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11Y1 -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11Y1
KR200467111Y1 KR2020100008495U KR20100008495U KR200467111Y1 KR 200467111 Y1 KR200467111 Y1 KR 200467111Y1 KR 2020100008495 U KR2020100008495 U KR 2020100008495U KR 20100008495 U KR20100008495 U KR 20100008495U KR 200467111 Y1 KR200467111 Y1 KR 200467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pening
closing member
backflow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289U (ko
Inventor
강종옥
Original Assignee
강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옥 filed Critical 강종옥
Priority to KR2020100008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1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는, 지중이나 하수관 또는 배수로에 안착되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1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수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수통로(140)와; 상기 배수통로(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수통로(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150)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110)과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160,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부재의 회전이 원활하여 배수 및 역류 기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Combined apparatus for guide of drain and inverse current}
본 고안은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또는 하수관 등에 구비되어 하수의 배출과 지상으로부터 분출하는 역류를 안내하고, 배출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등에 매설된 하수도 또는 배수로 등에는 다수의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가 구비되어, 배수를 도로의 하측으로 안내하여 지중의 하수구를 통해 배수 등 오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홍수 등으로 인하여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는 역류판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홍수 등으로 인하여 지하나 하수구의 물이 역류하여 지상으로 분출하게 되면, 종래의 배수안내장치는 역류를 허용하는 구성이 거의 장쇠(경첩)를 이용해 역류판을 개폐하므로, 역류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통로를 차폐하는 개폐판과 외부 케이스 사이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개폐판이 비틀어지는 경우에는, 개폐판이 회전하지 못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통로를 통해 하수의 배출 및 역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평상시에는 배수통로가 차폐되어 하수구의 악취 분출이 방지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좌우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도록 함으로써 개폐부재가 전후면에 간섭되어 회전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부재와 전후면 사이의 틈새에 이물질이 낙하되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는, 지중이나 하수관 또는 배수로에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 및 후면과; 상기 가이드판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수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수통로와; 상기 배수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수통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과 전면 및 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전면과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전후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상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하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하부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모서리에는, 상기 차단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또는 후면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에 따르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악취의 발산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배수의 하중에 의해 개폐부재가 자동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배수가 개폐부재의 절곡부에 부딪히게 되므로 개폐부재의 개방이 더욱 원활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물의 역류시에도 하부의 물이 개폐부재의 하부절곡부에 부딪히게 되므로, 개폐부재의 개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 역류가 용이하게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전면과 후면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이물질이 개폐부재와 전후면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개폐부재의 테두리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개폐부재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개폐부재의 모서리 일부가 절개되어, 간섭방지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개폐부재의 회전시 이물차단부재와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배수 및 역류가 원활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은 본 고안 실시예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통해 역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폐부재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는, 지중이나 하수관 또는 배수로에 안착되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1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수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수통로(140)와, 상기 배수통로(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수통로(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150)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110)과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160,1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의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110)은, 상기 지지판(100)의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110)과 지지판(100) 사이에는 연결판(102)이 상하로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판(102)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과 같이 상기 지지판(100)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통로(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110)의 하단부에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통로(140)에는 배수의 안내를 위한 안내부(112)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판(110)의 하단은 다시 하단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안내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12)는, 상기 연결판(102)과 같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110)을 따라 유동되는 배수의 하방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15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150)의 중앙부 전후단에는 회전축(152)이 구비되고, 이러한 회전축(152)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개폐부재(15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개폐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직사각 평판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전후의 길이(L)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부재(150)는, 중앙의 회전축(152)으로부터 좌우로 갈수록 점차 전후의 길이(L)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50)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국, 상기 개폐부재(150)의 선단과 후단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 사이의 간격(G)이 상기 회전축(152)으로부터 좌우로 갈수록 점차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개폐부재(150)의 전후 길이(L)가 좌우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개폐부재(150)가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개폐부재(150)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지지판(100)의 설치시 약각의 비틀림만 발생하더라도, 상기 개폐부재(150)의 일부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이 서로 간섭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개폐부재(15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 배수통로(140)가 개방되지 못하여 배수나 역류의 유동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50)의 양단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54,156)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50)의 좌측단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상부절곡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50)의 우측단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하부절곡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54,156)는, 배수와 역류되는 물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15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상부절곡부(154)는, 상기 가이드판(110)을 통해 안내되는 배수가 상부절곡부(154)에 부딪히도록 하여 개폐부재(150)가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절곡부(156)는, 지중의 물이 흐르면서 역류할 때, 상기 하부절곡부(156)에 부딪혀 개폐부재(150)가 회전되어 열림으로써 역류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160,17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상단과 하단에 모두 형성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차단부재(160,17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상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160)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하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하부차단부재(1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물차단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ㄴ'(좌측에서 볼 경우)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 사이의 틈새(G)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100)을 거쳐, 상기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 사이의 틈새(G) 상측으로 이물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차단부재(16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에 밀착 고정되는 부착부(162)와, 상기 부착부(162)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돌출부(164)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상기 돌출부(164)에 이물질이 걸려 상기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 사이의 틈새(G) 상측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이물차단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상단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이물차단부재(160)의 좌우 길이는 적어도 상기 개폐부재(150)의 좌우 길이보다는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차단부재(170)는, 상기 이물차단부재(16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차단부재(160)와 같은 '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이나 후면(130)의 하단부에 배수통로(140) 내측에만 구비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150)의 모서리에는, 상기 차단부재(160,17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158)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150)의 좌측 전후단 모서리에는 소정 크기로 절개된 간섭방지홈(15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홈(158)은, 상기 개폐부재(150)가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차단부재(160,17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것이다.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에는, 상기 개폐부재(150)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18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13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부재(180)는 상기 개폐부재(15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절반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152)의 상방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를 지중이나 지표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측으로부터 배수가 내려오면, 도 4와 같이 된다.
통상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물이 흘러 우측으로 흘러가는 배수관 등에 도 4와 같이 설치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화살표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배수가 내려오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판(110)을 통해 안내되는 배수는 상기 상부절곡부(154)를 'A'와 같이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50)의 우측부분에 배수가 고이게 된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상기 개폐부재(1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배수통로(140)가 개방된다.(실선 참조) 이렇게 되면, 상기 배수통로(140)를 통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부재(150)의 회전은 상기 걸림부재(180)에 의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50)의 모서리에는 간섭방지홈(15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150)와 이물차단부재(160)의 간섭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이물차단부재(160)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내려오는 이물질은 상기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사이의 틈새(G)로는 낙하되지 않으며, 상기 개폐부재(150)의 형상도 좌우로 갈수록 점차 길이(L)가 짧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간섭도 방지되므로, 개폐부재(15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수의 유동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개폐부재(150)는 자중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으로 복귀된다. 물론, 이러한 개폐부재(15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별도의 인장스프링과 같은 복귀수단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에는 역류가 일어나는 경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배수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류가 일어난다. 즉, 하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역류가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배수구 등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유동하는 물이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50)의 하부절곡부(156)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50)는, 상기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통로(140)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화살표와 같이 물의 역류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150)는 전면(도시되지 않음)이나 후면(130) 및 이물차단부재(160)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차단부재(170)는 하측으로부터 상기 개폐부재(150)와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사이의 틈새(G)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역류가 종료되면, 상기 개폐부재(150)는 다시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6에는 상기 가이드판(110)에 별도의 역류홀이 더 형성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판(110)에는 소정 크기의 역류홀(도시되지 않음)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역류홀은 상측으로부터 역류판(200)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기 역류판(200)이 역류홀을 차폐하고 있다가,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역류판(200)이 열리게 되므로 역류홀을 통해 물이 역류하게 된다.
100. 지지판 110. 가이드판
130. 후면 140. 배수통로
150. 개폐부재 160. 이물차단부재
170. 하부차단부재 180. 걸림부재
200. 역류판

Claims (5)

  1. 지중이나 하수관 또는 배수로에 안착되는 지지판(100)과;
    상기 지지판(100)의 하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판(11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과;
    상기 가이드판(110)의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배수의 유동 통로가 되는 배수통로(140)와;
    상기 배수통로(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수통로(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150)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판(110)과 전면(도시되지 않음) 및 후면(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160,17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15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과 후면(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앙부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전후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54,15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60,170)는,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상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차단부재(160)와,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의 하단부에 좌우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하부차단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50)의 모서리에는,
    상기 차단부재(160,17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158)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도시되지 않음) 또는 후면(130)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재(150)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는 걸림부재(18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KR2020100008495U 2010-08-16 2010-08-16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KR200467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95U KR200467111Y1 (ko) 2010-08-16 2010-08-16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95U KR200467111Y1 (ko) 2010-08-16 2010-08-16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89U KR20120001289U (ko) 2012-02-24
KR200467111Y1 true KR200467111Y1 (ko) 2013-05-31

Family

ID=4593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495U KR200467111Y1 (ko) 2010-08-16 2010-08-16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1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016A (ja) 2001-03-22 2004-07-22 マイズ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道路の下水溝に取り付けられる下水逆流及び悪臭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2016A (ja) 2001-03-22 2004-07-22 マイズ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道路の下水溝に取り付けられる下水逆流及び悪臭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89U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042B2 (en) Floating body connection-type flap gate
KR101111091B1 (ko)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KR200467111Y1 (ko) 배수 및 역류 겸용장치
KR200434066Y1 (ko) 차도 측구용 우수받이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801979B1 (ko) 그레이팅
US20060048456A1 (en) Valley diverter for a gutter cover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0789936B1 (ko)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100766279B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0887243B1 (ko) 하수구용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WO2013031294A1 (ja) 防水板装置
KR200392553Y1 (ko) 이중 열림 구조를 갖는 수문 장치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20110103705A (ko) 배수안내장치
KR101352381B1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한 밀폐형 개폐판
JP4644171B2 (ja) フラップゲートの構造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JP6298725B2 (ja) 水田の水位調整装置
KR200435849Y1 (ko)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200175094Y1 (ko)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KR101292132B1 (ko)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