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094Y1 -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 Google Patents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094Y1
KR200175094Y1 KR2019990022458U KR19990022458U KR200175094Y1 KR 200175094 Y1 KR200175094 Y1 KR 200175094Y1 KR 2019990022458 U KR2019990022458 U KR 2019990022458U KR 19990022458 U KR19990022458 U KR 19990022458U KR 200175094 Y1 KR200175094 Y1 KR 200175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gate
water
upstre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현
Original Assignee
백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진현 filed Critical 백진현
Priority to KR2019990022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동식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자동수문은 설치 브라켓에서 하측으로 유로의 소정깊이 까지 연장된 상부수문과 상부수문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유로의 바닥까지 연장된 하부수문으로 구비되되 하부수문의 상단 양측면에는 일단이 하부수문의 양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수문의 양측단에 축 결합된 결합판으로 구비되어 상류의 배수되는 물이 적은 양이라도 하부수문이 원활하게 회동하여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배수와 이 배수시의 오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역수시 상부수문이 닫혀있기 때문에 하류의 물이 급격히 상류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하부수문의 설치상태에 따라서는 하류의 물이 상류로 진행하는 것 자체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류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A turnstile automatic floodgate being possible multiple draining}
본 고안은 회동식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의 개폐가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그 목적, 형식,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각각의 용도에 맞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문은 일반적으로 평상시에는 담수를 위하여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홍수 및 우천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수문을 개방하여 하류로 용수를 방류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수문 중에서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 유동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자동 회동하여 상류의 물이 하류로 배수되도록 하는 회동식 자동수문이 있는데, 이 통상적인 종래의 회동식 자동수문은 대략 4㎡의 표면적을 가지고 약 1톤의 중량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회동식 자동수문은 상류의 물이 배수될 때 수문의 크기와 무게로 인하여 배수되는 물의 양이 작아 수압이 낮을 경우에 수문의 열림 폭이 작다. 따라서 상류의 물이 배수될 때 물과 함께 배출되던 오물이 미쳐 수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수문의 하단에 끼여 쌓이게 된다.
이러한 적층된 오물은 상류의 물이 배출되지 않을 때에도 수문의 하단이 이 오물에 걸려서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여 하류의 물이 불어나 상류로 물이 역류되려고 할 때 역수를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회동식 자동수문의 경우는 사용자가 수시로 오물의 적층 여부를 관찰하여 오물을 적절히 수거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동식 자동수문의 개폐작동을 다단으로 하여 낮은 수압으로도 수문의 보다 많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배수시의 오물이 수문에 적층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하류의 물이 상류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회동식 자동수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의 제 1배출단계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의 제 2배출단계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벽체
110...상부수문
111...축 결합부
120...하부수문
121...결합판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치 벽체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이 유로의 바닥으로 연장된 수문을 구비한 회동식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브라켓에서 하측으로 상기 유로의 소정깊이 까지 연장된 상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유로의 바닥까지 연장된 하부수문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하부수문의 상단 양측면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수문의 양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수문의 양측단에 축 결합된 결합판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문과 상기 하부수문의 측면에는 지수고무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수문은 상기 상부수문보다 무게가 가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은 도 1과 도 2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수문(100)의 설치를 위하여 마련된 설치 벽체(10)에 상단이 설치되고, 이 벽체(10)에 수문(1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문(100)의 상단 에는 벽체(10)에 매설되는 매설봉(20)과 이 매설봉(20)의 단부에 설치된 축 체결부가 형성된 두 개의 체결 브라켓(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문(100)은 유로의 깊이의 약 2/3정도의 상하 폭을 가지는 상부수문(110)과 이 상부수문(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유로의 바닥까지 연장된 유로 깊이의 1/3 정도의 상하폭을 가지는 하부수문(120)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부수문(110)과 하부수문(120)의 결합은 하부수문(120)의 측면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결합판(121)이 상부수문(11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축 결합부(111)에 축 결합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부수문(110)은 하부수문(120)에 비하여 그 중량 또한 1/3정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문(100)의 전체 크기가 4㎡이면, 상부수문(110)의 경우는 2.7㎡ 정도의 표면적을 갖고, 하부수문(120)은 1.3㎡정도의 표면적을 갖게 되며, 수문(100)의 전체 무게가 약 1톤이라고 하면 상부수문(110)의 경우는 0.7톤의 중량을 가지고, 하부수문(120)의 경우는 0.3톤 정도의 중량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부수문(110)과 하부수문(120)의 크기와 무게 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비율로 마련하지 않고 수문(100)의 전체 크기와 유량 등을 전체적으로 감안하여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부수문(110)과 하부수문(120)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수문(120)의 양측 상단부에서 연장 돌출된 결합판(121)이 상부수문(110)의 하단 양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됨으로써 하부수문(120)의 회동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수문(100)의 틈새로 물의 누수가 최소화 되도록 하기 위하 여 지수고무(130)를 상부수문(110)의 하측면과 하부수문(120)의 상측면에 각각 장착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수문(100) 전체 가장자리에 지수고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써 하부수문(120)의 결합판(121)은 상부수문(110)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하부수문(120)이 상류 측으로 개방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고, 하부수문(120)이 전후 회동하게 구현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100)은 배수량이 많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문(110)과 하부수문(120)이 상류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수문(120)의 상단 브라켓(30)과의 결합부분을 축심으로 함께 회동하여 열리게 되어 다량의 물이 하류 측으로 방류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수량이 작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문(110)은 거의 회동하지 않고, 하부수문(120)만이 결합판(121)과 상부수문(110)의 축결합부(111)를 축심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게 되어 물이 하부수문(120)의 개방부분으로만 배수되어 하류로 흘러가게 된다.
다음으로 하류의 물이 불어나 수위가 높아지게 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문(110)과 하부수문(120)이 모두 닫힌 상태에 있게 되어 하류의 물이 상류 측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 최소화되게 됨으로써 상류 측의 침수를 방지 할 수 있게 되며, 하부수문(120)이 전후 회동되게 마련된다고 하더라도 상류로의 역수를 최소화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류의 침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회동식 자동수문은 수문이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류의 배수되는 물이 적은 양이라도 하부수문이 원활하게 회동하여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배수와 이 배수시의 오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역수시 상부수문이 닫혀있기 때문에 하류의 물이 급격히 상류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하부수문의 설치상태에 따라서는 하류의 물이 상류로 진행하는 것 자체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류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설치 벽체에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이 유로의 바닥으로 연장된 수문을 구비한 회동식 자동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브라켓에서 하측으로 상기 유로의 소정깊이 까지 연장된 상부수문과 상기 상부수문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유로의 바닥까지 연장된 하부수문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자동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문의 상단 양측면에는 일단이 상기 하부수문의 양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수문의 양측단에 축 결합된 결합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자동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문과 상기 하부수문의 측면에는 지수고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자동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문은 상기 상부수문보다 무게가 가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자동수문.
KR2019990022458U 1999-10-19 1999-10-19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KR200175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58U KR200175094Y1 (ko) 1999-10-19 1999-10-19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58U KR200175094Y1 (ko) 1999-10-19 1999-10-19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094Y1 true KR200175094Y1 (ko) 2000-03-15

Family

ID=1959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458U KR200175094Y1 (ko) 1999-10-19 1999-10-19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0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23B1 (ko) * 2006-04-03 2007-08-29 김종환 역수방지 밸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23B1 (ko) * 2006-04-03 2007-08-29 김종환 역수방지 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73B1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US6821053B2 (en) Water flow responsive barrier for gutters and storm drains with rotary actuator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KR100645393B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20080111668A (ko) 맨홀 커버장치
KR200175094Y1 (ko) 다단 배수가 가능한 회동식 자동수문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1275510B1 (ko) 개폐가 용이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200166989Y1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327317Y1 (ko) 회전형 자동수문
KR200175093Y1 (ko) 자동 배수가 가능한 인양식 수문
JP4644171B2 (ja) フラップゲートの構造
KR200395559Y1 (ko) 이물차단구조를 구비한 전도식 자동보 수문
KR200449684Y1 (ko) 장폭형 수문장치
KR200163428Y1 (ko) 제방시설의배수장치
JPH0316946Y2 (ko)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JPS6016611A (ja) 制水用樋門における扉の全自動開閉装置
KR101987145B1 (ko) 배수용 집수조
KR200377432Y1 (ko)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101509561B1 (ko) 월류 유도형 펌프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