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99Y1 - 앵글걸이형 수문 - Google Patents

앵글걸이형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99Y1
KR200430399Y1 KR2020060023351U KR20060023351U KR200430399Y1 KR 200430399 Y1 KR200430399 Y1 KR 200430399Y1 KR 2020060023351 U KR2020060023351 U KR 2020060023351U KR 20060023351 U KR20060023351 U KR 20060023351U KR 200430399 Y1 KR200430399 Y1 KR 200430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hannel
opening
angle
righ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장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텍
Priority to KR2020060023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글걸이형 수문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수작업 및 단시간 내에 의해 수문을 농수로에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내부에 슬라이딩홀이 각각 형성된 일측 개방형 앵글에 의해 형상과 같이 상부 수평채널 및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로 이루어지며 "∩"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농수로에 하나 이상의 앵커로 박혀 설치되는 문틀(10)과; 상기 문틀을 상기 농수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막음판, 상기 막음판의 이면에 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상기 문틀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의 슬라이딩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문틀의 슬라이딩홀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농수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폐판(20)과; 상단부에는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문틀의 상부 수평채널에 형성된 서포트에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록에 상하로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체결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봉(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문, 농수로, 앵글, 개폐

Description

앵글걸이형 수문{A SLUICE GATE FOR SLUICEWAYS IN FARM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에 적용된 개폐판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농수로, 2 : 벽
10 : 문틀, 11,12 :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
11a,12a : 슬라이딩홀, 13 : 수평채널
15,40 : 고정브래킷, 20 : 개폐판
21 : 막음판, 22 : 가이드블록
30 : 스크류봉, 31 : 핸들
50 : 경사형 지지부재, 60 : 행거
본 고안은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가의 장비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수문을 농수로 등의 유로에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용수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앵글걸이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농업용수라 하며,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논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관개수로와 논을 구획하는 논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논으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논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내기철이 되면 급수로를 터서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내기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현대화된 수리시설이 마련되지 아니한 논에서는 대개 흙으로 논둑을 쌓아 올려서 급배수로를 차단하고 있으며, 급수 및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급배수로를 차단하는 흙을 파서 급수로와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즉, 논둑의 흙을 파거나 덮어서 수위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그 수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비가 많이 오거나 물살이 빠를 경우에는 물살에 의해 논둑의 흙이 쓸려 내려가 농업용수의 공급량이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더 곤란했다. 또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과도한 시간과 노동력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농번기와 같이 인력이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에는 급수로와 배수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농수로용 수문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일 예로서, 종래의 수문은, 수로의 방벽에 콘크리트 구조로 문틀을 시공하여 상기 문틀 내에 금속재 등의 수문을 설치하고, 문틀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개폐 핸들의 회전축 하단과 결합시켜 구성시킴으로써 수문개폐 핸들의 조작으로 수문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수문은 문틀을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수문의 시공작업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시공시간도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농지를 경작하는 농민들이 사용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수문은 통상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무겁고 이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기 위해 문틀의 상판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수문 개폐핸들의 회전축을 따라 수십차례 돌려가며 수문을 개폐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개폐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의수문은 복수의 대수로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통상 농촌에서 농수로와 논밭을 연결하는 농수로용 수문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한 구성인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농수로를 통해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수문을 막기 위해서는 삽으로 흙을 퍼서 막거나 비닐등으로 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방법으로는 수문으로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양을 제대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가의 장비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 수문을 농수로에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농업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앵글걸이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앵글걸이형 수문은, 문틀이 앵글타입으로 조립되고, 이 문틀에 개폐판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문틀은 농수로에 앵커 등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앵커에 의한 농수로의 균열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문틀은 매달기식으로 상기 농수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100)은, 슬라이딩홀을 가지며 유로(설명의 편의를 위해 농수로(1)를 예로 들어 설명함)인 농수로(1)(농수로(1)는 상측이 개방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농경지 주변에 시공됨)에 설치되는 문틀(10)과, 문틀(10)에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문틀(10)을 따라 승강하면서 농수로(1)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폐판(20)과, 개폐판(20)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봉(30)을 기본 구성으로 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틀(10)은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 및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채널(13)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방된 "∩" 형상으로 이루어져 농수로(1)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하나 이상의 앵커(14)(도면에서는 3개로 도시됨)를 매개로 하여 농수로(1)의 양측 벽(2)에 박혀 고정된다. 도 3에서처럼,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는 마주보는 쪽을 향해 개방된 슬라이딩홀(11a,12a)이 각각 형성된 "ㄷ" 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수평채널(13) 역시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와 동일한 구조일 수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문틀(10)은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가 다수의 앵커(14)를 통해농수로(1)의 양측 벽(2)에 고정되어 농수로(1)를 흐르는 물에 의한 수압에 의해 전도되지 않을 수 있지만, 문틀(10)의 농수로(1)에 대한 버팀력을 증 대하기 위하여 고정브래킷(15)이 더 사용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15)은 문틀 고정부(15a)와 수로 고정부(15b)가 구비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문틀(10)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의 전후면 즉, 4개소에 문틀 고정부(15a)를 통해 결합되어 수로 고정부(15b)와 벽(2)에 박히는 앵커(15c)를 통해 문틀(10)을 농수로(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개폐판(20)은 도 2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막음판(21), 막음판(21)의 이면에 결합(볼트 등)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공(22a)이 형성된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의 가이드블록(22)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문틀(10)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의 슬라이딩홀(11a,12a)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홀(11a,112a)을 따라 승강하여 농수로(1)의 개도를 조절하며,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철재, 또는 고밀도의 폴리에틸렌(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스크류봉(30)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핸들(31)이 형성된 구조이며, 상부 수평채널(13) 상에 형성된 서포트(16)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가이드블록(22)의 나사공(22a)에 나사 체결되어 자신의 회전에 의해 개폐판(20)을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의 작용을 설명하면, 농수로(1) 내에 문틀(10)과 개폐판(20) 조립체를 세우고, 앵커(14,15c)를 양측 벽(2)에 박음으로써 문틀(10)을 농수로(1)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앵커(14,15c)를 박는 작업에 의해 수문(100)의 설치가 완료되어 수문(100)을 설치하기 위하여 고가의 비 용과 시간 및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설치된 수문(100)의 농수량 조절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폐판(20)이 농수로(1)의 바닥으로 내려가 농수로(1)를 막는 상태를 기본으로 하면, 농수로(1)를 따라 흐르는 물은 개폐판(1)에 막혀 하류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한편, 농수가 부족하여 농수를 공급하여야 할 경우 핸들(31)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핸들(31)과 함께 스크류봉(3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가이드블록(22)이 상승하여 개폐판(20)이 함께 슬라이딩홀(11a,12a)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농수로(1)가 서서히 개방된다. 개폐판(20)은 고밀도의 폴리에틸렌(HDPE)로 이루어져 그 중량이 무겁지 않기 때문에 한 명의 사용자가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농수로(1)가 적정 수준으로 개방되어 통수단면이 확보되면 핸들(31)의 조작을 멈춰 개폐판(20)의 개방상태를 셋팅하고, 이로써, 농수로(1)의 물이 개폐판(20)의 저부를 통해 하류로 흘러 나가게 된다.
한편, 농수의 공급량이 과다하거나 가뭄을 대비할 경우 개방 상태의 개폐판(20)을 닫기 위하여 핸들(31)을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스크류봉(30)이 개방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판(20)이 하강함으로써 농수로(1)가 폐쇄된다.
한편, 농수로(1)에 설치된 수문(100)을 철거시, 앵커(14,15c)만 빼냄으로써 철거 작업이 완료되어 작업시간이 매우 짧다.
<실시예 2>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앵글걸이형 수문(100)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농수로(1)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고정수단과 지지부재에 의해 이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브래킷(40)이 농수로(1)의 양측 벽(2)에 박혀 고정되지 않고 양측 벽(2)의 상부(상면과 외측면)을 감싸게 되면서 농수로(1) 주변의 지면에 고정되어 문틀(10)의 좌우 움직임을 막는 구조로서, 일측이 문틀(10)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용접, 볼트 등)되는 문틀 고정부(41), 문틀 고정부(41)의 하단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단 절곡되어 농수로(1)의 양측 벽(2)의 상면과 외측면을 감싸는 행거부(42), 행거부(42)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농수로(1) 주변의 지면(3)에 안착되어 앵커(43)로 박히는 지면 고정부(44)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로서 문틀(10)의 하류측에는 경사형 지지앵글(50)이 적용된다. 경사형 지지앵글(50)은 문틀(10)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단부는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에 각각 고정(용접, 볼트 등)되며 하단부는 농수로(1)의 바닥부에 안착되면서 농수로(1)의 양측 벽(2)에 각각 앵커(51)로 고정되어 문틀(10)을 지지한다. 여기서, 경사형 지지앵글(50)이 앵커(51)로 고정되긴 하지만, 최소 개수의 앵커(51)만 사용하여도 문틀(10)이 지지됨으로써 앵커에 의한 농수로(1)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과 개폐판(20)에 의한 개폐동작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 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따른 앵글걸이형 수문(100)은, 고정수단이 행거(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행거(60)은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11,12)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농수로(1)의 양측 벽(2)에 끼워지는 구조로 절곡 성형되어 양측 벽(2)에 끼워져 문틀(10)을 매달아 설치하며, 하나 이상의 앵커(61)가 양측 벽(2)의 외측에서부터 박혀 농수로(1)의 내주면에는 앵커(61)가 돌출되지 않고 앵커(61)에 의한 균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2,3에서는 고정브래킷(40)과 행거(60)의 설치를 위해 터파기를 한 후 다시 되메우기 함으로써 마무리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농수로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농수로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유로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글걸이형 수문에 의하면, 앵커를 박는 작업에 의해 수문을 농수로에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문틀을 시공할 때보다 공기가 매우 단축되며, 작업 인력 또한 줄어들게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관개시설로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2,3에 의하면, 문틀이 농수로에 매달기식으로 설치되어 앵커의 사용수량을 줄임으로써 앵커에 의한 농수로의 균열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슬라이딩홀이 각각 형성된 일측 개방형 앵글에 의해 형상과 같이 상부 수평채널 및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로 이루어지며 "∩"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농수로에 하나 이상의 앵커로 박혀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을 상기 농수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막음판, 상기 막음판의 이면에 부착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상기 문틀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의 슬라이딩홀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문틀의 슬라이딩홀을 따라 승강하여 상기 농수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폐판과;
    상단부에는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문틀의 상부 수평채널에 형성된 서포트에 공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상기 가이드블록에 상하로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체결되어 그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걸이형 수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문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문틀 고정부 및 상기 문틀 고정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농수로의 벽면에 각각 앵커로 고정되는 수로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걸이형 수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문틀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문틀 고정부, 상기 문틀 고정부의 하단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단 절곡되어 상기 농수로의 양측 벽의 상면과 외측면을 감싸는 행거부, 상기 행거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농수로 주변의 지면에 안착되어 앵커로 박히는 지면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걸이형 수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농수로의 양측 벽에 각각 끼워져 매달리며 상기 농수로의 외측에서부터 박히는 앵커를 통해 상기 문틀을 상기 농수로에 매달아 설치하는 행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걸이형 수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단부는 상기 좌우 슬라이딩 가이드 채널에 각각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농수로의 바닥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농수로의 양측 벽에 각각 앵커로 고정되어 상기 문틀을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앵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걸이형 수문.
KR2020060023351U 2006-08-30 2006-08-30 앵글걸이형 수문 KR200430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51U KR200430399Y1 (ko) 2006-08-30 2006-08-30 앵글걸이형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351U KR200430399Y1 (ko) 2006-08-30 2006-08-30 앵글걸이형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99Y1 true KR200430399Y1 (ko) 2006-11-13

Family

ID=4177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351U KR200430399Y1 (ko) 2006-08-30 2006-08-30 앵글걸이형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829B1 (ko) * 2011-10-12 2013-12-06 김준범 배수 시설의 통수 단면을 넓게 확보하기 위한 수문 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829B1 (ko) * 2011-10-12 2013-12-06 김준범 배수 시설의 통수 단면을 넓게 확보하기 위한 수문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94673A1 (en) Prefabricated levee apparatus and system
KR100922874B1 (ko) 수로관
KR200430399Y1 (ko) 앵글걸이형 수문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CN111903380A (zh) 一种公路护坡绿化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38872B1 (ko) 경작지 배수용 관체 및 그를 이용한 농수로 시공방법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200470055Y1 (ko) 용배수로용 수문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KR20170002655U (ko) 물꼬
KR200465670Y1 (ko) 논 수위계측 및 토사 유출 저감용 논물꼬
KR19990001639U (ko) 물꼬
CN205935155U (zh) 一种预制检查井
JP5725419B2 (ja) 水田取水堰
KR200282953Y1 (ko) 농수로용 수문
CN110004894A (zh) 一种安装有输水管道的水库塔式涵洞
KR102608883B1 (ko)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KR200145420Y1 (ko) 플라스틱 물꼬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0246783Y1 (ko) 물고 수로관
CN209066481U (zh) 一种百叶窗式挡土墙
JP3848738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JP3848778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