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10B1 - 레버형 분수문장치 - Google Patents

레버형 분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10B1
KR101348310B1 KR1020120022543A KR20120022543A KR101348310B1 KR 101348310 B1 KR101348310 B1 KR 101348310B1 KR 1020120022543 A KR1020120022543 A KR 1020120022543A KR 20120022543 A KR20120022543 A KR 20120022543A KR 101348310 B1 KR101348310 B1 KR 101348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channel
rotating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409A (ko
Inventor
임용빈
김의성
Original Assignee
(주)덕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유 filed Critical (주)덕유
Priority to KR102012002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1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되는 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핸들이 없어 레버형으로 형성된 레버형 분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는 메인수로로부터 분기수로가 분기되는 분기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로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메인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분기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수로와 분기수로로 흘러가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밀착되어 메인수로 또는 분기수로를 차단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회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레버형 분수문장치 {LEVER TYPE DIVERSION GATE APPARATUS}
본 발명은 레버형 분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되는 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핸들이 없어 레버형으로 형성된 레버형 분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댐이나 하천, 제방, 용수로 등에 설치되어 저수된 물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데 사용되며, 이 중 농업용이나 공업용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분수문(分水門)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분수문은 대부분 소형으로 제조되므로, 인력을 이용하여 문비를 수동으로 개폐한다.
이러한 분수문의 구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67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분수문은, 하단에 돌출형성된 매설프레임이 용수로에 매설되고, 이 매설프레임의 상부로 연장된 문틀과, 문틀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승강스크류와, 이 승강스크류의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문틀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과, 승강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원수로와 상기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분기되어 있는 분기수로를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해서 원수로와 분기수로에 각각 상기 분수문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상기 분수문을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유지 관리해야 하므로 설치와 유지관리가 요이하지 않았다.
아울러 양측 분수문의 차단판을 각각의 핸들을 돌려 개폐해야 하기 때문에 수문의 개방과 폐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핸들이 없어 레버타입으로 원수로와 분기수로를 한번에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어 수로의 개폐가 매우 용이하며,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레버형 분수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는 메인수로로부터 분기수로가 분기되는 분기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로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메인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분기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수로와 분기수로로 흘러가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밀착되어 메인수로 또는 분기수로를 차단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회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의 일단이 상호 인접하고, 타단이 상기 분기수로에 대응하도록 상호 벌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지지되며 하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입출되는 하부입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도 상하로 관통된 상부입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디와, 상기 상부입출홀을 통해 상기 고정바디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입출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핸들과, 상기 고정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로드를 감싸게 설치되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을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양측 접촉면에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의 접촉부 사이에 유수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의 밀착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핀을 통해 양단부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된 일측에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며 상면에 상기 핸들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관통홈이 형성된 회전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제1 수로와 제2 수로의 개폐가 한번의 구동을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로 개폐가 용이하고 개폐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의 일 실시예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레버형 분수문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차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레버형 분수문장치에 의한 수로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레버형 분수문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레버형 분수문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유수가 흐르는 메인수로(10)로부터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분기수로(20)가 형성된 분기점에 마련되어 메인수로(10)와 분기수로(20) 사이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메인수로(10) 또는 분기수로(20) 중 어느 일측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버형 분수문장치(100)는 수로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2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130)과, 회전판(13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기수로(20)가 분기되어 있는 메인수로(10)의 바닥에 결합된다. 베이스부(110)는 수로의 바닥 하부로 매립될 수도 있고, 볼트나 앵커 등을 통해 수로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메인수로(10)측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121)과 분기수로(20)측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21)은 메인수로(10)의 마주보는 양측벽에 설치되는데, 일측의 제1 프레임(121)은 상기 분기수로(20)가 분기되는 코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프레임(122)은 분기수로(20)가 메인수로(10)로 부터 분기되는 입구의 양측 측벽에 설치된다. 제2 프레임(122) 중 일측은 분기수로(20)가 분기되는 코너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프레임(121)의 일측과 상호 인접하게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은 각각 가로바(123)에 의해 상단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서, 베이스부(110)와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이 사각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삭제
상기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타측 상단은 후술하는 고정부(140)의 가이드프레임(141)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회전판(130)은 상기 베이스부(110)에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131)은 제1, 제2 프레임(121,122)이 상호 인접하는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판(130)은 상기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 밀착되어 메인수로(10) 또는 분기수로(20)의 수로를 차단하거나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 사이의 위치에 고정되어 메인수로(10)와 분기수로(20)로 흘러가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회전판(130)은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 접촉하였을 때 수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사각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프레임(121)이나 제2 프레임(122)과 접촉하는 양측면에는 접촉 위치에서 이격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재로 밀착부재(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재(132)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회전판(130)을 제1 프레임(121)이나 제2 프레임(122)에 밀착되는 위치 또는 제1, 제2 프레임(121,122) 사이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140)는 상술한 가이드프레임(141)과, 회전판(130)에 설치된 지지부재(143), 지지부재(143)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바디(144), 고정바디(144)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147), 고정바디(144)에 내장되는 탄성부재(150), 고정핀(147)과 연결되는 연결로드(148) 및 연결로드(148)의 상부에 형성된 핸들(149)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41)은 상술한 것처럼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의 타측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데, 상기 회전판(130)이 회전하면서 그리는 궤적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이드프레임(14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홀(142)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홀(142)들은 가이드프레임(1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고정홀(142)의 형성위치가 상기 회전판(130)을 고정시키는 고정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142)은 상기 회전판(130)이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에 접촉하여 메인수로(10) 또는 분기수로(20)를 차단하는 각각의 차단위치에 하나씩, 그리고 그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수로를 차단하는 위치인 가이드프레임(141)의 양 단부와 그 사이에 15°간격으로 다섯 개의 고정홀(142)들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홀(142)의 형성 개수 및 간격은 이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하단이 회전판(1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41)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144)가 지지부재(14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바디(144)는 가이드프레임(141)의 상측에 위치한다.
고정바디(144)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고정핀(147)이 입출되는 하부입출홀(146)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연결로드(148)가 입출되는 상부입출홀(145)이 형성디어 있다.
상기 고정핀(147)은 상술한 것처럼 하부입출홀(146)을 통해 고정바디(144)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고정홀(142)을 관통하여 회전판(130)이 해당 고정홀(142)의 형성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연결로드(148)는 고정핀(147)의 상단으로부터 상부입출홀(145)을 통해 고정바디(14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연결로드(148)가 고정핀(147)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로드(148)의 상단에는 연결로드(148)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큰 핸들(149)이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150)는 고정바디(144)의 내부에서 연결로드(148)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상단과 하단이 각각 고정바디(144)의 상부하면과 고정핀(147)의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핀(147)을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핀(147)이 고정홀(142)을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판(130)의 위치가 고정되며, 회전판(130)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핸들(149)을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려 고정핀(147)을 고정홀(142)로부터 인출시킨 다음 회전판(130)을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다음 핸들(149)을 놓으면 탄성부재(150)에 의해 고정핀(147)이 다시 하방으로 인출되어 고정홀(142)로 삽입된다.
도 5에는 고정부(1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고정부(140)는 고정바디(144)의 상단 일측에 브라켓(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51)에 양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레버(152)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레버(152)는 회전핀을 통해 브라켓(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브라켓(151)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고정바디(144)의 상부를 지나도록 연장되고 타측은 일측과 대향되는 방향 즉 고정바디(1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레버(152)의 일측에는 단부로부터 브라켓(151)을 향해 소정길이 인입되어 있고 회전레버(152)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홈(1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바디(144)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로드(148)가 관통홈(153)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49)은 레버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회전판(13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149)을 파지하고 상방으로 들어올려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핸들(149)을 잡고 들어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회전레버(152)의 타단을 하방으로 눌러 고정핀(147)을 고정홀(142)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분수문장치(100)는 상기 회전판(130)을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에 밀착시키면 메인수로(10) 또는 분기수로(20)가 차단되어 어느 일측으로만 유수가 흐를 수 있게 되며, 제1 프레임(121)과 제2 프레임(122) 사이에 소정각도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측으로 유수가 나뉘어 흐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회전판(130)의 고정위치를 제1 프레임(121)과 가까운 측 또는 제2 프레임(122)과 가까운 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메인수로(10)와 분기수로(20)로 이동하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레버형 분수문장치
110; 베이스부
120; 프레임부
121; 제1 프레임 122; 제2 프레임
130; 회전판
131; 회전축 132; 밀착부재
140; 고정부
141; 가이드프레임 142; 고정홀
143; 지지부재 144; 고정바디
145; 상부입출홀 146; 하부입출홀
147; 고정핀 148; 연결로드
149; 핸들 150; 탄성부재
151; 브라켓 152; 회전레버

Claims (5)

  1. 메인수로로부터 분기수로가 분기되는 분기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로의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메인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분기수로의 양측 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수로와 분기수로로 흘러가는 유수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밀착되어 메인수로 또는 분기수로를 차단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회전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분수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각각의 일측이 상호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분기수로에 대응하도록 상호 벌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타측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분수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지지되며 하면에는 상기 고정핀이 입출되는 하부입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도 상하로 관통된 상부입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바디와,
    상기 상부입출홀을 통해 상기 고정바디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입출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핸들과,
    상기 고정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로드를 감싸게 설치되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 내주면과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을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분수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접촉하는 양측 접촉면에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과 상기 회전판의 접촉부 사이에 유수가 출입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의 밀착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분수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바디의 상단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핀을 통해 양단부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바디를 향해 연장된 일측에는 상기 연결로드가 관통하며 상면에 상기 핸들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는 관통홈이 형성된 회전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분수문장치.
KR1020120022543A 2012-03-05 2012-03-05 레버형 분수문장치 KR10134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43A KR101348310B1 (ko) 2012-03-05 2012-03-05 레버형 분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43A KR101348310B1 (ko) 2012-03-05 2012-03-05 레버형 분수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409A KR20130101409A (ko) 2013-09-13
KR101348310B1 true KR101348310B1 (ko) 2014-01-16

Family

ID=4945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543A KR101348310B1 (ko) 2012-03-05 2012-03-05 레버형 분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551A (zh) * 2019-11-29 2020-03-13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灌溉渠上的具有精确分流功能的分水闸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384Y1 (ko) 2004-01-08 2004-05-04 이청규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JP2004156271A (ja) 2002-11-06 2004-06-03 Nikko Co Ltd 分水路の分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271A (ja) 2002-11-06 2004-06-03 Nikko Co Ltd 分水路の分流装置
KR200349384Y1 (ko) 2004-01-08 2004-05-04 이청규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551A (zh) * 2019-11-29 2020-03-13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灌溉渠上的具有精确分流功能的分水闸装置
CN110878551B (zh) * 2019-11-29 2021-05-14 深圳市东深工程有限公司 灌溉渠上的具有精确分流功能的分水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409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74B1 (ko) 개폐식 수문 장치
KR101348310B1 (ko) 레버형 분수문장치
KR20130096043A (ko) 게이트 복열 스크린 장치
KR100664672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1786925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20140122973A (ko) 일체식 접형 수문
KR200470055Y1 (ko) 용배수로용 수문
KR20190002053U (ko)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1677041B1 (ko) 슬라이드밸브를 이용한 수차단 개폐장치
KR101357245B1 (ko) 핸들없는 풋 분수문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US2758863A (en) Gate latch
KR102320912B1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DE602006001539D1 (de) Automatische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Grube
KR102027644B1 (ko) 분수문 장치
CN202440801U (zh) 顶铰下旋式钢闸门
KR20130002512A (ko) 맨홀뚜껑 유실방지용 맨홀
KR20120015475A (ko)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KR200359185Y1 (ko) 공도수문 장치
CN204920670U (zh) 一种新型左右互开三联动门装置
KR20240061373A (ko)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CN202992270U (zh) 分歧阀结构
KR101544838B1 (ko) 전도식 가동보
KR100980671B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보조웨이트 장치를 갖춘 전도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