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396A -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396A
KR20130139396A KR1020110112597A KR20110112597A KR20130139396A KR 20130139396 A KR20130139396 A KR 20130139396A KR 1020110112597 A KR1020110112597 A KR 1020110112597A KR 20110112597 A KR20110112597 A KR 20110112597A KR 20130139396 A KR20130139396 A KR 2013013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lid
road
installation structur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1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9396A/ko
Publication of KR2013013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도로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통속으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우수받이 뚜껑의 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집수통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는 우수받이 뚜껑의 유입홈이 물길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우수받이 뚜껑의 뒤쪽 양단에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되고, 집수통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뚜껑 받침부의 뒤쪽에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축 장착공이 형성되며, 우수받이 뚜껑의 앞쪽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이 형성되어 우수받이 뚜껑이 회동축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유입홈을 형성하는 날개판들에는 물길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오목한 골이 형성되어 낙수되는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Install structure of inlet cover for side ditch on the street}
본 발명은 도로의 측구에 설치되어 우수를 유입시키면서 이 유입된 우수를 원활히 배수시키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또는 빗물받이)는 도로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우수받이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10)와 인도(20)를 구분짓는 경계석(21)의 도로(10)측에 수직으로 소정 깊이의 우수받이용 집수통(30)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집수통(30)의 측면으로 배수구(31)가 집수통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연결되어 집수통(30)에 모인 우수를 우수관거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집수통(30)의 상단부에는 철제의 우수받이 뚜껑(40)이 안착된다.
이때, 도로(10)는 도로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통(30)쪽으로 유도하기 위해 구배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집수통(30)위에 닫힌 우수받이 뚜껑(40)은 집수통(30)속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으면서 빗물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유입홈(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우수받이 뚜껑(40)은 도로에 떨어진 빗물이 집수통(30)으로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거치는 곳으로,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때에는 유입된 빗물이 우수받이 뚜껑(40)을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우수받이 뚜껑(40)의 유입홈(41)이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10)에서 속도를 갖고 달려오던 빗물이 수직한 유입홈(41)을 만나면서 부딪혀 소용돌이가 치게 되고 이로 인해 원활한 배수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들이 우수받이 뚜껑(40)에 의해 걸려진다고 해도 집수통(30)속에는 토사나 협잡물들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퇴적층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수통(30) 청소를 위해 우수받이 뚜껑(40)을 열은 다음 이 우수받이 뚜껑(40)을 도로(10)면에 올려놓던가, 아니면 인도(20)위에 올려놓게 되며,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다시 우수받이 뚜껑(40)을 닫아야 한다.
그러나 우수받이 뚜껑(40)은 상당한 중량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들어올리는 데에도 힘들지만 닫는데에는 더욱 힘들어 단독작업으로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통속으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우수받이 뚜껑의 개폐를 손쉽게 할 수 있어 집수통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도로의 측구에 집수통을 형성시키고, 이 집수통의 상부에 유입홈을 갖는 우수받이 뚜껑을 설치하여서 된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에 있어서,
유입홈은 물길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우수받이 뚜껑의 뒤쪽 양단에는 회동축이 돌출 형성되고, 집수통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뚜껑 받침부의 뒤쪽에는 회동축이 삽입되는 회동축 장착공이 형성되며, 우수받이 뚜껑의 앞쪽 상부면상에는 손잡이이 형성되어 우수받이 뚜껑이 회동축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 장착공중 어느 한쪽에는 회동축의 하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회동축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회동축 안착홈부의 위에는 회동축의 상부를 감싸도록 회동축 마감커버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입홈을 형성하는 날개판들에는 물길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오목한 골이 형성되어 낙수되는 유속을 더욱 빠르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은 유입홈이 물길의 흐름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로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수통속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우수받이 뚜껑을 회동축에 의해 열고 닫히도록 설치하여 집수통내 청소를 위해 우수받이 뚜껑을 열을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집수통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잇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도로와 인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계석 부근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수로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집수통 청소를 위해 우수받이 뚜껑을 들어낸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우수받이 뚜껑을 설치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우수받이 뚜껑의 회동축이 장착되기 위한 집수통 상부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우수받이 뚜껑이 설치되어 닫힌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 우수받이 뚜껑이 설치되어 열린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40)은 유입홈(41)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40)은 타측 양단에 회동축(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측 상부면상에는 우수받이 뚜껑(4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입홈(41)은 물의 흐름에 최대한 저항을 덜 받게 하여 물빠짐이 좋게 한 것으로 물이 흐르는 방향인 우수받이 뚜껑(40)의 일측에서부터 타측방향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수받이 뚜껑(40)이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회동을 손잡이(43)을 이용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손잡이(43)는 항상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할때에만 상부로 올라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 뚜껑(40)은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집수통(30)의 상부면상 사방에 뚜껑이 안착될 수 있도록 뚜껑 받침부(32)가 형성되며, 이 뚜껑 받침부(32)의 뒤쪽 양측에는 우수받이 뚜껑(40)의 회동축(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동축 장착공(33)이 안쪽으로 타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축 장착공(33)은 양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우수받이 뚜껑(40)의 설치가 어렵게 되므로 한쪽은 도 7과 같이 타공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도 8과 같이 회동축 마감커버(35)를 이용하여 끼우지 않고 장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즉, 도 8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어느 한쪽의 회동축 장착공(33)은 회동축(32)의 하부쪽 절반 정도만 감싸도록 회동축 안착홈부(34)를 형성하고, 회동축(32)의 나머지 상부쪽 절반을 감싸도록 마련된 회동축 마감커버(35)를 위에서 덮은후,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B)을 이용해 회동축(32)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우수받이 뚜껑(4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10)측에서 우수받이 뚜껑(40)쪽으로 빗물이 흐르게 되면 경사진 유입홈(41)이 물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빗물을 비스듬히 유입시키게 되어 배수능력이 탁월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홈(41)을 형성하는 다수의 날개판에 물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오목한 골을 형성하면 이 골부분에서 유속이 빨라져 배수능력이 더 좋아질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된다.
또한, 우수받이 뚜껑(4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동축(42)을 중심으로 손잡이(43)을 잡고 들어 올려 뒤쪽 경계석(21)에 기댈 수 있게 하여 집수통(30)내 청소를 한후, 다시 손쉽게 우수받이 뚜껑(40)을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도로 20 : 인도
21 : 경계석 30 : 집수통
31 : 배수구 32 : 뚜껑 받침부
33 : 회동축 장착공 34 : 회동축 안착홈부
35 : 회동축 마감커버 40 : 우수받이 뚜껑
41 : 유입홈 42 : 회동축
43 : 손잡이

Claims (4)

  1. 도로(10)의 빗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도로(10)의 측구에 집수통(30)을 형성시키고, 이 집수통(30)의 상부에 유입홈(41)을 갖는 우수받이 뚜껑(40)을 설치하여서 된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41)은 물길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 뚜껑(40)의 뒤쪽 양단에는 회동축(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집수통(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뚜껑 받침부(32)의 뒤쪽에는 상기 회동축(42)이 삽입되는 회동축 장착공(33)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받이 뚜껑(40)의 앞쪽 상부면상에는 손잡이(43)이 형성되어 상기 우수받이 뚜껑(40)이 상기 회동축(4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 장착공(33)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회동축(42)의 하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의 회동축 안착홈부(34)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안착홈부(34)의 위에는 상기 회동축(42)의 상부를 감싸도록 회동축 마감커버(35)가 체결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41)을 형성하는 날개판들에는 물길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오목한 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측구 우수받이 설치구조.
KR1020110112597A 2011-11-01 2011-11-01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KR20130139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97A KR20130139396A (ko) 2011-11-01 2011-11-01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597A KR20130139396A (ko) 2011-11-01 2011-11-01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396A true KR20130139396A (ko) 2013-12-23

Family

ID=4998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597A KR20130139396A (ko) 2011-11-01 2011-11-01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93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176A (zh) * 2014-09-16 2014-12-24 江苏永通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防堵塞窨井盖
CN108193763A (zh) * 2017-09-05 2018-06-22 广东韩星健康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沟盖板
CN109027657A (zh) * 2018-08-03 2018-12-18 宁国市挚友合金钢材料有限公司 一种齿型平扁钢钢格板
CN112411669A (zh) * 2020-11-17 2021-02-26 重庆大学 一种建筑用的雨水收集再利用的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176A (zh) * 2014-09-16 2014-12-24 江苏永通市政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防堵塞窨井盖
CN108193763A (zh) * 2017-09-05 2018-06-22 广东韩星健康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沟盖板
CN109027657A (zh) * 2018-08-03 2018-12-18 宁国市挚友合金钢材料有限公司 一种齿型平扁钢钢格板
CN112411669A (zh) * 2020-11-17 2021-02-26 重庆大学 一种建筑用的雨水收集再利用的装置
CN112411669B (zh) * 2020-11-17 2021-11-23 重庆大学 一种建筑用的雨水收集再利用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253B1 (ko) 배수효율 극대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설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20130139396A (ko) 도로측구 우수받이 뚜껑의 설치구조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06758799B (zh) 用于海绵城市立交桥的雨水回收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133441B1 (ko) 도로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CN207727378U (zh) 一种海绵城市人行道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KR101263001B1 (ko)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20160147537A (ko) 지하수 유량을 증가시키는 u형 측구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2265280B1 (ko) 교량용 집수구
KR20100112938A (ko) 교량 집수구
CN205012453U (zh) 一种水灰分离的雨水口截污装置
KR100650930B1 (ko) 배수관클리너
KR200311993Y1 (ko) 우,오수 받이 연결뚜껑
KR101100373B1 (ko) 오물수거용 그레이팅 덮개
KR20120071813A (ko)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인버트가 구성된 맨홀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10

Effective date: 201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