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838B1 - 전도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전도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38B1
KR101544838B1 KR1020140070888A KR20140070888A KR101544838B1 KR 101544838 B1 KR101544838 B1 KR 101544838B1 KR 1020140070888 A KR1020140070888 A KR 1020140070888A KR 20140070888 A KR20140070888 A KR 20140070888A KR 101544838 B1 KR101544838 B1 KR 10154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insertion hole
sha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현
Original Assignee
백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진현 filed Critical 백진현
Priority to KR102014007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식 가동보의 수문을 전도시키거나 기립시킬 때 수문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회전식 받침대를 이용함으로써 초기에 작은 힘으로도 수문을 기립시킬 수 있으며, 수문이 기립되어 수로를 폐쇄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식 가동보{TURNING TYPE MOVABLE WEIR}
본 발명은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를 전도시키거나 기립시킬 때 수문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2단 회전식 받침대를 이용함으로써 초기에 작은 힘으로도 수문을 기립시킬 수 있으며, 수문이 기립되어 수로를 폐쇄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에 가해지는 하중을 다수의 회전식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weir)는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종의 물막이용 울타리를 말한다. 이러한 보는 농업, 공업 및 생활 용수의 확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여 현재 널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댐과 같은 큰 구조물을 설치할 수 없는 하천에 보를 여러 개 설치하면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 대형 댐의 대체 구조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보는 크게 고정보와 가동보가 있으며, 가동보는 고무식 보와 기계식 보로 나뉜다. 고무식 보는 하천의 양안에 고강도 고무 튜브를 고정 설치하고, 그 튜브 내부에 공기 등과 같은 기체를 공급하여 작동시키는 고무댐(Rubber dam)으로서, 고무 튜브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면 튜브가 기립(起立)하여 물길을 막고, 기체를 배출시키면 튜브가 하천 바닥에 도복(倒伏)하여 물길을 트게 되어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계식 보는 철재나 콘크리트 따위로 형성된 수문을 사용하여 하천을 막고, 상기 수문을 피스톤 등을 이용하여 눕히거나 일으킴으로써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계식 보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기립하거나 도복하게 하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문은 하단부가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수문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립 및 도복되어 보의 높이가 조정되고, 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계식 보는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보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근래에는 수문의 하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직접 모터 등으로 회전시켜 수문을 기립하거나 도복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도식 가동보는 회전축을 직접 회전시켜 수문을 기립시키기 때문에 초기에 상당한 힘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야 함으로 대용량의 모터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가동보의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문이 기립하여 수로에 담수시 회전축의 양측단에서만 수문을 지지함으로써 수압에 의한 하중으로 인해 수문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도식 가동보는 수압에 의한 하중에 의해 수문을 약 5~15m 이상의 길이로 제작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문의 양측에서 회전축으로만 수문을 기립 및 전도시킴으로써 회전축과 수문의 결합 부분에 상당한 부하가 작용되어 장시간 사용시 결합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유지 보수에 고비용과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보의 수문를 기립시킬 때 수문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2단 회전식 받침대를 이용함으로써 초기에 작은 힘으로도 수문을 기립시킬 수 있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동보의 수문이 기립되어 수로를 폐쇄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문의 하부에 결합된 힌지 브라켓과 힌지축으로 하부를 지지하고, 수문의 중앙은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립된 가동보의 수문을 수문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지지함으로써 회전식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수문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문을 지지함으로써 길이가 20m 이상의 수문을 용이하게 제작하여 전도 및 기립시킬 수 있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단 회전식 받침대인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를 이용하여 수문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장 큰 수압을 받는 수문이 중간 정도 기립되었을 때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 사이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고, 수문이 중간 이상으로 기립되었을 때는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 사이가 직각 이상의 각으로 벌어짐으로써 기립 초기보다 적은 힘으로도 수문을 용이하게 기립시킬 수 있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리고 본 발명은 수문의 기립이 완료되면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가 일직선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받침대 몸체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제 1지지돌기에 지지받침대 몸체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2지지돌기가 서로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수문의 폭 길이가 15m 이상으로 긴 수문도 큰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고, 수로에 담수된 수압에 대해 적은 힘으로 장시간 지탱할 수 있는 전도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로(100)의 바닥면(110)에 매설되도록 구비되는 매설 프레임(200)과;
상기 매설 프레임(200)의 상부 내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힌지 프라켓(300)과;
상기 힌지 프라켓(300)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10)으로 결합되어 가동보의 개방시 수로(100)의 바닥면(110)과 함께 바닥을 이루며, 가동보의 밀폐시 기립되어 수로(100)에 담수를 행하도록 수로(10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문(400)과;
상기 수문(40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축(6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500)과;
상기 수문(400)의 전방 하부에 양측이 지지 브라켓(500)에 지지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600)과;
상기 회전축(600)에 키이에 의해 하부가 결합되되, 회전축(6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받침대(700)와;
상기 회전 받침대(700)와 수문(400)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받침대가(700)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면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수문(400)을 정·역 회전시켜 기립·전도시키고, 닫힘시 수압에 의한 수문(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받침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700)는 판형의 회전받침대 몸체(710)와;
상기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양측단에서 ㄷ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1돌출판(720)과;
상기 제 1돌출판(720)의 하부에 회전축(6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회전축 삽입공(730)과;
상기 제 1돌출판(720)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고정축 삽입공(740)과;
상기 고정축 삽입공(740)에 삽입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힌지핀 삽입공(751)이 구비된 고정축(7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받침대는(800)는 판형의 지지받침대 몸체(810)와;
상기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양측단에서 ㄷ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2돌출판(820)과;
상기 제 2돌출판(820)의 하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힌지핀 결합공(830)과;
상기 힌지핀 결합공(830)에 결합되는 힌지핀(840)과;
상기 제 2돌출판(820)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회동핀 삽입공(850)과;
상기 회동핀 삽입공(850)에 삽입되도록 수문(400)의 내부에 구비된 회동핀(8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받침대(700)는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 1지지돌기(760)와 상기 지지받침대(800)는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 2지지돌기(8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도식 가동보는 가동보의 수문를 전도시키거나 기립시킬 때 수문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2단 회전식 받침대를 이용함으로써 초기에 작은 힘으로도 수문을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동보의 수문이 기립되어 수로를 폐쇄하는 경우 수압에 의해 수문에 가해지는 하중을 수문의 하부에 결합된 힌지 브라켓과 힌지축으로 하부를 지지하고, 수문의 중앙은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립된 가동보의 수문을 수문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지지함으로써 회전식 받침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수문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문을 지지함으로써 20m 이상 길이의 수문을 용이하게 제작하여 전도 및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의 회전식 받침대인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를 이용하여 수문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장 큰 수압을 받는 수문이 중간 정도 기립되었을 때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 사이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고, 수문이 중간 이상으로 기립되었을 때는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 사이가 직각 이상의 각을 이룸으로써 기립 초기보다 적은 힘으로도 수문을 용이하게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문의 기립이 완료되면 회전받침대와 지지받침대가 일직선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받침대 몸체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제 1지지돌기에 지지받침대 몸체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2지지돌기가 서로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수문의 폭 길이가 15m 이상으로 긴 수문도 큰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고, 수로에 담수된 수압에 대해 적은 힘으로 장시간 지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에서 2단 회전식 받침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에서 2단 회전식 받침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식 가동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100)의 바닥면(110)이 계단식으로 턱이 형성되도록 ㄴ형상으로 굴곡되어 바닥면(110)에 매설되는 매설 프레임(200)과 상기 매설 프레임(200)의 상부 내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힌지 프라켓(3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프라켓(300)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10)으로 결합되어 가동보의 개방시 수로(100)의 바닥면(110)과 함께 바닥을 이루며, 가동보의 밀폐시 기립되어 수로(100)에 담수를 행하도록 수로(10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문(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가 수문(400)은 수로(100)에 담수시 수압의 하중에 강성이 유지되도록 내부에 H빔 등과 같은 리브가 설치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문(400)의 양측에는 회전축(600)의 양측단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500)이 구비되고, 수문(400)의 전방 하부에는 양측이 지지 브라켓(500)에 지지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6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00)에 키이에 의해 하부가 결합되되, 회전축(6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받침대(70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 받침대(700)와 수문(400) 사이에는 구비되어 회전받침대(700)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면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수문(400)을 정·역 회전시켜 기립·전도시키고, 닫힘시 수압에 의한 수문(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받침대(8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받침대(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의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양측단에서 '
Figure 112014054588346-pat00001
'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1돌출판(720)이 구비되고, 상기 제 1돌출판(720)의 하부에는 회전축(6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회전축 삽입공(7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 1돌출판(720)의 상부에는 고정축 삽입공(7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 삽입공(740)에 삽입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힌지핀 삽입공(751)이 구비된 고정축(7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 삽입공(730)과 고정축 삽입공(740)의 일측 내주면에는 회전축(600)과 고정축(750)이 고정되도록 키이홈(도면에 부호 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600)과 고정축(750)의 일측 외주면에도 키이홈이 구비되어 회전축(600)과 고정축(750)을 회전축 삽입공(730)과 고정축 삽입공(740)에 삽입 후 키이(key:도면에 부호 미도시)를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축(600)이 정·역회전시 회전축(600)의 회전력이 회전받침대(700)의 제 1돌출판(720)을 통해 회전받침대 몸체(710)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받침대는(800)는 판형의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양측단에서 '
Figure 112014054588346-pat00002
'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2돌출판(820)이 구비되고, 제 2돌출판(820)의 하부에는 힌지핀 결합공(830)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돌출판(820)의 상부에는 회동핀 삽입공(850)이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 결합공(830)에 결합되는 힌지핀(840)과 상기 회동핀 삽입공(850)에 삽입되도록 수문(400)의 내부에 회동핀(8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핀(860)은 수문(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양측단이 수문(100)의 양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받침대(700)의 회전받침대 몸체(710)는 지지받침대(800)의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폭 길이보다 짧게 구비하여 회전받침대(700)의 제 1돌출판(720)이 지지받침대(800)의 제 2돌출판(820) 내부로 삽입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받침대(700)는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제 1지지돌기(760)가 구비되고, 지지받침대(800)는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제 2지지돌기(8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도식 가동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400)의 전면을 회전축(600)을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2단의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가 지지함으로써 수로(100)에 담수된 물의 수압에 의한 하중에 의해 수문(400)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로(100)의 바닥면(110)에 매설된 매설 프레임(20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힌지 브라켓(300)에 힌지축(410)으로 수문(400)의 하부가 결합되어 수로(100)의 수압에 의한 하중에 대해 힌지 브라켓(300)과 힌지축(410)에 의해 수문(400)의 하부는 지지된다.
그리고 수문(400)을 전도시킬 경우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400)의 양측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500)에 양측단이 지지된 회전축(600)을 모터(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수문(400)의 반대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시키면 회전축(600)과 함께 회전축(60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 1돌출판(720) 하부가 결합된 회전받침대(700)의 회전받침대 몸체(710)도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되고, 상기와 같이 회전받침대(700)의 회전받침대 몸체(710)가 정회전되면 제 1돌출판(720) 상부 고정축 삽입공(740)에 결합된 고정축(750)도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축(750)이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지지받침대(800)의 제 2돌출판(820) 하부 힌지핀 결합공을 통해 고정축(750) 중앙에 구비된 힌지핀 삽입공(751)에 삽입된 힌지핀(840)에 의해 지지받침대 몸체(810)와 제 2돌출판(820) 하부도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회전된다.
이때 상기 지지받침대(800)의 제 2돌출판(820) 상부는 회동핀 삽입공(850)에 삽입된 회동핀(860)에 의해 수문(4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상부는 하부의 힌지핀(84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즉 역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의 힌지핀(840)을 중심으로 지지받침대(800)의 지지받침대 몸체(810) 상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동핀(860)에 의해 수문(400)은 하부의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동보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회전받침대(700)의 제 1돌출판(720)은 지지받침대(800)의 양측 제 2돌출판(820) 내부로 삽입되어 겹쳐지면서 수문(400)이 수로(100)의 바닥면(110)과 동일한 수평 상태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600)을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설치된 지지받침대(800)가 수문(400)을 지지하면서 회전받침대(700)로 수문(400) 전도함으로써 수문(400)이 급격히 정회전, 즉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문을 기립시킬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00)을 반시계방향, 즉 역회전시키면 회전받침대(700)의 회전받침대 몸체(710)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제 1돌출판(720) 상부에 구비된 고정축(750)의 힌지핀 삽입공(751)에 힌지핀(840)으로 결합된 지지받침대(800)의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부로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역회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받침대 몸체(810) 하부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역회전되면 지지받침대(800)의 제 2돌출판(820) 상부 회동핀 삽입공(850)에 결합된 회동핀(860)에 의해 수문(400)이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동보를 밀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문(400)을 기립시에는 회전받침대(700)의 회전받침대 몸체(710) 하부와 지지받침대(800)의 지지받침대 몸체(810) 상부 사이가 점차 이격되어 힌지핀(840)을 중심으로 각이 커져지면서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수문(400)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600)을 회전시키는 작은 힘의 모터로도 용이하게 수문(400)을 기립시킬 수 있다.
즉 2단의 회전식 받침대인 회전받침대(700)를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받침대(700)의 상부에 결합된 지지받침대(800)를 이용하여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수문(400)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문(400)을 기립시킬 때 가장 큰 수압을 받는 수문(400)이 중간 정도 기립되었을 때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가 힌지핀(840)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고, 이후에는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 사이가 직각 이상의 각을 이룸으로써 기립 초기보다 더욱 적은 힘으로도 수문(400)을 용이하게 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문(400)을 기립시킬 때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가 힌지핀(84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제 1지지돌기(760)에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2지지돌기(870)가 서로 밀착되어 수문(400)의 기립이 완료되면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는 서로 지지되어 수문(400)을 지지함으로써 폭의 길이가 15m 이상으로 긴 수문(400)도 큰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문의 기립이 완료되면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가 일직선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제 1지지돌기(760)에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2지지돌기(870)가 서로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수로에 담수된 수압에 대해 적은 힘으로 장시간 지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문(400)이 완전히 기립되면 회전축(600)을 따라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회전받침대(700)와 지지받침대(800)는 수문(400) 전체를 지지함으로써 수로(100)의 수압에 의한 하중으로 수문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문(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핀(860)은 수문(400)의 내부 중간 위치에서 상단부 위치까지 수문(400)의 높이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회동핀(860)에 제 2돌출판(820)의 상부가 결합되는 지지받침대(800)와 회전받침대(700) 사이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적은 힘으로도 수문(400)이 기립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100 : 수로 110 : 바닥면
200 : 매설 프레임
300 : 힌지 브라켓
400 : 수문 410 : 힌지축
500 : 지지브라켓
600 : 회전축
700 : 회전받침대
710 : 회전받침대 본체 720 : 제 1돌출판
730 : 회전축 삽입공 740 : 고정축 삽입공
750 : 고정축 751 : 힌지핀 삽입공
760 : 제 1지지돌기
800 : 지지받침대

Claims (5)

  1. 전도식 가동보에 있어서,
    수로(100)의 바닥면(110)에 매설되도록 구비되는 매설 프레임(200)과;
    상기 매설 프레임(200)의 상부 내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힌지 프라켓(300)과;
    상기 힌지 프라켓(300)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축(410)으로 결합되어 가동보의 개방시 수로(100)의 바닥면(110)과 함께 바닥을 이루며, 가동보의 밀폐시 기립되어 수로(100)에 담수를 행하도록 수로(100)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문(400)과;
    상기 수문(400)의 양측에 구비되어 회전축(60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500)과;
    상기 수문(400)의 전방 하부에 양측이 지지 브라켓(500)에 지지되어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회전축(600)과;
    상기 회전축(600)에 키이에 의해 하부가 결합되되, 회전축(60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부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받침대(700)와;
    상기 회전 받침대(700)와 수문(400)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받침대가(700)가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정·역회전하면 힌지축(410)을 중심으로 수문(400)을 정·역 회전시켜 기립·전도시키고, 닫힘시 수압에 의한 수문(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받침대(800)와;
    회전축 삽입공(730)과 고정축 삽입공(74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키이홈과;
    회전축(600)과 고정축(75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키이홈과;
    회전축(600)과 고정축(750)을 회전축 삽입공(730)과 고정축 삽입공(740)에 삽입 후 키이홈 들에 삽입되는 키이와;
    고정축(75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힌지핀 삽입공(751)에 삽입되는 힌지핀(840)과;
    지지받침대(800)의 상부에 형성된 회동핀 삽입공(850)과;
    회동핀 삽입공(850)에 삽입되도록 수문(400)의 내부에 구비된 회동핀(8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가동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대(700)는 판형의 회전받침대 몸체(710)와;
    상기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양측단에서 ㄷ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1돌출판(720)과;
    상기 제 1돌출판(720)의 하부에 회전축(6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된 회전축 삽입공(730)과;
    상기 제 1돌출판(720)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고정축 삽입공(740)과;
    상기 고정축 삽입공(740)에 삽입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힌지핀 삽입공(751)이 구비된 고정축(7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가동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받침대는(800)는 판형의 지지받침대 몸체(810)와;
    상기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양측단에서 ㄷ형상이 되도록 돌출되는 제 2돌출판(820)과;
    상기 제 2돌출판(820)의 하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힌지핀 결합공(830)과;
    상기 힌지핀 결합공(830)에 결합되는 힌지핀(840)과;
    상기 제 2돌출판(820)의 상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회동핀 삽입공(850)과;
    상기 회동핀 삽입공(850)에 삽입되도록 수문(400)의 내부에 구비된 회동핀(8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가동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대(700)는 회전받침대 몸체(710)의 상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 1지지돌기(7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가동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받침대(800)는 지지받침대 몸체(810)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제 2지지돌기(8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식 가동보.
KR1020140070888A 2014-06-11 2014-06-11 전도식 가동보 KR10154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88A KR101544838B1 (ko) 2014-06-11 2014-06-11 전도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88A KR101544838B1 (ko) 2014-06-11 2014-06-11 전도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838B1 true KR101544838B1 (ko) 2015-08-21

Family

ID=5406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888A KR101544838B1 (ko) 2014-06-11 2014-06-11 전도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036A (zh) * 2022-02-16 2022-04-19 重庆交通大学 一种琴键堰组合孔口式新型鱼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222B2 (ja) 2006-02-08 2010-03-24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式ゲート
KR101267175B1 (ko) * 2013-01-02 2013-05-27 서영숙 전도식 수문
KR101372225B1 (ko) * 2013-07-29 2014-03-10 백진현 삼각관절형 링크기구를 갖는 전도식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222B2 (ja) 2006-02-08 2010-03-24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式ゲート
KR101267175B1 (ko) * 2013-01-02 2013-05-27 서영숙 전도식 수문
KR101372225B1 (ko) * 2013-07-29 2014-03-10 백진현 삼각관절형 링크기구를 갖는 전도식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0036A (zh) * 2022-02-16 2022-04-19 重庆交通大学 一种琴键堰组合孔口式新型鱼道结构
CN114370036B (zh) * 2022-02-16 2024-04-12 重庆交通大学 一种琴键堰组合孔口式新型鱼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38B1 (ko) 전도식 가동보
JP2012062742A (ja) 構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ティング防水扉の構造
JP4203798B2 (ja) 回転式ゲート
KR101444885B1 (ko) 로터리식 가동보
KR100497595B1 (ko) 굴절받침대를 이용한 수문의 개폐장치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1612043B1 (ko) 전도식 가동보
KR101313372B1 (ko) 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CN108193650B (zh) 一种堰形水量调控设备
KR101816734B1 (ko) 와이어 전도식 가동보
KR101062162B1 (ko)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101790145B1 (ko) 어도가 구비된 수문
KR100647352B1 (ko) 다단 전도식 수문시스템
KR101332784B1 (ko) 수문 구동장치
JP4276963B2 (ja) スライドゲート装置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JP2001311130A (ja) ゲート
KR101458583B1 (ko) 전도식 가동보
KR200341035Y1 (ko) 자동수문
JP2010185183A (ja) 簡易チェックゲート
KR20120005221A (ko)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CN107268544B (zh) 一种河堤闸
KR101069469B1 (ko) 개선된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KR200219514Y1 (ko) 캠을 이용한 수문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