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783Y1 - 물고 수로관 - Google Patents

물고 수로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783Y1
KR200246783Y1 KR2020010015427U KR20010015427U KR200246783Y1 KR 200246783 Y1 KR200246783 Y1 KR 200246783Y1 KR 2020010015427 U KR2020010015427 U KR 2020010015427U KR 20010015427 U KR20010015427 U KR 20010015427U KR 200246783 Y1 KR200246783 Y1 KR 200246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surface
guide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방
신병식
김주훈
연인성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대청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대청콘크리트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대청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10015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783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경계벽 상에 분류공을 가지는 배출부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분류공측으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벽을 형성하며 배출부의 일측에는 분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양식 문비를 가지는 가이드부 및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경작지에 물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물이 경작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고 수로관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은 배출부, 가이드부 및 개폐부를 구비한다. 배출부는 경계벽의 소정의 위치에 경계벽을 관통하는 분류공을 가진다. 가이드부는 배출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봉 가이드봉의 전면 및 배면에 장착되는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이때, 제 2 플레이트에는 고정걸림쇠가 끼워지는 고정공이 형성된다. 개폐부는 가이드판의 일측에 끼워지는 문비 및 문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지나 연장되는 위치조절판을 구비한다. 이러한 위치조절판에는 고정걸림쇠가 고정공과 함께 끼워지는 위치조절공이 일정한 간격을 위치하면서 수직하게 다수 천공된다.

Description

물고 수로관{Diversion flume}
본 고안은 물고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어느하나의 경계벽 또는 양측 경계벽 상에 분류공을 가지는 배출부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분류공측으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턱을 형성하며 배출부의 일측에는 분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양식 문비를 가지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경작지에 물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물이 경작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고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나 농수로, 폭이 좁은 수로를 형성하여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물길을 만들어주는 수로관은 콘크리트재질로 제작되어 비교적 넓은 수로관의 경우에는 호안블록으로서 제방을 구축하고, 비교적 좁은 수로관의 경우는 바닥과 측벽이 일체로 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을 연이어 작업하여 물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전술한 수로관에서 경작지로 물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로관의 일측면에 일정크기의 배출공을 수작업을 통하여 형성하거나, 형성된 배출공에 PVC(polyvinyl chloride)로 제작된 별도의 수로를 연결하여 하고 수로의 끝단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수로관의 수로 및 조절장치는 경작철이 시작될 때 논둑에 병해충 방재를 위해는 놓는 불 또는 객토 등 경작활동시에 농기계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로관에 PVC 수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시멘트 등으로 되메우기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사가 용이하기 못하며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수로관의 어느하나의 경계벽 또는 양측 경계벽 상에 분류공을 가지는 배출부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분류공측으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턱을 형성하며 배출부의 일측에는 분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양식 문비를 가지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경작지에 물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물이 경작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고 수로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물고 수로관 110 : 배출부
120 : 분류공 130 : 가이드부
132 : 가이드판 134 : 지지대
150 : 개폐부 152 : 문비
154 : 위치조절판 156 : 위치조절공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경계벽, 경계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물고 수로관에 있어서,
경계벽의 내측면 상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경계벽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벽면, 제 1 내벽면의 중앙부분에서 경계벽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벽면, 경계벽의 외측면 상에서 제 1 내벽면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제 1 외벽면, 제 1 외벽면의 중앙부분에서 제 1 외벽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 2 외벽면 및 제 2 내벽면의 중앙 하부 인접위치에서 제 2 외벽면을 관통하는 분류공이 형성된 배출부;
제 1 내벽면 상에 각각 장착되어 제 1 내벽면의 단부를 지나 제 2 내벽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제 2 내벽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판 및 각각의 가이드판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 가이드봉의 상부 전면 및 배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가이드봉을 서로 연결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가이드부; 및
공간에 끼워지는 문비 및 문비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지나서 연장되는 위치조절판을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물고 수로관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로관의 어느하나의 경계벽 또는 양측 경계벽 상에 분류공을 가지는 배출부를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분류공측으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턱을 형성하며 배출부의 일측에는 분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양식 문비를 가지는 개폐부를 구비함으로써, 경작지에 물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물이 경작지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고 수로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분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100)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경계벽(10), 경계벽(10)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20)을 구비하며, 어느 하나 또는 양측 경계벽(10) 상에는 배출부(110), 가이드부(130) 및 개폐부(150)를 구비한다.
배출부(110)는 제 1 내벽면(112), 제 2 내벽면(114), 제 1 외벽면(116) 및 제 2 외벽면(118)을 구비한다. 제 1 내벽면(112)은 경계벽(10)의 내측면 상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경계벽(10)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되며, 제 2 내벽면(114)은 제 1 내벽면(112)의 중앙부분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경계벽(10)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된다. 즉, 제 1 내벽면(112) 및 제 2 내벽면(114)은 경계벽(10)의 내측면 상에서 외측면 상으로 계단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1 외벽면(116)은 경계벽(10)의 외측면 상에는 제 1 내벽면(112)에 대응하도록 경계벽(10)의 외부로 돌출되며, 마찬가지로 제 2 외벽면(118)은 제 1 내벽면(112)에 대응하도록 제 1 외벽면(116)의 중앙부분에서 제 1 외벽면(116)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제 1 외벽면(116) 및 제 2 외벽면(118)은 제 1 내벽면(112) 및 제 2 내벽면(114)과 동일한 계단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내벽면(114) 및 제 2 외벽면(118)의 중앙 하부 인접위치에는 제 2 내벽면(114)에서 제 2 외벽면(118)을 관통하는 분류공(1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부(110)에는 가이드부(130) 및 개폐부(150)가 배치된다.
가이드부(130)는 복수의 가이드판(132) 및 지지대(134)를 구비한다. 먼저, 가이드판(132)은 평판형상을 가지며 제 1 내벽면(112) 상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판(132)은 제 1 내벽면(11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어 각각의 제 1 내벽면(112)의 단부를 지나 제 2 내벽면(114)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즉, 제 2 내벽면(114) 상에 형성된 분류공(120)은 가이드판(132) 사이로 노출되며 제 2 내벽면(114)과 각각의 가이드판(13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판(132)의 상부에는 지지대(134)가 용접고정된다.
지지대(134)는 각각의 가이드판(132)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136) 및 가이드봉(136)의 상부 전면 및 배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가이드봉(136)을 서로 연결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가 고정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138b)의 중앙부에는 고정공(140)이 형성되며 고정공(140)에는 고정걸림쇠(142)가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개폐부(150)는 문비(152) 및 위치조절판(154)을 구비한다. 문비(152)는 제 2 내벽면(114)과 가이드판(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끼워질 수 있도록 평판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문비(152)의 상부에는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의 사이를 지나 수직하게 연장되는 위치조절판(134)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위치조절판(134)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천공된 다수의 위치조절공(156)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조절공(156)중 어느 하나는 고정걸림쇠(142)에 의해서 고정공(140)과 함께 끼워진다. 그리고 위치조절판(156)의 상부에는 위치조절판(156)의 양측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158)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복수의 가이드판(13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판(132)의 일측 바닥면(20) 상에는 분류공(120)측으로 흐르는 유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유도벽(160)을 추가로 구비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물고 수로관(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100)은 먼저, 작업자는 제 2 외벽면(118) 상에 형성된 분류공(120)에 선택적으로 연결관(P)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작업자는 배출부(110)에 가이드부(130)를 장착시킨다. 즉, 가이드부(130)의 가이드판(132)을 제 1 내벽면(112)에 각각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배출부(110)에 가이드부(130)가 장착되면 배출부(110) 및 가이드부(130) 사이에 개폐부(150)를 활주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끼움 결합되는 개폐부(150)의 문비(152)는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의 사이를 지나 제 2 내벽면(114)과 가이드판(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끼워지며 위치조절판(154)은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의 외부로 연장되고 고정공(140) 및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156)에 끼워지는 고정걸림쇠(142)에 의해서 가이드부(1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문비(152)는 제 2 내벽면(114) 상에 형성된 분류공(120) 전체를 폐쇄한다.
한편, 분류공(120)을 개폐하려면, 작업자는 먼저, 고정공(140) 및 위치조절공(156)에 끼워진 고정걸림쇠(142)를 제거한 상태 하에서 개폐부(150)의 손잡이(158)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문비(152)는 공간(S)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송되며 마찬가지로 위치조절판(154)도 상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문비(152)에 의해서 폐쇄되었던 분류공(120)의 일부가 개방되면 작업자는 고정걸림쇠(142)를 다시 고정공(140) 및 위치조절공(156)에 끼워 문비(15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문비(152)가 고정되면 수로관(100)을 따라서 흐르는 유수는 유도벽(160)의 유도를 받으면서 분류공(120)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공(120)을 전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문비(152)를 이용하여 분류공(120) 개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고 수로관(100)은 경계벽(10)에 분류공(120)이 형성된 배출부(110)를 구비하고, 분류공(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0) 및 가이드부(130)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수로관(100)으로부터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로관(100)의 경계벽(10)을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을 필요 없이 연결관(P)을 연결할 수 있어 수로관(100) 공사시에 작업의 편리한 잇점이 있다.
또한, 위치조절판(154)에 형성된 위치조절공(156)을 선택적으로 가이드부(130)의 고정공(140)과 함께 고정걸림쇠(142)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분류공(120)측으로 흐르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수로관(100)의 바닥면(20) 유도벽(160)을 별도로 형성하여 흐르는 유수의 흐름에너지를 감세시키어 분류공(120)측으로 유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경계벽(10), 상기 경계벽(10)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면(20)으로 이루어진 물고 수로관(100)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10)의 내측면 상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경계벽(10)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내벽면(112), 상기 제 1 내벽면(112)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경계벽(10)의 외측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벽면(114), 상기 경계벽(10)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제 1 내벽면(112)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제 1 외벽면(116), 상기 제 1 외벽면(116)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 1 외벽면(116)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 2 외벽면(118) 및 상기 제 2 내벽면(114)의 중앙 하부 인접위치에서 상기 제 2 외벽면(118)을 관통하는 분류공(120)이 형성된 배출부(110);
    상기 제 1 내벽면(112) 상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 1 내벽면(112)의 단부를 지나 상기 제 2 내벽면(114)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 2 내벽면(114)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하는 가이드판(132) 및 각각의 상기 가이드판(132)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136) 상기 가이드봉(136)의 상부 전면 및 배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가이드봉(136)을 서로 연결 제 1 플레이트(138a) 및 제 2 플레이트(138b)를 가지는 지지대(134)를 구비하는 가이드부(130); 및
    상기 공간(S)에 끼워지는 문비(152) 및 상기 문비(152)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138a)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138b)를 지나서 연장되는 위치조절판(134)을 구비하는 개폐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 수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138b)의 중앙부에는 고정걸림쇠(142)가 끼워질수 있도록 고정공(140)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판(154)의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천공되어 상기 고정공(142)과 함께 상기 고정걸림쇠(142)가 끼워지는 위치조절공(156)이 다수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 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판(156)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조절판(156)의 양측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15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 수로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3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판(132)의 일측 상기 바닥면(20) 상에는 상기 분류공(120)측으로 흐르는 유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유도벽(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 수로관.
KR2020010015427U 2001-05-25 2001-05-25 물고 수로관 KR200246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27U KR200246783Y1 (ko) 2001-05-25 2001-05-25 물고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427U KR200246783Y1 (ko) 2001-05-25 2001-05-25 물고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783Y1 true KR200246783Y1 (ko) 2001-10-29

Family

ID=7310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427U KR200246783Y1 (ko) 2001-05-25 2001-05-25 물고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7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857A (ko) * 2002-04-13 2003-10-22 신을호 농수로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857A (ko) * 2002-04-13 2003-10-22 신을호 농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10130709A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US4419231A (en) Ground surface drainage apparatus
KR100922874B1 (ko) 수로관
DE202010007007U1 (de) Siphon
KR200246783Y1 (ko) 물고 수로관
US5852906A (en) Internal-wall drain system
KR101025254B1 (ko) 농업용 배수장치
KR200248973Y1 (ko) 수로관의 용수 유입장치
CA2270371C (en) A draining gutter
KR100375550B1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US3882683A (en) Drain extension
KR200163449Y1 (ko) 급수용논물막이
KR200145420Y1 (ko) 플라스틱 물꼬
KR200430399Y1 (ko) 앵글걸이형 수문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JP3145381U7 (ko)
CN210712766U (zh) 一种水利工程渠道闸门结构
KR970003585B1 (ko) 자동 물꼬장치
JP2524992Y2 (ja) 排水ます
JP3824235B2 (ja) 水田水位調節器
CN209836957U (zh) 一种公路绿化隔离带灌溉装置
KR200277598Y1 (ko) 농업용 수로관의 제수문 설치구조
JP3145381U (ja) 水田用排水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