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127A - 관개수로용 수문 - Google Patents
관개수로용 수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9127A KR20090129127A KR1020080055231A KR20080055231A KR20090129127A KR 20090129127 A KR20090129127 A KR 20090129127A KR 1020080055231 A KR1020080055231 A KR 1020080055231A KR 20080055231 A KR20080055231 A KR 20080055231A KR 20090129127 A KR20090129127 A KR 200901291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plate
- shaf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관개수로로 안내되는 농업용수를 가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의 표층수만을 벼가 자라는 논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문을 제공함으로써, 차가운 농업용수의 공급으로 인한 벼의 냉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논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본체,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또는 흘려보내는 물막이부, 및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막이부에 의해서 가두어지고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를 논으로 안내하는 급수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벼가 자라는 논에 물을 공급하는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개수로로 안내되는 농업용수를 가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의 표층수만을 벼가 자라는 논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문을 제공함으로써, 차가운 농업용수의 공급으로 인한 벼의 냉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논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농업용수라 하며,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논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관개수로와 논을 구획하는 논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논으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논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즉 모내기철이 되면 급수로를 터서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내기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급수로에는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수문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은, 수로의 일측벽에 콘크리트 구조로 문틀을 시공하여 문틀 내에 금속재 등의 수문을 설치하고, 문틀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개폐 핸들의 회전축 하단과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문개폐 핸들의 조작으로 수문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수문은 관개수로의 일측벽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기 어렵고,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유입하기 위해서는 흙이 남긴 포대 등으로 관개수로를 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수문으로는 관개수로를 흐르는 차가운 농업용수가 그대로 유입되기 때문에 급수로에 인접하게 식생된 벼는 차가운 농업용수로 인하여 냉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급수로를 통해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유입되기 때문에 급수로에 인접한 논바닥의 높이가 상승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개수로로 안내되는 농업용수를 가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의 표층수만을 벼가 자라는 논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문을 제공함으로써, 차가운 농업용수의 공급으로 인한 벼의 냉해를 미연 에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논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논에 농업용수가 유입되게 하는 관개수용 수문에 있어서,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본체;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또는 흘려보내는 물막이부; 및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막이부에 의해서 가두어지고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를 논으로 안내하는 급수부;로 이루어진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막이판을 가지는 물막이부를 이용하여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고,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인 상승한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급수부를 통해 논바닥으로 공급함으로써, 따뜻한 농업용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벼의 냉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고, 또한 가두어진 농업용수 중 표층수가 논바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개 수로용 수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개수로용 수문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개수로용 수문의 작동상태를 보인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100)은, 관개수로(R)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W)를 가두거나 또는 흘려보내는 물막이부(120)와, 마찬가지로 본체(1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물막이부(120)에 의해서 가두어지고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따뜻해진 농업용수(W)를 논으로 안내하는 급수부(1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는 천장플레이트(112), 천장플레이트(112)의 양단에서 일체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를 구비한다.
천장플레이트(112)는 관개수로(R)의 개방된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는 관개수로(R)의 내부 일측면 및 내부 타측면 상에 밀착된다. 즉, 본체(110)는 대략 "n"자 형상을 가진다. 이때,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또는, 제 2 수직플레이트(116) 중 어느 하나에는 관개수로(R)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논으로 연장된 급수관(P)과 연통하는 급수공(118)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 2 수직플레이트(116)에 급수공(118)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는 통상의 결합수단(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통상의 볼트 또는 통상의 리벳 등에 의해 관개수로(R)의 내부 일측면 및 내부 타측면 상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10)에는 물막이부(120) 및 급수부(150)가 장착된다.
물막이부(120)는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막이판(122)과, 물막이판(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물막이축(126)을 구비한다.
물막이판(122)은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물막이판(122)의 양단은 급수공(118)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에 장착된 수직한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124)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즉, 제 1 가이드레일(124)의 단면은 물막이판(122)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물막이판(122)이 제 1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하측으로 안내되면, 물막이판(122)은 관개수로(R)를 폐쇄하여 농업용수(W)를 가두고, 물막이판(122)이 제 1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상측으로 안내되면, 관개수로(R)를 개방하여 농업용수(W)를 방류한다.
물막이축(126)은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제 1 수나사(128)가 형성된다. 물막이축(126)은 천장플레이트(112)에 나사 결합되고, 물막이축(126)의 하부는 물막이판(122)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천장플레이트(112)에는 물막이축(126)이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제 1 암나사(130)가 형성된 제 1 체결공(132)이 형성되고, 물막이판(122)에는 물막이 판(122)의 일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물막이축(126)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브라켓(134)이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제 1 브라켓(134)에는 물막이축(126)의 하부가 관통하는 제 1 관통공(136)이 형성되고, 제 1 관통공(136)을 관통한 물막이축(126)의 하부에는 물막이축(12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제 1 이탈방지링(138)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물막이축(126)의 상부에는 물막이축(12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 1 핸들(140)이 장착된다.
한편, 급수부(150)는 급수하우징(152), 급수하우징(1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수판(154) 및 급수판(15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급수축(158)을 구비한다.
급수하우징(152)은 급수공(118)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급수하우징(152)은 농업용수(W)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유입된 농업용수(W)가 급수공(118)을 통해 논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진다. 즉,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단은 급수공(118)을 감싸면서 급수공(118)이 형성된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또는 제 2 수직플레이트(116)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형성된 급수하우징(152)에는 급수판(154) 및 급수축(158)이 장착된다.
급수판(154)은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한다. 급수판(154)은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급수판(154)의 양단은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 양단에 장착된 수직한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156)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제 2 가이드레일(156)은 급수하우징(152) 의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즉, 제 2 가이드레일(156)의 단면은 물막이판(122)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단면을 가지며, 급수판(154)이 제 2 가이드레일(156)을 따라 하측으로 안내되면,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은 개방되어 농업용수(W)가 유입되고, 제 2 가이드레일(156)을 따라 상측으로 급수판(154)이 안내되면, 급수판(154)은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한다.
한편, 급수축(158)은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제 2 수나사(160)가 형성된다. 급수축(158)은 천장플레이트(112)에 나사 결합되고, 급수축(158)의 하부는 급수판(154)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천장플레이트(112)에는 급수축(158)이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제 2 암나사(162)가 형성된 제 2 체결공(164)이 형성되고, 급수판(154)에는 급수판(154)의 일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급수축(158)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브라켓(166)이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제 2 브라켓(166)에는 급수축(158)의 하부가 관통하는 제 2 관통공(168)이 형성되고, 제 2 관통공(168)을 관통한 급수축(158)의 하부에는 급수축(158)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제 2 이탈방지링(170)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급수축(158)의 상부에는 급수축(158)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 2 핸들(172)이 장착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관개수로용 수문(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물막이부(120) 및 급수부(150)가 장착된 본체(110)를 관개수로(R)에 장착한 후, 급수공(118)에 논의 바닥으로 연장된 급수관(P)을 연결한 상태 하에서,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W)를 가두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핸들(140)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물막이축(126)을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물막이축(126)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물막이판(122)은 제 1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제 1 수직플레이트(114) 및 제 2 수직플레이트(116)의 하측으로 이동되고, 물막이판(122)의 하부가 관개수로(R)의 바닥에 밀착되면,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W)는 물막이판(122)의 높이에 맞게 가두어진다. 이때, 급수부(150)의 급수판(154)은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물막이판(122)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W)는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서 수온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누구나 알 수 있듯이, 관개수로(R)에 가두어진 농업용수(W)를 방류하기 위해서는 제 1 핸들(140)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물막이판(122)을 상승시킨다.
한편,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W)를 논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물막이판(122)이 관개수로(R)를 폐쇄한 상태 하에서, 제 2 핸들(172)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급수축(158)을 일측으로 회전시킨다. 급수축(158)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급수판(154)은 제 2 가이드레일(156)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은 개방되어 농업용수(W)가 급수하우징(152) 내로 유입된다. 급수하우징(152) 내로 유입된 농업용수(W)는 다시 급수공(118)을 거쳐 급수관(P)을 통해 논바닥으로 유입된다. 이때, 급수하우징(152) 측으로 유입되는 농업용수(W)는 태양의 복사열을 직접 전달받아 수온이 상승한 표층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논으로 농업용수(W)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 2 핸들(140)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급수판(154)을 상승하면서 급수하우징(152)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개수로용 수문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개수로용 수문의 작동상태를 보인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관개수로용 수문 110 : 본체
120 : 물막이부 122 : 물막이판
126 : 물막이축 150 : 급수부
152 : 급수하우징 154 : 급수판
158 : 급수축
Claims (6)
- 논에 농업용수가 유입되게 하는 관개수용 수문에 있어서,상기 관개수로용 수문은,상기 관개수로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본체;상기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관개수로를 흐르는 상기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또는 흘려보내는 물막이부; 및상기 본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물막이부에 의해서 가두어지고 태양의 복사열로 인해 수온이 상승한 상기 농업용수를 상기 논으로 안내하는 급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상기 관개수로의 개방된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천정플레이트;상기 천장플레이트의 양단에서 일체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개수로의 내부 일측면 및 내부 타측면 상에 밀착되는 제 1 수직플레이트 및 제 2 수직플레이트;를 구비하고,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 수직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논으로 연장된 급수관과 연통하는 급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부는,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막이판;상기 물막이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물막이축;을 구비하고,상기 물막이판의 양단은 상기 급수공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수직플레이트에 장착된 수직한 한 쌍의 제 1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물막이축의 외주면 상에는 제 1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천장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물막이축의 하부는 상기 물막이판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플레이트에는 상기 물막이축이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제 1 암나사가 형성된 제 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막이판에는 상기 물막이판의 일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막이축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브라켓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브라켓에는 상기 물막이축의 하부가 관통하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물막이축의 하부에는 통상의 제 1 이탈방지링이 장착되며, 상기 물막이축의 상부에는 제 1 핸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상기 급수공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디고 상기 농업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유입된 상기 농업용수를 상기 급수공을 통해 논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개방된 일단은 상기 급수공을 감싸면서 상기 급수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수직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 수직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되는 급수하우징;상기 급수하우징의 상기 개방된 일측을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방된 일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판; 및상기 급수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급수축;을 구비하고,상기 급수판의 양단은 상기 급수하우징의 개방된 일측 양단에 장착되면서 상기 급수하우징의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한 한 쌍의 제 2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급수축의 외주면 상에는 제 2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천장플레이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급수축의 하부는 상기 급수판에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플레이트에는 상기 급수축이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 상에 제 2 암나사가 형성된 제 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판에는 상기 급수판의 일측면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급수축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 브라켓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브라켓에는 상기 급수축의 하부가 관통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급수축의 하부에는 통상의 제 2 이탈방지링이 장착되며, 상기 급수축의 상부에는 제 2 핸들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231A KR100994358B1 (ko) | 2008-06-12 | 2008-06-12 | 관개수로용 수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231A KR100994358B1 (ko) | 2008-06-12 | 2008-06-12 | 관개수로용 수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9127A true KR20090129127A (ko) | 2009-12-16 |
KR100994358B1 KR100994358B1 (ko) | 2010-11-15 |
Family
ID=4168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5231A KR100994358B1 (ko) | 2008-06-12 | 2008-06-12 | 관개수로용 수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43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036Y1 (ko) * | 2012-02-08 | 2013-03-25 | 김주형 | 논의 배수장치 |
KR101330075B1 (ko) | 2012-09-06 | 2013-11-18 |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 농업용 이동식 물막이 |
KR101372516B1 (ko) * | 2013-11-27 | 2014-03-11 |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수위 조절을 이용한 토양 급수 시설 |
KR101775665B1 (ko) * | 2015-08-04 | 2017-09-07 | 대동파이프 주식회사 | 조립식 물막이. |
KR200480684Y1 (ko) | 2015-12-16 | 2016-06-23 | 윤병화 | 공도(公道)용 수문장치의 스크류 샤프트 홀더 고정대 |
KR101677401B1 (ko) | 2015-12-16 | 2016-11-17 | 윤병화 | 공도(公道)용 수문장치의 스크류 샤프트 홀더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1908B1 (ko) * | 2001-09-07 | 2005-04-13 | (주)청호종합기술단 |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
KR200259261Y1 (ko) | 2001-09-12 | 2002-01-05 | (주)청호종합기술단 |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
KR200380459Y1 (ko) | 2004-12-14 | 2005-03-30 | 주식회사 성천 씨엠에스 | 수직축형 버터플라이 수문 |
-
2008
- 2008-06-12 KR KR1020080055231A patent/KR100994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4358B1 (ko) | 2010-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4358B1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US2008020598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of fields | |
CN210827389U (zh) | 一种农田进排水装置 | |
CN110476669B (zh) | 滴灌管及温室大棚 | |
KR100662861B1 (ko) |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 |
KR200462295Y1 (ko)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
KR102340470B1 (ko) | 농수로용 물꼬 | |
US3953978A (en) | Combined drain and flood gate | |
KR20100037393A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KR20170000599A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KR20160004033A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KR100375550B1 (ko) |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 |
JP3699986B2 (ja) | 暗渠排水装置 | |
JP2673666B2 (ja) | 水田の水位制御装置 | |
KR200392567Y1 (ko) |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 |
KR100256845B1 (ko) |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 |
JP3671373B2 (ja) | 地下灌漑システム | |
JP2002034362A (ja) |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 |
JP3670480B2 (ja) | 水田の水位調整ユニットおよび水田の水位調整システム | |
JP2009100683A (ja) | 水田貯水装置 | |
JP3670427B2 (ja) |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および灌漑用水の水位調整システム | |
JP3670426B2 (ja) |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 |
KR100919131B1 (ko) |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 |
KR20050006781A (ko) | 농수 조절용 수문 | |
KR200145420Y1 (ko) | 플라스틱 물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