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356B1 -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356B1
KR102249356B1 KR1020190155162A KR20190155162A KR102249356B1 KR 102249356 B1 KR102249356 B1 KR 102249356B1 KR 1020190155162 A KR1020190155162 A KR 1020190155162A KR 20190155162 A KR20190155162 A KR 20190155162A KR 102249356 B1 KR102249356 B1 KR 10224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 gutter
rainwater
gutter
pipe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19015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45Connections between gutter and down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53Valves for controlling the rain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6Access opening for cleaning; Devices for avoiding cumulation of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 빗물받이 홈통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집수 효율보다 더 큰 우수가 발생하는 장마나 폭우시 우수의 넘침을 방지하여 빗물받이 홈통 및 처마물받이측에 전달되는 우수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에 평상시 닫힘동작되고 빗물받이 홈통 내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빗물받이 홈통의 하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캡부재를 구비하여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A RAIN GUTTER STRUCTRE}
본 발명은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 빗물받이 홈통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집수 효율보다 더 큰 우수가 발생하는 장마나 폭우시 우수의 넘침을 방지하여 빗물받이 홈통 및 처마물받이측에 전달되는 우수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에 평상시 닫힘동작되고 빗물받이 홈통 내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빗물받이 홈통의 하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캡부재를 구비하여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붕 우수(雨水)를 받아서 배출시키는 장치로는 처마홈통, 선홈통, 깔때기홈통, 장식통, 누인홈통, 홈걸이, 루프드레인(roof drain) 등의 반원형 통이나 관(管)이 두 개 이상 결합되어 사용된다.
대부분의 건축물에는 지붕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받기 위해서 지붕의 끝단에 빗물받이 홈통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 빗물받이는 빗물받이 구실을 하기 위해 설치했지만 여기에는 지붕에 떨어지는 많은 낙엽등이 쌓여서 빗물받이에 연결된 배수구멍을 막아 빗물받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매년 이곳에 낙엽이 쌓여서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아래로 축 쳐지거나 망가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현재 대부분의 빗물받이는 함석으로 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동판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대개 얇은 철판을 이용하는데 대부분의 빗물받이들이 1여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이용한 재료도 있으나 햇빛에 약하기 때문에 빨리 고장이 나는 단점이 있다.
기존 빗물받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204호 "홈통용 배수트랩"(등록일자 : 2014.03.2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붕에 연결되어 우수가 배출되는 상부홈통과, 상부홈통에서 하부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지상까지 설치되는 하부홈통과, 상부홈통을 통해 배출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상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우수가 채워지는 우수공간이 형성되는 트랩바디와, 트랩바디의 우수공간으로 일단이 관통되면서 배출홀의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우수공간의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우수배출관 및 우수배출관의 일단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우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서 우수배출관으로 제공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기존 빗물받이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00966호 "빗물받이 홈통"(등록일자 : 2003.01.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강돌기가 형성된 측벽의 하단에 걸림턱이 갖추어져 있으면서 측벽중의 하나에 집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집수구를 구비한 본체와, 중앙에 형성된 배수관 연결구에 배수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돌출 부착된 연결구를 구비하고서 본체의 내부에서 강제 삽입되어 가장자리가 본체의 걸림턱에 걸려져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본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체로 이루어진다.
기존 빗물받이 홈통은 지붕의 우수가 수집되는 과정에서 지붕에 남아있는 낙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홈통 내부로 유입되고 홈통 내에서 이물질이 가라앉게 되며, 맑은 물이 집수구를 통해 집수조 측으로 집수된다.
그런데, 장마나 폭우 시에는 과도한 물이 빗물받이 홈통 내부로 유입될 경우, 상기 집수구를 통해 집수되는 양을 초과하게 됨에 따라 홈통의 상측으로 우수가 넘치게 되거나 배수가 지연됨에 따라 우수가 빗물받이의 외측으로 흘러 넘치게 되면서 우수의 하중으로 인해 빗물받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 빗물받이 홈통의 경우 이물질이 내부 하측에 쌓이게 될 경우 시각적으로 사용자가 식별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기존 물탱크 및 빗물받이 집수조의 경우에는 상부측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어 우수의 넘침현상을 예방하고 있으나, 빗물받이 홈통의 경우에는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된 것이 없으므로, 장마나 폭우 발생시 우수의 넘침현상으로 인해 빗물받이 홈통측에 우수의 과도한 하중이 전달되어 부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204호 "홈통용 배수트랩"(등록일자 : 2014.03.2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00966호 "빗물받이 홈통"(등록일자 : 2003.01.0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 빗물받이 홈통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구와 연결되어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집수 효율보다 더 큰 우수가 발생하는 장마나 폭우시 우수의 넘침을 방지하여 빗물받이 홈통 및 처마물받이측에 전달되는 우수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에 평상시 닫힘동작되고 빗물받이 홈통 내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오버플로우관의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받이 홈통의 하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될 경우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고 착탈 가능한 캡부재를 구비하여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처마물받이로부터 공급되는 우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외측면에 집수관과 연결되는 집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보다 상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빗물받이 홈통과;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캡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관;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빗물받이 홈통 내의 우수를 배수관측으로 배수시키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을 구비하고, 상기 캡부재는 투명소재로 구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장관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캡부재와 연장관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받이 홈통은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은 원형 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캡부재의 투명소재는 합성수지 계열의 투명소재인 것이다.
상기 처마물받이로부터 공급되는 우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외측면에 집수관과 연결되는 집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보다 상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빗물받이 홈통과;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캡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관;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의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빗물받이 홈통 내의 우수를 배수관측으로 배수시키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은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더 구비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스프링부재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마련되어 평상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를 밀폐시키고 볼탑부재의 상방향 당김동작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구와, 상기 빗물받이 홈통 내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고 우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개폐구를 상측으로 당겨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볼탑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재는 투명소재로 구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장관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캡부재와 연장관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은 빗물받이 홈통과 연결된 집수관을 통해 집수조 내로 집수되는 우수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가 빗물받이 홈통 내로 유입될 경우, 우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빗물받이 홈통 내의 우수가 배수되어 우수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여 빗물받이 홈통 및 처마물받이의 부품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처마물받이에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로서, 오버플로우관의 배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개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개폐수단의 동작 전,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처마물받이(10)로부터 공급되는 우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외측면에 집수관(300)과 연결되는 집수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110)보다 상측에 배수구(120)가 형성된 빗물받이 홈통(100)과;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캡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관(200); 및 상기 집수구(110)보다 상측에 형성된 배수구(120)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를 배수관(미도시)측으로 배수시키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상부가 처마물받이(10)에 결합되도록 처마물받이(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우수가 상기 처마물받이(10)로부터 개구된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상부를 통해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사각 단면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관(200)은 원형 단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하부 좌,우 양측에 집수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집수구(110)에 집수관(300)이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하부에는 연장관(200)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의 하단에는 캡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250)는 이물질이 연장관 내에 쌓일 경우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캡부재(250)는 내주면에 상기 연장관(20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252)이 형성되어서, 상기 캡부재(250)와 연장관(20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관(200)은 합성수지 계열의 투명소재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연장관(200) 내에 침전된 이물질을 투명소재인 연장관(200)과 캡부재(250)를 통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청소시기를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구(120)와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는 상기 집수관(300)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집수관(30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전면에 연결된다.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배수구(120)는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전면 상부에 천공 형성된다.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타단부는 외부의 배수관측과 연결되어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배수되는 우수를 하수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평상시 우수가 처마물받이(10)로부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낙엽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우수의 유입과 같이 유입될 경우, 빗물받이 홈통(100)의 하부에 마련된 연장관(200)의 내부에 침전하게 된다.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이물질이 침전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200)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좌,우 양측에 연결된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조측으로 집수된다.
평상시에는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좌,우 양측의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조측으로 집수되므로, 상기 집수관(3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 연장관(200)의 내부에 우수와 이물질 찌거기가 잔존하게 된다.
장마나 폭우시에는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상기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조측으로 집수되는 우수의 양보다 더 많을 경우에는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우수의 수위가 배수구(120)보다 더 높아질 경우 상기 배수구(120)와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배수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배수된 우수가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빗물받이 홈통(100)과 연결된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조 내로 집수되는 우수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가 빗물받이 홈통(100) 내로 유입될 경우, 우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가 배수되어 우수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여 빗물받이 홈통(100) 및 처마물받이(10)의 부품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배수구(120)에 관통되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스프링부재(5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마련되어 평상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밀폐시키고 볼탑부재(510)의 상방향 당김동작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구(520)와,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고 우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개폐구(520)를 상측으로 당겨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볼탑부재(51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520)는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의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대략 원형 판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에 힌지핀(530)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부재(540)는 상기 힌지핀(530)에 권취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폐구(520)의 복귀동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540)는 토오션스프링을 채용한다.
상기 볼탑부재(510)는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에 충진된 우수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며, 배수구(120)보다 높은 상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개폐구(520)를 상측으로 당겨서 배수구(120)를 개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개폐수단(500)은 평상시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개폐구(520)가 닫힌 상태로 오버플로우관(400)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오버플로우관(4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반면에,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 수위가 배수구(120)의 높이보다 상승하게 될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볼탑부재(510)에 의해 개폐구(520)가 힌지핀(53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단부를 개방시켜 우수를 오버플로우관(400)의 내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폐수단(500)은 평상시 개폐구(520)가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밀폐시켜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하는 반면에, 집수관(300)을 통해 집수되는 우수의 집수량보다 더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될 경우 우수의 수위상승과 연동되는 볼탑부재(510)의 상승동작으로 인해 개폐구(520)가 힌지핀(530)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개방시켜 우수를 오버플로우관(400)측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 수위변동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낙엽이나 이물질이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막아버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처마물받이 100 : 빗물받이 홈통
110 : 집수구 120 : 배수구
200 : 연장관 210 : 수나사산
250 : 캡부재 252 : 암나사산
300 : 집수관 400 : 오버플로우관
500 : 개폐수단 510 : 볼탑부재
520 : 개폐구 530 : 힌지핀
540 : 스프링부재

Claims (5)

  1. 처마물받이(10)로부터 공급되는 우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외측면에 집수관(300)과 연결되는 집수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110)보다 상측에 배수구(120)가 형성된 빗물받이 홈통(100)과;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캡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관(200); 및
    상기 배수구(120)에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를 배수관측으로 배수시키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00);을 구비하고,
    상기 캡부재(250)는 투명소재로 구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장관(20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252)이 형성되어서, 상기 캡부재(250)와 연장관(20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관(200)은 원형 단면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250)의 투명소재는 합성수지 계열의 투명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4. 처마물받이(10)로부터 공급되는 우수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 외측면에 집수관(300)과 연결되는 집수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110)보다 상측에 배수구(120)가 형성된 빗물받이 홈통(100)과;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하부에 캡부재(25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관(200); 및
    상기 배수구(120)에 연결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의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의 우수를 배수관측으로 배수시키도록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00);을 구비하고,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은 내부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500)이 더 구비하되,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배수구(120)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스프링부재(5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마련되어 평상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를 밀폐시키고 볼탑부재(510)의 상방향 당김동작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개폐구(520)와, 상기 빗물받이 홈통(100) 내에 충진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고 우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개폐구(520)를 상측으로 당겨서 상기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부 유로를 개방시키는 볼탑부재(5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250)는 투명소재로 구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연장관(20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0)에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252)이 형성되어서,
    상기 캡부재(250)와 연장관(20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KR1020190155162A 2019-11-28 2019-11-28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KR10224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62A KR102249356B1 (ko) 2019-11-28 2019-11-28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62A KR102249356B1 (ko) 2019-11-28 2019-11-28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356B1 true KR102249356B1 (ko) 2021-05-07

Family

ID=759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62A KR102249356B1 (ko) 2019-11-28 2019-11-28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8375A (zh) * 2022-08-22 2022-11-0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漫水的排水天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Y1 (ko) 2002-10-11 2003-01-15 김창선 빗물받이 홈통
JP2007063838A (ja) * 2005-08-31 2007-03-15 Otis:Kk 排水構造
JP2007182678A (ja) * 2005-12-29 2007-07-19 Sumitomo Forestry Co Ltd 集水器
JP2007218018A (ja) * 2006-02-20 2007-08-30 Otis:Kk 樋継手
KR100893952B1 (ko) * 2007-07-24 2009-04-21 누리환경(주) 교량용 초기우수정화장치.
KR101379204B1 (ko) 2013-08-19 2014-04-02 (주)워터 아이엠에스 홈통용 배수트랩
US20190284811A1 (en) * 2018-03-15 2019-09-19 Dam Buster Ip Pty Ltd. Overflow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6Y1 (ko) 2002-10-11 2003-01-15 김창선 빗물받이 홈통
JP2007063838A (ja) * 2005-08-31 2007-03-15 Otis:Kk 排水構造
JP2007182678A (ja) * 2005-12-29 2007-07-19 Sumitomo Forestry Co Ltd 集水器
JP2007218018A (ja) * 2006-02-20 2007-08-30 Otis:Kk 樋継手
KR100893952B1 (ko) * 2007-07-24 2009-04-21 누리환경(주) 교량용 초기우수정화장치.
KR101379204B1 (ko) 2013-08-19 2014-04-02 (주)워터 아이엠에스 홈통용 배수트랩
US20190284811A1 (en) * 2018-03-15 2019-09-19 Dam Buster Ip Pty Ltd. Overflow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8375A (zh) * 2022-08-22 2022-11-04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防漫水的排水天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US8034237B2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US8517047B2 (en) Rainwater regulating system
CN105332416A (zh) 一种自动翻转式雨水口截污装置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US5799445A (en) Roof gutter overflow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249356B1 (ko)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KR200409378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WO2016085320A1 (en) Rainwater harvesting apparatus
CN208379931U (zh) 一种排水天沟
US20040031209A1 (en) Collection device for use with a gutter
KR101305971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2245590B1 (ko) 빗물 정화를 위한 우수관용 연결소켓
KR102140440B1 (ko) 교량용 집수구의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413688B1 (ko)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20100024303A (ko)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 탱크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110005094U (ko) 집수정
JP7195515B2 (ja) 雨水分岐継手
CN107956248A (zh) 一种道路排水口防堵塞用铁篦子
CN218218531U (zh) 一种带过滤功能的大棚落水管
KR102466764B1 (ko) 악취저감 빗물받이
AU2010100740A4 (en) Pest Proofing for Rainwater Tanks
CN209066587U (zh) 虹吸式雨水滞留收集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