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36Y1 - 논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논의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036Y1 KR200466036Y1 KR2020120009554U KR20120009554U KR200466036Y1 KR 200466036 Y1 KR200466036 Y1 KR 200466036Y1 KR 2020120009554 U KR2020120009554 U KR 2020120009554U KR 20120009554 U KR20120009554 U KR 20120009554U KR 200466036 Y1 KR200466036 Y1 KR 2004660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main body
- drainage
- support frame
- clos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논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논두렁에 설치되어 논에 저장된 물의 양을 조절하는 논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도어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장마철에 필요 이상의 물이 논에 유입될 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논두렁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논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논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논두렁에 설치되어 논에 저장된 물의 양을 조절하는 논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도어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장마철에 필요 이상의 물이 논에 유입될 때 간단한 조작만으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써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고 논두렁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는 논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나 미나리, 연근과 같은 농작물은 논에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을 채운 상태에서 재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논의 둘레를 흙으로 둘러싸서 두렁(둑)을 만들고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곳에 물꼬(Inlet for irrigation)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물꼬를 형성하기 위하여 논두렁 일부의 흙을 퍼내고 비닐을 깔아 흙으로 덮어 고정시킨 후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고, 물의 유입 또는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흙으로 메워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수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농작물의 생육에 적당한 수위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과정에서 흐르는 물과 함께 흙이 휩쓸려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마철 폭우에 의해 물꼬나 그 주변의 논두렁이 유실됨과 아울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논의 수온 및 지온이 저하되고 유해한 환원 생성물의 해작용에 의해 농작물 생육에 지장을 주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논두렁에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진 PVC 등으로 된 배수관을 매설하여 물이 흐르도록 하거나 흙으로 막아 배수량을 조절했는데, 이러한 경우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이 배수관을 통과할 때 배수관 입구에서 물이 소용돌이치는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배수관 주변의 흙이 침식되면서 논두렁이 파손될 뿐 아니라 농작물의 재배에 알맞게 배수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로 인해 논두렁에 설치가 간편하고 견고하며 수위 조절이 가능한 배수장치에 대한 기술이 고안되고 있는바,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62024호의 "다단계식 논의 배수장치", 제320605호의 "논두렁용 물꼬", 제168422호의 "배수구 물꼬", 제364468호의 "물꼬", 제454153호의 "역류 방지 및 수량 조절기능이 구비된 물꼬"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수장치의 설치 간편성 및 수위 조절의 용이성을 지속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배수장치에 비하여 내구성 및 사용 간편성이 더욱 보강된 논의 배수장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논두렁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내구성이 보강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배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배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흐름을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도어가 물과 함께 유입된 흙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는, 논두렁의 절개 부위에 설치되고 전후면이 개방되어 중앙에 배수로가 형성되며 논두렁 절개 부위의 흙이 수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도록 전면 좌우 양측에 패널 형상의 지지판이 연장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매설되며 도어수용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배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은 수위 측정이 가능하도록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패널 형상의 안착판; 및 배수 시 논의 흙이 빠지도록 상기 안착판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흙받이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 작동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상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너트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면에 결합되는 회전나사봉; 및 상기 회전나사봉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을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이 안착홈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 상기 안착홈부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는, 논두렁의 절개 부위에 설치되고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좌우 양단부에 ㄷ자 단면형상의 삽입지지부가 형성되며 후면부에 배수로가 형성된 배수관을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매설되며 도어수용부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본체의 배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측에 쌓이는 흙의 제거가 용이하여 도어의 작동이 원활해지도록 지지프레임의 전면 하부면에 개방절개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외부의 흙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개방절개부의 전방에 ㄷ자 단면형상의 커버부재가 더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도어의 좌우 양단부에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위치조절공; 상기 도어의 중단에 형성되어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본체의 배수로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개방하는 배수구; 상기 위치조절공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는 도어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조절핀; 및 상기 위치조절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도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삽입고정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의 후단부가 걸리도록 본체의 삽입지지부 상단부에 하방을 향해 절개 형성된 걸림홈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 시 도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용이하도록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와 본체 및 지지프레임과의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좌우 양단 및 하부 둘레면에 도포된 실리콘 소재의 마감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전면에 수위확인부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지지부의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되, 상기 수위확인부 및 눈금은 형광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논의 배수장치에 따르면, 논두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배수장치의 하부를 지면에 매립 설치함으로써 파손의 염려가 없이 견고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배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장마철 필요한 만큼의 배수가 용이하고 논에 저장되어 있어야 할 물의 양을 조절하기 편리하므로 농작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논두렁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논에 있는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물과 함께 이동되는 흙이 도어의 틈 사이로 낙하하여 지지프레임의 하부 측에 쌓이더라도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4는 도1의 단면도
도5는 도1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7은 도6의 내측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10은 도9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11은 도9의 정면도
도12는 도9의 단면도
도13은 도9의 평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상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4는 도1의 단면도
도5는 도1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7은 도6의 내측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사시도
도10은 도9의 배면 분리사시도
도11은 도9의 정면도
도12는 도9의 단면도
도13은 도9의 평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에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정면도이며, 도3은 도1의 배면 분리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단면도이다.
또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P는 논, W는 물길을 나타내고, 본원고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의 전면은 논, 후면은 물길 측을 가리킨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D)는, 눈두렁의 절개 부위에 설치되고 물이 통하도록 배수로(11)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매설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0); 및 상기 도어를 작동하여 상기 본체의 배수로를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논과 물길 사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논두렁(미도시)의 절개 부위에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논(P)과 물길(W) 사이에 서로 물이 통하도록 전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이 공간이 배수로(1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체(10)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도어를 배치 후 상판(12)을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상판 중앙에는 후술하는 회전나사봉의 상단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전면 좌우 양측에는 패널 형상의 지지판(13)이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본체가 설치되는 논두렁의 절개 부위 주변의 흙이 수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양측 지지판(13)에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눈금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패널 형상의 안착판(14)을 가지며, 상기 안착판은 그 저면부가 논두렁 바닥에 안착됨과 아울러 논(P)으로부터 물길(W)을 향해 물이 배출될 경우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안착판(14)의 소정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흙받이홈(141)이 형성되어 논으로부터 물길을 향해 물이 배출될 때 논의 흙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맑은 물만 배출시킴과 아울러 도어 주변으로 흙이 밀려들어가 도어의 작동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프레임(20)이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는데, 지지프레임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공간의 일부는 후술하는 도어를 수용하는 도어수용부(21)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면에 매설된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은 본체(10)에 비해 후면부가 소정 폭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은 전체적으로 ㄱ자 측단면 형상을 가지게 되며, 본체의 후면 돌출 부위는 그 저면부(22)가 지면에 안착하여 지지된다.
아울러,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은 후술하는 도어 및 회전나사봉이 삽입 배치되도록 그 내부에 서로 관통되는 소정 공간을 갖게 되고, 좌우 양측 내벽면에는 도어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30)는 상기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배수로(11)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사각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는 본체의 가이드홈(15)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배수로(11)를 개폐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도어(30)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도어수용부(21)에 완전히 수용될 경우 상기 배수로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도어개폐수단은 본체의 배수로(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30)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체(41); 회전나사봉(42); 및 안착홈부(43)를 포함한다.
회전체(4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전나사봉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체는 수동으로 작동되고 회전나사봉의 상단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 중앙 홈부(미도시)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41)는 회전나사봉을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그 상부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411)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412는 결합볼트, 413은 와셔이다.
회전나사봉(42)은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결합너트(421)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내면에 결합되어 회전 작동되면서 도어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즉, 회전나사봉(42)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너트(421)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결합너트(421)는 도어(30)의 내면 소정 위치에 용접에 의해 일체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회전체(41)에 의해 회전나사봉(4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면서 도6 및 도7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결합너트가 회전나사봉을 따라서 상하로 승강함과 아울러 여기에 결합된 도어(30)의 승강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나사봉(42)은 그 상단부가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체(41)에 나사 결합되도록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전체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안착홈부(43)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나사봉(42)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나사봉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나사봉을 회전시키도록 지지프레임(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나사봉(42)의 하단부가 삽입 안착되도록 중앙에 안착홈(43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어개폐수단은 회전나사봉(42)이 안착홈부(43)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이탈방지수단(45)을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수단(45)은 회전나사봉(4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451); 안착홈부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452); 및 고정공에 관통되어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453)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453)이 고정공(452)을 관통하여 이탈방지홈(451)에 삽입되고 회전나사봉의 하단부가 안착홈부 상에 걸림에 따라 외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는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면서 본체의 배수로(11)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논의 배수장치(D)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를 조립하는데, 도어(30) 내면에 용접 결합된 결합너트(421)에 회전나사봉(42)을 삽입하여 상기 도어에 회전나사봉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도어의 양단을 본체(10) 좌우 내측면의 가이드홈(15)에 끼움과 아울러 상기 회전나사봉의 하단부를 지지프레임(20)의 안착홈부(43)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의 내부에 도어가 결합된 회전나사봉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나사봉 하단의 이탈방지홈(451)에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453)을 결합하며, 이에 따라 회전나사봉이 이탈하지 않고 제 자리에서 회전 작동함과 아울러 도어(30)가 회전나사봉을 따라 본체 및 지지프레임 내에서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며, 이때, 도어가 하강 시에는 지지프레임의 도어수용부(21)에 수용된다.
이어서, 본체(10)의 상부에 상판(12)을 용접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이때, 상판의 관통공(12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회전나사봉(42)의 상단부에는 회전체(41)를 나사 결합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회전나사봉이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논과 물길 사이에 형성된 논두렁의 소정 위치를 절개하고 이 부위에 본 고안의 배수장치를 삽입 설치하되, 본체(10)가 상기 절개 부위에 밀착하여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만큼 더 파내어 지지프레임(20)을 지면에 매설한다.
본 고안의 배수장치를 논두렁에 설치 후 논의 수위를 적정하게 유지하게 되며, 만일 장마철 폭우에 의해 논에 과다한 양의 물이 유입될 경우 회전체의 손잡이(411)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면 도어(30)가 회전나사봉(42)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어 하강하면서 배수로(11)를 개방하여 논의 물이 물길 쪽으로 배출된다.
이후, 논의 물이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어 수위가 적정한 수준에 이르게 되면 손잡이(411)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도어(30)를 상승시킴에 따라 배수로(11)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에 의해 회전나사봉의 회전 작동과 함께 도어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시키면서 본체 배수로를 개폐함에 따라 논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는 논의 배수장치는 장마철 논의 물이 필요 이상으로 넘치게 될 경우 물을 배수하는 것 외에도 계단식 논과 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논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논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9 내지 도1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1 내지 도8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체(10)는 실시예1에서와 같이 소정 부피를 가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패널 형상의 도어(3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후면부에는 논(P)과 물길(W) 사이에 물이 통하도록 배수로(11)가 형성된 배수관(16)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좌우 양단부는 ㄷ자 평단면형상으로 된 삽입지지부(17)를 갖게 되고, 그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5)에 도어의 좌우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지지부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부, 즉, 양측 삽입지지부(17)의 전면에는 각각 눈금이 표시되어 후술하는 도어의 수위확인부에 의해 배수로(11)를 통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의 측면에는 고정구(18)가 구비되는데, 이는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위치조절핀을 스프링 등의 연결부재(181)에 의해 고정구에 연결함으로써 위치조절핀이 분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체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은 본체와 마찬가지로 패널 형상의 도어(3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20)의 전면 하부면에는 개방절개부(24)가 형성되는데, 이는 본체의 배수로(11)를 통해 물이 들어오거나 나가는 과정에서 흙이 함께 유입되어 낙하하면서 도어(30)의 틈 사이에 끼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20)의 하부 측에 흙이 쌓이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개방절개부(24)를 통해 흙을 제거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절개부(24)의 전방에 ㄷ 단면 형상의 커버부재(25)를 설치함에 따라 지지프레임 전체를 지면에 매설할 경우 외부의 흙이 지지프레임의 측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로부터 낙하한 흙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도어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다.
도어(30)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좌우 양단부가 상기 삽입지지부(17)에 끼워진 상태로 본체 및 지지프레임 내부의 도어수용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12에서와 같이 좌우 양단부 및 하단부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과 같은 마감부재(31)에 의해 마감 처리되어 있다. 이는 도어와 본체 및 지지프레임과의 틈새에 수밀을 유지시켜 주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어(30)의 전면, 즉, 후술하는 배수구의 하부에는 수위확인부(3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본체(10)에 삽입 결합 시 삽입지지부(17)의 전면에 표시된 눈금에 의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눈금과 수위확인부는 형광 처리를 함에 따라 야간에도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수단은, 위치조절공(51), 배수구(52),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53) 및 삽입고정공(54)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상기 도어(30)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본체의 배수로(11)를 단계적으로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위치조절공(51)은 도10에 도시되듯이 도어(30)의 좌우 양단부에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서 하기 위치조절핀이 여기에 관통하여 삽입된다.
배수구(52)는 도어(30)의 중단에 형성되어 본체 및 지지프레임 내에서 도어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본체의 배수로(11)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개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치조절핀 또는 위치조절볼트(53)는 상기 위치조절공에 삽입되어 본체 및 지지프레임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 작동되는 도어(30)를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삽입고정공(54)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후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핀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걸림홈부(55)를 더 포함하며, 걸림홈부는 본체의 삽입지지부(17)의 상단부에 하방을 향해 절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위치조절핀의 후단부가 걸리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어는 원하는 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손잡이부(56)를 더 포함하며, 손잡이부는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 시 도어의 손잡이부를 잡고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논의 배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15a 내지 도15c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15a는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배수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이고, 도15b는 도어를 상방으로 일정 부분 들어 올려 배수로를 부분적으로 개방한 상태이며, 도15c는 도어를 상방으로 상당 부분 들어 올려 배수로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논두렁의 절개 부위에 배수장치의 지지프레임(20)을 매설하여 설치하되, 지지프레임(20)의 전면의 개방절개부(24)는 노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 및 후면부는 지면에 매설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커버부재(25)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0) 전체가 지면에 매설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된 후에는 도어(30)를 도어수용부에 삽입 수용하고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53)을 본체의 삽입고정공(54) 및 도어의 위치조절공(51)에 삽입하여 도어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눈두렁에 배수장치를 설치 후 농작물의 생육에 적당한 수위를 조절하거나 또는 장마철 폭우에 의해 논에 물이 과다하게 유입된 경우 도어를 상하 슬라이딩 작동하여 물의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삽입고정공(54) 및 위치조절공(51)에 삽입된 위치조절핀(53)을 제거하고 도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위치를 조절하면서 본체의 배수로(11)와 통하는 도어의 배수구(52) 위치를 적절하게 맞춘 후 다시 위치조절핀을 위치조절공 및 고정공에 삽입하고 그 후단부는 걸림홈부(55)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를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도어(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위치조절핀은 스프링 등의 연결부재(181)에 의해 고정구(18)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분실될 염려가 없다.
또한, 배수로(11)를 통해 논과 물길 사이로 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과 함께 섞여 아래로 낙하한 흙이 지지프레임(20)의 하단에 쌓이게 될 경우에는 개방절개부(24)를 통해 흙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도어(30)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개폐수단에 의해 도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본체의 배수로(11)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양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 : 본체 11 : 배수로
12 : 상판 121 : 관통공
13 : 지지판 14 : 안착판
141 : 흙받이홈 15 : 가이드홈
16 : 배수관 17 : 삽입지지부
18 : 고정구 181 : 연결부재
20 : 지지프레임 21 : 도어수용부
22 : 저면부 24 : 개방절개부
25 : 커버부재 30 : 도어
31 : 마감부재 32 : 수위확인부
41 : 회전체 411 : 손잡이
42 : 회전나사봉 421 : 결합너트
43 : 안착홈부 431 : 안착홈
45 : 이탈방지수단 451 : 이탈방지홈
452 : 고정공 453 :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
51 : 위치조절공 52 : 배수구
53 :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 54 : 삽입고정공
55 : 걸림홈부 56 : 손잡이부
D : 논의 배수장치
12 : 상판 121 : 관통공
13 : 지지판 14 : 안착판
141 : 흙받이홈 15 : 가이드홈
16 : 배수관 17 : 삽입지지부
18 : 고정구 181 : 연결부재
20 : 지지프레임 21 : 도어수용부
22 : 저면부 24 : 개방절개부
25 : 커버부재 30 : 도어
31 : 마감부재 32 : 수위확인부
41 : 회전체 411 : 손잡이
42 : 회전나사봉 421 : 결합너트
43 : 안착홈부 431 : 안착홈
45 : 이탈방지수단 451 : 이탈방지홈
452 : 고정공 453 :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
51 : 위치조절공 52 : 배수구
53 :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 54 : 삽입고정공
55 : 걸림홈부 56 : 손잡이부
D : 논의 배수장치
Claims (15)
- 논두렁의 절개 부위에 설치되고 전후면이 개방되어 중앙에 배수로(11)가 형성되며 논두렁 절개 부위의 흙이 수압에 의해 무너지지 않도록 전면 좌우 양측에 패널 형상의 지지판(13)이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물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하부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패널 형상의 안착판(14)과 배수 시 논의 흙이 빠지도록 상기 안착판 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흙받이홈(141)이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매설되며 도어수용부(21)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도어(30); 및
상기 본체의 배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3)은 수위 측정이 가능하도록 눈금이 표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 작동하는 회전체(41);
상기 회전체에 상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결합너트(421)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면에 결합되는 회전나사봉(42); 및
상기 회전나사봉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안착홈부(43);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42)을 용이하게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체(41)의 상부에 편심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손잡이(411)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42)이 안착홈부(43)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회전나사봉(4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451);
상기 안착홈부(43)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452); 및
상기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이탈방지홈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45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논두렁의 절개 부위에 설치되고 전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좌우 양단부에 ㄷ자 단면형상의 삽입지지부(17)가 형성되며 후면부에 배수로(11)가 형성된 배수관(16)을 가진 본체(10);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되게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매설되며 도어수용부(21)가 구비되며, 하부 측에 쌓이는 흙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전면 하부면에 개방절개부(24)가 형성된 지지프레임(20);
상기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배수로를 개폐하는 도어(30); 및
상기 본체의 배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하 수직으로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도어개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외부의 흙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상기 개방절개부(24)의 전방에 ㄷ자 단면형상의 커버부재(25)가 더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도어(30)의 좌우 양단부에 일정 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위치조절공(51);
상기 도어의 중단에 형성되어 도어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본체의 배수로(11)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개방하는 배수구(52);
상기 위치조절공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되는 도어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53); 및
상기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도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삽입고정공(5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위치조절볼트 또는 위치조절핀(53)의 후단부가 걸리도록 본체의 삽입지지부(17) 상단부에 하방을 향해 절개 형성된 걸림홈부(5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수단은, 상기 도어(30)의 높낮이를 조절 시 도어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용이하도록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5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와 본체(10) 및 지지프레임(20)과의 사이에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의 좌우 양단 및 하부 둘레면에 도포된 실리콘 소재의 마감부재(31)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의 전면에 수위확인부(32)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지지부(17)의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되, 상기 수위확인부 및 눈금은 형광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논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948 | 2012-02-08 | ||
KR20120000948 | 2012-02-0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6036Y1 true KR200466036Y1 (ko) | 2013-03-25 |
Family
ID=5138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9554U KR200466036Y1 (ko) | 2012-02-08 | 2012-10-22 | 논의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03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449Y1 (ko) | 1999-03-10 | 2000-02-15 | 유상호 | 급수용논물막이 |
KR20100037393A (ko) * | 2008-10-01 | 2010-04-09 | 신정희 | 관개수로용 수문 |
KR200450776Y1 (ko) | 2008-05-07 | 2010-10-29 |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
KR100994358B1 (ko) * | 2008-06-12 | 2010-11-15 | 신정희 | 관개수로용 수문 |
-
2012
- 2012-10-22 KR KR2020120009554U patent/KR2004660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449Y1 (ko) | 1999-03-10 | 2000-02-15 | 유상호 | 급수용논물막이 |
KR200450776Y1 (ko) | 2008-05-07 | 2010-10-29 |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
KR100994358B1 (ko) * | 2008-06-12 | 2010-11-15 | 신정희 | 관개수로용 수문 |
KR20100037393A (ko) * | 2008-10-01 | 2010-04-09 | 신정희 | 관개수로용 수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20751A (en) |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 |
US78575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ainage and irrigation of fields | |
KR101209244B1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 |
US10294655B2 (en) | Filtration apparatus for use with drainage structure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 |
KR100977492B1 (ko) | 토사 유입 방지장치 | |
CN109763400A (zh) | 具有应急排水功能的园林道路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136380B1 (ko) | 논물 수위조절장치 | |
KR100662861B1 (ko) |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 |
KR100994358B1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KR101067610B1 (ko) |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 |
KR200466036Y1 (ko) | 논의 배수장치 | |
KR200462295Y1 (ko)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
KR102108741B1 (ko) | 지하 수위 제어 시스템 | |
KR102080383B1 (ko) | 무타공 집수구 | |
KR101922524B1 (ko) | 저수조용 수문 | |
CN210658276U (zh) | 一种田间自动控制进水管装置 | |
KR101025254B1 (ko) | 농업용 배수장치 | |
KR20120138545A (ko) | 무동력 자동유량조절장치 | |
KR100676369B1 (ko) |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 |
US20080035570A1 (en) | Catch basin insert | |
CN217509579U (zh) | 一种果园果树集水灌溉装置 | |
KR20130139396A (ko) |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 |
KR102249356B1 (ko) |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 |
KR101646902B1 (ko) |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 |
JP6034732B2 (ja) |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