 협정 가입이후 벼농사의 경영 규모를 확대하고 대형 농기계를 투입하기 위하여 경지정리 면적을 600-1200 평에서 3000-6000평으로 확대하는 작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논에서는 논두렁이 크고 높아서 상기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물꼬를 사용할 수가 없어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두렁(63)에 파이프(66)를 매설하여 이 파이프(66)로 논의 물을 배출하고 있다.
이 경우 폭우시 논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논바닥을 파서 작은 웅덩이(67)를 형성시키고 그 웅덩이(67)의 주변을 돌(68)로 둘러싸서 보호하는 시공법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논에 폭우가 쏟아져서 파이프(66)로 많은 물이 흘러 나가면 그 입구의 웅덩이(67)에서 세찬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파이프(66)주변의 논두렁(63)을 침식하고 심할 경우에는 논두렁이 붕괴되는 사례를 자주 보게 된다.
이러한 논두렁을 보호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6도와 같은 역사다리 꼴의 횡단면 형상을 제7도와 같이 원통형으로 변형시켜서 제6도에서 설명한 바와 꼭 같은 방법으로 논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8도와 같이 원통형의 배수로 몸체(1a)는 물 유입구측(1b)에는 그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논의 수위 조절 효율을 높게 함과 동시에 폭우로 물이 대량 배출될 때 소용돌이가 원통(1b) 내부에서 발생하도록 함으로서 논두렁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물 유출구측(1c)에는 파이프(66)에 삽입할 수 있도록 원통(1c)의 직경을 작게 하였다.
그리고 파이프(66)의 내경 부위와 유출구축(1c)의 외경 부위의 사이에는 누수를 차단하기 위하여 오링(69)를 삽입함으로써 설치공사 시공시 세멘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흙으로 묻어도 논두렁 내부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였다.
Claims (6)
- 논뚝(51)의 일부를 절개하여 안착시키며 논(65)의 물이 논뚝으로 새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배수로 몸체(1)와, 상기 배수로 몸체(1)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결합하여 논의 물을 차단하거나 흘려보내는 수문(3)과, 상기 수문(3)과 일단이 연결되며 논의 물 일부를 취출하여 그 무게로 지렛대 타단을 가압하여 수문(3)이 자동 개방되는 수문 개방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문 개방수단은 수문(3)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공(17)에 일단이 연결되는 파이프(19)와, 상기 파이프(19)의 타단에 결합되며 파이프(19) 내부를 통하여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고 하단에 물구멍(23)이 형성되는 물받이 용기(21)와, 상기 파이프(19) 중간부분에 고정 클립(29)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배수로 몸체(1)의 중앙부 상단에 형성한 홈(25)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양쪽 끝부분이 안착되는 지지봉(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몸체(1)에는 논물이 배수될 때 와류로 인하여 논뚝이 패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구측 좌우 측면과 하단에 배수 방향과 직각으로 차폐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꼬.
- 제1항에 있어서, 당기 배수로 몸체(1)에는 논뚝 사이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양쪽 측벽과 하단에 배수방향과 직각으로 다수의 누수 차단겸 보강판(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몸체(1)의 바닥면(5)은 물이 논뚝에서 멀리 낙수되도록 라운드를 형성하고 끝단의 종단면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3)에는 논 물 수위를 필요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배출구(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물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방수단은 상기 배수로 몸체(1)(1a)의 차폐벽(11)(11a) 일측면에 다수의 영구자석(16)을 부착하고, 상기 영구자석(16)에 수문(18)(18a)을 찰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물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2563U KR200145420Y1 (ko) | 1995-06-02 | 1995-06-02 | 플라스틱 물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2563U KR200145420Y1 (ko) | 1995-06-02 | 1995-06-02 | 플라스틱 물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937U KR970001937U (ko) | 1997-01-24 |
KR200145420Y1 true KR200145420Y1 (ko) | 1999-06-15 |
Family
ID=1941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2563U KR200145420Y1 (ko) | 1995-06-02 | 1995-06-02 | 플라스틱 물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4542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657B1 (ko) | 2007-08-20 | 2009-06-09 | 송종명 |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
KR20220128877A (ko) * | 2021-03-15 | 2022-09-22 | 김병남 | 논두렁 물넘이 |
-
1995
- 1995-06-02 KR KR2019950012563U patent/KR2001454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657B1 (ko) | 2007-08-20 | 2009-06-09 | 송종명 | 친환경 농법용 논물꼬 수위 조절장치 |
KR20220128877A (ko) * | 2021-03-15 | 2022-09-22 | 김병남 | 논두렁 물넘이 |
KR102472627B1 (ko) * | 2021-03-15 | 2022-11-29 | 김병남 | 논두렁 물넘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937U (ko) | 199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19568A (en) | System for draining land areas through siphoning from a permeable catch basin | |
US78575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of fields | |
KR101146131B1 (ko) |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3204524U (ja) | 水田排水桝用の余水調整装置 | |
KR200145420Y1 (ko) | 플라스틱 물꼬 | |
US4589798A (en) | Drainage system | |
EP2175071A1 (en) | Drainage device and arrangement including such drainage device | |
JPH10102573A (ja) |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 |
KR101060991B1 (ko) |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 |
JP4008188B2 (ja) |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 |
JP6034732B2 (ja) |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 |
KR200411498Y1 (ko) |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 |
US4797028A (en) | Beaver control siphon apparatus | |
JP3671373B2 (ja) | 地下灌漑システム | |
CN205445672U (zh) | 可提拉式隧道排水盲管拦污盒 | |
KR20170002655U (ko) | 물꼬 | |
JP4443869B2 (ja) | 地下灌漑システム | |
KR100656410B1 (ko) |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 |
JP2878114B2 (ja) |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 |
CN218323034U (zh) | 一种市政道路工程防堵清淤系统 | |
KR100420101B1 (ko) | 우수토실의 유량제어밸브 | |
KR200248973Y1 (ko) | 수로관의 용수 유입장치 | |
KR100502111B1 (ko) | 수위 조절용 게이트를 구비한 지하댐 구조물 | |
KR102120879B1 (ko) |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 |
JP2024092096A (ja) | 田面水位調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