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62B1 -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62B1
KR101062162B1 KR1020100076954A KR20100076954A KR101062162B1 KR 101062162 B1 KR101062162 B1 KR 101062162B1 KR 1020100076954 A KR1020100076954 A KR 1020100076954A KR 20100076954 A KR20100076954 A KR 20100076954A KR 101062162 B1 KR101062162 B1 KR 101062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obe
support
water level
roller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순
Original Assignee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로 구현가능하도록 구체적이고, 방수대책이 완비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도보 바닥층(1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 블록(12)이 형성되어 있는 어도보 본체(10); 상기 어도보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문비(30); 및 상기 문비(30)와 고정축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이 선회운동함으로서 상기 문비(30)를 기립 및 전도시키면서, 이에 따라 어도보 본체(10)의 상류부가 승강함으로써 수위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Fishway Apparatus}
본 발명은 어도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에 설치되는 어도보 장치로서 하천 등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댐이나 보 등의 수리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하천을 오르내리며 살던 수생동물들의 원활한 이동이 어려워지므로 이들의 계속적인 이동이 가능토록 만들어진 수리구조물인 어도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어도보로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계단식 어도보인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등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계단을 다수 형성하여 하류의 어류가 단계적으로 상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식 콘크리트 어도는 일정 수위가 유지되어야만 어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어류의 이동에 적합한 유량 및 유속의 조절이 힘들고, 유량 변화가 심한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상 물이 흐르지 않는 갈수기에는 어도로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례로 특허공개 제2003-77521호와 같은 어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형 어도가 제안되었다.
즉, 상기 가동형 어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이 힌지(15)로 결합 고정된 어도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도판체(10)가 구동부에 의해 어도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필요시 바닥에 완전히 전도되어 수위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동형 어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어도판체(10)의 상부철판(11)에는 볼트(14)를 고정시켜 월류형 어도블럭(42)과 비월류형 어도블럭(4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어도판체(10)는 하류측에 힌지(15)로 고정시켜 회동이 되도록 하며 힌지부(15)에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어도판체(10)와 기초콘크리트(21)를 기밀시트(16)로 설치한다.
또한 상류측으로부터도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이물질 유입방지 철판(31)을 고정장치(32)와 탄성결합수단(33)을 이용하여 설치한다.
상기 어도판체(10)를 계획된 수위까지 담수를 하여 생태통로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기초 콘크리트(21)와 어도판체(10) 사이에 구동부(51)가 있어야 하는데 이 구동부는 유압실린더(51)나 에어백으로 한다.
즉, 도 2는 유압실린더(51)를 구동부로 이용하여 계획된 수위까지 담수된 단면도를 보여준다. 하천 외부에 위치한 유압공급장치에서 유압공급관(53)을 통해 유압실린더(51)를 밀어내면 유압실린더(51)가 받침대(52)를 세워 어도판체(10)가 계획된 수위까지 담수를 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51)를 잡아 당기면 받침대(52)가 넘어져 어도판체(10)가 전도된다.
어도판체(10)와 기초 콘크리트(21)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1)를 보호하기 위해 기초콘크리트(21) 위에 어도판체 지지 턱(2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유압실린더(51)의 구동부에 의해 회동되는 어도판체(10)는 계획수위에서 일정 수량을 담수할 때에는 어도판체(10)의 상부철판위에 체결된 월류형 어도블럭(42)과 비월류형 어도블럭(41)에 의해 단차적으로 담수가 되면서 유속이 감소되어 하류측의 어류가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받침대(52)의 어도판체(10)에 대한 지지동작 및 지지해제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는바, 아이디어에 불과한 정도의 단순한 것으로 파악되며 실제 구현이 어렵고, 특히 어도판체(10) 저부의 방수에 대한 아무런 방책이 없으며, 나아가 유압실린더에 대한 방수대책도 없으며, 정확히 설명되어 있지는 않으나 전체적인 내용으로 보아 유압실린더 및 받침대가 어도판체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이는바, 조립 및 고장시 유지 보수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제로 구현가능하도록 구체적이고, 방수대책이 완비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외관상 깔끔하고 홍수시에도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조립은 물론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추가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를 지하에 둠으로써, 외관상 보기에 좋으며 여타 장치의 추가가 용이한 융통성이 뛰어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로서, 어도보 바닥층(1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 블록(12)이 형성되어 있는 어도보 본체(10); 상기 어도보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문비(30); 및 상기 문비(30)와 고정축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이 선회운동함으로서 상기 문비(30)를 기립 및 전도시키면서, 이에 따라 어도보 본체(10)의 상류부가 승강함으로써 수위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하류측 저부에는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슬라이딩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지지부(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도보 본체(10)는, 상류 말단에 상기 문비(30)와의 체결을 위한 경첩 형상의 체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문비(30) 역시 상단에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지며,
상기 문비(30)는, 수문본체(11)와, 상기 수문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동축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의 회전축과 고정 축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4)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문비(30)의 회전축(32)과 축결합되면서 동축 선회하는 가이드프레임(2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3)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작동부에는 롤러(24)가 결착되며, 상기 롤러(24)와 맞닿은 가이드프레임의 부분에는 롤러가이드(21a)부가 형성되며, 상기 문비(30)가 기립되는 위치에서 롤러에 대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는 지지프레임의 롤러(24)가 안착되기에 용이하도록 롤러 안착홈(2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20)는 밀폐된 실린더 룸(40) 내에 방수처리되면서 내장되며, 상부의 점검구(43) 만이 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 룸(40)은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수문본체(3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이 둔각을 이루면서 동축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에 따르면, 확실하게 수위조절 가능한 어도보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며, 어도보 저부의 방수가 가능하여 내구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는, 외관상 깔끔하고 홍수시에도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은 물론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가 가능하다.
특히, 구동부를 지하에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여, 외관상 보기에 좋으며 여타 장치의 추가가 용이한 융통성이 뛰어난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의 고정식 계단형 콘크리트 어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의 가동형 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어도보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어도보 본체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상류측 부분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지지부 측면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문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어도보 본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지지부 롤러 프레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사시모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의 사시모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지지부의 사시모형도.
도 16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 외관의 상류측에서 본 사시모형도.
도 17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 외관의 하류측에서 본 사시모형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의 측면도로서, 도 6은 어도보 본체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어도보 본체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상류측 부분상세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지지부 측면 상세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문비, 어도보 본체 및 지지부 롤러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는, 크게 어도보 본체(10)와 문비(30) 및 구동부(20)로 구성된다.
어도보 본체(10)는 도 3 및 도 11에서 보듯이, 어도보 바닥층(1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 블록(12)을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트들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에는 측벽(13)이 형성되어 있게 되어, 하천수가 어도블록을 타고 넘으면서 어도 바닥층을 따라 하류로 흐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도보 본체의 상류는 하천 등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위조절이 되어야 하는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어도보 본체의 저면에 대해서는 방수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류 말단에는 문비(30)가 힌지식으로 접속되면서 수밀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어도보 본체(10)의 상류 말단에는 문비(30)와의 체결을 위한 경첩 형상의 체결부(14)가 형성되며, 한편 도 3 및 도 10에서 보듯이, 문비(30) 역시 상단에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진다.
즉,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여 문비(30)에 대하여 상술하면, 수문본체(31)의 상단에는 경첩 형상의 체결부(33)가 형성되며, 그 전방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고무판(35)이 덧대어져 있다.
또한, 상기 문비(30)는 후술하는 구동부(20)에 의해 기립 및 전도되면서, 역시 상단에 힌지 결합된 어도보 본체(10)의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바, 이를 위해 문비(30)의 수문본체(11)의 하단에는 회전축(32)이 형성됨과 동시에,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과 동축으로 결합되면서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의 회전축과 고정 축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에서 보듯이, 문비(30)의 상기 상단 체결부(33)는 어도보 본체(10)의 체결부(14)와 핀(33')에 의해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단 체결부(3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의 회전축과 핀(34')에 의해 축결합되며, 다만 상기 하단 체결부(34)와 가이드프레임(21)의 축결합은 고정식 축결합이 되어, 후술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회전축(32)을 중심으로 동시에 선회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의 구동부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부(20)는 어도보 본체(10)의 상류측 양 측에 위치하게 되는바, 콘크리트 기부(60)에 의해 지지되는 실린더 룸(40)이, 문비(30)의 회전축(32)과 축결합되면서 방수고무(28)에 의해 완전 방수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룸(40) 내에 구동부(20)가 내장되어 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부(60)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부(41)와 상판(42)으로 둘러싸이며 상부에는 점검구(43)를 갖는 실린더 룸(40) 내에, 가이드프레임(21)이 가이드프레임 고정링크(27)에 의해 실린더 룸에 장착되며, 가이드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3)이 지지프레임 고정링크(26)에 의해 역시 실린더 룸 내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22)가 실린더 고정링크(25)에 의해 장착되어 진다. 참고로, 상기 점검구(43)는 평소에는 뚜껑(미 도시됨)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가, 유지 보수 시에만 뚜껑을 열고 구동부를 수리하거나 관리하므로, 유지 보수에 매우 편리하게 된다.
지지프레임(21)은 지지프레임 결착핀(23a)에 의해 힌지결합되면서, 반대쪽 작동부에는 롤러(24)가 롤러 결착핀(23a)에 의해 지지프레임(23)에 결착되는바, 롤러(24)와 맞닿은 가이드프레임의 부분에는 롤러가이드(21a)부가 형성되며, 문비(30)가 기립되는 위치에서 롤러에 대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는 지지프레임의 롤러(24)가 안착되기에 용이하도록 롤러 안착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압실린더(22)의 일단은 실린더 결착핀(22a)에 의해 실린더 고정링크(25)에 힌지식으로 고정되며, 타단인 커넥터 로드(22c)의 단부는 커넥터 로드 결착핀(21b)에 의해 지지프레임(23)의 작동부에 어느 정도의 유동이 있도록 힌지식으로 결착되는바, 따라서 유압실린더(22)의 신축운동에 의해 지지프레임(23)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가이드프레임(21)을 선회운동시켜, 결국 문비(30)를 기립 및 전도시키는바, 이에 따라 어도보 본체(10) 역시 수위조절되어 지게 된다.
도 6은 문비가 기립되고 그에 따라 어도보 본체(10)도 상승하게 되므로 하천 등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의 어도보 상태이고, 역으로 도 7은 문비가 전도되고 그에 따라 어도보 본체(10)도 거의 수평위치로 눕혀져서 하천 등의 수위가 갈수기일 경우의 어도보 상태이다.
참고로, 상기 도 6과 도 7의 중간 정도의 상태에서도 상기 어도보 본체(10)가 정지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 안착홈(21b)이 가이드프레임(21)에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하류단은 하류의 하천수에 항상 잠겨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5,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의 어도보 본체(10)의 지지부(50)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지지부(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어도보 본체(10)의 저부에 위치하며 주로 하류측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문비(30)의 상단에 어도보 본체(10)의 상류측 단부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문비가 기립 및 전도될 경우, 어도보 본체가 반드시 상하 연직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며, 수평방향으로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어도보 본체(10)가 지지부(50)에 걸터있으면서, 어느 정도 수평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운동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먼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0)는 콘크리트 기부(60)에 부착되는 기초판(53) 상에 지지판(51)이 위치하며, 지지판(51) 상에 지지링크(54)가 돌설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링크(54) 상에는 지지롤러(55)가 부싱(55a)에 의해 부싱되어지며, 지지롤러(55) 상에 어도보 본체(10)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판(56: 도 9 참조)을 통해, 걸쳐있게 된다. 따라서, 어도보 본체(10)가 지지부(50)의 지지롤러(55) 상에 위치하면서, 지지롤러(55)의 롤링과 함께 어도보 본체(10)의 슬라이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어도보 본체의 상류측 단부가 승강하더라도, 어도보 본체가 자연스럽게 수위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사시모형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의 사시모형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의 지지부의 사시모형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 외관의 상류측에서 본 사시모형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수위조절형 어도 외관의 하류측에서 본 사시모형도이다.
어도보 본체(10)의 상류측 공간을 힌지식으로 체결된 문비(30)가 가로막고 있어 수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어도보 본체의 저부에 대한 방수처리가 용이하며 (약간의 틈새가 있더라도 어도보 본체의 저부에 하천수 유출부를 마련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기도 함), 더욱이 어도보 본체와 문비 간의 힌지 결합 부분에 추가적인 방수고무를 대고 밀폐처리를 하는 경우, 더욱 확실한 방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형 어도의 구동부를 나타내는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 룸(40)이 지하에 매설되면서, 수문본체(31)와 가이드프레임(21)이 둔각을 이루는 점에 차이가 있으며, 롤러 안착홈(21b) 역시 제1 실시예와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구동부(20)가 지하로 매설되므로, 제1 실시예에 비해, 외관상 보기에 좋으며, 지상에 여러가지 다른 구조물의 설치 및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어도보 본체 11 : 어도보 바닥층
12 : 어도 블록 13 : 측벽
14 : 체결부
20 : 구동부 21 : 가이드프레임
21a : 롤러 가이드 21b : 롤러 안착홈
22 : 유압 실린더 22a : 실린더 결착핀
22b : 커넥터 로드 결착핀 22c : 커넥터 로드
23 : 지지프레임 23a : 지지프레임 결착핀
23b : 롤러 결착핀 24 : 롤러
25 : 실린더 고정링크 26 : 지지프레임 고정링크
27 : 가이드프레임 고정링크 28 : 방수고무
30 : 문비 31 : 수문본체
32 : 회전축 33 : 제1 체결부
33' : 제1 체결핀 34 : 제2 체결부
34' : 제2 체결핀 35 : 방수고무
40 : 실린더 룸 41 : 바닥부
42 : 상판 43 : 점검구
50 : 지지부 51 : 지지판
52 : 수직플레이트 53 : 기초판
54 : 지지링크 55 : 지지롤러
55a : 부싱
60 : 콘크리트 기부

Claims (8)

  1.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로서,
    어도보 바닥층(11)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어도 블록(12)이 형성되어 있는 어도보 본체(10)와; 상기 어도보 본체(1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문비(30)와 ; 상기 문비(30)와 고정축 결합되어 있는 구동부(20); 및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하류측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슬라이딩을 자연스럽게 하는 지지부(5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이 선회운동함으로서 상기 문비(30)를 기립 및 전도시켜 어도보 본체(10)의 상류부가 승강하여 수위조절되며,
    상기 지지부(50)는
    콘크리트 기부에 부착된 기초판(53)의 위에 고정설치된 지지판(51)과 ; 지지판(51) 상에 돌설된 지지링크(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55)와 ;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러(55)에 대면되어 어도보 본체(10)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슬라이딩판(5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어도보 본체(10)의 아래쪽 단부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보 본체(10)는, 상류 말단에 상기 문비(30)와의 체결을 위한 경첩 형상의 체결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문비(30) 역시 상단에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비(30)는, 수문본체(11)와, 상기 수문본체(11)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과 동축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부(20)의 가이드프레임(21)의 회전축과 고정 축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문비(30)의 회전축(32)과 축결합되면서 동축 선회하는 가이드프레임(2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3)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작동부에는 롤러(24)가 결착되며, 상기 롤러(24)와 맞닿은 가이드프레임의 부분에는 롤러가이드(21a)부가 형성되며, 상기 문비(30)가 기립되는 위치에서 롤러에 대응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는 지지프레임의 롤러(24)가 안착되기에 용이하도록 롤러 안착홈(2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는 밀폐된 실린더 룸(40) 내에 방수처리되면서 내장되며, 상부의 점검구(43) 만이 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룸(40)은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수문본체(31)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이 둔각을 이루면서 동축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1020100076954A 2010-08-10 2010-08-10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10106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4A KR101062162B1 (ko) 2010-08-10 2010-08-10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4A KR101062162B1 (ko) 2010-08-10 2010-08-10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2162B1 true KR101062162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54A KR101062162B1 (ko) 2010-08-10 2010-08-10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1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2908A (zh) * 2021-06-02 2021-08-3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实现分层过鱼的单鱼道出口结构
KR102310074B1 (ko) 2021-03-18 2021-10-06 안종범 유량에 따른 어도 높이가 조절되는 스마트 가동형 어도
CN115233611A (zh) * 2022-08-01 2022-10-25 大亚湾广宝实业有限公司 一种近岸海域潮间带生物保护廊道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067A (ja) 1996-11-27 1998-06-16 Kaisei Kogyo Kk 巻上機埋設ボックス
KR200401266Y1 (ko) * 2005-08-18 2005-11-15 청옥산업 주식회사 밀폐구조를 갖춘 유압식 수문
KR100780455B1 (ko) * 2006-05-23 2007-11-29 서성만 어도를 갖는 전도식 수문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067A (ja) 1996-11-27 1998-06-16 Kaisei Kogyo Kk 巻上機埋設ボックス
KR200401266Y1 (ko) * 2005-08-18 2005-11-15 청옥산업 주식회사 밀폐구조를 갖춘 유압식 수문
KR100780455B1 (ko) * 2006-05-23 2007-11-29 서성만 어도를 갖는 전도식 수문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74B1 (ko) 2021-03-18 2021-10-06 안종범 유량에 따른 어도 높이가 조절되는 스마트 가동형 어도
CN113322908A (zh) * 2021-06-02 2021-08-31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实现分层过鱼的单鱼道出口结构
CN113322908B (zh) * 2021-06-02 2022-11-29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实现分层过鱼的单鱼道出口结构
CN115233611A (zh) * 2022-08-01 2022-10-25 大亚湾广宝实业有限公司 一种近岸海域潮间带生物保护廊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KR101062162B1 (ko) 수위조절형 어도보 장치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JP6775268B1 (ja) フラップゲート用水密構造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プゲート
KR200401338Y1 (ko) 받침틀식 가동보
KR101355949B1 (ko) 플랩게이트
KR101115582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가동보
KR101166372B1 (ko) 자동 어도 장치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0497595B1 (ko) 굴절받침대를 이용한 수문의 개폐장치
KR101407911B1 (ko) 래크바를 이용한 펌프일체형 수문
KR101971420B1 (ko)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CN106906799B (zh) 水利水库升降式水闸及其控制方法
KR101790145B1 (ko) 어도가 구비된 수문
KR102351926B1 (ko) 개폐형 자동수문을 구비한 수문
KR101722200B1 (ko) 전도 게이트
JP2004068577A (ja) 油圧式水門装置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KR101232731B1 (ko)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
KR100987707B1 (ko)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KR20190085749A (ko) 유압식 가동보
KR200442618Y1 (ko) 부력을 이용한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