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877A - 논두렁 물넘이 - Google Patents

논두렁 물넘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877A
KR20220128877A KR1020210033588A KR20210033588A KR20220128877A KR 20220128877 A KR20220128877 A KR 20220128877A KR 1020210033588 A KR1020210033588 A KR 1020210033588A KR 20210033588 A KR20210033588 A KR 20210033588A KR 20220128877 A KR20220128877 A KR 2022012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y
water
paddy field
flow rate
lev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27B1 (ko
Inventor
김병남
Original Assignee
김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남 filed Critical 김병남
Priority to KR102021003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두렁 물넘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어 폭우나 쥐구멍 및 드렁허리 구멍으로 인해 소실되는 논두렁을 보호하고 논물의 관리가 용이한 논두렁 물넘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논두렁 물넘이{Drainage device for agricultural levee}
본 발명은 논두렁 물넘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어 폭우나 쥐구멍 및 드렁허리 구멍으로 인해 소실되는 논두렁을 보호하고 논물의 관리가 용이한 논두렁 물넘이에 관한 것이다.
벼농사에서 농수의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논은 담수하기 위한 논두렁을 두고 있다. 논두렁은 논과 이웃된 논의 경계, 농업활동을 위한 통로로 이용된다. 논두렁은 흙으로 올린 논두렁, 흙논두렁 위에 부직포시트, 판넬, 비닐, 플라스틱 골판 등으로 덧씌운 논두렁, 콘크리트 논두렁 등으로 다양하게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농촌에서는 따로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흙논두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삽으로 배수물꼬를 내어 수위조절을 하고 있다. 흙논두렁은 여름에 폭우로 인해 논의 불어난 물로 의하여 쉽게 무너질 수 있고, 두더지, 들쥐, 미꾸라지, 드렁허리 등으로 인해 논두렁의 지반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로 벼를 경작하기 위한 논물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벼를 경작하기 위해서는 논물의 양이 너무 많아도 안되고 너무 적어도 안 된다. 벼의 성장에 따른 시기에 맞게 농업인은 논의 수위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에 논의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물넘이의 역할이 중요하다. 물넘이는 논의 물을 안전하게 배수하는 배수시설이다.
물넘이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032호 “다목적 물꼬”는 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별도의 위치변경이 없이 용수의 입수와 배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수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물꼬에 의하면, 한번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위치 변동이 없이 용수의 입수나 배수의 목적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배수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며, 기능성이 뛰어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다목적 물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햇빛에 노출되거나 물살에 유실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재설치 빈도가 높아져 비용 및 노동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어 쥐구멍 및 드렁허리 구멍으로 인해 소실되는 논두렁을 보호하고 논물의 관리가 용이한 논두렁 물넘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논두렁에 삽입되고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로관; 상기 수로관의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 상기 수로관을 보호하고 통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면부 덮개; 상기 수로관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논두렁에 삽입되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의 정면에 설치되는 뒤틀림 방지대; 상기 쐐기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쐐기부 사이에 끼워지는 수위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두렁 물넘이는 논두렁에 있는 기존의 배수관과 연결하여 배수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면부 덮개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상면부 덮개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상면부 덮개는 내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상면부 덮개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홀을 개방할 수 있는 여닫이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속조절부는 상기 수로관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수로관의 내부 상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지지봉; 상기 수로관에 설치되어 제2 지지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유속제어부; 상기 제2 지지봉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지지봉에 전달하여 제1 지지봉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연동부 및 상기 수로관에 유입되는 논물과 맞닿으며, 상기 제1 지지봉에 의해 이동하여 논물과 맞닿는 위치에 따라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유속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조절수단은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을 걸쳐 형성되되, 물이 정속도로 지나가는 관통홀과 유속을 느리게 하는 매쉬를 구비하고, 상기 유속제어부에 의해 상기 관통홀 또는 상기 매쉬가 상기 수로관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유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고정부재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수위조절판은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배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판은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후면에 형성되되 수직길이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판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되, 회동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의 가변된 수직길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회동바 및 상기 손잡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회동바의 기어와 맞물려 상기 회동바를 고정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를 아래의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가변판 손잡이에 안착시키고 상기 버튼부로 고정하여 상기 수위조절판의 수직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 논두렁 물넘이는 후단에 낙수에 의한 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낙수방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에 의하면,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어 쥐구멍 및 드렁허리 구멍으로 인해 소실되는 논두렁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판의 이동으로 쉽게 수위 조절을 할 수 있어 논물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논두렁에 확보된 공간에 논두렁 물넘이를 매설하는 방법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논두렁 물넘이의 상단에 보관부를 두어 수위조절판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논두렁 물넘이의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수로관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관리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로관 내부에 유속조절부가 설치되어 유입된 물의 유속을 조절하고 이물질을 거르고 우렁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판의 수직길이를 조절하여 수위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후단에 낙수방지관이 설치되어 배수 시 논이나 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논두렁 물넘이에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논두렁 물넘이의 유속조절부를 도시한 부품상세도.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논두렁 물넘이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에서 수로관의 잔물을 배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의 수직길이가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부품도.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베이스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가변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
도 13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다른 형태의 가변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
도 14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회동바가 0° 및 90°의 각도로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의 (a) 내지 (c)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회동고정부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16의 (a) 내지 (c)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정면도.
도 1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물넘이”라 함은 논물을 배수하는 장치로, 지역에 따라 물꼬, 배수물꼬, 물냉기, 물냉이, 물넘기 등으로 불리는 모든 배수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논두렁 물넘이에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크게 수로관(1), 지지대(2), 상면부 덮개(3), 쐐기부(4), 뒤틀림 방지대(4a), 고정부재(5) 및 수위조절판(6)을 포함할 수 있다.
수로관(1)은 U자형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논두렁에 삽입될 수 있고, 물이 유입되고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수로관(1)은 강도가 강하고 안정감있게 논두렁에 설치되고 녹이 잘 슬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지지대(2)는 수로관(1)의 상측 내부 및 양측 외부에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어 수로관(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로관(1)의 상측에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수로관(1)의 수평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2)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수로관(1)의 양측 외부에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수로관(1)의 수직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는 쐐기부(4)가 수로관(1)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쐐기부(4)와 수로관(1)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지지대(2)의 설치 개수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면부 덮개(3)는 수로관(1)을 보호하고 통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로관(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면부 덮개(3)는 '∩'형태로 형성되되, 수로관(1)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로관(1)의 바깥쪽 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쐐기부(4)는 수로관(1)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자 형태로 형성되어 논두렁에 삽입될 수 있다. 쐐기부(4)는 논두렁 물넘이가 논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로관(1)의 높이와 너비 길이가 각각 1.5배, 2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수로관(1)의 높이와 너비 길이가 300㎜일 경우, 쐐기부(4)의 높이는 450㎜, 너비는 60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쐐기부(4)는 양측으로 너비가 연장되도록 흙유실방지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흙유실방지판(미도시)는 폭이 넓은 논두렁에 논두렁 물넘이가 설치될 경우 쐐기부(4)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논두렁의 흙이 유실 되는 것을 방지하고 논두렁 물넘이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흙유실방지판(미도시)의 너비는 설치하고자 하는 논두렁의 폭에 의해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뒤틀림 방지대(4a)는 쐐기부의 정면에 설치되어 논두렁 물넘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뒤틀림 방지대(4a)는 '∩'형태로 형성되되, 수로관(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수위조절판(6)이 상하로 움직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논두렁 물넘이는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배수될 경우 물이 배수되는 방향을 축으로 그 둘레로 비틀릴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축의 직각인 평면은 유지되고 축 방향은 위치가 변하여 뒤틀림이 생기게 된다. 이에 뒤틀림 방지대(4a)가 쐐기부(4)를 사각형의 형태가 되도록 잡아주어 뒤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5)는 쐐기부(4)의 양측에 결합되되, 수로관(1)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위조절판(6)은 상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고정부재(5)와 쐐기부(5) 사이에 끼워져 논에 물이 유입되게 하거나 논물이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판(6)은 수직길이가 다르게 다수개로 형성되어 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쐐기부(4), 고정부재(5) 및 수위조절판(6)은 서로가 대응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핀 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리, 매듭, 사슬 등으로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논두렁 물넘이는 물이 새지 않도록 틈새 물막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틈새 물막이(미도시)는 고정부재(5)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수위조절판(6)이 고정부재(5)와 쐐기부(5) 사이에 삽입될 때 논물이 누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틈새 물막이(미도시)는 수위조절판(6)을 고정부재(5) 측으로 더욱 밀착하도록 하여 논물이 수로관(1)으로 유입되거나 수로관(1)의 물이 논에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논두렁 물넘이는 논두렁에 있는 기존의 배수관과 연결하여 배수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수홀(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논에는 작물의 습해를 방지하고 비로 인해 논에 고이는 과잉수를 배수하기 위해 지하에 배수관(P)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P)은 대부분 PVC관으로 되어 있고 땅속의 과잉수를 경지 밖으로 나가도록 할 수 있다.
배수홀(7)은 수로관(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되 직경은 배수관(P)의 직경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두렁 물넘이의 배수홀(7)은 배수관(P)과 연결되어 논에 지표에 있는 물과 지하에 있는 물을 함께 배수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기존의 배수관(P)과 논두렁 물넘이를 따로 관리할 필요 없이, 논에 있는 배수관(P)을 논두렁 물넘이에 연결하여 배수관리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통행 시 미끄럽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3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미끄럼방지부(3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미끄럼방지부(30)는 상면부 덮개(3)의 상면에 형성되어, 농업인이 통행할 수 있고 농업기구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30)는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미끄럼 저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재와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3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강, PVC,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망 형태는 격자형, 코일형, 원형 등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미끄럼방지부(30)는 사각형 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부덮개(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망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30)를 통해 수로관(1) 내부를 확인하여 논두렁 물넘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보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상면부 덮개(3)는 수위조절판(6)을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부(31)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보관부(31)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보관부(31)는 상면부 덮개(3)의 내측에 형성되되 보관부(31)의 너비는 수위조절판(6)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보관부(31)에 수위조절판(6)을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보관부(31)의 하측으로 일정부분이 개방되어 개방부분 일단은 수위조절판(6)의 손잡이와 맞닿아 수위조절판(6)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로관(1)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에 수위조절판(6)을 보관부(31)에 보관할 수 있고, 수직조절판(6)이 수직길이가 다르게 다수개로 형성된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수직조절판(6)을 보관부(31)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수위조절판(6)이 분실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상면부 덮개(3)는 수로관(1)의 내부를 관리할 수 있는 개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부(32)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개방부(32)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개방부(32)는 상면부 덮개(3)의 상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개방부(32)는 개방홀(320) 및 여닫이문(321)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320)은 상면부 덮개(3)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로관(1)의 내부를 볼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개방홀(320)을 통해 수로관(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로관(1)의 내부에 손을 넣어 흙더미, 나뭇가지, 잡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닫이문(321)은 개방홀(3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개방홀(3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일측에 경첩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수시로 여닫이문(321)을 열어 개방홀(320)을 통해 수로관(1) 내부를 확인할 수 있고, 수로관(1)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논물의 효율적인 유입 및 배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논두렁 물넘이의 유속조절부를 도시한 부품상세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도 6의 논두렁 물넘이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수로관(1)의 내부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유속조절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속조절부(8)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유속조절부(8)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유속조절부(8)은 제1 지지봉(80), 제2 지지봉(81), 유속제어부(82), 연동부(83) 및 유속조절수단(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봉(80)은 수로관(1)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봉(81)은 수로관 내부 상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봉(80)과 제2 지지봉(81)은 유속조절수단(84)가 논물과 맞닿는 면적이 넓도록 서로 사선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속제어부(82)는 수로관(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2 지지봉(8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유속제어부(82)는 제2 지지봉(81)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퀴형태의 회전형 제어수단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버튼, 레버, 무선 리모컨 등의 다양한 제어수단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속제어부(82)는 수로관(1) 외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속제어부(82)의 제어수단은 제2 지지봉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동부(83)는 제1 지지봉(80) 및 제2 지지봉(81)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제2 지지봉(81)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지지봉(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봉(80)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동부(83)는 제1 지지봉(80) 및 제2 지지봉(8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유속조절수단(84)은 수로관에 유입되는 논물과 맞닿도록 제1 지지봉(80) 및 제2 지지봉(81)을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유속조절수단(84)은 제1 지지봉(8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논물과 맞닿는 위치에 따라 유속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조절수단(84)은 관통홀(840) 및 매쉬(841)를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840)은 유속조절수단(84)의 일측에 수로관(1)의 종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840)은 배수에 방해되지 않도록 수로관(1) 내부의 80~90% 넓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매쉬(841)는 유속조절수단(84)의 타측에 형성되어 수로관(1)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매쉬(841)는 격자형, 체크형, 원형 등의 무늬로 형성될 수 있고, 매쉬(841)의 홀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유속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속조절수단(84)은 관통홀(840) 또는 매쉬(841)가 제1 지지봉(80) 또는 제2 지지봉(81)에 롤링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지지봉(81) 및 제1 지지봉(80)이 회전하면서 말려있던 관통홀(840) 또는 매쉬(841)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매쉬(841)의 홀크기가 다르게 유속조절부(8)을 수로관(1)에 하나 이상 설치하여 유속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유속조절부(8)가 설치되어 있는 논두렁 물넘이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관(1)의 정면에 관통홀(840)이 위치하면 물이 정속도로 지나갈 수 있다.
반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속제어부(82)에 의해 제2 지지봉(80) 및 제1 지지봉(81)이 회전하게 되고 말려있던 매쉬(841)가 풀리면서 수로관(1)의 정면에 매쉬(841)가 위치하면 물의 유속은 느려질 수 있다. 또한, 쐐기부(4) 측을 논두렁 물넘이의 전단, 타측을 논두렁 물넘이의 후단이라고 했을 때, 전단측 유속조절부(8)의 매쉬(841) 홀은 크게 구비하고 후단측 유속조절부(8)의 매쉬(841) 홀은 작게 구비하여 유속을 단계별로 줄여나갈 수 있다. 또한, 홀크기가 다른 매쉬(841)를 사용하여 홀이 큰 매쉬(841)에는 논물과 함께 섞여 흐르는 나뭇가지, 잡초 등을 걸리도록 할 수 있고, 홀이 작은 매쉬(841)에는 친환경 논법(우렁이 농법)으로 벼경작 시 우렁이가 논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유속조절부(8)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여 배수 시 물이 한꺼번에 떨어져 논이나 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을 거르고 우렁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에서 수로관의 잔물을 배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의 수직길이가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부품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베이스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12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가변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13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에서 다른 형태의 가변판을 도시한 정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수로관(1) 하측의 잔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5)에 가이드라인(50) 및 수위조절판(6)에 이동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5) 및 수위조절판(6)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5) 및 수위조절판(6)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재(5)는 가이드라인(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50)은 고정부재(5)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홀의 형태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위조절판(6)은 가이드라인(50)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6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50)과 이동부재(60)는 수위조절판(6)이 이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어 형성되어, 수위조절판(6)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수로관(1)의 잔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수위조절판(6)은 수직길이가 조절되도록 베이스판(61) 및 가변판(6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61)은 수위조절판(6)의 정면에 위치 할 수 있다.
가변판(62)는 베이스판(61)의 후면에 형성되되 수직길이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판(62)은 수위가 3단계로 조절되도록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변판(62)은 수위조절판(6)의 가변된 수직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된 가변손잡이(620)에 회동 고정부(62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를 늘릴 수 있다. 회동 고정부(621)는 아래의 베이스판(61) 또는 가변판(62) 가변손잡이(620)에 안착하여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베이스판(61)은 양 끝단이 말리도록 형성되되 가변판(62)이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판(61)은 이동부재(60), 베이스손잡이(610) 및 베이스가이드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60)는 고정부재(5)의 가이드라인(50)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손잡이(610)는 상측에 바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가이드홀(611)는 베이스판(61)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변판(62)는 양 끝단의 횡단면이 눕힌 'ㅐ'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판(61)에 끼워지고 후면에는 또 다른 가변판(62)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변손잡이(620)는 상측에 바형태로 형성되고, 가변판(62)의 수직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회동 고정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고정부(621)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부재(622)는 베이스가이드홀(611)에 삽입되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홀(623)은 가변판(62)의 후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판(62)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모든 가변판(62)은 양 끝단의 횡단면이 눕힌 'ㅐ'형태로 형성되되, 정면의 너비가 상면의 가변판(6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면의 가변판(62)에 후면의 가변판(62)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위조절판(6)에서 최상측에 위치하는 가변판(62)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최상측 가변판(62a)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최상측 가변판(62a)은 양끝단의 횡단면이 눕힌 'h'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상측 가변판(62a)은 수위조절판(6)에서 최상측판이므로 후면에 결합되는 가변판(62)이 없어 가이드홀(623)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가이드홀(623)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가변판(6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위조절판(6)은 가변판(62)의 이동에 의해 수직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조절판(6)은 베이스판(61)의 베이스가이드홀(611)를 따라 가변판(62)의 이동부재(622)가 위로 이동하고, 가변판(62)의 가이드홀(623)를 따라 후면의 가변판(62)의 이동부재(622)가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위로 이동한 가변판(62)은 각 가변판(62)의 회동고정부(621)에 의해 수직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회동바가 0°  및 90°의 각도로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의 (a) 내지 (c)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회동고정부가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16의 (a) 내지 (c)는 도 9의 논두렁 물넘이의 수위조절판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정면도이다.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의 회동 고정부(621)는 회동바(6210) 및 버튼부(62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바(6210)는 가변손잡이(620)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6211)는 가변손잡이(620)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가변손잡이(620) 내부에서 일측은 회동바(6210)의 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부(6211)은 회동바(6210)가 0°의 각도로 위치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고,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6210)가 90°의 각도로 이동한 뒤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6210)가 가변손잡이(6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회동바(6210)의 일측의 기어부분과 버튼부(6211)의 일측이 맞물려있고 버튼부(6211) 타측의 스프링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버튼부(6211)를 스프링 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려 있던 회동바(6210)의 일측의 기어부분이 해제되면서 회동바(6210)는 가변손잡이(620)의 개방되어 있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동바(6210)는 이동한 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6210)의 일측의 기어부분과 버튼부(6211)의 일측이 다시 맞물리면서 회동바(62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동바(6210)는 버튼부(6211)의 동작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회동바(6210)의 위치에 따라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수위조절판(6)은 회동바(6210)의 고정 위치에 따라 수직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가변판(62)이 2개인 경우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최상측에 위치하는 가변판(62)은 최상측 가변판(62a)일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판(62)의 회동바(6210)가 가변손잡이(620) 내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는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는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6210)를 45°의 각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가변판(62)의 회동바(6210)는 아래의 베이스손잡이(610)에 안착하고, 최상측 가변판(62a)의 회동바(6210)는 아래의 가변손잡이(620)에 안착하여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변된 수위조절판(6)의 높이는 수로관(1)의 높이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바(6210)가 90°의 각도로 이동한 경우, 회동바(6210)를 45°의 각도로 고정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위조절판(6)의 수직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변된 수위조절판(6)는 수로관(1)보다 높게 수직길이가 형성되어 수로관(1)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회동바(6210)가 0°, 45°, 90°의 각도로 고정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0° 내지 90°의 각도에서 회동바(62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2개의 가변판(62)가 모두 가변된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의 가변판(62) 중 하나의 가변판(62)만 가변시키거나 각각의 가변판(62)의 회동바(6210)의 각도를 다르게 고정시켜 수위조절판(6)의 최종 수직길이를 다양하게 조절가능할 수 있다.
도 1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후단에 낙수에 의한 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낙수방지관(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낙수방지관(9)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낙수방지관(9)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낙수방지관(9)은 수로관(1)의 후단에 형성되되, 수로관(1)과 같이 U자형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낙수방지관(9)은 수로관(1)보다 너비가 넓게 형성되어 논의 지표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낙수방지관(9)과 수로관(1)은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낙수방지관(9)은 수로관(1)과의 결합위치에 따라 경사의 기울기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논두렁 물넘이를 통해 배수된 물이 논으로 흘러가는 경우 낙수로 인해 벼나 논의 지표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벼는 물살에 휩쓸려 습해를 입어 벼 수확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낙수방지관(9)는 논의 지표 측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벼와 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물넘이를 제1 내지 제7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P : 기존의 배수관
1 : 수로관
2 : 지지대
3 : 상면부 덮개
30 : 미끄럼방지부
31 : 보관부
32 : 개방부
320 : 개방홀
321 : 여닫이문
4 : 쐐기부
4a : 뒤틀림 방지대
5 : 고정부재
50 : 가이드라인
6 : 수위조절판
60 : 이동부재
61 : 베이스판
610 : 베이스손잡이
611 : 베이스가이드홀
62 : 가변판
62a : 최상측 가변판
620 : 가변손잡이
621 : 회동 고정부
6210 : 회동바
6211 : 버튼부
622 : 이동부재
623 : 제1 가이드홀
7 : 배수홀
8 : 유속조절부
80 : 제1 지지봉
81 : 제2 지지봉
82 : 유속제어부
83 : 연동부
84 : 유속조절수단
840 : 관통홀
841 : 매쉬
9 : 낙수방지관

Claims (11)

  1. 논두렁의 소실을 방지하고 논물의 관리가 용이한 논두렁 물넘이에 있어서,
    논두렁에 삽입되고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로관;
    상기 수로관의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
    상기 수로관을 보호하고 통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로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면부 덮개;
    상기 수로관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논두렁에 삽입되는 쐐기부;
    상기 쐐기부의 정면에 설치되는 뒤틀림 방지대;
    상기 쐐기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쐐기부 사이에 끼워지는 수위조절판을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두렁 물넘이는,
    논두렁에 있는 기존의 배수관과 연결하여 배수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두렁 물넘이는,
    상기 상면부 덮개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을 더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덮개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부를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덮개는,
    상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상면부 덮개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홀을 개방할 수 있는 여닫이문을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두렁 물넘이는,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속조절부는,
    상기 수로관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봉;
    상기 수로관의 내부 상측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지지봉;
    상기 수로관에 설치되어 제2 지지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유속제어부;
    상기 제2 지지봉의 회전력을 상기 제1 지지봉에 전달하여 제1 지지봉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연동부 및
    상기 수로관에 유입되는 논물과 맞닿으며, 상기 제1 지지봉에 의해 이동하여 논물과 맞닿는 위치에 따라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유속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조절수단은,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을 걸쳐 형성되되, 물이 정속도로 지나가는 관통홀과 유속을 느리게 하는 매쉬를 구비하고,
    상기 유속제어부에 의해 상기 관통홀 또는 상기 매쉬가 상기 수로관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유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물넘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수위조절판은,
    상기 가이드라인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배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물넘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판은,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후면에 형성되되 수직길이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가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판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되, 회동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의 가변된 수직길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물넘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형성되되 일측에 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회동바 및
    상기 손잡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회동바의 기어와 맞물려 상기 회동바를 고정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를 아래의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가변판 손잡이에 안착시키고 상기 버튼부로 고정하여 상기 수위조절판의 수직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물넘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두렁 물넘이는,
    후단에 낙수에 의한 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낙수방지관을 더 포함하는 논두렁 물넘이.
KR1020210033588A 2021-03-15 2021-03-15 논두렁 물넘이 KR10247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88A KR102472627B1 (ko) 2021-03-15 2021-03-15 논두렁 물넘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88A KR102472627B1 (ko) 2021-03-15 2021-03-15 논두렁 물넘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77A true KR20220128877A (ko) 2022-09-22
KR102472627B1 KR102472627B1 (ko) 2022-11-29

Family

ID=83445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88A KR102472627B1 (ko) 2021-03-15 2021-03-15 논두렁 물넘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420Y1 (ko) * 1995-06-02 1999-06-15 윤성식 플라스틱 물꼬
KR19990041710U (ko) * 1998-05-25 1999-12-27 유상호 칸막이 보관대가 장착되는 논물꼬
KR200163449Y1 (ko) * 1999-03-10 2000-02-15 유상호 급수용논물막이
JP3078148U (ja) * 2000-12-06 2001-06-22 東北石材ブロック株式会社 用・排水路兼用のu字状水路畦畔ブロック
KR101886661B1 (ko) * 2018-02-08 2018-08-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 수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148B2 (ja) * 1993-05-25 2000-08-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の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420Y1 (ko) * 1995-06-02 1999-06-15 윤성식 플라스틱 물꼬
KR19990041710U (ko) * 1998-05-25 1999-12-27 유상호 칸막이 보관대가 장착되는 논물꼬
KR200163449Y1 (ko) * 1999-03-10 2000-02-15 유상호 급수용논물막이
JP3078148U (ja) * 2000-12-06 2001-06-22 東北石材ブロック株式会社 用・排水路兼用のu字状水路畦畔ブロック
KR101886661B1 (ko) * 2018-02-08 2018-08-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강재 수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27B1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ign Management
CN106088305A (zh) 带有地下蓄水池的绿地及其施工方法
CN207075188U (zh) 一种开沟、覆土、铺管、盖膜一体机
KR101215777B1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CN108575465A (zh) 一种重楼的栽培种植方法
KR102001533B1 (ko) 농업용 휴립 복토기
KR101036257B1 (ko) 논두렁 보호장치
US8596914B2 (en) Tile laying and covering apparatus
KR20220128877A (ko) 논두렁 물넘이
DE102017114887B4 (de) Gebäudeflächen-Pflanzsystem und Kulturtopf für Pflanzen
US9267278B1 (en) Modular landscaping and waterproofing system
JP3581275B2 (ja) 植栽装置
KR20150027537A (ko) 집수실을 형성한 매설형 배수물꼬
JP3403955B2 (ja) 苗植付け方法とこれに用いる植栽装置。
KR20180089621A (ko) 농업 용수로용 급수조절장치
KR20100001595U (ko) 철재 지주에 구멍을 뚫어 대형화된 연목용 강선, 도리용와이어로프, 피복을 연결하여 제작하는대형강선해가림이라는 물품의 제작법.
CN205894257U (zh) 带有地下蓄水池的绿地
CN215925861U (zh) 一种坡面防护及绿化装置
CN209218743U (zh) 一种重楼种植用遮光可调型大棚
JP3088490U (ja) 防草用具
KR200462053Y1 (ko) 빗물 저장조의 덮개 구조물
KR200430399Y1 (ko) 앵글걸이형 수문
CN214061895U (zh) 一种盐碱地排水沟内集雨装置
JP3078148U (ja) 用・排水路兼用のu字状水路畦畔ブロック
JP3516612B2 (ja) 勾配部の植栽構造と苗植え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